KR102662091B1 -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91B1
KR102662091B1 KR1020210046594A KR20210046594A KR102662091B1 KR 102662091 B1 KR102662091 B1 KR 102662091B1 KR 1020210046594 A KR1020210046594 A KR 1020210046594A KR 20210046594 A KR20210046594 A KR 20210046594A KR 102662091 B1 KR102662091 B1 KR 10266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locks
light emitting
board gam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287A (ko
Inventor
이성아
최가람
박하은
문소정
김희망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6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matching elementary shapes to corresponding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으로, 피험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숫자 개념 및 색깔 개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Tools for Smart Board Game}
본 발명은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험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숫자 개념 및 색깔 개념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인지 기능은 기억, 논리, 사고, 학습, 문제해결, 충동, 판단, 동기 등과 같은 과정을 의미하며, 새로운 정보를 파악하고 기존의 정보와 결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과 특정 자극에 정확히 반응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뇌졸중 환자, 치매 환자 등은 인지적인 영역에 문제가 생겨,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 것과 정상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인지 기능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조치로서, 뇌를 활성화하기 위한 퍼즐게임, 보드 게임, 그림 그리기, 이야기하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교육활동에서 제시되는 구체물로서 학습 내용과 활동을 연결하여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놀이학습을 통해 재미있고 즐거워하며 점점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창의성, 상상력, 사고력 등을 증진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운동 및 인지 재활 훈련 콘텐츠가 단순 반복게임으로 흥미 유발과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에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환자 또는 노인들이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간단한 놀이 기구 개념으로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보조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347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험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숫자 개념 및 색깔 개념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둥부 형상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는 단면이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기둥부에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각각의 상기 기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기둥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칸에 의하여 복수 개의 마디부로 구획되되, 각각의 마디부에 빛이 발광되도록 발광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마디부의 높이와 각각의 상기 블록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는 외부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마디부 중 빛이 발광되는 마디부에 상기 블록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상기 기둥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 타측에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는 칸막이부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온 되면, 상기 칸막이부가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오프 되면, 상기 칸막이부가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지 않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블록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가 인쇄되는 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블록 중 선택되는 복수 개의 블록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가 인쇄되는 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마디부 중 빛이 발광되는 마디부에 상기 이미지부에 형성되는 패턴 또는 색깔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을 갖는 블록이 차례로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카드가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험자가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숫자 개념 및 색깔 개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베이스와 기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끼움홈 및 끼움홈에 삽입되는 카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베이스와 기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는 베이스(100), 기둥부(200), 발광부(도 3 도시), 외부단말기(미도시), 칸막이부(미도시) 및 블록(4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평평한 상면을 포함한다. 기둥부(200)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기둥 형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한 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둥부(200)는 단면이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예를 들면 복수 개의 기둥부(200)는 3개로 구성되어, 제 1 기둥부(201), 제 2 기둥부(202) 및 제 3 기둥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둥부(20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2 기둥부(202)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제 3 기둥부(203)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둥부(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칸(210)에 의하여 복수 개의 마디부(220)로 구획된다. 마디부(220)는 예를 들면 5개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300)는 각각의 마디부(220)에 내장되며, 각각의 발광부(300)가 발광하는 빛은 각각의 마디부(220)의 외부로 발광되도록 구성된다. 외부단말기는 각각의 발광부(300)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킨다. 이러한 외부단말기는 예를 들면 스위치, 버튼 등으로 형성되며 발광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외부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외부단말기가 조작됨에 따라, 발광부(300)가 발광되도록 온 되거나 발광부(300)가 발광되지 않도록 오프될 수 있다.
칸막이부(미도시)는 베이스(100)에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에 기둥부(200)가 구비된 상태에서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 기둥부(200)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칸막이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0)에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기둥부(200)의 전방에 위치한 피험자가 기둥부(200)를 볼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칸막이부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100)에 설치된 후 제거할 수 있으며,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400)은 피험자가 기둥부(200)에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피험자의 집중력과 인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블록(400)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기둥부(20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홀(410)이 형성된다. 삽입홀(410)의 내주연 형태와 블록(400)의 외주연의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삽입홀(410)의 내주연 형태에 따라 블록(400)은 제 1 블록(401), 제 2 블록(402) 및 제 3 블록(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블록(401)의 삽입홀(41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블록(402)의 삽입홀(410)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블록(403)의 삽입홀(410)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마디부(220)의 높이와 각각의 블록(40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색상, 예를 들면 검정색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그 후 관리자가 외부단말기를 조작하여 제 1 기둥부(201)의 5개의 마디부(220) 중 3개의 마디부(220)에 구비되는 3개의 발광부(300)가 발광되도록 한다. 그러면 피험자는 제 1 기둥부(201)에 구비되는 3개의 마디부(220)에 불이 들어온 것을 인지하고, 제 1 기둥부(201)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제 1 블록(401) 3개를 제 1 기둥부(201)에 끼운다.
이를 통하여 피험자는 기둥부(200)에 발광되는 불빛의 개수를 파악하고 그 개수에 맞게 블록(400)을 기둥부(200)에 끼울 수 있어, 숫자개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둥부(200)의 형태가 모두 상이하도록 형성되므로, 기존보다 집중력을 변환시키고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기둥부(201) 이외에 제 2, 3 기둥부(202, 203)의 마디부(220)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여 제 2, 3 블록(402, 403)을 제 2, 3 기둥부(202, 203)에 끼우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피험자는 성취감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검정색으로 형성되는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그 후, 피험자에게 기둥부(200)의 불빛이 켜졌다가 꺼진다는 사실을 미리 설명한다. 그 후, 관리자는 발광부(30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외부단말기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제 2 기둥부(202)에 구비되는 5개의 마디부(220)가 모두 불빛이 켜지도록 하고, 제 3 기둥부(203)에 구비되는 2개의 마디부(220)가 불빛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그 후, 관리자는 피험자에게 복수의 기둥부(200) 중 불빛이 켜진 마디부(220)를 확인하라고 지시한다. 그 후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5초가 지난 이후, 피험자가 기둥부(200)를 볼 수 없도록 칸막이부(미도시)가 베이스(1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기둥부(200)가 커버되도록 한다. 그 후, 관리자는 외부단말기를 조작하여 모든 기둥부(200)에 구비되는 발광부(300)를 오프시킨 후, 칸막이부가 기둥부(200)를 커버하지 않도록 제거시킨다.
그 후, 도 5의 (b)와 같이, 피험자는 복수의 기둥부(200) 중 불빛이 켜진 것으로 확인한 기둥부(200), 즉, 제 2 기둥부(202)의 5개의 마디부(220)에 해당하는 제 2 블록(402) 5개 및 제 3 기둥부(203)의 2개의 마디부(220)에 해당하는 제 3 블록(403) 2개를 준비하고, 이들 제 2 블록(402) 및 제 3 블록(403)을 제 2 기둥부(202) 및 제 3 기둥부(203)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를 통하여 피험자는 기둥부(200)에 발광되는 불빛의 위치 및 개수를 기억할 수 있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 3 기둥부(202, 203) 이외에 제 1 기둥부(201)의 마디부(220)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여 제 1 블록(401)을 제 1 기둥부(201)에 끼우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끼움홈 및 끼움홈에 삽입되는 카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에 기둥부(200)가 형성되고 베이스(100)의 상면 타측에 후술하는 카드(500)가 끼워지도록 끼움홈(110)이 형성된다. 이처럼 기둥부(200)에 끼움홈(110)이 형성되므로, 관리자는 카드(500)를 분실하지 않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끼움홈(110)은 제 1 기둥부(201)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끼움홈(111), 제 2 기둥부(202)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2 끼움홈(112) 및 제 3 기둥부(203)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3 끼움홈(113)을 포함한다. 이처럼 제 1, 2, 3 기둥부(201, 202, 203)의 일측에 제 1, 2, 3, 끼움홈(111, 112, 113)이 형성되므로, 피험자는 카드(500)에 형성된 이미지부(510)가 복수 개의 기둥부(200) 중 어느 기둥부(200)에 해당하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드(500)는 종이카드(500) 등으로 구성되며 일면에 이미지부(510)가 인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부(510)는 복수 개의 블록(400)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400)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블록(400)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이미지부(510)는 블록(400)과 동일하도록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이 인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의 (a)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블록(400)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5개의 제 1 블록(401)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5개의 제 2 블록(402)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5개의 제 3 블록(403)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카드(500)에는 예를 들면 5개의 제 1 블록(401)과 동일한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510)가 인쇄된다.
이어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발광부(30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외부단말기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제 1, 2, 3 기둥부(200)에 구비되는 마디부(220)가 모두 불빛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그 후, 관리자는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그 후, 관리자는 카드(500)를 제 1 끼움홈(111)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피험자는 제 1 끼움홈(111)에 끼워진 카드(500)에 인쇄되는 이미지부(510)를 보고, 제 1 기둥부(201)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제 1 블록(401) 5개를 순서대로 제 1 기둥부(201)에 끼운다.
이를 통하여 피험자는 카드(500)에 인쇄되는 이미지부(510)를 보고 이미지부(510)에 인쇄된 색깔에 맞추어 해당 블록(400)을 기둥부(200)에 끼울 수 있어, 색깔개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블록(401) 이외에 제 2 블록(402) 또는 제 3 블록(403)과 동일한 색깔을 갖는 이미지부(510)가 인쇄되는 카드(500)를 준비하여 제 2 블록(402) 또는 제 3 블록(403)을 제 2 기둥부(202) 또는 제 3 기둥부(203)에 끼우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가 적용되는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의 (a)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블록(400)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5개의 제 1 블록(401)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5개의 제 2 블록(402)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5개의 제 3 블록(403)의 외주연에는 서로 다른 색깔이 형성된다. 카드(500)에는 예를 들면 4개의 제 2 블록(402)과 동일한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510)가 인쇄된다.
이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발광부(30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외부단말기를 조작하여 예를 들면 제 2 기둥부(202)에 구비되는 4개의 마디부(220)에 불빛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그 후, 관리자는 제 1 블록(401) 5개, 제 2 블록(402) 5개, 제 3 블록(403) 5개를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그 후, 관리자는 카드(500)를 제 2 끼움홈(112)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피험자는 제 2 끼움홈(112)에 끼워진 카드(500)에 인쇄되는 이미지부(510)를 보고, 제 2 기둥부(202)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제 2 블록(402) 4개를 차례로 제 2 기둥부(202)에 끼운다.
이를 통하여 피험자는 카드(500)에 인쇄되는 이미지부(510)의 개수를 보고 이미지부(510)에 인쇄된 색깔에 맞추어 해당 블록(400)을 차례로 기둥부(200)에 끼울 수 있어, 숫재 개넘 및 색깔개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험자가 블록(400)을 기둥부(200)에 끼우는 동작을 통하여 손쉽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지 기능 및 손의 조작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2 블록(402) 이외에 제 1 블록(401) 또는 제 3 블록(403)과 동일한 색깔을 갖는 이미지부(510)가 인쇄되는 카드(500)를 준비하여 제 1 블록(401) 또는 제 3 블록(403)을 제 1 기둥부(201) 또는 제 3 기둥부(203)에 끼우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베이스 110: 끼움홈
111: 제 1 끼움홈 112: 제 2 끼움홈
113: 제 3 끼움홈 200: 기둥부
201: 제 1 기둥부 202: 제 2 기둥부
203: 제 3 기둥부 210: 구획칸
220: 마디부 300: 발광부
400: 블록 401: 제 1 블록
402: 제 2 블록 403: 제 3 블록
410: 삽입홀 500: 카드
510: 이미지부

Claims (7)

  1. 판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구획칸에 의하여 복수 개의 마디부로 구획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기둥 형상으로 세워지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상기 기둥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의 전방에 위치한 피험자가 상기 기둥부를 볼 수 없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면 타측에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는 칸막이부;
    각각이 상기 마디부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된 복수 개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외부단말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는 단면이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기둥부에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각각의 상기 기둥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마디부의 높이와 각각의 상기 블록의 높이는 상호 동일하고,
    각각의 상기 블록은 상기 마디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온 되면, 상기 칸막이부가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오프 되면, 상기 칸막이부가 상기 기둥부를 커버하지 않도록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블록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블록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가 인쇄되는 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블록은 상호 다른 패턴 또는 색깔을 갖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블록 중 선택되는 복수 개의 블록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로 형성되는 이미지부가 인쇄되는 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마디부 중 빛이 발광되는 마디부에 상기 이미지부에 형성되는 패턴 또는 색깔과 동일한 패턴 또는 색깔을 갖는 블록이 차례로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중 선택되는 발광부가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카드가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KR1020210046594A 2021-04-09 2021-04-09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KR10266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94A KR102662091B1 (ko) 2021-04-09 2021-04-09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94A KR102662091B1 (ko) 2021-04-09 2021-04-09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87A KR20220140287A (ko) 2022-10-18
KR102662091B1 true KR102662091B1 (ko) 2024-04-29

Family

ID=8380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94A KR102662091B1 (ko) 2021-04-09 2021-04-09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9112B1 (en) * 2015-12-16 2018-10-16 Randall Johnson Three-dimensional tic-tac-to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221A (en) * 1968-05-02 1971-03-02 Sargent Welch Scientific Co Balancing game and teaching aid
US4485585A (en) * 1982-05-03 1984-12-04 Childcraft Education Corporation Multiple-post toy stacker assembly
US4541633A (en) * 1982-09-14 1985-09-17 Newbill Leston L Game with two separated electrically-connected boards
KR200173474Y1 (ko) 1999-08-02 2000-03-15 나기상 유아교육용 블록완구
KR101350957B1 (ko) * 2012-02-29 2014-02-13 주식회사 넷블루 인지 장애 아동용 컴퓨터기반 인지훈련장치
KR102060063B1 (ko) * 2017-11-28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9112B1 (en) * 2015-12-16 2018-10-16 Randall Johnson Three-dimensional tic-tac-t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87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390A (en) Mathematical board game apparatus
US6702288B1 (en) Color game
GB633951A (en) Educational toy and game
US4131282A (en) Board game apparatus
US4147359A (en) Game equipment having stepped ramp means
WO2008063044A1 (en) A board game
KR102662091B1 (ko) 스마트 보드 게임 도구
KR101609669B1 (ko) 학습용 보드게임 도구
GB2307186A (en) Board game
US20080265506A1 (en) Closable-type electronic game grid box with digital display for strategic word pattern engagement
KR102327701B1 (ko)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KR101274142B1 (ko) 규칙성을 가지는 보드게임도구
US45026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board game
JP3172805U (ja) 身体機能訓練器具または知育用玩具
KR101014500B1 (ko) 공간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소마퍼즐
CN211016107U (zh) 用于逻辑思维训练的数学教具
KR101656505B1 (ko) 레이저 보드 게임 장치
US5340114A (en) Checker bottom single, dual, or triple indicator
CN210804898U (zh) 用于专注力训练的数学教具
JP3122152U (ja) 計算ゲーム具
JP3124609U (ja) 知育玩具
CN211016108U (zh) 用于观察记忆能力训练的数学教具
JP2007098015A (ja) マスターマインドセット
JP3117724U (ja) ボードゲーム
KR200430634Y1 (ko) 매직 놀이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