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146A - 골프샷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샷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146A
KR20030076146A KR1020020025743A KR20020025743A KR20030076146A KR 20030076146 A KR20030076146 A KR 20030076146A KR 1020020025743 A KR1020020025743 A KR 1020020025743A KR 20020025743 A KR20020025743 A KR 20020025743A KR 20030076146 A KR20030076146 A KR 2003007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golf
grass
state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완
Original Assignee
김장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완 filed Critical 김장완
Publication of KR2003007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퍼 자신이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임의로 선택한 후 잔디의 상태를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는 골프샷 연습기를 제공한다. 그 골프샷 연습기는 골퍼가 골프연습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발판, 상기 발판에 천공된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후퇴되는 다수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연설되는 작동모터로 이루어진 작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및 상기 작동부의 각각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골프샷 연습기는 골퍼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임의로 선택한 후 잔디의 상태를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적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샷 연습기{GOLF SHOT TRAINING MACHINE}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판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발판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잔디의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실제적인 필드의 상태에서 골프연습을 할 수 있는 경사지에서의 골프샷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넓은 공간을 구비해야 하므로 아직까지도 대중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한정하여 이곳에서 골프연습을 행하고 있다. 물론, 필드에 나가기 전에는 많은 타격 연습을 실제적으로 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골퍼는 필드로 나가기 전에 실내 골프 타격연습장, 야외 골프 타격연습장 등에서 많은 타격 연습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골프연습장 또는 인도어 골프연습장에서는 대부분 평지에서 단순하게 스윙연습을 하거나 퍼팅연습을 하는 것으로 제한되며, 또한 필드에 나가기 전에 실내 또는 실외의 골프 타격연습장에서 행하여지는 타격 연습은 단순히 수평 상태의 타격대에서 골프공을 타격하고 타격하는 과정에서 보다 나은 타격을 할 수 있는 타격자세를 숙지하는데 불과하기 때문에, 골프연습장에서 많은 연습을 행한 경우라 하더라도, 이후 골퍼가 필드에서 골프를 행하는 경우에는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골퍼가 연습장에서 많은 연습을 한 경우에도 필드에서 원활하게 골프를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전술된 바와 같이 평탄한 발판에서의 단순한 연습도 중요한 원인이지만, 필드에서의 골프 중 직면하게 되는 잔디의 상태 또한 중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골프중 타격된 골프공이 낙하하여 정지하는 지점의 잔디의 상태 또한 골퍼의 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골프연습에 의한 한계를 극복하거나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발판의 경사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용 발판 조절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골프연습용 발판조절장치는 골프공의 타격위치에서의 발판의 경사도만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실제적인 필드의 지면상태를 재현할 수 없으므로 실제적인 필드에서의 감각을 익히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적인 필드의 상태를 경험하거나 재현할 수 있는 골프샷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드의 잔디상태를 정확하고 미세하게 재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골프연습을 행할 수 있는 골프샷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각각 잔디의 길이를 짧게한 상태 및 잔디의 길이를 길게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7은 도 4의 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각각 정상상태, 일측으로의 경사진 상태 및 타측으로의 경사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발판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판11 : 상판
20 : 고정구22 : 안착공
24 : 유동돌기26, 26' : 구형의 홈
30 : 유동안내구32 : 리브
34 : 관통공40 : 지지구
46, 46' : 안착돌기50 : 작동부
52, 52' : 워엄기어53, 53' : 워엄
70 : 발판72 : 관통공
74 : 관통구M, M' : 모터
이 같은 목적들은 골퍼가 골프연습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발판, 상기 발판에 천공된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후퇴되는 다수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연설되는 작동모터로 이루어진 작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및 상기 작동부의 각각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골프샷 연습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에 의하면, 골프샷 연습기의 지지판(10)은 매트(1)가 부착된 상판(11)을 구비한다.
특히, 매트(1)에는 실제로 필드의 감각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잔디(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잔디(2)는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충분한 가요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40)의 내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2)는 발판(10)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부(50)를 포함한다. 작동부(50)는 지지구(40)의 안착돌기(46)에 고정되는 워엄기어(52)를 구비한다. 상기 워엄기어(52)는 모터(M)에 체결되어 있는 워엄(53)과 치합된다. 지지구(40)에는, 상부에서 상판(11)과 결합되는 나사축(60)이 왕복가능하게 워엄기어(52)에 치합되도록 구멍(45)이 형성된다. 물론, 모터(M)는 양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스텝모터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모터는 콘트롤러(C)에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골퍼가 모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에는 지지판(10)에 구비된 잔디(2)의 높이 및 상태를 변경하고, 골퍼가 자리를 잡을 수있는 발판(70)을 구비한다. 발판(70)에는, 지지판(10)에 구비된 잔디(2)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공(72)이 형성된다. 물론, 발판(70)은 지면 또는 별도의 베이스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1)의 하부와 상기 지지구(40)의 상부에는 지지판의 상하운동을 유도하고 기울임을 방지하는 돌기(82)(12)가 구비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샷 연습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 및 그 작용모드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골퍼는 자신이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고려하여 콘트롤러(C)를 이용하여 잔디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지면에 노출된 잔디의 길이를 결정한다. 즉, 골퍼는 콘트롤러(C)를 이용하여 모터(M)를 선택적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지지판(10)을 상하로 이동 조절한다. 이와 같이 지지판(1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70)의 관통공(7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잔디(2)의 크기 또는 높이가 다르게 됨으로써 실제로 골퍼가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잔디의 높낮이 조절 외에도 경사진 잔디의 상태를 제공하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에 의하면, 그 골프샷 연습기의 지지판(10)은 매트(1)가 부착된 상판(11)을 구비하며,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판(10) 하부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중앙부에 안착공(22)이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유동돌기(24)가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그 하단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90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구형의 홈(26)(26')이 각각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구(20)가 구비된다.
한편, 고정구(20)의 안착공(22)에는 유동안내구(30)가 구비된다. 유동안내구(3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된 리브(32)가 구비된다. 관통공(34)의 내부에는 스프링(36)이 안착되며, 고정축(38)에 의해 지지구(40)에 체결고정된다.
지지구(40)의 내부에는 공간부(4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구멍(43)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43)의 외주에는 원형의 지지돌기(4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구(20)의 구형 홈(26)(26')과 동일 위치에 구멍(45)(45')이 형성되며, 그 구멍(45)(45')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안착돌기(46)(46')가 구비된다.
지지구(40)의 공간부(42)에는 발판(10)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부(50)로 구성된다. 작동부(50)는 지지구(40)의 안착돌기(46)(46')에 고정되는 워엄기어(52)(52')를 구비한다. 각각의 워엄기어(52)(52')는 모터(M)(M')에 체결되어 있는 워엄(53)(53')과 치합된다. 워엄기어(52)(52')에는, 상부에서 고정구(20)의 구형 홈(26)(26')에 끼워지는 구형의 볼(55)(55')을 구비하며 주변에는 나사부(56)(56')가 형성된 나사축(54)(54')이 왕복가능하게 치합되도록 구멍(45)(45')이 형성된다. 물론, 각각의 모터(M)(M')는 양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스텝모터로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모터는 콘트롤러(C)에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골퍼가 각각의 모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판(10)에는 다수의 고정홈(16)이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홈(16)에는 인조잔디(18)가 해제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인조잔디(18)는 실제로 지지판(10)의 고정홈(16)에 삽입되는 몸체(18a)와, 그 몸체(18a)에 일체로 구비되는 인조섬유(18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조섬유(18b)는 폴리에틸렌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게 발판(70)에는 지지판(1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16) 또는 각각의 인조잔디(18)에 상응하는 관통공(74)이 형성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골프샷 연습기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골퍼는 자신이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고려하여 콘트롤러(C)를 이용하여 잔디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골퍼는 콘트롤러(C)를 이용하여 각각의 모터(M)(M')를 선택적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지지판(10)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지지판(10)의 경사도를 조절함에 따라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이 경사지게 됨에 따라, 발판(70)의 관통공(72 또는 7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잔디(2 또는 18)의 크기 또는 높이가 다르게 됨으로써 실제로 골퍼가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콘트롤러(C)를 통한 각각의 모터(M)(M')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발판(70) 전체에서의 잔디의 돌출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골퍼가 평탄하며 또한 정상적으로 다듬어진 필드의 상태를 원한다면, 다시 콘트롤러(C)를 이용하여 각각의 모터(M)(M')를 정상상태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평탄한 필드에서 골프를 행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연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된 바와 같은 작동 중, 지지판(10)은 그것의 고정구(20)의 홈(26)(26')에 체결된 볼(55)(55')에 의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으로 유동 및 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동안내구(30)가 지지구(40)에 유동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지지판(10)이 유연하고 안정적으로 유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판(70)으로 돌출되는 잔디의 상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필드를 제현할 수 있어 골퍼가 원하는 상태에서 골프연습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사용 중 잔디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면, 제1 및 2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판(10)의 상판(11)에 부착된 매트(1) 전체를 교체하거나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해당되는 잔디(18)를 제거하거나 교체하여 항상 원하는 잔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지에서의 골프샷 연습기에 의하면, 골퍼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필드의 상태를 임의로 선택한 후 잔디의 상태를 조절하여 연습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적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드의 다양한 상황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골퍼가 골프연습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발판;
    상기 발판에 천공된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후퇴되는 다수의 인조잔디를 구비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연설되는 작동모터로 이루어진 작동부를 포함하는 고정구; 및
    상기 작동부의 각각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골프샷 연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인조잔디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샷 연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발판의 관통구에 상응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홈에는 인조잔디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샷 연습기.
KR1020020025743A 2002-03-19 2002-05-10 골프샷 연습기 KR20030076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097 2002-03-19
KR20020008097 2002-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146A true KR20030076146A (ko) 2003-09-26

Family

ID=3222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743A KR20030076146A (ko) 2002-03-19 2002-05-10 골프샷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61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012B1 (ko) * 2008-12-30 2009-08-12 (주) 골프존 다이나믹 롤링식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0912010B1 (ko) * 2008-12-29 2009-08-12 (주) 골프존 다이나믹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0986512B1 (ko) * 2008-04-07 2010-10-07 권구만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467510B1 (ko) * 2013-05-23 2014-12-01 태용일 골프 연습용 매트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473U (ja) * 1992-05-29 1993-12-21 金子農機株式会社 ゴルフパター練習具
US5558334A (en) * 1995-08-16 1996-09-24 Roche; Mortimer P. Golf tee platform
KR20000047414A (ko) * 1998-12-28 2000-07-25 신예균 퍼팅 연습기
KR200244781Y1 (ko) * 2001-04-18 2001-10-26 문영석 골프스윙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473U (ja) * 1992-05-29 1993-12-21 金子農機株式会社 ゴルフパター練習具
US5558334A (en) * 1995-08-16 1996-09-24 Roche; Mortimer P. Golf tee platform
KR20000047414A (ko) * 1998-12-28 2000-07-25 신예균 퍼팅 연습기
KR200244781Y1 (ko) * 2001-04-18 2001-10-26 문영석 골프스윙 연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512B1 (ko) * 2008-04-07 2010-10-07 권구만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12010B1 (ko) * 2008-12-29 2009-08-12 (주) 골프존 다이나믹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0912012B1 (ko) * 2008-12-30 2009-08-12 (주) 골프존 다이나믹 롤링식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1467510B1 (ko) * 2013-05-23 2014-12-01 태용일 골프 연습용 매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8251A (en) Volleyball training and monitoring apparatus
US6086486A (en) Adjustable practice tee
US3425700A (en) Golf practice device
US6062989A (en) Adjustable golf teeing device
US20080102988A1 (en) Adjustable golf tee
KR1010588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0411432Y1 (ko) 골프퍼팅연습용 홀컵
KR101782314B1 (ko) 라이각의 조정이 가능한 퍼팅용 매트를 갖는 퍼팅연습기
KR20030076146A (ko) 골프샷 연습기
US3975024A (en) Golf trainer device
KR20120052786A (ko) 높이 조절형 골프티
US20060105859A1 (en) Golf tee device
US4432552A (en) Golf practice apparatus
JPH05337226A (ja) ゴルフティー
KR200403042Y1 (ko) 경사 조절 가능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30062565A (ko) 골프연습용 발판의 경사조절장치
US6726574B2 (en) Device for golf practice
KR200374731Y1 (ko)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101122855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KR100954981B1 (ko) 다양한 지형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기구
KR200373620Y1 (ko) 샷의 방향 지시가 가능한 휴대용 퍼팅 연습 장치
KR20090113150A (ko) 경사면 조절이 용이한 퍼팅 연습기
KR100954982B1 (ko) 순환식 경사디딤판을 갖는 골프연습기구
KR101857329B1 (ko)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KR100537848B1 (ko) 골프 연습용 인공 지형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