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785B1 -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785B1
KR102661785B1 KR1020217021856A KR20217021856A KR102661785B1 KR 102661785 B1 KR102661785 B1 KR 102661785B1 KR 1020217021856 A KR1020217021856 A KR 1020217021856A KR 20217021856 A KR20217021856 A KR 20217021856A KR 102661785 B1 KR102661785 B1 KR 10266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interposer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951A (ko
Inventor
로널드 1세. 프랭크
제임스 르메사로스
조지 엘. 주니어. 골라트
브래든 제이. 아우그
로버트 지. 3세 헤네무스
마이클 디. 스미스
마이클 에이. 야신
고든 제이. 우달
다니엘 알. 엠씨네빈
Original Assignee
암페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262,085 external-priority patent/US10615530B2/en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암페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1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13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bayone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 접촉 캐리어,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 및 인터포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상기 접촉 캐리어는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관련 출원
본 출원은 미국 출원 번호 15/615,470(발명의 명칭: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출원일: 2017년 6월 6일, 현재 미국 특허 번호 10,050,367)의 계속 출원인 미국 출원 번호 16/054,746(발명의 명칭: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출원일: 2018년 8월 3일, 현재 미국 특허 번호 10,249,973)의 부분 계속 출원인 미국 출원 번호 16/262,085(발명의 명칭: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출원일: 2019년 1월 30일)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선출원 문헌 각각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관된 신호 무결성을 위해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와 최적의 정합력(mating force)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스프링-장착된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core or contact carrier)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서는 종종 작은 패키지 크기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엄격한 피치 및 밀도로 인해 정합 인터페이스에 대해 간헐적 접촉 중단 및 정합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이에 의해 공차 누적과 관련된 연결 실패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고밀도 커넥터는 신호 카운트가 증가할 때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부피가 크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커넥터와 정합될 때 커넥터 시스템에 안정성 및 일관된 신호 무결성을 제공하는 고밀도 접촉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 대향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코어는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코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 및 코어 뒤에 수용된다. 인터포저(interposer)는 코어의 수용 단부 내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용될 수 있다. 코어는, 스프링 부재가 하우징의 케이블 종료 단부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코어를 밀어내는 비정합된 위치(unmated position)와, 코어가 스프링 부재로 안쪽으로 밀린 정합된 위치(mated position) 사이에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코어에 결합된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촉 부재는 인터포저에 인접한 일 단부, 및 하우징의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에 또는 그 근처에 타 단부를 갖는다. 접촉 부재는 단부면 및 대향 꼬리 단부를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인터포저는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포저는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에 의해 코어의 수용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은 코어에 결합된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고;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에 대향하는 제2 접촉 측을 포함하고; 인터포저를 접촉 부재와 정렬시키기 위해 인터포저를 통해 코어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핀은 모든 접촉부가 플렉스 회로의 정합 패드와 일렬로 되도록 커넥터들 사이에 충분히 미세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정합 커넥터까지 연장되는 미세 정렬 특징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중심 포스트는 하우징의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을 넘어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위 자유 단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파형 스프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 대향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코어는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단부와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코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 및 코어 뒤에 수용된다. 제1 접촉 부재가 코어에 결합된다. 양면 접촉 인터포저는 코어의 수용 단부 내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용될 수 있고, 대향하는 제1 및 제2 접촉 측을 포함하고, 제1 접촉 측은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접촉 측은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코어는, 스프링 부재가 하우징의 케이블 종료 단부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코어를 밀어내는 비정합된 위치와, 코어가 스프링 부재로 안쪽으로 밀린 정합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에 결합된 제1 접촉 부재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제1 접촉 측과 접촉하는 단부면, 및 하우징의 케이블 종료 단부 부분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 꼬리 단부를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는 종래의 강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제1 및 제2 접촉 측은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면 접촉 인터포저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지지하는 웨이퍼 몸체를 갖고, 각각의 개별 접촉부는 C-클립이다.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는 하우징의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을 넘어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위 자유 단부를 갖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가 정합된 위치에 있을 때, 정합 커넥터의 제2 접촉 부재가 코어에 수용되어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제2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접촉 부재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제1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정합 커넥터가 하우징에 결합된다. 제2 접촉 부재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제2 접촉 측과 접하는 단부면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결합 부재는 정합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의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 상에 수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내부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여기서 포스트는, 하우징의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을 넘어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어 정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포스트와 맞물리는 원위 자유 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정렬을 위해 제1 접촉 부재, 양면 접촉 인터포저 및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파형 스프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를 적절히 정렬하기 위한 전체 정렬 특징부로서 작용하는 키웨이(keyway)가 커넥터 및 정합 커넥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 및 대향하는 케이블 종료 구획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더 제공할 수 있고, 하우징은 내부 지지 부재를 갖고,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촉 캐리어는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하고, 접촉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에 인접하고, 인터포저는 접촉 캐리어의 수용 단부 내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용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비정합된 위치와 정합된 위치 사이에서 정합 축을 따라 하우징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인터포저는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은 접촉 캐리어에 결합된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과 대향하는 제2 접촉 측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합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과 연관된 결합 부재 및/또는 접촉 부재와 인터포저를 통해 정렬시키기 위해 인터포저를 통해 접촉 캐리어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있다.
본 발명은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 및 대향하는 케이블 종료 구획을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접촉 캐리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접촉 캐리어는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하고, 접촉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에 인접하고, 인터포저는 접촉 캐리어의 수용 단부 내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용되고, 결합 부재가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비정합된 위치와 정합된 위치 사이에서 정합 축을 따라 하우징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고; 인터포저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지지하는 웨이퍼 몸체를 갖고, 각각의 개별 접촉부는 C-클립이고; 및/또는 정렬을 위해 제1 접촉 부재, 인터포저 및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용 영역 및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수용된 접촉 캐리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수용 부분 및 스프링 맞물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 부재를 지지한다. 인터포저는 접촉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촉 캐리어의 수용 부분에 장착된다.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과 동작 가능하게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제공된다. 접촉 캐리어는 길이 방향 정합 축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고; 인터포저는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은 접촉 캐리어에 결합된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과 대향하는 제2 접촉 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인터포저를 정합 커넥터의 접촉 부재와 정렬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를 통해 인터포저 내로 또는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 영역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된 접촉 캐리어로서, 접촉 캐리어는 수용 부분 및 스프링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접촉 부재를 지지하는 접촉 캐리어, 접촉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촉 캐리어의 수용 부분에 장착된 인터포저, 및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과 동작 가능하게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조립체는 또한 하우징의 수용 영역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정합 인터페이스, 및 제1 접촉 부재의 반대측에서 하우징의 인터포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접촉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체의 접촉 캐리어는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길이 방향 정합 축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은 정렬을 위해 제1 접촉 부재, 인터포저 및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정합된 전기적 위치에서 접촉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래칭 기구(latching mechanism)를 더 포함하고; 래칭 기구는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리셉터클의 접촉 캐리어 또는 접촉 시스템을 각각 이동시키는 플러그의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이고; 캠 부재는 예를 들어,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예를 들어 약 45도, 약 90도, 약 135도, 약 180도 또는 약 225도(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와 같은 선택 또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캠 부재는 폭과 두께를 갖는 스템(stem)을 포함하고, 폭이 두께보다 크고; 캠 부재는 플러그의 연결 너트에 결합된 일 단부를 갖고; 래칭 기구는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리셉터클의 접촉 캐리어 또는 접촉 시스템을 각각 이동시키는 플러그의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활주 래치 부재이고; 및/또는 플러그는 제2 접촉 부재와 연관된 엘리베이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지지부는 활주 래치 부재의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래칭 기구는 플러그가 리셉터클과 결합될 때 눌려지도록 구성된 래치 활성화 해제부를 플러그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칭 기구는 이 시스템이 정합 리셉터클 내에 맞물리는 경우(즉, 완전히 정합된 경우)에만 래칭/정합 기구의 활성화를 허용하는 래치 활성화 해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래치 활성화 해제 시스템은 리셉터클과 정합될 때 눌려져 결합 기구와 맞물려 래칭을 활성화하는 스프링 프로브 시스템을 플러그의 노즈(nose)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 및 이에 수반되는 많은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되기 때문에 이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비정합된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정합 커넥터에 정합된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고, 정합된 위치에 있는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인터포저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인터포저의 개별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정합되는 정합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정합된 전기 커넥터 쌍의 사시도 및 분해도로서, 전기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들 중 하나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들 중 다른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7a의 전기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200)와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커넥터 시스템에 걸쳐 일관된 신호 무결성을 보장하도록, 즉, 시스템의 사용 전이나 사용 동안 간헐적 접촉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스프링-장착된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0),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장착된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는 정합 커넥터의 공차 누적을 극복하도록 초과 이동하여 각 접촉부가 완전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추가적으로, 스프링-장착된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는 각각의 정합면이 정합 동안 서로 평면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커넥터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100)의 스프링-장착된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112)와 협력하여 커넥터(100)와 커넥터(200) 사이에 일관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또 다른 장점은 1mm 피치와 같은 증가된 밀도를 가질 수 있고 최대 5,000회 정합되거나 비정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저비용으로 최대 5K 사이클 동안 신뢰성이 있는 증가된 고밀도 신호 접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는 동일한 크기의 커넥터와 원시 케이블을 유지하면서 신호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100)는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102), 코어(110) 뒤 하우징(102)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114), 코어(110)에 수용된 인터포저(112), 및 접촉 부재(116)를 포함한다.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는, 코어(110)가 바깥쪽으로 편향되어 정합 커넥터(200)와 정합될 준비가 된 비정합된 위치(도 3)와, 코어(110)가 안쪽으로 밀려 스프링(114)을 압축하여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정합된 위치(도 4) 사이에서 하우징(10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활주한다. 스프링 부재(114)는 하나 이상의 파형 스프링 등과 같은 임의의 편향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200)의 정합 단부(202)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104), 케이블(C)의 준비된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106), 코어(110)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지지 부재(108), 및 하우징(102) 내부에 코어(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스프링 부재(11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지지 부재(108)를 둘러싸는 내부 수용 영역(109)을 포함한다.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106)은 또한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케이블(C)의 준비된 단부를 위한 포팅 부재(10) 및 부트(boot)와 같은 변형 완화 부재(12)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108)는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 또는 배럴(barrel)이다. 포스트(108)는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104)을 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와 커넥터(102)가 정합될 때 원위 자유 단부가 정합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204)와 맞물려 커넥터 시스템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108)는 정합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204)를 수용하기 위해 원위 단부에 중공을 갖고, 이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포스트(108)의 원위 단부에 삽입될 수 있는 포스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는 비정합된 위치와 정합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102)의 내부 포스트(108)에 장착되고 내부 포스트를 따라 활주한다. 코어(110)는 또한 예를 들어 스냅 결합 등에 의해 하우징(102)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코어(110)는 일반적으로 코어(110)가 정합된 위치로 안쪽으로 압축될 때 스프링 부재(114)와 접하는 스프링 맞물림 단부(120), 및 인터포저(112)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수용 단부(122)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116)는 바람직하게는 일 단부가 인터포저(112)에 인접하고 타 단부가 하우징(102)의 케이블 종료 단부 구획(106)에 또는 그 근처에 있도록 코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102)에 장착된다. 접촉 부재(116)는 예를 들어 케이블(C)에 연결되는 꼬리 단부(128) 및 인터포저(112)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코어(110)에 수용된 단부면(126)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꼬리 단부(128)는 비정합된 위치와 정합된 위치 사이에서 내부 포스트(108)를 따라 코어(110)의 스프링 부하 이동으로 인해 휘어지도록 설계된다.
인터포저(112)는 바람직하게는 단부면(126)에서 접촉 부재(11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1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터포저(112)는, 접촉 측(130)에 대향하고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측(132)을 갖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이다.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는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면(226) 및 꼬리 단부(228)를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고, 접촉 부재(116)와 유사하다. 단부면(226)은 인터포저(112)의 제2 접촉 측(13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포저(112)는 하우징(102)의 포스트(108)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 중심 개구(138)를 포함할 수 있는 웨이퍼 몸체(136)를 갖는다. 인터포저(112)의 각각의 접촉 측(130 및 132)은 각각 접촉 부재(116 및 21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별 접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접촉부(1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도성 C-클립 등일 수 있다. 스프링 부재(114)의 편향력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114)와 일관된 접촉을 위해 C-클립의 완전한 정합 압축을 넘어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를 초과 이동시키기 위해 인터포저(112)에 장착된 각각의 개별 C-클립(140)의 정합력보다 더 높다. 이것은 개별 접촉부(140)로 접촉 부재의 단부면(126)이 완전히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여 커넥터 시스템, 즉 정합된 커넥터가 일관된 정합력을 가지게 하는 데, 이는 이 힘이 스프링 부재(114)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커넥터 시스템의 정합력은 상이한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포저(112)의 개별 접촉부(140)의 수는 편향력을 각각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고, 여기서 스프링 부재(114)의 편향력은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를 초과 이동시키기 위해 접촉부(140)의 편향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시스템은 주어진 수의 접촉부에 대해 달성될 수 있는 최소한의 최대 삽입력을 갖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커넥터(100)와 커넥터(200)가 정합되면, 결합 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150)를 사용하여 이들 커넥터를 함께 래칭할 수 있다. 결합 너트(150)는 예를 들어 자동 회전하고 나서 제 자리에 래칭되도록 스프링이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결합 너트(150)를 사용하여 커넥터(100)와 커넥터(200)를 래칭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알려진 래칭 기구 및/또는 마찰 끼워 맞춤 기구를 사용하여 커넥터(100)와 커넥터(200)를 함께 래칭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합 커넥터(200)의 중심 포스트(108)와 이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204)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시스템의 전체 정렬을 제공하는 반면, 정렬 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160)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시스템의 미세 정렬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정렬 핀(160)은 접촉 단부면(226), 인터포저(112), 접촉 단부면(126)을 통해 코어(110) 내로 연장되어 인터포저(112), 특히 그 개별 접촉부(140)를 커넥터(100)와 커넥터(200) 각각의 접촉 부재(116 및 216)의 단부면(126 및 226)과 각각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 핀(160)은 또한 정합 커넥터까지 연장되어 커넥터들 사이에 충분한 미세한 정렬을 보장하여 모든 접촉부가 플렉스 회로의 정합 패드와 일렬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인 커넥터(100')를 도시한다. 커넥터(100')는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스프링 초과 이동 디자인을 갖는다. 그리고 커넥터(100')와 그 정합 커넥터(200')는 커넥터 조립체의 정합 또는 길이 방향 축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상호 연결 특징부를 각각 갖는다. 커넥터(100')의 디자인은 더 높은 밀도의 접촉부 카운트를 위해 커넥터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커넥터의 감소된 외부 직경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카테터 핸들 등과 같은, 커넥터를 취급하고 동작시키기 위해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맞는) 더 작은 외부 직경이 선호되는 핸드헬드 응용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커넥터(100)와 같이, 커넥터(100')는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또는 접촉 캐리어(1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102'), 접촉 캐리어(110')와 관련하여 하우징(102')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 또는 부재들(114'), 인터포저(112'), 및 접촉 캐리어(110')에 의해 지지되는 접촉 부재(116)를 포함한다. 커넥터(100')는, 접촉 캐리어(110')가 정합 커넥터(200')를 향해 편향되어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정합될 준비가 된 비정합된 위치(도 10a)와, 접촉 캐리어(110')가 스프링 부재(114')로 압축되어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와 전기적으로 맞물린 정합된 위치(도 10b) 사이에서 초과 이동 완화재로 작용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길이 방향 정합 축(L)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110')가 하우징(102')에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스프링 부재(114')는 하나 이상의 파형 스프링, 압축 스프링, 탄성 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편향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200')의 정합 단부(202')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구획(104'), 및 하우징(102') 내부에 접촉 캐리어(110'), 인터포저(112') 및 스프링 부재(11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수용 영역(109')을 포함한다. 접촉 캐리어(110')는 하우징(102')에 장착되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접촉 캐리어(110')는 일반적으로 접촉 캐리어(110')가 정합 커넥터(200')에 의해 정합된 위치로 압축될 때 스프링 부재(114')와 결합되는 스프링 맞물림 부분(120'), 및 접촉 부재(116')와 인터포저(112')를 지지하는 수용 부분(122')을 포함한다. 접촉 부재(116')는 예를 들어, 접촉 캐리어(110')의 수용 부분(122')에 장착되는 하나의 면(126'), 및 인터포저(112')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향면(128')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인터포저(112')는, 바람직하게는 면(126')에서 접촉 부재(11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접촉 측(130'), 및 제1 접촉 측(130')에 대향하고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측(132')을 포함하기 때문에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터포저(112)와 유사하다. 인터포저(112)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의 인터포저(112')는 웨이퍼 몸체(136')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접촉 측(130' 및 132')은 전도성 C-클립 등과 같은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14')의 편향력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재(216')와 일관된 접촉을 위해 개별 접촉부의 완전한 정합 압축을 넘어 접촉 캐리어(110')를 초과 이동시키기 위해 인터포저(112')에 장착된 각각의 개별 접촉부의 정합력보다 더 높다. 이것은 인터포저(112')의 개별 접촉부로 접촉 부재가 완전히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여 커넥터 시스템 또는 조립체, 즉 정합된 커넥터가 일관된 정합력을 갖게 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커넥터(200')는 인터페이스 단부(204')를 갖는 하우징(202') 및 그 반대쪽에 결합 너트(15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2')은 제2 접촉 부재(216')를 포함하는 내부 엘리베이터 지지부(208')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지지부(208')는 접촉 캐리어(110')의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위치(도 10a)와 제2 위치(도 10b) 사이에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지지부(208')에는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전에 정합 커넥터(100')와 전체 정렬 축 방향 맞물림 동안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편향 스프링(208A')에 의해 비정합된 위치에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는 또한 접촉 부재(116')와 유사한 접촉면(226')을 갖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커넥터(100')는 예를 들어 리셉터클일 수 있고, 정합 커넥터(200')는 예를 들어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일 수 있다. 커넥터(100')와 커넥터(200')가 축 방향으로 조립되면, 즉 플러그(200')의 인터페이스 단부(204')가 리셉터클(100')의 하우징(102')에 수용되면, 래칭 기구가 활성화되어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완료하고 고정할 수 있다. 래칭 기구는 리셉터클 정합을 위해 플러그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리셉터클의 인터포저(112')를 향해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칭 기구는, 플러그에 의해 지지되고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캠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캠 부재(300)는 플러그의 결합 너트(150')에 연결된 일 단부(304) 및 대향하는 잠금 단부(306)를 갖는 세장형 스템(30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스템(302)은 일반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즉, 스템은 두께보다 폭이 더 넓을 수 있어서, 캠 부재(300)가, 예를 들어, 비활성 위치(도 10a)로부터 활성 위치(도 10b)로 미리 정해진 각도, 예를 들어, 90도 또는 약 90도만큼 회전될 때, 스템(302)은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를 지지하는, 플러그의 엘리베이터 지지부(208')를 제1 위치로부터 리셉터클의 인터포저(112')를 향해 (도 10a 및 도 10b에서 아래쪽으로) 제2 위치로 강제 이동시킨다. 즉, 결합 너트(150')가 회전될 때, 캠 부재(300)는 활성화되어 엘리베이터 지지부(208')를 통해 접촉 부재(216')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로부터 정합 리셉터클 접촉 시스템을 향해 정합된 전기적 위치로 이동시켜 이에 의해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위치에서, 잠금 단부(306)는 플러그의 하우징(202')에 잠기거나 접한다.
래칭 기구는 대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래치 부재(400)일 수 있다. 활주 래치 부재(400)는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즉, 활주 래치 부재가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이동하여 활주할 때 플러그의 엘리베이터 지지부(208')는 제1 위치로부터 리셉터클의 인터포저(112')를 향해 제2 위치로 강제 이동하여 이에 의해 접촉 캐리어(110')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로부터 정합된 전기적 위치로 이동시켜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를 리셉터클의 인터포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활주 래치 부재(400)는 플러그/리셉터클이 조립되기 전에 구성 요소가 조기에 정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결합 특징부와 같은 특징부(402)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0')은 플러그(200') 내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특징부(402)를 밀어내어 활주 래치 부재(400)가 맞물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마찰 끼워 맞춤, 스프링 클립 래치, 또는 잠금 래칭 기구와 같이, 완전히 안착될 때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래칭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래칭 기구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맞물리는 일 없이 접촉 시스템 결합 너트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래치 활성화 해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플러그 접촉 시스템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안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스프링 프로브와 같은 스프링-장착된 기구가 플러그의 인터페이스 단부(204')에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맞물려 활성화될 때 리셉터클에 잠금 특징부로도 작용하는) 캠 부재의 인터페이스 단부(204')와 간섭하는 것으로 인해 사용자가 캠 부재(300)를 활성화/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의 인터페이스 단부(204')가 리셉터클 내 바닥에 완전히 도달하면, 스프링-장착된 기구가 캠 부재(300)로부터 벗어나게 눌려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결합 너트(150')를 회전시켜 플러그 접촉 시스템을 리셉터클 접촉 시스템에 맞물리게 하고 추가적으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래칭시킬 수 있게 하여서, 사용자가 결합 너트(150')를 정합까지 비활성화된 상태로 다시 회전시켜 수동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너트(150')에는 잠금 상태에서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결합 너트(150')는 정합 동안 결합 너트(1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회전시키는, 돌출된 보스와 같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정합 특징부와 맞물리는, 돌출된 보스와 같은 정합 배향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함께 조립될 때, 결합 너트(150') 배향 특징부는 리셉터클 배향 특징부를 극복하고 제 자리에 래칭된다. 이와 같이, 래칭 기구를 통한 래칭 및 구성 요소 간의 전기적 맞물림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너트(150')는 위와 유사하게 리셉터클 상의 정합 배향 특징부에 대응하는 정합 배향 특징부를 이용하지만; 래칭과 전기적 맞물림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초기 조립 후, 결합 너트(150')는 잠금 방향을 향해 회전되어, 플러그의 접촉 시스템, 즉 엘리베이터 지지부(208')와 접촉 부재(216')를 정합 리셉터클 접촉 시스템, 즉 인터포저(112')로 캠 동작하여 이에 의해 전기적 맞물림 및 초과 이동 스프링(114')과 완전히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계적 장점을 위해 캠 부재(300)와 같은 래칭 기구를 이용하면 높은 축 방향 정합력을 극복할 수 있다.
캠 부재(300)와 같은 래칭 기구를 작동시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전기적 결합을 완료할 때 플러그의 커넥터 시스템과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정렬 핀(160')이 리셉터클의 하우징(102')에 제공될 수 있다. 핀(160')은 접촉 캐리어(110'), 접촉 부재(116')를 통해 인터포저(112') 내로 연장되어, 단부(162')들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와 맞물릴 준비가 된 상태로 남겨둘 수 있다.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는, 래칭 기구가 작동될 때 플러그의 구멍(218')이 리셉터클의 인터포저(112')와 플러그의 접촉 부재(216')가 적절히 미세 정렬되고 접촉 상태로 일렬로 되기 위해 정렬 핀(160')의 단부(162')를 수용하도록 리셉터클의 정렬 핀(160')에 대응하는 구멍(218')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셉터클(100')의 대응하는 구멍과 맞물리는 정렬 핀이 플러그(2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를 선택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였지만,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맞물리지 않고 접촉 시스템 결합 기구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촉 시스템 또는 인터포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안착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구현된 스프링 프로브(209')와 같은 스프링-장착된 기구는 플러그의 인터페이스 단부(204')에 포함되어, (맞물려 활성화될 때 또한 리셉터클에 잠금 특징부의 역할을 하는) 캠 부재의 인터페이스 단부(204')와 간섭하는 것으로 인해 사용자가 캠 부재(300)를 활성화/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의 인터페이스 단부(204')가 리셉터클 내 바닥에 완전히 도달하면, 스프링-장착된 기구가 리셉터클의 정합 특징부에 의해 캠 부재(300)로부터 벗어나게 눌려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결합 너트(150')를 회전시켜 플러그 접촉 시스템을 리셉터클 접촉 시스템에 맞물리게 하고 추가적으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래칭시킬 수 있게 하여서, 사용자가 결합 너트(150')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다시 회전시켜 수동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플러그를 분리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전기 커넥터로서,
    수용 영역과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접촉 캐리어로서, 상기 접촉 캐리어는 수용 부분 및 스프링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접촉 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접촉 캐리어;
    상기 접촉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 캐리어의 수용 부분에 장착되는 인터포저(interposer); 및
    상기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과 동작 가능하게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캐리어는 길이 방향 정합 축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은 상기 접촉 캐리어에 결합된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에 대향하는 제2 접촉 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캐리어를 통해 상기 인터포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인터포저를 정합 커넥터의 접촉 부재와 정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리셉터클로서,
    수용 영역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접촉 캐리어로서, 상기 접촉 캐리어는 수용 부분 및 스프링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제1 접촉 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접촉 캐리어,
    상기 접촉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 캐리어의 수용 부분에 장착된 인터포저, 및
    상기 접촉 캐리어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과 동작 가능하게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캐리어는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수용 영역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인터포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접촉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부재 각각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캐리어는 상기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길이 방향 정합 축에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된 전기적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래칭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기구는 상기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상기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접촉 캐리어를 각각 이동시키는 상기 플러그의 제2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비활성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 위치로 45도, 90도, 135도, 180도, 또는 225도 중 하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폭과 두께를 갖는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폭은 상기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플러그의 결합 너트에 결합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제2 접촉 부재와 연관된 엘리베이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지지부는 상기 캠 부재의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기구는 상기 비정합된 전기적 위치와 상기 정합된 전기적 위치 사이에서 상기 리셉터클의 접촉 캐리어를 각각 이동시키는 상기 플러그의 제2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활주 래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제2 접촉 부재와 연관된 엘리베이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지지부는 상기 활주 래치 부재의 비활성 위치와 활성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기구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과 정합될 때 눌려지도록 구성된 래치 활성화 해제부를 상기 플러그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 상기 인터포저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정렬을 위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217021856A 2019-01-30 2020-01-24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KR102661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62,085 2019-01-30
US16/262,085 US10615530B2 (en) 2017-06-06 2019-01-30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PCT/US2020/014928 WO2020159816A1 (en) 2019-01-30 2020-01-24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951A KR20210114951A (ko) 2021-09-24
KR102661785B1 true KR102661785B1 (ko) 2024-04-26

Family

ID=7184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856A KR102661785B1 (ko) 2019-01-30 2020-01-24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18672A4 (ko)
JP (2) JP7305773B2 (ko)
KR (1) KR102661785B1 (ko)
CN (1) CN113366708B (ko)
CA (1) CA3125243A1 (ko)
WO (1) WO202015981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9055A1 (en) 2004-07-09 2006-01-12 Che-Yu Li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028489A1 (en) 2009-03-13 2012-02-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aling of spring-loaded contact pin
WO2013048396A1 (en) 2011-09-28 2013-04-04 Advanced Bionics Ag Modular biomedical impla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965A (en) * 1971-07-28 1972-10-31 Essex International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terminals
US4065197A (en) * 1974-06-17 1977-12-27 Chomerics, Inc. Isolated paths connector
JPS5936389B2 (ja) * 1975-07-21 1984-09-03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48261A (en) * 1992-07-31 1993-09-28 Hughes Aircraft Company Double ended hermaphroditic signal node module
US5310352A (en) * 1992-12-24 1994-05-10 The Whitaker Corporation Substrate interfac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617866A (en) * 1996-01-05 1997-04-08 Acuson Corporation Modular transducer system
JP3799510B2 (ja) * 1997-03-05 2006-07-1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0340758A (ja) * 1997-06-05 1998-12-22 Nok Corp コネクタおよびセンサ装置
US6719578B1 (en) * 2002-02-06 2004-04-13 Schilling Robotics Submersible electrical cable connector
DE10230379A1 (de) * 2002-07-05 2004-01-15 Era-Contact Gmbh Elektrokontaktkupplung
US7270575B2 (en) * 2003-02-12 2007-09-18 Amphenol Corporation Circuit board and socket assembly
JP4430487B2 (ja) * 2004-03-16 2010-03-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対面型コネクタ
JP4548803B2 (ja) * 2008-04-24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DE102011003873A1 (de) * 2011-02-09 2012-08-09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ung zur elektrischen Direktkontaktierung einer Leiterplatte
DE102011101767A1 (de) * 2011-05-17 2012-11-22 Hi-Kabelkonfektionierungs Gmbh Verbinder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Kontaktverbindung
DE202011101232U1 (de) * 2011-05-27 2011-08-04 Feinmetall Gmbh Federkontaktstiftanordnung
CN102593679B (zh) * 2012-03-23 2013-10-09 国家电网公司 自保持式电力设备二次端子插线器
EP2822105A1 (en) * 2013-02-05 2015-01-07 Amphenol Corporation Coupl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5076130A (ja) * 2013-10-04 2015-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252944A (zh) * 2016-08-29 2016-12-21 刘梨魁 一种稳定的电池连接器
US10050367B1 (en) * 2017-06-06 2018-08-14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9055A1 (en) 2004-07-09 2006-01-12 Che-Yu Li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028489A1 (en) 2009-03-13 2012-02-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aling of spring-loaded contact pin
WO2013048396A1 (en) 2011-09-28 2013-04-04 Advanced Bionics Ag Modular biomedical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8672A1 (en) 2021-12-08
JP7305773B2 (ja) 2023-07-10
KR20210114951A (ko) 2021-09-24
CN113366708A (zh) 2021-09-07
EP3918672A4 (en) 2022-10-19
JP2023118817A (ja) 2023-08-25
CA3125243A1 (en) 2020-08-06
WO2020159816A1 (en) 2020-08-06
CN113366708B (zh) 2024-04-19
JP2022519503A (ja)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080B2 (e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EP0872916A2 (en) Card connector
JP7393473B2 (ja) ばね荷重式電気コネクタ
CN108933355B (zh) 具有可伸缩结构的电连接器
CA2237531C (en) Smart card adaptor latch
US1135588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xially-floating inner contact
US6116940A (en) Coupler for electrical connectors
US80119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and socket
KR102661785B1 (ko) 스프링 장착된 전기 커넥터
EP1282199A1 (en) Card adapter
CN214227253U (zh) 连接器及超声设备
JP2000500270A (ja) コネクタラッチ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220216624A1 (en)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1927813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odule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20857077U (zh) 插口助力组件及医用床
CN215805624U (zh) 一种锁定组件
EP4278417A1 (en) Connectors with universal components
TWM634325U (zh) 後緣解鎖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