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52B1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52B1
KR102636852B1 KR1020180098735A KR20180098735A KR102636852B1 KR 102636852 B1 KR102636852 B1 KR 102636852B1 KR 1020180098735 A KR1020180098735 A KR 1020180098735A KR 20180098735 A KR20180098735 A KR 20180098735A KR 102636852 B1 KR102636852 B1 KR 10263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tooth
disposed
hous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32A (ko
Inventor
우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52B1/ko
Priority to US17/268,708 priority patent/US11996736B2/en
Priority to JP2021510074A priority patent/JP7397852B2/ja
Priority to CN201980055520.3A priority patent/CN112601943B/zh
Priority to EP19851435.8A priority patent/EP3842777B1/en
Priority to PCT/KR2019/010682 priority patent/WO2020040563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실시예는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 장치{APPARATUS FOR SENSING}
실시예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EPS는 적절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향축의 토크, 조향각 등을 측정하는 센서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조립체는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인덱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은 핸들에 연결되는 입력축,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입력축과 출력축을 연결하는 토션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센서는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여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한다. 그리고 인덱스 센서는 출력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조향축의 각가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 조립체에서, 상기 토크 센서와 인덱스 센서는 함께 배치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크 센서는 하우징, 로터,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콜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크 센서는 마그네틱 타입의 구조로서, 상기 콜렉터가 스테이터 투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의 자기장이 생성될 때, 상기 구조에서 상기 콜렉터가 외부 자기장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홀 아이씨(Hall IC)의 자속 값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토크 센서의 출력값에 변화가 발생하여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차량에 전장화가 많아짐에 따라 외부 자계에 의해 상기 토크 센서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외부 자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토크 센서가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예는 토크 측정시 외부에서 생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자계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상세하게, 스테이터 투스 사이에 콜렉터를 배치하여 상기 콜렉터가 외부 자계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테이터 투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그넷을 배치하여 스테이터 투스를 대전시키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테이터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테이터의 동축 구동을 확보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반경을 갖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반경을 갖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홀더, 상기 스테이터 홀더와 결합된 스테이터 바디, 상기 스테이터 바디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보다 큰 반경을 갖는 제 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테이터 투스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투스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투스와 복수 개의 상기 제2 투스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 홀더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링형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홀의 내벽과 접촉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은 하우징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반경을 갖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반경을 갖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홀더, 상기 스테이터 홀더와 결합된 스테이터 바디, 상기 스테이터 바디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보다 큰 반경을 갖는 제 2 스테이터 투스,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테이터 투스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투스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투스와 복수 개의 상기 제2 투스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스테이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링형 부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한 쌍의 스테이터 투스 사이에 한 쌍의 콜렉터를 배치하고, 상기 콜렉터 사이에 센서를 배치하기 때문에, 토크 측정시 외부에서 생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자계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 투스의 제1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의 제2 투스를 오버랩되게 배치하고, 마그넷을 상기 제1 투스와 상기 제2 투스 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투스와 상기 제2 투스가 서로 다른 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되는 플럭스의 크기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테이터 투스를 스테이터 바디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콜렉터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테이터가 하우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테이터 홀더와 하우징의 홀의 마찰로 인하여 하우징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테이터의 동축 회전성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도시한 센싱 장치를 단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제2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바디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 투스가 제1 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2 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터 바디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스테이터 바디의 돌기의 융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 스테이터 투스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와 마그넷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마그넷의 제1 극과 제2 극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2 각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3 각도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1 각도, 제2 각도 및 제3 각도 대비 플러스(flux)를 도시한 그래프,
도 21은 로터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마그넷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마그넷의 평면도,
도 24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에 대한 마그넷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센서와 콜렉터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위에서 내려다 본 하우징의 사시도.
도 30은 아래에서 올려다 본 하우징의 사시도,
도 31은 콜렉터와 센서가 배치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하우징의 커넥터 하우징과 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스테이터 홀더에 설치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메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스테이터 투스에 대한 외부 자기장의 방향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z축 방향성을 갖는 외부 자기장에 대한 센서의 회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y’축 방향성을 갖는 외부 자기장에 대한 제1,2 스테이터 투스의 회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z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에 대응한 각도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한 그래프,
도 40은는 y’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에 대응한 각도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센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도시한 센싱 장치를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서 z 방향은 축 방향을 의미하며, y 방향은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는 스테이터(100), 스테이터(100)에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200), 스테이터(100) 내에 배치되는 제1 콜렉터(300), 제1 콜렉터(300)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스테이터(100) 내에 배치되는 제2 콜렉터(400),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500), 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600), 회로기판(600)이 결합된 하우징(700), 제1 부재(800) 및 제2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100)는 출력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스테이터(100)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200)는 입력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로터(200)는 스테이터(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콜렉터(400)는 제1 콜렉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상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스테이터(100)는 조향축의 출력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테이터(100)는 스테이터 홀더(110)와, 스테이터 바디(120)와, 제1 스테이터 투스(130) 및 제2 스테이터 투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110)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출력축(Output shaft)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테이터 홀더(110)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홀더(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이터 홀더(110)는 상기 출력축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강도를 고려한 다른 재질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테이터 홀더(110)는 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은 스테이터 홀더(110)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홈(111)은 스테이터 홀더(1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홈(111)에는 고정부재(도 2의 900)가 삽입된다.
스테이터 홀더(110)는 스테이터 바디(120)와 결합할 수 있다.
스테이터 바디(120)는 스테이터 홀더(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바디(120)는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스테이터 홀더(11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 바디(120)의 외주면에는 메인기어(12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기어(121)는 스테이터(120)의 회전력을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에 전달한다.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스테이터 바디(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테이터 투스(130)는 제1 바디(131)와 제1 투스(132)를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제2 바디(141)와 제2 투스(142)를 포함한다.
도 7은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바디(120)는 내측부(121)와 외측부(122)와 격판(123)을 포함한다. 내측부(121)와 외측부(122)는 원통 형상이다. 외측부(122)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부(121)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격판(123)은 내측부(121)와 외측부(122)를 연결한다. 내측부(121), 외측부(122) 및 격판(123)은 일체일 수 있다. 내측부(121)의 내측에는 스테이터 홀더(110)가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122)와 내측부(121)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격판(12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판(123)은 내측부(121)와 외측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S)은 격판(123)에 의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공간(S1)에는 마그넷(230)이 배치되고, 제2 공간(S2)에는 센서(500)가 배치될 수 있다. 격판(123)은 기준선(L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수평선(L1)은 축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부(12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이다.
한편, 격판(123)은 제1 홀(124)과 제2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24)과 제2 홀(125)은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의 배치를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공간(S1)에는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S2)에는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124)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스(132)는 제1 홀(124)을 관통하여 제2 공간(S2)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홀(124)의 개수는 제1 투스(132)의 개수와 동일하다. 제1 홀(124)은 외측부(122)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24)은 외측부(122)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격판(123)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125)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홀(125)은 제1 홀(124)의 내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투스(142)는 제2 홀(125)을 관통하여 제2 공간(S2)에 배치된다. 이때, 제2 홀(125)의 개수는 제2 스테이터 투스(140)의 제2 투스(142)의 개수와 동일하다. 제2 홀(125)은 내측부(121)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125)은 내측부(121)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격판(12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스테이터 바디(120)의 내측부(121)의 외주면과 외측부(122)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마그넷(230)의 회전에 의한 대전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테이터 투스(130)는 본드와 같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외측부(122)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본드와 같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내측부(12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체결부재(미도시) 또는 코킹 방식 등을 통해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 각각은 스테이터 바디(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제2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바디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123)의 하측으로 보스(126)가 연장되어 배치된다. 보스(126)의 측벽과 외측부(122)는 이격되어 제1 슬롯(U1)을 형성한다. 제1 투스(132)는 제1 슬롯(U1)에 삽입되어 제1 홀(124)을 관통하여 제2 공간부(S2)에 위치한다. 그리고 보스(126)의 측벽과 내측부(121)는 이격되어 제2 슬롯(U2)을 형성한다. 제2 투스(142)는 제2 슬롯(U2)에 삽입되어 제2 홀(125)을 관통하여 제2 공간부(S2)에 위치한다.
제1 슬롯(U1)은 제1 스테이터 투스(130)가 스테이터 바디(1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투스(132)를 제1 홀(124)로 안내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제2 슬롯(U2)은, 제2 스테이터 투스(130)가 스테이터 바디(12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투스(132)를 제2 홀(125)로 안내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도 11은 제1 투스가 제1 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투스(132)는 상면의 원주 방향 폭(W1)보다 하면의 원주 방향 폭(W2)이 크다. 여기서 하면이라 함은, 제1 바디(131)에 인접한 부분이고, 상면은 하면의 반대측이다.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제1 투스(132)의 형상은 사디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투스(132)의 형상은 자속 밀도차를 유발하여, 제1 바디(131) 측으로 자속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나,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스테이터 바디(1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형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제1 홀(214)의 폭(W3)은 제1 투스(132)의 상면의 원주 방향 폭(W1)보다 크고 제1 투스(132)의 하면의 원주 방향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1 투스(132)를 제1 홀(214)에 끼워 맞춤하기 위함이다. 제2 공간부(S2)를 향하여 제1 투스(132)가 제1 홀(124)에 삽입되면서 제1 투스(132)의 측면이 제1 홀(124)의 내벽을 타고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제1 투스(1332)의 측면이 제1 홀(124)의 내벽에 압입되어 결합력이 높아진다.
한편, 제1 바디(131)의 상면은 격판(123)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투스(142)와 제2 홀(125)도, 상술한 제1 투스(132)와 제1 홀(124)의 결합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제1,2 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터 바디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스테이터 바디의 돌기의 융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I는 스테이터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이고, 도 13에서 O는 그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스테이터 바디(120)는 제1 돌기(126)와, 제2 돌기(127)을 포함한다. 제1 돌기(126)는 내측부(121)의 하단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돌기(126)는, 환형의 내측부(121)를 따라 배치된다. 제2 돌기(127)는 외측부(122)의 하단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제2 돌기(127)는, 환형의 내측부(122)를 따라 배치된다.
제1 돌기(126)는 외주면(126a)과 내주면(126b)을 갖는다. 내주면(126b)은 외측부(122)의 내벽과 연속된다. 외주면(126a)은 내주면(126b)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외주면(126a)은 외측부(122)의 하단에서 시작하여 내주면(126b)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의 F와 같이, 축 방향으로 융착이 진행되면, 제1 돌기(126)는 변형되어, 제1 바디(131)의 하단을 덮는다. 이러한 제1 돌기(126)는 제1 스테이터 투스(130)가 스테이터 바디(120)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돌기(127)는 내주면(127a)과 외주면(127b)을 갖는다. 외주면(127b)은 내측부(121)의 내벽과 연속된다. 내주면(127a)은 외주면(127b)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내주면(127a)은 내측부(121)의 하단에서 시작하여 외주면(127b)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의 F와 같이, 축 방향으로 융착이 진행되면, 제2 돌기(127)는 변형되어, 제2 바디(141)의 하단을 덮는다. 이러한 제2 돌기(127)는 제2 스테이터 투스(140)가 스테이터 바디(120)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는 제1 스테이터 투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스테이터 투스(130)는 링 형상의 제1 바디(131) 및 제1 바디(131)에서 상호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투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투스(13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바디(131)의 상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디(131)와 복수 개의 제1 투스(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31)는 제1 투스 바디라 불릴 수 있다.
제1 투스(132)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반경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투스(132)의 하부측 폭은 상부측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스(13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스(132)가 제1 홀(124)을 관통함에 따라, 제1 바디(131)의 상면은 격판(123)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링 형상의 제2 바디(141) 및 상기 제2 바디(141)에서 상호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투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2 투스(14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투스(142)의 상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141)와 복수 개의 제2 투스(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41)는 제2 투스 바디라 불릴 수 있다.
제2 투스(142)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반경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 투스(142)의 하부측 폭은 상부측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스(14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투스(142)가 제2 홀(125)을 관통함에 따라, 제2 바디(141)의 상면은 격판(123)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바디(131)의 상면(131a)을 기준으로 제1 바디(131)의 높이(H1)는 제1 투스(132)의 높이(H2)보다 작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바디(141)의 상면(141a)을 기준으로 제2 바디(141)의 높이(H3)는 제2 투스(142)의 높이(H4)보다 작다. 또한, 제1 바디(131)의 높이(H1)는 제2 바디(141)의 높이(H3)와 동일하고, 제1 투스(132)의 높이(H2)는 제2 투스(142)의 높이(H4)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투스(132)의 높이(H2)는 제2 투스(142)의 높이(H4)가 상이할 수 도 있다.
도 16은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와 마그넷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스테이터 투스(130)는 제2 스테이터 투스(140)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스테이터 투스(130)는 제1 반경(R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스테이터 투스(140)는 제2 반경(R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경(R1)이 제2 반경(R2)보다 크다.
반경 방향(y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의 배열은 자속 누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마그넷의 제1 극과 제2 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그넷은 제1 극(230A)과 제2 극(230B)을 포함한다. 제1 극(230A)과 제2 극(230B)은 마그넷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극(230A)과 제2 극(230B)은 각각 N극 영역(NA)과 S극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극(230A)과 제2 극(230B)은 각각 N극 영역(NA)과 S극 영역(SA)이 내외측으로 구분된 복층 구조일 수 있다.
제1 극(230A)은 N극 영역(NA)이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S극 영역(SA)이 N극 영역(N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극(230B)은 N극 영역(NA)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고, S극 영역(SA)이 N극 영역(N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극(230A)의 N극 영역(NA)과 제2 극(230B)의 S극 영역(SA)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제1 극(230A)의 S극 영역(SA)과 제2 극(230B)의 N극 영역(NA)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마그넷(230)이 회전하여, 제1 투스(132)가 S극 영역(SA)이 가까워져 S극으로 대전되면, 제2 투스(142)는 N극 영역(NA)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N극으로 대전된다. 또는 마그넷(230)이 회전하여, 제1 투스(132)가 N극 영역(NA)이 가까워져 N극으로 대전되면, 제2 투스(142)는 S극 영역(SA)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S극으로 대전된다. 그에 따라, 센서(500)는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를 통해 인가되는 자계를 통해 각도 측정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제2 투스(142)의 양 끝이 제1 투스(132)에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를 위치 및 크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제1 각도(Θ1)(Θ1)와 제2 각도(Θ2)와 제3 각도(Θ3)가 동일할 수 있다.
제1 각도(Θ1)란, 스테이터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극(230A)의 양 끝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극(230A)이 8개 제2 극(230B)이 8개인 경우, 제1 각도(Θ1)는 22.5°일 수 있다.
도 18은 제2 각도(Θ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제3 각도(Θ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면, 제2 각도(Θ2)란, 스테이터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투스(132)의 양 끝(P1)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축 방향으로, 제1 투스(132)의 양 끝(P1)을 정의하는 기준점(G)은 다음과 같다. 기준점(G)은 제1 투스(132)가 마그넷(230)의 바디(231)가 마주보고 배치되었을 때, 마그넷(230)의 바디(231)의 높이(H1)의 중간 지점과 대응하는 제1 투스(132)의 지점에 해당한다. 마그넷(230)의 바디(231)의 높이(H1)란, 축 방향을 기준으로, 마그넷(230)의 상면(231a)과 하면(231b)이 이루는 높이를 의미한다. 기준점(G)에서 제1 투스(132)와 제1 투스(132) 사이의 각도(Θ4)는 제2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3 각도(Θ3)란, 스테이터 중심(C)을 기준으로, 제2 투스(142)의 양 끝(P2)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축 방향으로, 제2 투스(142)의 양 끝(P2)을 정의하는 기준점(G)은 다음과 같다. 기준점(G)은 제2 투스(142)가 마그넷(230)의 바디(231)가 마주보고 배치되었을 때, 마그넷(230)의 바디(231)의 높이(H1)의 중간 지점과 대응하는 제2 투스(142)의 지점에 해당한다. 기준점(G)에서 제2 투스(142)와 제2 투스(142) 사이의 각도(Θ5)는 제3 각도(Θ3)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0은 제1 각도(Θ1),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 대비 플러스(flux)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각도(Θ2)와 제3 각도(Θ3)를 동일하게 세팅한 상태에서,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가 제1 각도(Θ1)에 근접할수록 플럭스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가 제1 각도(Θ1)에서 멀어질수록 플러스의 크기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각도(Θ2) 및 제3 각도(Θ3)가 제1 각도(Θ1)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의 크기 및 위치를 정렬시킨 경우, 제1,2 스테이터 투스(130,140)의 플럭스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21은 로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21을 참조하면, 로터(200)는 로터 홀더(210), 로터 바디(220)와, 마그넷(2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홀더(210), 로터 바디(220)와, 마그넷(230)은 일체일 수 있다.
로터 홀더(210)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입력축(Input shaft)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 홀더(210)는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로터 홀더(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홀더(210)의 단부는 로터 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로터 홀더(2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터 홀더(210)는 입력축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강도를 고려한 다른 재질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로터 홀더(210)의 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1)는 로터 홀더(2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로터 바디(220)는 로터 홀더(210)의 외주면 일측에 배치된다. 로터 바디(220)는 환형부재일 수 있다. 로터 바디(220)의 내주면에는 홈(221)이 배치될 수 있다. 홈(221)은 로터 홀더(210)의 돌기가 삽입되는 곳이다.
마그넷(230)은 로터 바디(220)에 결합된다. 마그넷(230)은 로터 홀더(210)가 회전하면 연동하여 회전한다.
도 22는 마그넷(23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마그넷(230)의 평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마그넷(230)은 링형 바디(231)와 바디(231)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3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돌기(232)는 제1 파트(232a)와 2 파트(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32a)는 바디(23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2 파트(232b)는 제1 파트(232a)에서 마그넷(23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232b)는 바디(231)의 내주면(231a)보다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232)는 로터 바디(231)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제1 파트(232a)는 회전 방향으로 로터 바디(231)와 마그넷(230)의 슬립을 방지하고, 제2 파트(232b)는 축 방향으로 로터 바디(231)외 마그넷(2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4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에 대한 마그넷(230)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 사이에 마그넷(230)이 배치된다. 마그넷(230)의 바디(231)는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를 마주보고 배치된다. 마그넷(230)의 돌기(232)는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25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스테이터 투스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센서와 콜렉터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콜렉터는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는 스테이터(100)의 플럭스(flux)을 수집한다. 여기서, 제1 콜렉터(300)와 제2 콜렉터(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콜렉터(300)는 제1 콜렉터 바디(310)와 제1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20)는 제1 콜렉터 바디(310)에서 연장된다. 제1 콜렉터 바디(310)는 제1-1 콜렉터 바디(310A)와 제1-2 콜렉터 바디(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콜렉터 바디(310A)는 제1 연장부(3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2 콜렉터 바디(310B)는 제1 연장부(3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1 콜렉터 바디(310A)와 제1-2 콜렉터 바디(310B)는 각각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20)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콜렉터(400)는 제2 콜렉터 바디(410)와 제2 연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20)는 제2 콜렉터 바디(410)에서 연장된다. 제2 콜렉터 바디(410)는 제2-1 콜렉터 바디(410A)와 제2-2 콜렉터 바디(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콜렉터 바디(410A)는 제2 연장부(4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2 콜렉터 바디(410B)는 제2 연장부(4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1 콜렉터 바디(410A)와 제2-2 콜렉터 바디(410B)는 각각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20)(420)는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경 방향으로, 제1-1 콜렉터 바디(310A)와 제2-1 콜렉터 바디(410A)는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반경 방향으로, 제1-2 콜렉터 바디(310B)와 제2-2 콜렉터 바디(410B)는 오버랩되어 배치된다. 반경 방향으로 제1 연장부(320)와 제2 연장부(420)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센서(500)는 스테이터(100)와 로터(200) 사이에 발생한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한다. 센서(500)는 Hall IC일 수 있다. 센서(500)는 로터(200)의 마그넷(230)과 스테이터(100)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스테이터(100)의 자화량을 검출한다. 검출된 자화량을 기반으로 센싱 장치(1)는 토크를 측정한다.
센서(500)는 제1 센서(500A)와 제2 센서(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센서(500A)와 제2 센서(500B)는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500A)는 제1-1 콜렉터 바디(310A)와 제2-1 콜렉터 바디(410A)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1 콜렉터 바디(310A)는 제1 센서(500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콜렉터 바디(410A)는 제1 센서(500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500B)는 제1-2 콜렉터 바디(310B)와 제2-2 콜렉터 바디(410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2 콜렉터 바디(310B)는 제2 센서(500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콜렉터 바디(410B)는 제2 센서(500B)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0)는 복수 개의 제1 브라켓(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21)은 제1 연장부(32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20)는 복수 개의 제2 브라켓(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421)은 제2 연장부(420)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21)과 제2 브라켓(421)은 각각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21)과 제2 브라켓(421)은 하우징과 체결을 위한 것이다.
도 28은 회로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회로기판에는 제1 센서(500A) 및 제2 센서(500B)가 배치된다. 제1 센서(500A)와 제2 센서(500B)는 회로기판(600)에서 상측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된다. 제1 센서(500A)와 제2 센서(500B)는 마주보고 배치된다.
도 29는 위에서 내려다 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아래에서 올려다 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710)와 제1 돌기(720) 제2 돌기부(730)와 제3 돌기부(721)와 제4 돌기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31)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중심에는 홀(713)이 배치된다. 홀(713)의 내측에는 스테이터 홀더(110)가 위치한다.
제1 돌기(232)부는 홀(7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제1 돌기부(720)는 하우징 바디(231)의 상면에서 돌출된다.
제2 돌기부(730)는 홀(7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제2 돌기부(730)는 하우징 바디(231)의 상면에서 돌출된다.
제1 돌기부(720)와 제2 돌기부(730)는 동일한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부(720)와 제2 돌기부(730)는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제1 돌기부(720)와 제2 돌기부(730)의 사이에는 홀(740)이 배치될 수 있다. 홀(740)은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홀(740)은 센서가 관통하는 곳이다.
하우징 바디(710)의 하면(712)에는 회로기판(600)이 장착된다. 하우징 바디(710)의 하측으로 제1 커버(701)가 결합하여 회로기판(600)을 덮을 수 있다.
제1 돌기부(720)는 제3 돌기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부(721)는 제1 돌기부(72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3 돌기부(72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2 돌기부(730)는 제4 돌기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돌기부(731)는 제2 돌기부(73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4 돌기부(73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3 돌기부(721)는 제1 브라켓(321)과 체결을 위한 것이다. 제4 돌기부(731)는 제2 브라켓(421)과 체결을 위한 것이다.
하우징 바디(710)는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가 배치되는 홀(7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은 콜렉터와 센서가 배치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 콜렉터(3000와 제2 콜렉터(400)는 하우징(700)에 결합한다.
제1 연장부(320)는 제1 돌기부(7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브라켓(321)은 제3 돌기부(721)와 결합한다. 제3 돌기부(721)는 제1 브라켓(321)에 형성된 홀(713)에 압입된다. 압입된 이후 제3 돌기부(721)는 융착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20)는 제2 돌기부(7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브라켓(421)은 제4 돌기부(731)와 결합한다. 제4 돌기부(731)는 제2 브라켓(421)에 형성된 홀(713)에 압입된다. 압입된 이후 제4 돌기부(731)는 융착될 수 있다.
제1-1 콜렉터 바디(310A)와 제2-1 콜렉터 바디(410A)의 사이에는 제1 센서(500A)가 배치된다.
제1-2 콜렉터 바디(310B)와 제2-2 콜렉터 바디(410B)의 사이에는 제2 센서(500B)가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231)의 상면(711)에는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1100) 또는 제2 기어(1200)는 스테이터 바디(120)의 메인 기어(121)(와 맞물린다.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가 배치된 하우징 바디(231)의 상측에는 제2 커버(7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702)는 하우징 바디(231)에 결합한다.
도 32는 하우징의 커넥터 하우징과 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하우징(700)은 커넥터 하우징(760)과 핀(770)을 포함한다. 핀(770)은 회로기판(600)과 외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핀(770)의 일측은 하우징(700)의 하측에 배치된 회로기판(600)과 연결된다. 핀(770)의 타측은 커넥터 하우징(760) 내측에서 노출된다. 커넥터 하우징(760)의 입구는 축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핀(770)은 “ㄱ”자 형태로 꺽인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도 33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4는 스테이터 홀더에 설치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제1 부재(800)는 하우징 바디(231)의 홀(713)의 측벽이 마모되어 센싱 장치의 동축 정렬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살펴 보았듯이.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제1 투스(132)와 제2 투스(142) 사이에 센서(500)가 배치된다.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투스(132)와 센서(500)와 제2 투스(142) 사이의 거리가 변하면서, 센서 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하거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부재(800)는 링형 부재일 수 있다. 바디(810)와 플랜지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10)는 원통형 부재이다. 바디(810)는 하우징 바디(710)의 홀(713)의 내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바디(810)는 스테이터 홀더(110)의 외주면과 바디(810)의 홀(713)의 내벽 사이에 위치한다. 플랜지부(820)는 바디(810)의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플랜지부(820)는 하우징 바디(710)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플랜지부(820)는 제1 커버(70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재(80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플랜지부(820)의 하면은 제1 부재(80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재(800)는 스테이터 홀더(110)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 바디(710)의 홀(713)과 스테이터 홀더(110)를 물리적으로 격리하여, 스테이터 홀더(110)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 바디(710)의 홀(713)의 내벽이 마모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제1 부재(800)는 스테이터 홀더(110)의 동축 회전성을 확보한다.
축 방향을 기준하여, 하우징(700)은 스테이터 바디(120)의 메인 기어(121)에 걸려 스테이터(200)의 상측으로는 빠지지 않는다. 다??, 스테이터(200)의 하측으로 하우징(700)이 빠질 수 있다. 제2 부재(900)는 스테이터(200)의 하측으로 하우징(900)이 빠질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부재(900)는 c-ring 형태일 수 있다. 제2 부재(90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제2 부재(9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제2 부재(900)는 스테이터 홀더(110)의 홈(111)에 결합한다. 홈(111)은 스테이터 홀더(110)의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부재(900)는 스테이터 홀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바디(710)의 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부재(900)는 제1 부재(80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부재(800)의 플랜지부(82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5는 메인 기어(121)와 맞물리는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5를 참조하면, 메인 기어(121)와 맞물리는 서브 기어로서,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를 포함한다. 메인 기어(121)와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와 제3 센서(610)는 조향축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기어(121)와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는 상호 맞물려 회전한다. 메인 기어(121)는 스테이터 바디(120)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제1 기어(1100)와 제2 기어(1200)는 하우징 바디(7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메인 기어(121), 제1 기어(1100), 및 제2 기어(1200)는 각각의 기어비가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메인 기어(121)의 전체각도가 인 경우, 메인 기어(121)가 4.5회전할 때, 제1 기어(1100)는 15.6회전, 그리고 제2 기어(1200)는 14.625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체각도라 함은 모든 기어가 회전하기 직전의 상태로 다시 복귀했을 경우의 메인 기어(121)의 회전을 누적하여 산출한 각도이다.
제1 기어(1100) 및 제2 기어(1200)에는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은 제3 센서(61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3 센서(610)는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도 36은 스테이터 투스에 대한 외부 자기장의 방향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은 z축 방향성을 갖는 외부 자기장에 대한 센서의 회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8은 y’축 방향성을 갖는 외부 자기장에 대한 제1,2 스테이터 투스의 회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외부 자기장은 축 방향인 z축 방향과 z축 방향과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센싱 장치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 여기서, y’축 방향이란, 축 방향과 수직인 반경 방향 중에서, 센서(50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다른 센싱 장치의 센서(500)는 z축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z축에서 바라본 센서(500)의 면적은. y’에서 바라본 센서(500)의 면적보다 매우 작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외부 자기장이 센서(500)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수 밖에 없는 이점이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y’축 방향의 외주 자기장은 z축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센서(500)의 상태를 볼 때, 센서(500)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y’축 방향의 외주 자기장은 제1 스테이터 투스(130)와 제2 스테이터 투스(140)를 따라 유도되기 때문에, 센서(50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흘러가게 된다.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y’축 축 방향을 기준할 때에도 외부 자기장이 센서(500)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이점이 있다.
도 39는 z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에 대응한 각도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스테이터 투스가 상하로 배치되고, 센서가 눕혀 배치되는 구조의 센싱 장치로서, z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이 증가할수록 각도 변화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외부 자기장에 따라 측정 각도가 크게 변하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z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이 증가하여도 각도 변화가 거의 없어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40은는 y’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에 대응한 각도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스테이터 투스가 상하로 배치되고, 센서가 눕혀 배치되는 구조의 센싱 장치로서, y’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이 증가할수록 각도 변화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외부 자기장에 따라 측정 각도가 크게 변하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y’축 방향의 외부 자기장이 증가하여도 각도 변화가 거의 없어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00: 스테이터
110: 스테이터 홀더
120: 스테이터 바디
130: 제1 스테이터 투스
140: 제2 스테이터 투스
200: 로터
210: 로터 홀더
220: 로터 바디
230: 마그넷
300: 제1 콜렉터
400: 제2 콜렉터

Claims (11)

  1.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2.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반경을 갖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반경을 갖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3.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홀더,
    상기 스테이터 홀더와 결합된 스테이터 바디,
    상기 스테이터 바디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보다 큰 반경을 갖는 제 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테이터 투스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투스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투스와 복수 개의 상기 제2 투스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제1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부재와 접촉하는 센싱 장치.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 홀더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링형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홀의 내벽과 접촉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은 하우징의 하면에 접촉하는 센싱 장치.
  8.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
  9. 스테이터 투스와 스테이터 홀더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반경을 갖는 제1 스테이터 투스와 제2 반경을 갖는 제2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 투스는 복수의 제2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스는 상기 제2 투스와 상기 스테이터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
  10.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홀더,
    상기 스테이터 홀더와 결합된 스테이터 바디,
    상기 스테이터 바디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 투스 및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보다 큰 반경을 갖는 제 2 스테이터 투스,
    상기 제1 스테이터 투스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테이터 투스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 투스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투스와 복수 개의 상기 제2 투스는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결합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며,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센싱 장치.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스테이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링형 부재인 센싱 장치.
KR1020180098735A 2018-08-23 2018-08-23 센싱 장치 KR10263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35A KR102636852B1 (ko) 2018-08-23 2018-08-23 센싱 장치
US17/268,708 US11996736B2 (en) 2018-08-23 2019-08-22 Sensing device
JP2021510074A JP7397852B2 (ja) 2018-08-23 2019-08-22 センシング装置
CN201980055520.3A CN112601943B (zh) 2018-08-23 2019-08-22 感测装置
EP19851435.8A EP3842777B1 (en) 2018-08-23 2019-08-22 Sensing device
PCT/KR2019/010682 WO2020040563A1 (ko) 2018-08-23 2019-08-22 센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35A KR102636852B1 (ko) 2018-08-23 2018-08-23 센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32A KR20200022732A (ko) 2020-03-04
KR102636852B1 true KR102636852B1 (ko) 2024-02-19

Family

ID=6978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35A KR102636852B1 (ko) 2018-08-23 2018-08-23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2727A1 (en) 2003-06-10 2005-08-11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ensing position and/or torque
DE102005011196A1 (de) 2005-03-09 2006-09-14 Robert Bosch Gmbh Sensoranordnung zur Erfassung eines Differenzwinke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221A (ko) * 2014-01-09 2015-07-17 주식회사 만도 토크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2727A1 (en) 2003-06-10 2005-08-11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sensing position and/or torque
DE102005011196A1 (de) 2005-03-09 2006-09-14 Robert Bosch Gmbh Sensoranordnung zur Erfassung eines Differenzwink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32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6475A (ko) 센싱 장치
CN113905945B (zh) 感测装置
CN114787602B (zh) 感测装置
JP7397852B2 (ja) センシング装置
KR102651815B1 (ko) 센싱 장치
CN114867997B (zh) 感测装置
KR102636852B1 (ko) 센싱 장치
KR102599287B1 (ko) 센싱 장치
KR102658684B1 (ko) 센싱 장치
KR20210089509A (ko) 센싱 장치
KR20200093259A (ko) 센싱 장치
KR20210070069A (ko) 센싱 장치
KR20210089511A (ko) 센싱 장치
KR20210070070A (ko) 센싱 장치
KR20210088974A (ko) 센싱 장치
KR20210089510A (ko) 센싱 장치
KR20210070068A (ko) 센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