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701B1 -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 Google Patents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701B1
KR102327701B1 KR1020190124674A KR20190124674A KR102327701B1 KR 102327701 B1 KR102327701 B1 KR 102327701B1 KR 1020190124674 A KR1020190124674 A KR 1020190124674A KR 20190124674 A KR20190124674 A KR 20190124674A KR 102327701 B1 KR102327701 B1 KR 10232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iculty
soma cube
pieces
area
s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894A (ko
Inventor
김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큐브
Priority to KR102019012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75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pictures or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76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level of difficul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을 사용해 맞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소마큐브용 퍼즐카드에 관한 것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난이도를 나타내는 난이도 영역,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해야 하는 소마큐브 조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제시하는 제시영역 및 난이도 영역과 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제시영역에서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소마큐브 조각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여 입체조형능력 향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영역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소마큐브용 퍼즐카드{A puzzle card used in a samacube}
본 발명은 소마큐브용 퍼즐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을 사용해 맞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창의력, 사고력, 집중력, 공간지각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소마큐브용 퍼즐카드에 관한 것이다.
소마큐브는 덴마크 출신의 피에트 하인(Piet Hein)이 베르너 하인즈베르그의 양자 역학 강의 도중 개발한 3차원 퍼즐이다.
소마큐브는 3개 또는 4개의 정육면체로 구성된 7개의 조각을 가지며, 3 X 3 X 3 정육면체를 비롯한 많은 기하학적 모양들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소마큐브 각각의 조각은 모양이 서로 다르며, 조합될 조건이나 특성이 각기 다르다.
이와 같은 소마큐브는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 등의 교육기관에 많이 보급되어 창의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발달 시키는 교육용 교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마큐브만을 가지고는 충분한 활동을 하는 것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으며, 특히 소마큐브를 처음 접한 사용자는 소마큐브를 활용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기존의 소마큐브 활용서 같은 경우, 난이도 구분에 관한 내용이 연령대 또는 기초, 심화 등의 단순 구분만 되어 있어 사용자의 학습능력에 따른 차별성 없이 학습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소마큐브에 대한 흥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4409호 (2019.06.2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을 사용해 맞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창의력, 사고력, 집중력, 공간지각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한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문제마다 각각 다른 난이도를 부여하여 어린 사용자가 본인의 나이와 관계없이 본인에게 맞는 난이도의 퍼즐을 풀고, 다음 단계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스스로 풀기 위해 도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도전정신 및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는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난이도를 나타내는 난이도 영역;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해야 하는 소마큐브 조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제시하는 제시영역; 및 상기 난이도 영역과 상기 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시영역에서 제시된 상기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소마큐브 조각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여 입체조형능력 향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마큐브용 퍼즐카드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마큐브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창의력, 사고력, 집중력, 공간지각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마큐브용 퍼즐카드에 의하면, 놀이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효과를 자연스럽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시영역에서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이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소마큐브 조각이 조합된 상태 및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공통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몇몇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사용하여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3세 이상의 어린이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접하여 즐길 수 있는 사람이면 어떠한 사람이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3세 이상의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남녀노소 전체를 사용자로 정의할 수 있다.
'소마큐브'는 놀이용 또는 교육용 완구로 활용되는 것으로, 소마큐브 조각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완구이다. 예컨대, 소마큐브는 복수개의 매직큐브를 면을 맞대어 연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시키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시영역에서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이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에는 학습지에 형성된 문제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지를 학습하는 방식이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는 사용자가 소마큐브 조각을 조합하여 퍼즐카드에 제시된 문제를 해결해 감으로써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는 난이도 영역(100), 제시영역(200) 및 문제영역(300)을 포함한다.
난이도 영역(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문제영역(300)에 보여지는 문제(310)에 대한 난이도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난이도 영역(100)은 사용자가 난이도에 따라 문제(310)를 선택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제1단계에서 제6단계(101~106)로 구분될 수 있다.
소마큐브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이하, 초보자)는 소마큐브를 처음 접하였을 때, 소마큐브 조각을 언제, 어디에,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게 되고, 어려운 문제를 선택하게 되면 흥미를 잃게 된다. 나아가, 소마큐브를 많이 접한 사용자(이하, 숙련자)도 소마큐브를 자주 접해본 결과, 쉬운 문제를 선택하게 되면 흥미를 잃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는 초보자 및 숙련자가 주어진 난이도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퍼즐카드의 문제(310)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난이도를 제1 단계에서 제6 단계(101~106)로 구분한 것이다.
이때,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101~10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 형상의 그림으로 구분되어 난이도 영역(1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난이도 영역(100)에 표시된 그림을 통해 각 문제별 난이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101~106)는 순서대로 난이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계(101)는 가장 난이도가 낮고, 제2 단계(102)는 제1 단계(101)보다 난이도가 높으며, 제3 단계(103)는 제2 단계(102)보다 난이도가 높고, 제4 단계(104)는 제3 단계(103)보다 난이도가 높으며, 제5 단계(105)는 제4 단계(104)보다 난이도가 높고, 제6 단계(106)는 제5 단계(105)보다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101~106)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초급, 중급, 고급, 마스터1단계, 마스터2단계 및 마스터3단계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용어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쉽게 구분된 용어는 퍼즐카드(10)의 예시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예시 퍼즐카드(미도시) 또는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미도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 단계부터 제6 단계(101~106)까지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도시 하였으나, 이는 제1 단계부터 제6 단계(101~106)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일 뿐, 실제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에는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101~106) 중 어느 하나의 단계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면에는 난이도 영역(100)이 퍼즐카드(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난이도 영역(100)은 퍼즐카드(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또는 중앙 또는 하부 타측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음, 제시영역(200)은 퍼즐카드(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해야 하는 소마큐브 조각(210)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시영역(200)에 제시되는 소마큐브 조각(210)은 소마큐브(미도시)의 모양을 분할하여 나타낸 총 7개의 조각으로, 통상적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져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소마큐브 조각(210)은 총 7개의 조각이므로, 제시영역(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시되되, 7개 이하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마큐브 조각(210)은 문제영역(300)의 문제(310)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마큐브 조각(210)은 통상적인 바와 같이 흰색 또는 단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색을 갖고, 제시영역(200)에 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소마큐브 조각(210)은 총 7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무지개색 즉, 빨간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및 보라색으로 각각 색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시영역(200)에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마큐브 조각(210)을 각각 구분하기 위한 색상이면 상기의 색이 아니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영역(300)은 퍼즐카드(10)의 중간부 즉, 난이도 영역(100)과 제시영역(200) 사이에 형성되고, 제시영역(200)에서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소마큐브 조각(210)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여 입체조형능력 향상을 유발하는 문제(3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제영역(300)에 형성된 문제(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소마큐브 조각(210)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문제(310)는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210)을 조합했을 때 여러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보여지는 모양인 다수의 구획칸(31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러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옆 및 위 중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옆은 앞(정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에서 보여지는 모양을 오른쪽, 좌측방향에서 보여지는 모양을 왼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문제(310)는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앞에서 보여지는 모양, 옆에서 보여지는 모양 및 위에서 보여지는 모양으로 문제영역(300)에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옆에서 보여지는 모양이 가장 좌측에 배치되고, 그 다음 앞에서 보여지는 모양, 위에서 보여지는 모양 순으로 기재되는 등 문제(310)의 순서는 퍼즐카드의 제조 시 미리 선정되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미리 선정되는 기준은 퍼즐카드를 제조하는 사람이 문제 순서를 어떻게 정할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문제(310)가 소마큐브 조각(210)이 조합된 상태에서 앞, 옆 및 위를 바라본 상태 모두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앞과 옆에서 바라본 상태로만 형성되거나 앞과 위에서만 바라본 상태로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문제(310) 마다 앞, 옆 및 위와 같이 소마큐브 조각(210)이 조합된 상태에서 바라본 모양을 표기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일 뿐, 따로 기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문제(310)는 난이도 영역(100)의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101~106)에 따라,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난이도에 따라 문제(310)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퍼즐카드(10)를 선택 후, 문제영역(300)에 주어진 문제(310)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마큐브 조각(210)이 서로 다른 색을 갖고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경우, 문제(310)를 구성하는 다수의 구획칸(311)은 각각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마큐브 조각(210)의 색깔이 칠해질 수 있다.
즉, 소마큐브 조각(210)이 색을 가지면 다수의 구획칸(311)도 색을 갖고, 소마큐브 조각(210)이 단색 또는 흰색과 같이 색을 갖지 않으면, 다수의 구획칸(311)도 색을 갖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깔이 상이한 제1 소마큐브 조각(210a)과 제2 소마큐브 조각(210b)이 조합된 경우, 다수의 구획칸(311)은 조합된 소마큐브 조각(210a, 210b)을 앞, 옆 및 위 중 어느 한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보이는 색상으로 칠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상이한 두 소마큐브 조각(210a, 210b)의 색상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 빗금을 다르게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상술한 바와 같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중 어느 하나로 각각 색이 칠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문제(310)는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210)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문제영역(30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문제(310) 즉, 다수의 구획칸(311)이 소마큐브 조각(210)을 조합했을 때 여러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보여지는 모양이고, 소마큐브 조각(210)의 색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소마큐브 조각이 조합된 상태 및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는 난이도 영역(100), 제시영역(200) 및 문제영역(300)을 포함한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 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난이도 영역(100)과 제시영역(200)은 제1 실시 예와 동일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문제영역(300)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난이도 영역(100)과 제시영역(200)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문제영역(300)에는 제시영역(200)에서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2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소마큐브 조각(210)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는 문제(310)가 형성된다.
문제(310)는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마큐브 조각(210)을 조합했을 때, 완성된 모양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다본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칸(311)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구획칸(311)이 색깔이 칠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소마큐브 조각(210)의 완성된 모양을 상부에서 하부로 바라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제2 실시 예의 다수의 구획칸(311) 각각의 중앙에는 해당 위치에 쌓여있는 소마큐브 조각(210)의 블록 개수가 표기된다. 여기서, 소마큐브 조각(210)의 블록은 소마큐브 조각(210)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마큐브 조각(210c, 210d)이 조합되어 완성된 모양을 형성한 경우, 소마큐브 조각(210)의 블록이 3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면 다수의 구획칸(311) 중앙에는 숫자 3이 표기된다. 또, 소마큐브 조각(210)의 블록이 2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면 다수의 구획칸(3110 중앙에는 숫자 2가 표기되고, 1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면 다수의 구획칸(311) 중앙에는 숫자 1이 표기된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보면, 소마큐브 조각(210)의 블록이 몇개로 적층되어 있는지에 따라, 다수의 구획칸(311) 중앙에 형성된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구획칸(311)의 모양과 중앙에 표기된 숫자를 보고 제시영역(200)에 제시된 소마큐브 조각(210)만을 사용하여 어떤 모양으로 완성시킬 지 연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마큐브용 퍼즐카드(10)는 난이도를 구분하고, 소마큐브 조각(210)을 7조각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조각만을 조합하여 문제(310)를 해결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문제(310)를 보고 소마큐브 조각(210)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여 입체조형능력 향상을 유발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소마큐브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창의력, 사고력 및 공간지각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100: 난이도 영역
200: 제시영역
300: 문제영역

Claims (5)

  1.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난이도를 나타내는 난이도 영역;
    상부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해야 하는 소마큐브 조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제시하는 제시영역 및
    상기 난이도 영역과 상기 제시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시영역에서 제시된 상기 소마큐브 조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소마큐브 조각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하여 입체조형능력 향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영역은 가장 난이도가 낮아 만들기 용이한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보다 난이도가 높은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보다 난이도가 높은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보다 난이도가 높은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보다 난이도가 높은 제 5단계와, 상기 제5 단계보다 난이도가 높은 제 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는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6 단계에 따라,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시영역에 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마큐브 조각을 조합했을 때, 완성된 모양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다본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획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획칸 각각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상기 문제를 보고 소마큐브 조각의 완성된 모양을 연상하도록, 해당 위치에 쌓여있는 상기 소마큐브 조각의 블록 개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4674A 2019-10-08 2019-10-08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KR10232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674A KR102327701B1 (ko) 2019-10-08 2019-10-08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674A KR102327701B1 (ko) 2019-10-08 2019-10-08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894A KR20210041894A (ko) 2021-04-16
KR102327701B1 true KR102327701B1 (ko) 2021-11-18

Family

ID=7574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674A KR102327701B1 (ko) 2019-10-08 2019-10-08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65A (ko) 2021-04-20 2022-10-27 (주)로이비쥬얼 보드 게임, 인형놀이 및 역할놀이 겸용 퍼즐 게임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13Y1 (ko) * 2014-07-01 2014-07-31 한정윤 소마큐브용 카드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00B1 (ko) * 2008-10-07 2011-02-14 김복희 공간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소마퍼즐
KR101994409B1 (ko) 2018-01-09 2019-07-01 주식회사 매직큐브 소마큐브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13Y1 (ko) * 2014-07-01 2014-07-31 한정윤 소마큐브용 카드 세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매직큐브(홍보방송), [online], 2018년 07월 31일,[2021년 02월 01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youtube.com/watch?v=yHs256EJkfk>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894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212A (en) Multi-functional alphabet cardgame w/optional diamonoidal cards
Burger et al. The heart of mathematics: An invitation to effective thinking
Wells Games and mathematics: Subtle connections
US4485585A (en) Multiple-post toy stacker assembly
US5076793A (en) Fractal mathematics kit
US5100326A (en) Flash cards for teaching and practicing blackjack
Schwartz Teaching young children mathematics
Kaputa You are a brand!: In person and online, how smart people brand themselves for business success
US90431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honemic awareness
KR102327701B1 (ko) 소마큐브용 퍼즐카드
US4676510A (en) Game pieces
KR101294600B1 (ko)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
CN113850700A (zh) 一种幼儿早期的教育系统
US10695658B2 (en) Educational and socially interactive learning game and method
US2412759A (en) Toy
JP6627037B1 (ja) 組立玩具
Spungin Teaching teachers to teach mathematics
Gross et al. Fat chance: probability from 0 to 1
Kamii Play an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Katter An approach to art games: Playing and planning
US20040026861A1 (en) Domino game apparatus and a method for playing dominos
Zvonkin Math from three to seven: the story of a mathematical circle for preschoolers
RU2775477C1 (ru) Иг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ития образ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мышления на основ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тильных ощущений наряду со зрительным восприятием
Haggerty KALAH—an ancient game of mathematical skill
KR20220019441A (ko) 소마큐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