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20Y1 - 골프 스윙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20Y1
KR200444920Y1 KR2020080014170U KR20080014170U KR200444920Y1 KR 200444920 Y1 KR200444920 Y1 KR 200444920Y1 KR 2020080014170 U KR2020080014170 U KR 2020080014170U KR 20080014170 U KR20080014170 U KR 20080014170U KR 200444920 Y1 KR200444920 Y1 KR 200444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ixing
golf swing
bas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감식
Original Assignee
최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감식 filed Critical 최감식
Priority to KR2020080014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안착되며, 잔디부재와, 잔디부재가 배치되는 매트부재와, 잔디부재와 매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매트부; 매트부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베이스부에 매트부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 베이스부와 상기 매트부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잔디부재와 매트부재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골프공이 위치되는 매트의 경사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골프, 매트, 경사조절

Description

골프 스윙연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본 고안은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의 경사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골프 스윙연습기는 실내, 외의 좁은 공간에 설치하여 홀인을 목적으로 스윙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골프 스윙연습기는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골프 스윙연습기는 일정한 길이와 넓이로 제조된 매트에 인조잔디가 깔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골퍼 스윙연습기는 이동이 손쉽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은 가질지라도 매트의 경사각이 항상 일정한 고정식임으로써 스윙연습이 단조롭고 획일적이었다.
따라서, 수평상태의 매트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스윙연습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골프공이 위치되는 매트의 경사면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는 골프 스윙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안착되며, 잔디부재와, 잔디부재가 배치되는 매트부재와, 잔디부재와 매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매트부; 매트부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베이스부에 매트부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 베이스부와 상기 매트부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잔디부재와 매트부재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골프공이 위치되는 매트의 경사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와,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와, 베이스부(10)에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와, 베이스부(10)와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0)는 함체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매트부(30)의 상부는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그리고, 경사조절부(50)는 베이스부(10)와 매트부(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질방지부(90)는 매트부(30)의 외측에 감싸도록 설치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부(30)는 원판, 다각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골프공이 올려질 수 있고 사용자가 골프스윙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넓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조절부(50)는 매트부(30)의 경사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가 심하여 볼이 굴러 떨어질 경우에는 매트부(30)에 고무재로 제작된 별도의 받침부재(도시생략)를 이용하여 볼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매트부(30)는 잔디부재(31)와, 잔디부재(31)가 배치되는 매트부재(33)와,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는 고정부재(35)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의 크기 및 넓이를 동일하게 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매트부재(33)에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 다수개의 잔디부재(31)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다수개의 잔디부재(31)는 각기 다른 길이 및 재질의 잔디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기 다른 길이 및 재질의 잔디부재(31)를 하나의 매트부재(3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즉, 잔디의 길이를 짧게 하여 사용자가 퍼터로 퍼팅연습을 할 수 있고, 길이가 긴 잔디에서는 아이언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5)는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직테이프나 스냅단추는 암수부재(도시생략)가 한쌍으로 되어 서로 결합되므로, 각각의 암수부재를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의 접촉면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면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의 고정 및 분리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부재(35)는 잔디부재(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5a)와, 고정돌기(35a)에 대응되도록 매트부재(33)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5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35a)와 고정홈(35b)은 상호 결합되므로,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는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35a)와 고정홈(35b)은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를 형성하면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는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조절부(5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51)과, 매트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착홈(51)과 대응되는 안착돌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51)과 안착돌기(53)는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곡률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매트부(3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서 전후좌우방향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경사조절부(50)에 의해 매트부(30)는 브드럽게 상하위치가 경사지게 조절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매트고정부(70)는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전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매트고정부(70)는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베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매트고정부(70)인 전자석은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매트고정부(70)인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면 경사조절부(50)에 자기장이 형성되므로, 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안착홈(51)과 안착돌기(53)는 서로 밀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자석의 열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전자석을 매트고정부(70)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분산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고정부(70)는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71)과, 복수개의 영구자석(71)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레버(73)와, 복수개의 영구자석(71) 중 어느 하나와 전환레버(73)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영구자석(71)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영구자석(71)이 서로 같은 극끼리 향하게 되면 자력은 외부로 향하게 되므로, 외부로 향하는 자력에 의해 안착홈(51)과 안착돌기(53)는 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영구자석(71)이 서로 다른 극끼리 향하게 되면 서로 자력은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모여지기 때문에 안착홈(51)과 안착돌기(53)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환레버(73)를 이용하여 영구자석(71)의 방향을 전환시키면 자력에 의해 매트부(3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방지부(90)는 매트부(30)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원형관 또는 주름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물질방지부(90)인 원형관은 매트부(30)의 외주면에서 아래로 설치되어, 베이스부(10)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방지부(90)인 주름관은 매트부(30)의 외주면에서 아래로 늘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름관은 신축이 가능하므로 지면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 베이스부(1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원형관이나 주름관은 합성수지, 비닐, 가죽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원형관이나 주름관은 두꺼울수록 자력을 이겨내어 외부의 철성분을 갖는 이물질들의 유입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와,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와, 베이스부(10)에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를 포함하며, 매트고정부(70)는 경사조절부(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레버(72)와, 베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레버(72)를 안내 및 구속하는 가이드홀(76)을 갖는 가이드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레버(72)는 경사조절부(50)인 안착돌기(53)의 측면에서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부재(74)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절레버(72)는 가이드부재(74)의 가이드홀(76)에 삽입된 상태이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조절레버(72)를 가이드홀(76)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 매트부(30)는 경사지게 된다. 이렇게 경사진 상태에서 조절레버(7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경사지게 기울어진 매트부(30)는 회전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진 매트부(3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76)은 조절레버(72)를 상하로 안내하는 상하장홈(76a)과, 상하장홈(76a)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조절레버(72)를 좌우로 안내하는 좌우장홈(76b)과, 조절레버(72)를 고정하도록 좌우장홈(76b)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홈(76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레버(72)는 상하장홈(76a)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매트부(30)를 상하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장홈(76b)을 따라 조절레버(72)를 이동시키면 경사지게 기울어진 매트부(30)는 회전되며, 다수개의 고정홈(76c)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면 기울어진 매트부(30)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각도로 기울어지는 매트부(30)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매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30 : 매트부
50 : 경사조절부 70 : 매트고정부
90 : 이물질방지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며, 잔디부재(31)와, 상기 잔디부재(31)가 배치되는 매트부재(33)와, 상기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로 구성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의 접촉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매직테이프, 스냅단추,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4.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며, 잔디부재(31)와, 상기 잔디부재(31)가 배치되는 매트부재(33)와, 상기 잔디부재(31)와 매트부재(3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5)로 구성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5)는
    상기 잔디부재(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5a);
    상기 고정돌기(35a)에 대응되도록 상기 매트부재(33)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5b)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5.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5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51);
    상기 매트부(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51)과 대응되는 안착돌기(53)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6.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고정부(70)는
    상기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7.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고정부(70)는
    상기 경사조절부(50)의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71);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71)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레버(73);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7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전환레버(73)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75)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8.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매트부(30)의 사이에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방지부(9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방지부(90)는
    상기 매트부(30)의 외주면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원형관 또는 주름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9. 골프 스윙연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는 매트부(30)와, 상기 매트부(30)의 경사상태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5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상기 매트부(30)의 안착상태를 고정 및 해제하는 매트고정부(70)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고정부(70)는
    상기 경사조절부(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레버(72);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레버(72)를 안내 및 구속하는 가이드홀(76)을 갖는 가이드부재(74)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76)은
    상기 조절레버(72)를 상하로 안내하는 상하장홈(76a);
    상기 상하장홈(76a)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버(72)를 좌우로 안내하는 좌우장홈(76b);
    상기 조절레버(72)를 고정하도록 상기 좌우장홈(76b)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홈(76c)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연습장치.
KR2020080014170U 2008-10-24 2008-10-24 골프 스윙연습장치 KR200444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70U KR200444920Y1 (ko) 2008-10-24 2008-10-24 골프 스윙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70U KR200444920Y1 (ko) 2008-10-24 2008-10-24 골프 스윙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920Y1 true KR200444920Y1 (ko) 2009-06-17

Family

ID=4134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70U KR200444920Y1 (ko) 2008-10-24 2008-10-24 골프 스윙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939B1 (ko) * 2010-12-17 2013-04-08 이재웅 골프 연습용 골프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939B1 (ko) * 2010-12-17 2013-04-08 이재웅 골프 연습용 골프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78777A (ja) 立体形標的を有するゴルフゲーム装置
JPH10179829A (ja) ゴルフティー保持装置
KR100970176B1 (ko) 벙커 매트
KR200444920Y1 (ko) 골프 스윙연습장치
KR101422680B1 (ko) 벙커매트
CA2865046C (en) Target and spherical object receiver
US20100331094A1 (en) Removable hole cover for golf green
KR200476354Y1 (ko) 경사면을 자유롭게 설치가능한 골프 퍼팅연습용 매트
US10463936B1 (en) Miniature golf course edging block
KR20110022976A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골프스윙 연습장치
KR101234080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5810679A (en) Recreational device
KR101444901B1 (ko) 밸런스 보드
US6726574B2 (en) Device for golf practice
KR20020000919A (ko) 골프 퍼팅연습기
JP3181942U (ja) ゴルフ練習台
KR101924544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볼마커
KR20100089500A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실내 연습용 골프매트
KR20170031545A (ko) 골프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1511A (ko) 조립식 골프매트
KR20030076146A (ko) 골프샷 연습기
JP2005065945A (ja) ゴルフティー
KR20120025672A (ko) 자석으로 고정되는 골프스윙매트
KR200424823Y1 (ko) 휴대용 골프퍼팅연습기
KR101503215B1 (ko) 라이형성기 및 이를 구비한 퍼팅연습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