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002B1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02B1
KR102662002B1 KR1020180140530A KR20180140530A KR102662002B1 KR 102662002 B1 KR102662002 B1 KR 102662002B1 KR 1020180140530 A KR1020180140530 A KR 1020180140530A KR 20180140530 A KR20180140530 A KR 20180140530A KR 102662002 B1 KR102662002 B1 KR 10266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isposed
gear
st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624A (ko
Inventor
손호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02B1/ko
Priority to PCT/KR2018/016430 priority patent/WO2019235706A1/ko
Priority to US16/972,756 priority patent/US11585707B2/en
Priority to CN201880094436.8A priority patent/CN112262302B/zh
Priority to CN202111246330.5A priority patent/CN113972794B/zh
Priority to EP18921317.6A priority patent/EP3805720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 장치{sensing apparatus}
실시예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싱 장치는 조향축의 토크 및 앵글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센서 장치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축의 앵글을 측정하기 위해, 센싱 장치는 스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에는 마그넷이 배치된다. 센싱 장치는,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마그넷이 회전하면, 자속변화를 감지하여, 조향축의 앵글을 산출할 수 있다. 기어는 스테이터의 홀더에 결합한다. 스테이터가 회전함에 따라 홀더의 외주면은 하우징의 개구의 내주면과 미끄럼마찰된다.
홀더와 하우징은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플라스틱 소재와 플라스틱 소재가 마찰하는 경우,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을 줄이는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직경이 상이한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외경은 상기 제1 개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개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파트의 외경은 상기 제2 개구의 직경보다 큰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경계에 배치된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입구는 상기 제3 파트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홈의 높이는 상기 돌기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개구의 내주면은 상기 제2 파트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의 홀더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홈은 오버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에 의한 소음을 크게 줄인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어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생략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샤프트의 측단면도,
도 4는 결합된 샤프트와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샤프트와 홀더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샤프트에 결합하는 제1 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샤프트의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센싱 장치의 측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는, 로터(100)와, 스테이터(200)와, 센싱부(300)와, 샤프트(400)와, 하우징(500)과, 제1 기어(600)와, 제2 기어(7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100)는 스테이터(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100)는 조향축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여기서, 입력축이란, 차향의 핸들과 연결된 조향축일 수 있다. 로터(100)는 원통형의 요크(110)와 요크(110)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10)의 내측으로 입력축이 삽입된다. 그리고 요크(110)의 외측으로 제1 마그넷(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120)에 요크(110)의 외주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200)는 로터(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200)는 환형의 스테이터 투스(210)과,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스테이터 투스(210)는 홀더(2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 투스(210)는 마그넷(120)을 마주보고 배치되는 복스의 투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20)는 샤프트와 결합한다. 홀더(220)는 플라스틱 수지일 수 있다.
센싱부(300)는 회로기판(310)과 콜렉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10)은 홀센서(311)를 포함한다. 홀센서(311)는 로터(100)의 제1 마그넷(120)과 스테이터(200)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스테이터(200)의 자화량을 검출한다. 회로기판(310)은 별도의 센서 하우징이나, 외부 장치의 하우징등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콜렉터(320)는 스테이터(200)의 플럭스(flux)을 수집한다. 이러한 콜렉터(320)는 상부콜렉터(320A)와. 하부콜렉터(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콜렉터(320A)와. 하부콜렉터(320B)는 로터(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센서(311)는 로터(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콜렉터(320A)와. 하부콜렉터(320B) 사이에 배치된다.
샤프트(400)는 홀더(220)에 결합된다. 샤프트(400)는 조향축의 출력축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축이란,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조향축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200)는 출력축과 연결되어 출력축과 함께 회전한다. 샤프트(400)는 금속소재일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제1 하우징(510)과 제2 하우징(520)과 제3 하우징(530)을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510)은 제2 하우징(520)과 제3 하우징(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10)에는 제2 기어(7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700)는 제1 기어(600)와 맞물린다. 제1 하우징(510)은 제1 개구(511)를 포함한다. 샤프트(400)는 제1 개구(511)를 관통한다. 제1 하우징(510)에는 하부 콜랙터(320B)가 배치된다. 제2 하우징(520)은 제1 하우징(510)에 적층된다. 제2 하우징(520)은 제2 개구(521)를 포함한다. 샤프트(400)는 제2 개구(521)를 관통한다. 축방향으로 제1 개구(511)와 제2 개구(521)는 정렬된다. 제3 하우징(530)은 제2 하우징(520)에 적층된다. 제3 하우징(530)은 제3 개구(531)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100)는 제3 개구(531)를 관통한다. 제3 하우징(530)에는 회로기판(310)과 상부콜렉터(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600)는 샤프트(400)에 결합한다. 제1 기어(600)는 스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샤프트(400)와 함께 회전한다. 제1 기어(600)는 제2 기어(700)와 맞물린다. 제2 기어(7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2 기어(700)는 모두 제1 기어(600)에 맞물리거나, 복수 개의 제2 기어(700) 중 일부는 제1 기어(600)에 맞물리고, 나머지는 다른 제2 기어(700)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제1 기어(600)와 제2 기어(700)는 기어비로 회전한다. 제2 기어(700)는 제2 마그넷(710)을 포함한다. 제2 기어(700)가 회전하면 제2 마그넷(710)이 함께 회전한다. 홀센서(311)는 제2 마그넷(710)이 회전에 의한 자속 변화를 감지한다.
도 2는 샤프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샤프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샤프트(400)는 제1 파트(400A)와 제2 파트(400B)와 제3 파트(400C)을 포함한다. 제1 파트(400A)의 외경(D1)은 제2 파트(400B)의 외경(D2)보다 클 수 있다. 제1 파트(400A)는 제1 기어(600)와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파트(400A)는 제1 하우징(510)의 제1 개구(511)와 접촉을 위한 것이다. 제3 파트(400C)는 제1 파트(400A)와 제2 파트(400B)를 연결한다. 제1 파트(400A)와 제2 파트(400B)의 경계에 배치된다. 제3 파트(400C)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400A)는 제1 홈(410)을 포함한다. 제1 홈(410)은 샤프트(400)와 제1 기어(60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제1 홈(410)에는 제1 기어(600)의 제1 돌기(610)가 배치된다. 제1 홈(410)은 제1 파트(400A)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홈(410)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홈(410)은 제1 파트(400A)의 외주면에서 샤프트(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마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트(400A)는 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0)는 제1 홈(410)에 대응하여, 제1 파트(400A)의 내주면에서 돌출된다. 돌출부(430)는 제1 홈(410)의 형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제1 파트(400A)는 제2 돌기(420)를 포함한다. 제2 돌기(420)는 제1 파트(400A)의 상단에서 제1 파트(400A)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 돌기(420)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제2 돌기(420)는 샤프트(400)와 홀더(2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2 돌기(420)는, 샤프트(400)의 회전방향으로, 샤프트(400)와 홀더(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결합된 샤프트와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샤프트와 홀더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400)와 홀더(22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홀더(220)는 접촉부(221A)를 포함한다. 접촉부(221A)는 홀더(220)의 일단에 배치되어 샤프트(400)의 제1 파트(400A)와 접촉한다. 접촉부(221A)는 환형 바디(221)와, 바디(22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브릿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21)는 홀더(2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222)는 바디(221)와 홀더(220)를 연결한다. 브릿지(222)와 브릿지(222) 사이에는 스테이터 투스(210)의 투스(21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221)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홈(410)과 오버랩 영역(O)을 포함한다. 오버랩 영역(O)은 제1 홈(410)의 일측을 막아 제1 홈(410)에 배치된 제1 기어(600)의 축방향 유동을 제한한다. 또한, 오버랩 영역(O)은 제1 기어(600)의 조립 위치를 결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221)와 브릿지(222)에 제2 돌기(420)가 결합한다. 제2 돌기(420)는 바디(221)와 브릿지(222)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221A)에는 제2 돌기(420)가 배치되는 제2 홈(221a)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221a)은 바디(221)와 브릿지(22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400)는 제3 돌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440)는 샤프트(4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44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221)는 제3 홈(222a)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440)는 제3 홈(222a)에 배치된다. 특히, 제3 돌기(440)는 제1 홈(4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홈(410)의 오목한 공간으로 인하여, 샤프트(400)와 홀더(220)의 결합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돌기(420)와 제3 돌기(440)는 홀더(220)와 샤프트(4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합성을 높이고. 회전방향으로 홀더(220)와 샤프트(40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한다.
도 7은 샤프트에 결합하는 제1 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기어(600)의 제1 돌기(610)는 샤프트(400)의 제1 홈(410)에 삽입된다. 축방향으로 제1 홈(410)의 길이(L1)는 제1 돌기(610)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제1 기어(600)는 회전하면서 제2 기어(700)와 맞물리면서 축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데, 제1 홈(410)의 길이(L1)가 제1 돌기(610)의 길이(L2)보다 길게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제1 기어(600)의 유동공간을 확보한다.
도 8은 샤프트(400)의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430)는 샤프트(400)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돌출부(430)는 도 8의 A와 같이, 바디(221)의 제4 홈(222b)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홀더(220)와 샤프트(40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합성을 높이고. 회전방향으로 홀더(220)와 샤프트(40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한다.
도 9는 센싱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510)은 제2 하우징(5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10)은 제1 개구(511)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520)은 제2 개구(521)를 포함한다. 샤프트(400)는 제1 개구(511)와 제2 개구(521)를 관통한다. 제2 개구(521)의 직경(D4)은 제1 개구(511)의 직경(D3)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400A)의 외경(D1)은 제1 개구(511)의 직경(D3)보다 작고, 제2 개구(521)의 직경(D4)보다 클 수 있다. 제2 파트(400B)의 외경(D2)은 제2 개구(521)의 직경(D4)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511)의 내주면이 제1 파트(400A)의 습동면(S1)이 된다. 제1 기어(600)는 제1 파트(400A)에 직접 결합된다. 제1 파트(400A)의 외주면은 제1 개구(511)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샤프트(400)가 회전하면서 제1 파트(400A)의 외주면은 제1 개구(51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샤프트(400)에 부착된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을 통해, 제1 기어(600)가 샤프트(400)에 부착되는 경우, 플라스틱 소재의 해당 부품과 플라스틱 소재의 제1 개구(511)의 내주면이 마찰되면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경우, 샤프트(400)에 제1 기어(600)가 직접 결합된다. 그리고 샤프트(400)는 금속소재이고, 제1 개구(511)의 내주면은 플라스틱 소재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과 플라스틱 소재의 제1 개구(511)의 내주면이 마찰되는 경우 보다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제2 파트(400B)의 외주면은 제2 개구(521)의 내주면의 습동면이 된다. 제2 파트(400B)의 외경(D1)은 제2 개구(521)의 내경(D4)보다 작다. 그리고 제2 파트(400B)의 외주면은 제2 개구(521)의 내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2 파트(400B)는 경사면(5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400C)는 제2 파트(400B)의 경사면(521a)과 접촉할 수 있다. 이는 제1 파트의 외경이 제2 파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조에 따른 것으로, 경사면(521a)은 샤프트(40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로터
200: 스테이터
210: 스테이터 투스
220: 홀더
300: 센싱부
400: 샤프트
400A: 제1 파트
400B: 제2 파트
400C: 제3 파트
500: 하우징
510: 제1 하우징
520: 제2 하우징
530: 제3 하우징
600: 제1 기어
700: 제2 기어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2.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직경이 상이한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기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외경은 상기 제1 개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개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파트의 외경은 상기 제2 개구의 직경보다 큰 센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파트에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경계에 배치된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입구는 상기 제3 파트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높이는 상기 돌기의 높이보다 큰 센싱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내주면은 상기 제2 파트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의 홀더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홈은 오버랩되는 센싱 장치.
KR1020180140530A 2018-06-08 2018-11-15 센싱 장치 KR10266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30A KR102662002B1 (ko) 2018-11-15 2018-11-15 센싱 장치
PCT/KR2018/016430 WO2019235706A1 (ko) 2018-06-08 2018-12-21 센싱장치
US16/972,756 US11585707B2 (en) 2018-06-08 2018-12-21 Sensing device for reducing contact amount between a stator and a housing to reduce noise
CN201880094436.8A CN112262302B (zh) 2018-06-08 2018-12-21 感测装置
CN202111246330.5A CN113972794B (zh) 2018-06-08 2018-12-21 感测装置
EP18921317.6A EP3805720B1 (en) 2018-06-08 2018-12-21 S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30A KR102662002B1 (ko) 2018-11-15 2018-11-15 센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24A KR20200056624A (ko) 2020-05-25
KR102662002B1 true KR102662002B1 (ko) 2024-05-02

Family

ID=7091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30A KR102662002B1 (ko) 2018-06-08 2018-11-15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127B1 (ko) * 2010-03-30 2016-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101681778B1 (ko) * 2010-07-06 2016-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24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313B1 (ko) 토크 인덱스 센서
US10711854B2 (en) Clutch device and motor unit using said clutch device
KR20150034983A (ko) 토크센서
JP7113022B2 (ja) センシング装置
KR102452164B1 (ko) 센서 조립체
KR102499547B1 (ko) 모터
JP2006258542A (ja) 回転センサ付き軸受装置
US20200378795A1 (en) Sensor device
CN113905945B (zh) 感测装置
KR102662002B1 (ko) 센싱 장치
KR20240056475A (ko) 센싱 장치
KR20180001411A (ko)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1243491B1 (ko) 모터의 로터
KR20150034984A (ko)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US11585707B2 (en) Sensing device for reducing contact amount between a stator and a housing to reduce noise
KR102651815B1 (ko) 센싱 장치
KR10258757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534522B1 (ko) 센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JP421669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ロ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102606985B1 (ko) 토크 인덱스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2636852B1 (ko) 센싱 장치
KR102599287B1 (ko) 센싱 장치
KR20190139575A (ko) 센싱장치
KR20180000810U (ko) 스테퍼 모터
KR102500990B1 (ko)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