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99B1 -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 Google Patents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999B1
KR102661999B1 KR1020230128247A KR20230128247A KR102661999B1 KR 102661999 B1 KR102661999 B1 KR 102661999B1 KR 1020230128247 A KR1020230128247 A KR 1020230128247A KR 20230128247 A KR20230128247 A KR 20230128247A KR 102661999 B1 KR102661999 B1 KR 10266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surface
central
receptor
receiv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회
Original Assignee
김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회 filed Critical 김일회
Priority to KR102023012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63B57/405Cups with automatic ball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력을 기어로서 전달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순차적으로 상하부로 회전이동시켜 퍼팅으로 유입되는 골프공이 안착된 골프공수용부재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선행기술에 비해 전체적인 장치의 구조가 콤팩트하여 크기가 줄어들고,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이 나선형의 가이드공과 가이드핀의 결속으로 동작되어 안정되게 상하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유입된 골프공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으며, 또한 수용부재승하강수단과 연동되게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은폐 보호하는 동시에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의 상하 회전이동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Hole cup lifting and lowering device}
본 발명은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와 기어의 회전력으로서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공수용부재를 자동으로 상하부로 회전이동시켜 퍼팅시 홀컵으로 들어오는 골프공을 편리하게 골프공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중 퍼팅시 홀컵으로 들어간 골프공을 꺼내기 위하여 골퍼들은 매번 마다 허리를 굽혀 홀컵으로 들어간 골프공을 꺼내야 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골프공이 홀컵으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홀컵을 상승시켜 골퍼가 공을 허리를 굽히지 않고 골프공을 꺼낼 수 있는 골프공 승강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홀컵의 승강장치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0590908호(발명의 명칭 : 홀컵 승강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홀컵 승강장치는 홀컵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골프공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골프공 수용체; 상기 골프공 수용체에 장착되는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골프공 수용체 및 동력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 중공형 막대를 사용함으로써 홀컵 상승장치와 비교하여 높이 조절이 편리하며 홀컵의 상승 높이도 비교적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또한 홀컵 안에 골프공이 들어가면 자동으로 홀컵이 상승되어 골퍼들이 허리를 굽혀 골프공을 꺼내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하나의 동력장치(직류모터)로서 2개의 구동축을 동시에 동작시킴에 따라 이송부의 중공형 막대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약해 다수개의 중공형 막대를 차례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작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었으며, 또한 2개의 구동축에 풀리와 보조풀리 및 벨트로서 동력장치의 회전력이 이송부로 전달됨에 따라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전체적인 승하강장치의 크기가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590908호(2006.06.09.)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와 기어의 회전력으로서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공수용부재및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자동으로 상하부로 회전이동시켜 퍼팅시 홀컵으로 들어오는 골프공을 편리하게 골프공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한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로 회전이동하는 수용부재승하강수단과 연동되게 상하부로 수직이동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보호하고, 회전 이동하는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이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컵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깃대수용체가 수용되는 외부수직통과; 외부수직통 내부의 상측 영역에 구비되어 골프공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골프공수용 부재와; 골프공수용부재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으로서 골프공수용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까지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로 구성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수용부재는 중앙 영역의 바닥면 상부 중앙 영역에 원형안착단을 갖는 이동공이 형성되는 돌출끼움부가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요입부가 형성된 하부수용체와; 상기 하부수용체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돌출끼움부의 원형안착단에 삽입 안착되도록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통공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중앙수용체와; 상기 중앙수용체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중앙 영역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수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력을 기어로서 전달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순차적으로 상하부로 회전이동시켜 퍼팅으로 유입되는 골프공이 안착된 골프공수용부재를 회전 승하강시킴에 따라, 선행기술에 비해 전체적인 장치의 구조가 콤팩트하여 크기가 줄어들고,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이 나선형의 가이드공과 가이드핀의 결속으로 안정되게 상하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유입된 골프공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으며, 또한 수용부재승하강수단과 연동되게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은폐 보호하는 동시에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의 상하 회전 이동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수용부재승하강수단 및 커버부재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수용부재승하강수단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컵(1)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외부수직통(10)과; 외부수직통(10) 내부의 상측 영역에 구비되어 골프공(2)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골프공수용부재(20)와; 골프공수용부재(20)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수단(36)의 동력으로서 상기 골프공수용부재(20)를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까지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고정통(10)은 하부 내주면에 빗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12a-1)을 갖는 원형안착단(12a)이 형성된 원형받침대(12)가 마감 고정된다.
상기 원형받침대(12)의 원형안착단(12a)에 깃대수용체(14)가 안착되어 중앙 영역에 깃대가 수용된다.
상기 깃대수용체(14)는 원형받침대(12)의 원형안착단(12a) 내부에 안착되고, 중앙 영역에 통공(15a)이 형성된 받침고정판(15)과; 받침고정판(15)의 통공(15a)에 삽입고정되고, 상부에 깃대 삽입홈(16a)이 형성되는 수직고정봉(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프공수용부재(20)는 중앙 영역의 바닥면(21) 상부 중앙 영역에 원형안착단(22a-1)을 갖는 이동공(22a)이 형성되는 돌출끼움부(22)가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요입부(23)가 형성된 하부수용체(24)와; 하부수용체(24)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돌출끼움부(22)의 원형안착단(22a-1)에 삽입 안착되도록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통공(25a)을 갖는 돌출부(25)가 형성된 중앙수용체(26)와; 중앙수용체(26)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돌출부(25)의 통공(25a)과 연통되게 중앙 영역에 관통공(27a)이 형성되며, 골프공(2)이 안착되는 안착홈(27b)이 형성된 상부수용체(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장치(30)는 하부수용체(24)의 바닥면(21) 양측에 장착되고, 바닥면(21)을 통과하여 요입부(23)에 위치되는 모터축(31)을 갖는 한쌍의 구동모터(32)(33)와, 구동모터(32)(33)의 모터축(31)에 각각 축설되어 요입부(23)에 위치되는 평기어(34)(35)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36)과; 상기 깃대수용체(14)의 받침고정판(15)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외측고정통(37)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6)과 하부외측고정통(37) 상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수단(36)의 구동모터(32)(33) 회전력으로서 골프공수용부재(2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상기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 외주면에 위치되도록 받침고정판(15) 상부와 하부수용체(24) 하단 사이에,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연동되게 상하부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을 보호하는 동시에 회전 이동하는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이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8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수용체(23)의 바닥면(21) 상부에 유선으로서 구동모터(32)(33)와 연결되는 배터리(40)가 장착되고, 하부수용체(24)의 돌출끼움부(22)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씨비기판(41)에 골프공 감지센서(42)가 설치되어, 골프공수용부재(20)의 상부수용체(27) 내부로 골프공(2)이 유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2)(3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게 되고, 미도시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된다.
또한, 미도시된 리모컨으로서 구동모터(32)(33)의 정역회전 동작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은 하부외측고정통(37)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단가이드공(51)과; 하부외측고정통(3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가이드공(51)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가이드핀(52)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하부가이드공(53)이 형성된 하부이동통(54)과; 하부이동통(54)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이드공(53)의 상부를 통하여 중앙가이드핀(55)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중앙가이드공(56)이 형성된 중앙이동통(57)과; 중앙이동통(5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가이드공(56)의 상부를 통하여 상부가이드핀(58)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상부가이드공(59)이 형성된 상부이동통(60)과; 상부이동통(60)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이드공(59)의 상부를 통하여 상단가이드핀(61)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평기어(34)(35)에 치합되는 상부평기어(62)가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단이동통(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하단가이드공(51), 하부가이드공(53), 중앙가이드공(56) 및 상부가이드공(59)의 상부에 걸림요홈(66)이 형성되어 하부가이드핀(52), 중앙가이드핀(5), 상부가이드핀(58) 및 상단가이드핀(61)이 유입되어 걸리게 된다.
상기 골프공수용부재(20)를 구성하는 하부수용체(24)의 바닥면(21) 하부와 상부이동통(63) 상부 내주면 사이에 기어로서 맞물린 하부수용체(24)가 상부이동통(63)으로부터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체분리방지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체분리방지부재(70)는 상단이동통(63)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조립공(72a)이 형성되는 링형돌기(72)와; 링형돌기(72)의 조립공(72a)을 통과하여 하부수용체(24)의 바닥면(21)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삽입부(74)와, 수직삽입부(7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링형돌기(72) 하단에 안착되는 수평단차부(75)와, 수직삽입부(74) 및 수평단차부(75) 중앙 영역에 상기 돌출끼움부(22)의 이동공(22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립통공(76)으로 이루어진 원통형블록(77)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80)는 받침고정판(15)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하단수직가이드공(81)이 형성된 하단고정커버(82)와; 하단고정커버(82)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수직가이드공(81)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이동핀(83)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하부수직가이드공(84)이 형성된 하부이동커버(85)와; 하부이동커버(85)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수직가이드공(84)의 상부를 통하여 중앙이동핀(86)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중앙수직가이드공(87)이 형성된 중앙이동커버(88)와; 중앙이동커버(88)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수직가이드공(87)의 상부를 통하여 상부이동핀(89)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단의 플랜지(90)로서 하부수용체(24)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이동커버(9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에서와 같이 골퍼가 필더(골프장)에서 드라이버, 우드 및 아이언 등의 클럽을 사용하여 온 그린 한 후, 그린에 설치되는 홀컵(1) 내부에 설치된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의 깃대수용체(14)로부터 깃대를 분리하거나 또는 그대로 둔채로 퍼터로서 피팅하여 홀컵(1) 내부의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골프공을 넣게 되면, 골프공(2)이 골프공수용부재(20)를 구성하는 상부수용체(27) 내부로 굴러 들어가 안착홈(27b)에 안착된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수용체(24)의 돌출끼움부(22)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씨비기판(41)에 설치된 골프공 감지센서(42)가 이 상태를 감지하여, 동력전달수단(36)의 구동모터(34)(35)를 동시에 정회전으로 동작시키게 됨에 따라, 구동모터(32)(33)의 모터축(31)에 축설된 평기어(34)(35)가 정회전하게 되어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 및 커버부재(8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을 구성하는 상단이동통(63)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부평기어(62)가, 평기어(34)(35)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상단이동통(63)이 정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이동통(60)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이드공(59)을 통하여 상단이동통(63)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상단가이드핀(61)이, 상부가이드공(59)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어, 상단이동통(63), 하부수용체(24), 동력전달수단(36), 중앙수용체(26) 및 상부수용체(27)가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으로써 골프공(2)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앙이동통(5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가이드공(56)을 통하여 상부이동통(60)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가이드핀(55)이, 중앙가이드공(56)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단이동통(63)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상부이동통(60)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하부이동통(54)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이드공(53)을 통하여 중앙이동통(57)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가이드핀(55)이, 하부가이드공(53)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이동통(60)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중앙이동통(56)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외측고정통(3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가이드공(51)을 통하여 하부이동통(54)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가이드핀(52)이, 하단가이드공(51)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중앙이동통(56)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하부이동통(54)이 순차적으로 상승 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7b에서와 같이 하부수용체(23), 동력전달수단(36), 중앙수용체(25) 및 상부수용체(27)가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됨에 따라 골프공(2)이 최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하부수용체(24) 하단에 상단의 플랜지(90)로서 고정된 커버부재(80)가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7a에서와 같이 중앙이동커버(88)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수직가이드공(87)의 상부를 통하여 중앙이동커버(88)에 체결 고정된 상부이동핀(89)이, 다수의 중앙수직가이드공(87)을 따라 상방으로 수직 이동하게 되어, 상단이동통(63)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상부이동커버(91)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이동커버(85)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수직가이드공(84)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이동커버(85)에 체결 고정된 중앙이동핀(86)이, 다수의 하부수직가이드공(84)을 따라 상방으로 수직 이동하게 되어, 상부이동커버(61)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중앙이동커버(88)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수직가이드공(81)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이동커버(85)에 체결 고정된 하부이동핀(83)이, 다수의 하단수직가이드공(81)을 따라 상방으로 수직이동하게 되어, 중앙이동커버(88)의 상승이동 길이만큼 하부이동커버(85)가 상승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골퍼가 상부수용체(27)의 안착공(27a)에 안착된 골프공(2)을 꺼내게 되거나 또는 골퍼나 경기 보조자(캐디)가 리모컨으로서 동력전달수단(36)을 동작시켜 구동모터(32)(33)를 역회전으로 동작시키면, 하부수용체(23), 동력전달수단(36), 중앙수용체(25) 및 상부수용체(27)가 하방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이 하방으로 회전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7a참조)
이와 동시에 커버부재(80)가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연동되어 하강하여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을 은폐시켜 보호하고, 회전 이동하는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이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골프공(2)을 승하강시키는 동작이 완료되면, 홀컵(1)으로부터 홀컵 승하강장치를 분리한 다음, 다른 홀의 홀컵(1)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홀컵 2 : 골프공
10 : 외부수직통 20 : 골프공수용부재
21 : 바닥면 22 : 돌출끼움부
22a : 이동공 22a-1 : 원형안착단
23 : 요입부 24 : 하부수용체
25 : 돌출부 26 : 중앙수용체
27 : 상부수용체 27a : 안착공
30 : 승하강장치 31 : 모터축
32,33 : 구동모터 34,35 : 평기어
36 : 동력전달수단 37 : 하부외측고정통
50 : 수용부재승하강수단 51 : 하단가이드공
52 : 하부가이드핀 53 : 하부가이드공
54 : 하부이동통 55 : 중앙가이드핀
56 : 중앙가이드공 57 : 중앙이동통
58 : 상부가이드핀 59 : 상부가이드공
60 : 상부이동통 61 : 상단가이드핀
62 : 상부평기어 63 : 상단이동통
66 : 걸림요홈 70 : 수용체분리방지부재
72 : 링형돌기 72a : 조립공
74 : 수직삽입부 75 : 수평차단부
76 : 조립통공 77 : 원통형블록
80 : 커버부재 82 : 하단고정커버
85 : 하부이동커버 88 : 중앙이동커버
90 : 플랜지 91 : 상부이동커버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컵(1)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깃대수용체(14)가 수용되는 외부수직통(10)과;
    중앙 영역의 바닥면(21) 상부 중앙 영역에 원형안착단(22a-1)을 갖는 이동공(22a)이 형성되는 돌출끼움부(22)가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 요입부(23)가 형성된 하부수용체(24)와, 하부수용체(24)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돌출끼움부(22)의 원형안착단(22a-1)에 삽입 안착되도록 중앙 영역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통공(25a)을 갖는 돌출부(25)가 형성된 중앙수용체(26)와, 중앙수용체(26) 가장자리의 상단에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중앙 영역에 관통공(27a)이 형성되며, 골프공(2)이 안착되는 안착홈(27b)이 형성된 상부수용체(27)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수직통(10)의 내부 상측 영역에 구비되어 골프공(2)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골프공수용부재(20)와;
    상기 골프공수용부재(20)의 하부수용체(24)에 장착되는 동력전달수단(36)의 동력으로서 골프공수용부재(20)를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까지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30)로 구성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30)는
    상기 하부수용체(24)의 바닥면(21) 상부 양측에 장착되고, 바닥면(21)을 통과하여 요입부(23)에 위치되는 모터축(31)을 갖는 구동모터(32)(33)와, 모터축(31)에 각각 축설되어 요입부(23)에 위치되는 평기어(34)(35)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36)과;
    상기 깃대수용체(14)의 받침고정판(15)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외측고정통(37)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6)과 하부외측고정통(37) 상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모터(32)(33) 회전력과 수용체분리방지부재(70)에 의해 상부로 분리가 방지되는 골프공수용부재(20)를 회전 이동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상기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 외주면에 위치되도록 받침고정판(15) 상부와 하부수용체(24) 하단 사이에, 회전 이동하는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과 동시에 상하부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부재(80)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은
    상기 하부외측고정통(37)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단가이드공(51)과;
    상기 하부외측고정통(3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가이드공(51)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가이드핀(52)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하부가이드공(53)이 형성된 하부이동통(54)과;
    상기 하부이동통(54)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이드공(53)의 상부를 통하여 중앙가이드핀(55)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중앙가이드공(56)이 형성된 중앙이동통(57)과;
    상기 중앙이동통(57)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가이드공(56)의 상부를 통하여 상부가이드핀(58)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상부가이드공(59)이 형성된 상부이동통(60)과;
    상기 상부이동통(60)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이드공(59)의 상부를 통하여 상단가이드핀(61)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평기어(34)(35)에 치합되는 상부평기어(62)가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단이동통(6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분리방지부재(70)는
    상기 수용부재승하강수단(50)의 상단이동통(63)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조립공(72a)이 형성되는 링형돌기(72)와;
    상기 링형돌기(72)의 조립공(72a)을 통과하여 하부수용체(24)의 바닥면(21)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수직삽입부(74)와, 수직삽입부(7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링형돌기(72) 하단에 안착되는 수평단차부(75)와, 수직삽입부(74) 및 수평단차부(75) 중앙 영역에 상기 돌출끼움부(22)의 이동공(22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립통공(76)으로 이루어진 원통형블록(7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80)는
    상기 받침고정판(15)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하단수직가이드공(81)이 형성된 하단고정커버(82)와;
    상기 하단고정커버(82)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수직가이드공(81)의 상부를 통하여 하부이동핀(83)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하부수직가이드공(84)이 형성된 하부이동커버(85)와;
    상기 하부이동커버(85)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수직가이드공(84)의 상부를 통하여 중앙이동핀(86)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중앙수직가이드공(87)이 형성된 중앙이동커버(88)와;
    상기 중앙이동커버(88) 내주면에 외주면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수직가이드공(87)의 상부를 통하여 상부이동핀(89)이 하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단의 플랜지(90)로서 하부수용체(24)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이동커버(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KR1020230128247A 2023-09-25 2023-09-25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KR10266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47A KR102661999B1 (ko) 2023-09-25 2023-09-25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47A KR102661999B1 (ko) 2023-09-25 2023-09-25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999B1 true KR102661999B1 (ko) 2024-04-29

Family

ID=9088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247A KR102661999B1 (ko) 2023-09-25 2023-09-25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9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08B1 (ko) 2005-07-21 2006-06-19 김인회 홀컵 승강장치
KR20230051589A (ko) * 2020-08-21 2023-04-18 더 미니어처 빌보드 컴퍼니 피티와이 엘티디 골프 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08B1 (ko) 2005-07-21 2006-06-19 김인회 홀컵 승강장치
KR20230051589A (ko) * 2020-08-21 2023-04-18 더 미니어처 빌보드 컴퍼니 피티와이 엘티디 골프 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999B1 (ko) 홀컵 승강 및 하강장치
KR101751239B1 (ko) 고속형 골프공 오토 티업기
KR100590908B1 (ko) 홀컵 승강장치
US10471309B2 (en) Automatic golf ball lifting device
KR1010588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0432332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CN108853991B (zh) 一种多功能篮球运动装备
JPH0924130A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404892Y1 (ko)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CN209450715U (zh) 一种猪崽药浴固定装置
KR102422194B1 (ko) 배구 토스 및 타구 연습기
CN110917601A (zh) 一种体育教学用自动网球发球机
KR20200083279A (ko)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네트
KR200165068Y1 (ko) 골프공공급장치
CN213375044U (zh) 一种篮球训练装置
KR102081632B1 (ko) 구조가 간단한 볼 공급 일체형 오토 티업기
KR102425012B1 (ko) 스쿼시 연습장치
KR201100031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101316666B1 (ko) 골프의 헤드업 교정장치
CN215136714U (zh) 一种训练网球运动员反应的网球训练装置
CN118022291A (zh) 一种智能乒乓球对打装置
KR20130000505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2355087B1 (ko)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CN212730982U (zh) 一种网球击球练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