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17B1 -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17B1
KR101058817B1 KR1020090080531A KR20090080531A KR101058817B1 KR 101058817 B1 KR101058817 B1 KR 101058817B1 KR 1020090080531 A KR1020090080531 A KR 1020090080531A KR 20090080531 A KR20090080531 A KR 20090080531A KR 101058817 B1 KR101058817 B1 KR 10105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elevating
rotating
golf bal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976A (ko
Inventor
임수영
Original Assignee
임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영 filed Critical 임수영
Priority to KR102009008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부를 경사지도록 회전시키고 승강부에 의해 높이 조절을 2중으로 하여 필드에서 스윙할 때의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저면 중앙에 상기 매트부와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결합되는 매트 회전축을 구비하는 매트 회전부; 일측부가 고정체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매트 회전부가 탑재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기 일측부와 대응되는 타측부의 배면에 접촉하여 상기 승강판을 지지하는 승강 회전드럼, 상기 승강 회전드럼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지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승강 회전축, 상기 승강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승강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회전축과 상기 승강판의 접촉면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승강판의 승강 정도를 제어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 골프스윙, 매트, 연습매트, 골프 연습장치, 경사조절, 경사각

Description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Golf swing training device for making possible Slope regulation}
본 발명은 매트부를 경사지도록 회전시키고 승강부에 의해 높이 조절을 2중으로 하여 필드에서 스윙할 때의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경사 조절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종래에는 골프스윙 연습매트의 경사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습매트(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습매트(20)를 지지하는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넓이를 갖고 예각의 경사로 기울어진 연습매트(20);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연습매트(20) 사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연습매트(2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40); 상기 리프트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습매트(2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50); 상기 베이스(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부(40)에 유압을 가감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유압 구동부(70)를 포함한 다.
종래의 골프스윙 연습매트 경사 조절장치는,
첫째, 연습매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가 연습매트의 중앙에 설치되어 단지 연습매트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므로 경사 조절은 설계된 경사의 연습매트 경사에 한정되어 실제 필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경사진 연습매트에 골프공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매트의 경사 정도에 따라 골프공이 고정되지 않고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셋째, 최초 설계된 연습매트의 경사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지면과 수평하도록 매트 경사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 상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경사각을 갖고 경사각이 큰 경우에도 골프공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경사각을 갖으며 회전 가능한 매트부와 매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수평 상태부터 큰 경사각까지 다양한 경사각에서 골프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경사진 매트부에서 골프공이 이동하지 않도록 지면과 평행한 골프공 안착부를 구비하고 골프공 안착부가 매트부의 회전에 따라 추종하며 이동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매트부(100); 상기 매트부(100)의 저면 중앙에 상기 매트부(100)와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결합되는 매트 회전축(210)을 구비하는 매트 회전부(200); 일측부(312)가 고정체(350)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매트 회전부(200)가 탑재되는 승강판(310)과, 상기 승강판(310)의 상기 일측부(312)와 대응되는 타측부(311)의 배면에 접촉하여 상기 승강판(310)을 지지하는 승강 회전드럼(320), 상기 승강 회전드럼(3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지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승강 회전축(330), 상기 승강 회전축(330)을 회전시키는 승강 모터(34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회전축(330)과 상기 승강판(310)의 접촉면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승강판(310)의 승강 정도를 제어하는 승강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매트 회전부(200)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물질 방지캡(220)을 구비하되, 상기 매트부(10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매트부(100)와 일체로 회전하는 매트 회전 모터(230);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맞물려 유동되도록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수직하게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 연결되되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를 따라 회전하는 수직 방향 기어(231-2)를 포함하는 기어(2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 요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되는 돌기(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매트부(10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매트부(1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500); 상기 프레임(500)에서 상기 매트부(100)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골프공 안착부(400); 상기 매트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매트부(100)와 구름마찰을 하도록,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끝단 저면과 상기 매트부(100)의 끝단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과 상기 매트부(100)의 상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는 고정 수단(410)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잔디판(4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는 자동으로 골프공이 인출되는 골프공 공급기(4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 요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측은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측에 구비되는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고정 레버(225)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레버(225) 중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부위에는 탄성 부재(22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 장치는,
첫째, 경사각을 갖으며 회전 가능한 매트부와 매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2중으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므로 매트부를 수평 상태부터 큰 경사각까지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조건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지면과 평행한 골프공 안착부를 구비하고, 골프공 안착부가 매트부의 회전에 따라 추종하며 이동하도록 하여 매트부가 경사진 상태에서도 골프공이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 안착부에 골프공 자동 공급기를 구비하더라도 역시 골프공이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지형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히트하여 골프공을 홀인 시키는 경기로, 골프공을 가장 적은 타수로 타격하여야 한다. 타수가 정해진 홀에서 처음 시작하는 곳을 티 그라운드라 하고 마지막 홀 컵이 있는 부분을 그린이라 하며 티 그라운드와 그린을 이어주는 부분을 페어웨이라 한다. 이러한 페어웨이에는 벙커나 그린사이드, 해저드, 워터해저드 등 여러 가지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고, 티 그라운드나 그린보다는 조금 길게 자란 잔디를 심어 놓으며, 지형에 따라 지면의 기울기가 여러 각도로 이루어져 있어 지면 상황에 맞게 스윙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필드에서의 경기에 앞서 골프스윙에 많은 연습이 요구되는바 실내 골프연습 매트가 있는 연습장에서 스윙과 자세의 교정에 따른 골프스윙 연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골프 스윙은 원의 운동으로 그립 어드레스 및 상하반신의 움직임과 무릎의 움직임과 동시에 리듬과 타이밍을 조화시켜 입체적인 율동을 이루어야 한다. 골프 스윙 샷은 드라이버, 숏 아이언, 미들 아이언, 롱 아이언 등이 있으며 골프 스윙 연습은 다양한 샷에 따라 정확한 자세로 연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스윙 연습장치의 측면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매트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돌기와 홈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5 는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골프공 안착부와 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부의 회전에 따른 골프공 안착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승강판의 상승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승강판의 하강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골프스윙 연습 장치는 매트부(100), 매트 회전부(200), 승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 회전부(200)는 매트 회전축(210)과 이물질 방지캡(220), 매트 회전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300)는 승강판(310), 승강 회전 드럼(320), 승강 회전축(330), 승강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부(100)는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스윙 연습 매트와 동일하나 지면에 구비되는 매트와 달리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므로 연습자가 올라서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성이 요구된다. 상기 매트부(10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트부(100)는 후술하게 될 상기 매트 회전 부(200)와 상기 승강부(30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거나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트부(100)가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계에 따라 실제 필드에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인조 잔디 등을 부착하는 실시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매트부(100)의 상단에 고정 수단(410)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잔디판(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필드에서는 잔디가 구비되고 잔디의 길이가 다양할 수 있다. 페어웨이에는 티 그라운드나 그린보다는 조금 길게 자란 잔디를 심어 놓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잔디판(420)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디판(420)과 상기 매트부(100)의 결합은 상기 고정 수단(410)에 의하며, 상기 고정 수단(410)은 상기 잔디판(420)과 상기 매트부(100)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 테이프, 스냅 단추, 접착 테이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410)은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410a)와 상기 고정 돌기(410a)에 대응되도록 상기 잔디판(4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0b)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 회전부(200)는 상기 매트부(100)의 저면 중앙에 상기 매트부(100)와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매트부(100)와 일체로 회전하는 매트 회전축(210)을 구비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상기 매트 회전축(210)은 상기 매트부(100)와 다양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가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올라서는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와 높이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매트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동력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는 수동 방식과 자동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자동 방식의 경우 상기 매트 회전부(200)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을 구동하는 매트 회전 모터(230)와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어(231)는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맞물려 유동되도록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수직하게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를 따라 회전하는 수직 방향 기어(231-2)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부(100)가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일체로 회전하면, 상기 매트 회전부(100)에 구비되는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와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 연결되는 상기 수직 방향 기어(231-2)도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 방향 기어(231-2)는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의 원주 궤적을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된다.
전기로 구동되는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가 회전하면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의 회전 속도를 상기 기어(231)에서 기어비를 이용하여 적절한 토크와 속도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회전 속도와 토크의 동력이 상기 매트 회전축(210)에 전달되어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를 일체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 방식의 경우 상기 매트 회전부(200)에는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와 상기 기어(231)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 회전부(200)에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이물질 방지캡(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은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 회전축(21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은 원기둥 형상을 감싸는 중공 형태의 원기둥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은 외부에서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매트 회전축(2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는 수직하게 결합된 것이 아니라 예각을 이루며 결합되었으므로,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은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하단부 부터 구비되되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상단부에서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의 결합각에 따라 적합한 형상으로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 요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은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되는 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를 참고하면 상기 절결부(211)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 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상기 돌기(221)가 내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데, 상기 매트 회전축(21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려 할 때 상기 돌기(221)가 눌려 하강한 상태로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기(221)는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에 형성되되, 하나 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절결 요홈(212)은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결 요홈(212)은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매트부(100)에서 다양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려면 상기 절결 요홈(212)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221)가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주면에 2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결 요홈(212)의 개수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이 180도씩 회전하기 위해서 4개, 120도씩 회전하기 위해서 6개, 90도씩 회전하기 위해서 8개, 45도씩 회전하기 위해서 16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작은 회전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더 많은 절결 요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고정 레버(225)가 구비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절결 요홈(212)의 경우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고정 레버(225)는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 레버(225)의 일측은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 레버(225)의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버(225) 중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부위에는 탄성 부재(2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트부(10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을 설정한 후 상기 매트부(100)를 고정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 레버(225)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잡아 당겨 상기 매트부(100)를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 레버(225)를 놓으면 상기 고정 레버(225)에 구비된 상기 탄성 부재(225-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레버(225)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매트 회전축(210)에 구비된 상기 절결 요홈(212)에 상기 고정 레버(225)의 일측이 결합 고정되면, 상기 매트부(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매트 회전부(200)와 상기 매트부(10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승강판(310)과 승강 회전 드럼(320), 승강 회전축(330), 승강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310)은 일측부(312)가 고정체(350)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매트 회전부(200)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350)의 바닥면은 베이스부(도면번호 미부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판(310)의 형상은 강성을 지닌 패널 형태가 바람직하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도 7,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 상기 승강 회전축(330), 상기 승강 모터(340)는 상기 승강판(310)의 상기 일측부(312)와 대응되는 타측부(31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은 상기 승강 판(310)을 지지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승강 회전축(330)은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지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 회전축(330)이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의 중심부가 아닌 일측에 구비되므로, 상기 승강 모터(3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회전축(330)이 회전하면,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의 회전 반경이 더 커진다. 또한,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 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승강판(310)과의 접촉 거리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판(310)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터(340)는 상기 승강판(310), 상기 매트 회전부(200), 상기 매트부(100)와 상기 매트부(100) 상면에 올라가는 사용자의 무게까지 고려하여 충분한 토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과 상기 승강 회전축(330)도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350)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판(310)의 상기 일측부(31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체(350)는 상기 승강 회전 드럼(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310)의 상승 및 하강할 때의 모멘트를 고려하여 경첩 등 다양한 고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가 예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최초 설계된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의 결합각에 한정되므로 더 큰 경사각이 필요하거나 경사각이 0 도인 수평면에서 스윙 연습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승강부(300)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각이 바닥면을 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작용에 의해 상기 매트 회전부(200)와 상기 매트부(100)가 상승되면 사용자는 보다 작은 경사각 또는 경사각이 0 도인 수평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매트부(100)의 경사각이 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300)에 의해 상기 매트 회전부(200)와 상기 매트부(100)가 상승되면 사용자는 보다 큰 경사각 환경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매트부(100), 상기 매트 회전부(200), 상기 승강부(300)의 일측면에는 프레임(500), 골프공 안착부(400), 베어링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0)은 상기 매트부(1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프레임(500)에서 상기 매트부(100)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600)는 상기 매트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매트부(100)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가 구름마찰을 하도록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끝단 저면과 상기 매트부(100)의 끝단 상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00)은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올라서 있는 사용자가 스윙 연습을 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매트부(1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레임(500)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도면 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고려 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매트부(100)가 경사지도록 회전 또는 상승된 경우 상기 매트부(100)에 골프공을 올렸을 때 흘러내리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매트부(100)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L'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골프공을 올려놓는 수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 핀을 이용하여 그대로 골프공을 올릴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 고정 수단(410)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잔디판(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필드에서는 잔디가 구비되고 잔디의 길이가 다양할 수 있다. 페어웨이에는 티 그라운드나 그린보다는 조금 길게 자란 잔디를 심어 놓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잔디판(420)은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디판(420)과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결합은 상기 고정 수단(410)에 의하며, 상기 고정 수단(410)은 상기 잔디판(420)과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 테이프, 스냅 단추, 접착 테이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수단(410)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410a)와 상기 고정 돌기(410a)에 대응되도록 상기 잔디판(420)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0b)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는 자동으로 골프공이 인출되는 골프공 공급기(430)가 구비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공급기(430)는 이미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부(600)는 상기 매트부(100)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부(600)는 상기 매트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트 회전축(210)과 상기 매트부(100)가 일체로 회전할 때 상기 매트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가 구름마찰을 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운동을 보조한다. 또한 상기 매트부(100)의 상면에 올라서 있는 사용자가 스윙 연습을 하기 위해 상기 매트부(100)의 회전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가 이격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구름마찰 베어링의 크기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부(600)의 구름마찰에 따라 상기 매트부(100)와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매트부(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매트부(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 회전부(200)와 상기 승강부(300)의 회전 및 상하강 이동에 의해 상기 매트부(100)에 올라선 사용자의 높이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골프공을 수평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매트부(100)의 높이 변화에 추종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매트부(100)가 상기 매트 회전부(200) 및 상기 승강부(300)에 의해 상승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상승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매트부(100)가 상기 매트 회전부(200) 및 상기 승강부(300)에 의해 하강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는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경사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스윙 연습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매트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돌기와 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골프공 안착부와 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부의 회전에 따른 골프공 안착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승강판의 상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른 승강판의 하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습 매트 30 : 베이스
40 : 리프트부 50 : 베어링부
70 : 유압 구동부
100 : 매트부
200 : 매트 회전부 210 : 매트 회전축
211 : 절결부 212 : 절결 요홈
220 : 이물질 방지캡 221 : 돌기
225 : 고정 레버 225-1 : 탄성 부재
230 : 매트 회전 모터 231 : 기어
231-1 : 수평 방향 기어 231-2 : 수직 방향 기어
300 : 승강부 310 : 승강판
311 : 타측부 312 : 일측부
320 : 승강 회전 드럼 330 : 승강 회전축
340 : 승강 모터 350 : 고정체
400 : 골프공 안착부 410 : 고정 수단
420 : 잔디판 430 : 골프공 공급기
500 : 프레임 600 : 베어링부

Claims (8)

  1. 매트부(100);
    상기 매트부(100)의 저면 중앙에 상기 매트부(100)와 예각을 이루며 일단이 결합되는 매트 회전축(210)을 구비하는 매트 회전부(200);
    일측부(312)가 고정체(350)에 힌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매트 회전부(200)가 탑재되는 승강판(310)과, 상기 승강판(310)의 상기 일측부(312)와 대응되는 타측부(311)의 배면에 접촉하여 상기 승강판(310)을 지지하는 승강 회전드럼(320), 상기 승강 회전드럼(32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지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승강 회전축(330), 상기 승강 회전축(330)을 회전시키는 승강 모터(34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회전축(330)과 상기 승강판(310)의 접촉면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승강판(310)의 승강 정도를 제어하는 승강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회전부(200)는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물질 방지캡(220)을 구비하되,
    상기 매트부(10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매트부(100)와 일체로 회전하는 매트 회전 모터(230);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맞물려 유동되도록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와 수직하게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 연결되되 상기 매트 회전 모터(2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방향 기어(231-1)를 따라 회전하는 수직 방향 기어(231-2)를 포함하는 기어(2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 요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되는 돌기(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10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100)의 측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500);
    상기 프레임(500)에서 상기 매트부(100)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5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골프공 안착부(400);
    상기 매트부(100)가 회전할 때 상기 매트부(100)와 구름마찰을 하도록,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끝단 저면과 상기 매트부(100)의 끝단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과 상기 매트부(100)의 상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는 고정 수단(410)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잔디판(4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안착부(400)의 상단에는 자동으로 골프공이 인출되는 골프공 공급기(4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회전축(2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2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결 요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일측은 상기 절결 요홈(212)에 안착되며,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외측에 구비되는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고정 레버(225)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레버(225) 중 상기 이물질 방지캡(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부위에는 탄성 부재(22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20090080531A 2009-08-28 2009-08-28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105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31A KR101058817B1 (ko) 2009-08-28 2009-08-28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31A KR101058817B1 (ko) 2009-08-28 2009-08-28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76A KR20110022976A (ko) 2011-03-08
KR101058817B1 true KR101058817B1 (ko) 2011-08-23

Family

ID=4393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531A KR101058817B1 (ko) 2009-08-28 2009-08-28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80Y1 (ko) * 2012-07-30 2012-12-10 유성연 골프용 트러블샷 연습장치
KR101426671B1 (ko) 2014-03-31 2014-08-06 윤의기 퍼팅 매트 승강 장치 및 그 것을 갖는 퍼팅 연습기
KR20210064525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원테크 다양한 경사면을 구현하는 골프 퍼팅 연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74B1 (ko) * 2015-08-18 2015-10-20 유복현 골프연습 장치
CN110694244A (zh) * 2019-11-15 2020-01-17 四川吉嘉研创科技有限公司 高尔夫模拟击球台侧围挡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8334A (en) 1995-08-16 1996-09-24 Roche; Mortimer P. Golf tee platform
JP3048700B2 (ja) 1991-09-03 2000-06-0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KR200244781Y1 (ko) 2001-04-18 2001-10-26 문영석 골프스윙 연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700B2 (ja) 1991-09-03 2000-06-0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US5558334A (en) 1995-08-16 1996-09-24 Roche; Mortimer P. Golf tee platform
KR200244781Y1 (ko) 2001-04-18 2001-10-26 문영석 골프스윙 연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80Y1 (ko) * 2012-07-30 2012-12-10 유성연 골프용 트러블샷 연습장치
KR101426671B1 (ko) 2014-03-31 2014-08-06 윤의기 퍼팅 매트 승강 장치 및 그 것을 갖는 퍼팅 연습기
KR20210064525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원테크 다양한 경사면을 구현하는 골프 퍼팅 연습기
KR102361826B1 (ko) * 2019-11-26 2022-02-11 주식회사 원테크 다양한 경사면을 구현하는 골프 퍼팅 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76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8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000004576U (ko) 경사조절 가능한 발판을 구비한 골프연습장치
KR10104149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KR100672896B1 (ko) 골프연습기
KR101084657B1 (ko) 다수의 굴곡 및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퍼팅 연습장치
KR20090117562A (ko) 직립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골프 연습기용 플레이트
KR100946012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10094601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100561257B1 (ko) 골프스윙 연습매트의 경사조절장치
KR20220081001A (ko) 가변형 골프 퍼팅 연습매트
KR200374732Y1 (ko)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20220000789A (ko)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KR20090131372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타격발판
KR100650642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200374731Y1 (ko)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200278071Y1 (ko) 골프연습및 놀이용 세트
KR100396069B1 (ko)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0407230B1 (ko)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0498142B1 (ko) 골프 트러블샷 스윙 연습기
KR20030076146A (ko) 골프샷 연습기
KR101857329B1 (ko)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KR100954983B1 (ko) 다양한 지형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기구
KR20230108165A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537848B1 (ko) 골프 연습용 인공 지형 조절장치
JP3208505U (ja) ゴルフ練習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