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223B1 - 유압 서보기구 - Google Patents

유압 서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223B1
KR102661223B1 KR1020197019461A KR20197019461A KR102661223B1 KR 102661223 B1 KR102661223 B1 KR 102661223B1 KR 1020197019461 A KR1020197019461 A KR 1020197019461A KR 20197019461 A KR20197019461 A KR 20197019461A KR 102661223 B1 KR102661223 B1 KR 10266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rvo mechanism
collar
spoo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992A (ko
Inventor
알레산드로 세르비
Original Assignee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102016000127801A external-priority patent/IT201600127801A1/it
Application filed by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와르보일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9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7Means for damping the valve membe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manually-operated pilot valves, e.g. joyst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25Directional control valves, e.g. 4/3-directional control valv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차량의 제작에 사용되는 방향 제어 밸브의 유압 구동을 위한 서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진동 현상이 없는 면적차 서보기구이다. 면적차 보상 시스템이 제공되고, 또한 서보기구를 따라 존재하는 스풀의 공동부를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와 공급 압력 챔버가 적절히 배치된다. 면적차는 감소된 구동 라인에 연결되는 챔버 내부에 있는 스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면적 변화부를 통해 얻어진다.

Description

유압 서보기구
본 발명은 이동형 차량의 제작에 사용되는 방향 제어 밸브의 유압 구동을 위한 서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작동자에 의한 추력 일을 감소시켜 서보기구의 진동을 피할 수 있는 유압 서보기구이다.
서보기구의 작동은 레버 또는 페달로 제어되는 기계적 운동 기구로 이동형 차량을 운전하는 작동자에 의해 수행된다.
제 1 종래 기술 예가 특허 EP1777419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프링 및 스풀(spool) 자체의 전체 직경에 감소 압력이 가해져 발생되는 힘이 그 스풀에 작용하여 작동자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에 저항을 주게 된다. 감소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내부 스프링에 저항해서 작용하여 스풀 자체의 조절을 행하게 된다.
상기 서보기구가 제어 신호의 적절한 전달을 위해 대형 기계에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풀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스풀은 더 높은 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제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그러한 압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증가되면, 동일한 전달을 이루기 위해 작동자가 서보기구에 전달해야 하는 일이 더 커지게 된다.
많은 제조업자들이 면적차 서보기구를 사용하여 그러한 문제를 없앴는데, 이의 일 예가 문헌 EP1031780 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구에서, 감소 압력은 더 이상 스풀의 전체 직경에 작용하지 않고, 스풀 자체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그러한 압력은 원형 크라운에 가해지게 된다. 스풀 직경을 증가시켜도, 작동자에 저항하여 작용하는 감소 압력으로 인한 추력의 영향이 감소된다.
종래 기술의 단점은 상기 서보기구의 제어 운동 기구의 스윙 현상에 관련 있다. 이러한 진동 현상은, 운동 기구의 그러한 스윙을 발생시켜 서보기구를 통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심각한 작동 결함이 될 뿐만 아니라, 작동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되는데, 왜냐하면, 그 진동 현상은 서보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의도치 않은 통제 불능의 작동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면적차 해결책으로 서보기구가 적절히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는 동일한 배출 압력으로 있어야 한다. 사실, 이것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동일한 압력이 잡혀 유지된다면, 전술한 진동이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종래 기술에서는 3개의 해결책을 가정한다:
- 제 1 해결책은, 서보기구 공동부를 따라, 공급 압력 챔버(P)와 감소 압력 아래에서 스풀을 구획하는 챔버를 삽입하는 것이고, 구멍의 사용에 관련되거나 서보기구 자체의 본체 내부의 배출 라인을 구획하는 것에 관련되지 않으며, 이 경우, 동일한 서보기구 본체에 추가 공동부가 삽입되어, 코어 박스에 내에 형성되거나 중첩될 가공으로 얻어지는 도관 및/또는 통로의 수와 본체 자체의 높이가 증가되며;
- 제 2 해결책은,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와 서보기구의 본체의 외부 사이의 직접적인 배출 연결부를 서보기구의 하측 부분에 삽입하여, 챔버를 필요한 본체의 배출부 쪽으로만 전달하기 위해 추가 외향 구멍 또는 뚜껑을 삽입하고, 전술한 해결책의 단점이 나타나며;
- 제 3 해결책은 전체 스풀을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을 도입하는 것인데, 이 관통 구멍은 푸시어측 배출 챔버를 그 반대편의 이러한 챔버에 연결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US 4 566 492에 기재되어 있고, 한계는, 상기 용례를 위해 제공되는 수명 사이클의 횟수 아래에서 코어 직경의 피로 파괴를 피하도록 최대 인장 상태(작동 조건 하에서 제한됨)를 보장하기 위해 스풀 코어의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그러한 챔버에 가해진 모든 압력을 배출부 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스풀을 통과하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구멍을 얻는 것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특허의 해결책과 유사한 해결책은 추가적인 단점을 갖는데, 이 단점은, 공동부 내의 스풀을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가 배출 압력의 수준과 공급 압력(P)의 수준 사이에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 서보기구에서, 배출부와 감소 압력 영역을 연결하는 오목부는 공급 압력을 감소 압력 자체에 연결하는 오목부의 칼라 보다 큰 칼라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로, 공급 압력과 감소 압력 사이의 연결부에서, 면적차가 없는 서보기구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해 더 깊은 오목부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하지만, 코어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있으면, 전술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오목부를 원하는 깊이로 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는 구성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적차 보상 시스템, 및 서보기구를 따라 존재하는 스풀의 공동부를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와 공급 압력 챔버의 적절한 배치로 유압 서보기구의 작동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구동 감소 라인에 연결되는 챔버 내부의 스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변화를 통해 면적차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윙 현상을 없애는 것인데, 이 현상은, 전체 스풀을 가로지르고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푸시어 자체의 측에 있는 배출 챔버에 연결하는 채널로 일어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풀의 제 2 칼라의 직경을 감소시켜 공급 압력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사이의 교차부의 하류에서 면적차를 얻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 덕분에, 스풀의 제 1 칼라와 제 2 칼라를 연결하는 코어 길이는, 적절한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해 공급 압력과 감소 압력 사이에 더 깊은 연결 오목부를 가질 필요가 있는 제한을 더 이상 갖지 않으며, 그래서, 전체 스풀을 통과하고 코어 직경의 레벨에서 스풀 자체의 인장 한계에 영향을 줌이 없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배출할 수 있게 해주는 충분한 크기의 구멍을 얻을 수 있다.
서보기구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는 동적 반응이 과도하게 빠르다는 것인데, 서보기구의 스풀의 더 점진적인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복귀가 너무 빠르면 거스릴 수 있음), 서보기구의 감소 압력 챔버와 배출부 사이의 연결부를 좁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스풀 칼라에 형성되고 내부 도관을 구획하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횡단 구멍에 의해 일어난다.
위의 목적 및 이점 모두는, 아래에 제시된 청구 범위에 제공되어 있는 바를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주제인 진동 감쇠 시스템을 갖는 유압 서보기구로 달성되고 얻어진다.
이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일부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 상세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가 없는 유압 서보기구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의 단면을 도시하며,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는 챔버 자체를 구획하는 횡단 배출 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그 도관은 스풀을 구획하는 공급 라인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아래에 위치되는 공동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의 다른 단면을 도시하며, 스풀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배출부에 연결한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의 주제인 면적차 서보기구 및 이의 세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서보기구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이 유압 서보기구는 본체(1a)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 내부에서 압력 감소 밸브가 작동한다.
압력 감소 밸브는 스풀(8), 스프링(2a, 2b), 및 플레이트(7)로 이루어지고, 푸시어(4)에 의해 작동되며, 이 푸시어는 구동 운동 기구(20)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캠(5)에 의해 작동된다.
스풀(8)의 공동부(3)를 구획하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본체(1a) 안에 위치하는데, 즉, 한 챔버는 압력 라인(P)에 연결되는 중앙 위치(9)에 있고, 다른 챔버는 배출 라인(T)에 연결되는 상측 위치(6)에 있으며, 마지막 챔버는 하측 위치에 있고, 이 챔버에는 2개의 챔버(12) 사이에 발생되는 감소 압력이 존재한다.
양 챔버는 서보기구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는 펌프와 배출부에 각각 연결되기 위한 포트(P, T)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챔버(6)는 챔버 자체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는 구멍(10)을 통해 배출 포트(T)에 연결된다.
캠(5)이 푸시어(4)를 아래로 밀면, 푸시어가 플레이트(7)에 작용하게 되며 그래서 스프링(2b)이 압축되고, 이 스프링은 스풀(8)에 작용하여 그 스풀을 작동 위치로 아래쪽으로 밀게 된다.
제 1 단점이, 위에서 언급한 작동 동안에, 챔버(12)에 존재하는 조절되는 감소 압력이 스풀면(13)에서 푸시어에 저항하기 때문에 생기는데, 그의 직경이 클수록,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작동은 더 높게 된다.
종래 가술은, 배출 라인을 따라 더 높은 오일 유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큰 직경을 갖는 직경(13)을 스풀(8)이 필요로 할 때도 작동일을 줄일 수 있는 유압 서보기구를 제공하고,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로서의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본체(1b)에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중앙에 위치되는 챔버는 감소 압력(12)에 연결되고, 상측 챔버는 배출부(6)에 연결되며, 하측 챔버는 공급 압력(P(9))에 연결된다. 이전의 해결책과는 달리, 제 4 챔버(21)가 또한 존재하는데, 이 챔버는 스풀(108)의 공동부(3)를 따라 푸시 반대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풀(108)은 코어(17)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칼라(14, 18)로 분할되어 있다. 배출부(6)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5)를 통해 상기 감소 압력 챔버(12)에 연결되고, 공급 압력 챔버(9)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9)를 통해 상기 감소 압력 챔버에 연결된다.
상측 칼라(14)는 하측 칼라(18)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래서, 상측 칼라 영역(16) 및 하측 칼라 영역(25)에 작용하는 감소 압력은 평형을 이루지 않으며, 푸시어(4)가 작동될 때 이 푸시어에 저항하는 상향 추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공급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사이의 압력차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오목부(19)가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칼라(18)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는 더 깊어야 하며, 가공은 스풀 자체의 코어(17)의 직경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성 한계가 있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서보기구의 구성의 추가 단점은, 챔버(21)에서, 스풀의 하측면(103)에 대한 압력의 개입으로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스풀(108)에 작용하여 서보기구의 제어가 상실된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챔버(21)는 횡단 도관(23)을 통해 또는 외향 배출 구멍(22)을 통해 배출 라인(1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전술한 두 조치 중의 하나만으로도 충분함). 이러한 해결책에서는, 도관, 본체 내부의 대응하는 교차부, 외측 연결부 및/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공동부의 갯수와 관련하여 서보기구의 본체(1b) 내부에서 실시의 복잡도가 더 높게 된다.
도 3에는, 면적차 서보기구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챔버(21)는 스풀(208)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24) 및 챔버(6)를 횡단하는 연속하는 횡단 구멍(26)을 통해 배출 라인(10)에 연결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변화예의 구성 한계는 기계-구조적인 것인데, 사실, 구멍(24)은 챔버(21)의 모든 압력을 배출부(6)에 배출하기에 충분히 커야 하고, 스풀(208)의 코어(17)의 직경은, 적절한 크기의 구멍(24)을 수용하고 또한 위에서 언급된 용례를 위해 제공되는 수명 사이클의 횟수 아래에서 피로 파괴를 피하기 위해 최대 인장 상태(작동 조건 하에서 제한됨)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 직경의 상한은 스풀(208)의 하측 칼라(18)에 형성되는 오목부(19)의 깊이에 의해 주어진다.
도 2 및 도 3에서, 챔버(6)와 챔버(12) 사이의 연결은 스풀(108, 208)의 상측 칼라(14)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15)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좁은 통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스풀(108, 208)의 더 점진적이고 과도하게 빠르지 않은 복귀를 보장하여 작동자에게 주어지는 너무 빠른 동적 상태의 불쾌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감소 압력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가공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한 서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도 4의 도움으로 더 잘 설명될 것이며, 이 도는 본 발명의 주제인 유압 면적차 서보기구를 나타낸다.
본체(1d)에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중앙에 위치되는 챔버는 공급 압력(9)에 연결되고, 상측 챔버는 배출부(6)에 연결되며, 하측 챔버는 감소 압력(12)에 연결된다.
제 4 챔버(21)가 공동부(3)를 따라 정확히 푸시어(4) 반대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챔버(21)는 작동 상태에서 스풀(308)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도, 공동부(21)는 배출 챔버(6)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 그러한 연결은 관통 구멍(24) 및 횡단 구멍(26)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풀(308)은 2개의 칼라를 포함하는데, 상측 칼라는 "314"로 나타나 있고, 하측 칼라는 "318"로 나타나 있으며, 이들 칼라는 스풀 자체의 코어(31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하측 칼라(318)는 2개의 부분(318a, 318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의 제 1 부분(318a)은 코어(317)에 인접해 있고 상측 칼라(31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한편, 코어(317)는, 상측 칼라(314)의 직경 및 하측 칼라의 제 1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유압 서보기구 자체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면적차는 더 이상 코어에 인접하는 두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두 영역(316, 325)의 차를 통해 얻어지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들 두 영역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공급 챔버(9)와 챔버(12) 사이의 감소 압력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 더 깊은 오목부(319)를 만들 필요가 더 이상 없는데, 왜냐하면, 그 오목부는 스풀의 더 큰 직경부에 형성되기 때문이며, 코어(317)는 최대 크기 면에서 종래 기술의 이전 경우와 비교하여 덜 엄격한 구성 한계를 갖는다.
코어(317) 자체 내부의 구멍은, 챔버(21)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을 최소의 부하 손실로 배출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칼라(318)의 하측 부분(318b)은 그 칼라의 인접하는 상측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챔버(12) 내부에서 면적 변화부(28)가 칼라(318)에 형성되어 있고, 이 면적 변화부는 칼라의 제 1 부분(318a) 및 제 2 부분(318b) 모두에 대해 협소부를 형성하고, 이제 서보기구의 감소 압력이 그 협소부에 작용한다. 이 면적 변화부는 도 2 및 3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라 얻어지는 서보기구에서 형성되는 면적차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단차부를 형성한다.
구멍(24)은 종래 기술의 경우 보다 작은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구멍을 통해, 챔버(12)에 존재하는 감소 압력을 챔버(6)에 존재하는 배출부에 연결하고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조절은 도관(24)을 구획하는, 스풀(308)의 하측 칼라(318)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횡단 구멍(27)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멍(27)의 치수를 변화시켜, 조절 스풀(308)의 더 점진적이고 과도하지 않게 시기 적절한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 감소 압력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챔버(6, 9, 12)는 횡으로 본체(1d)를 따라 공동부(3)를 구획하기에 적합한데, 더 상세히 말하면, 챔버(9)(작동 유압 압력을 받음)는 중간 챔버이고, 감소 압력 챔버(12)는 하측 챔버이다.
챔버(6, 9, 12)의 이러한 배치로, 챔버(21)가 배출부에 적절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그 챔버의 잔류 압력으로 인해 생기는 진동에 반응이 무딘 유압 면적차 서보기구가 얻어진다.
추가로, 오목부(319)에 대한 엄격한 깊이 제한이 없이, 코어(317)의 직경은, 작동 조건 하에서 재료 인장의 관점에서 과도한 응력을 받음이 없이 내부 도관(24)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감소 압력과 배출부 사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넓다.
1a, 1b, 1c, 1d 본체
2 스프링(2a, 2b)
3 스풀 공동부
4 푸시어
5 캠
6 배출 챔버
7 플레이트
8 스풀
108 스풀
208 스풀
308 스풀
9 공급 챔버(P)
10 배출 도관(T)
12 감소 압력 챔버
13 스풀(8)의 하측 영역
14 상측 칼라
15 상측 칼라 오목부
16 상측 칼라 영역
17 코어 스풀
18 하측 칼라
19 하측 칼라 오목부
20 운동 기구
21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
22 외향 배출 구멍
23 배출부(10)의 연결 도관
24 관통 구멍
25 하측 칼라 영역
113 스풀(108)의 하측 영역
213 스풀(208)의 하측 영역
313 스풀(308)의 하측 영역
314 상측 칼라
316 상측 칼라 영역
317 스풀(308)의 코어
318 하측 칼라
318a 상측 칼라의 상측 부분
318b 상측 칼라의 하측 부분
319 하측 칼라의 오목부
325 하측 칼라 영역
26 배출부를 구획하는 횡단 구멍
27 감소 압력 조절 구멍
28 면적 변화부

Claims (8)

  1. 유압 서보기구(100)로서,
    a.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3)와 적어도 3개의 챔버(6, 9, 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d),
    ⅰ. 상기 본체의 제 1 챔버(6)는 상기 본체(1d)의 배출 라인(T)에 연결될
    수 있고,
    ⅱ. 상기 본체의 제 2 챔버(9)는 공급 압력(P)에 연결될 수 있으며,
    ⅲ. 상기 본체의 제 3 챔버(12)는 상기 서보기구에 의해 조절되는
    감소 압력이 그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b. 서로 동축이며 상기 공동부(3)를 따라 자유롭게 병진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어(4)와 플레이트(7);
    c. 서로 동축이고 동심인 스프링들(2a, 2b)로서, 각각
    ⅰ. 상기 플레이트(7)를 상기 푸시어(4)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ⅱ. 스풀(308)에 작동 추력을 발생시키는 데에 적합한 스프링들(2a, 2b)
    - 상기 스풀(308)은 상기 공동부(3)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코어(317)에 의해 분리되는 칼라(314, 318)를 포함함 -; 및
    d. 상기 스풀(308)의 아래쪽에서 상기 푸시어(4)의 반대편에 있는 제 4 챔버(21)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멍(24, 26)이 상기 제 4 챔버(21)를 제 1 챔버(6)에 연결하며,
    상기 푸시어(4)가 작동될 때, 상기 제 2 챔버(9)와 제 3 챔버(12)는 하측 칼라(318a)의 제 1 부분을 따라 하나 이상의 오목부(319)를 통해 연통하고,
    - 상기 하측 칼라(318)는 적어도 2개의 부분(318a, 318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의 제 1 부분(318a)은 상기 코어(317)에 인접해 있고 상측 칼라(314)와 같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하측 칼라(318)의 제 2 부분(318b)은 인접하는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코어(317)는 상측 칼라(314) 및 제 1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 상기 부분들(318a, 318b)은 제 1 부분(318a)과 제 2 부분(318b) 모두에 대해 협소부를 형성하는 면적 변화부(28)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 상기 서보기구는 칼라(318)에서 하나 이상의 구멍(27)을 포함하며, 이들 구멍은 하나 이상의 구멍(24)을 구획하고 또한 상기 챔버(12)를 상기 제 1 챔버(6)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3)를 구획하는 상기 3개의 챔버(6, 9, 12)는 횡으로 상기 본체(1d)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챔버(9)는 중간 위치에 있고, 감소 압력의 제 3 챔버(12)는 3개의 챔버들 중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9)와 제 3 챔버(12)를 연결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319)는 하측 칼라(318)에서 상측 칼라와 같은 직경을 갖는 부분(318a)에 형성되어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칼라(31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을 포함하는 서보기구(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308)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24)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칼라(318)에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27) 및 상기 칼라(314)에 있는 구멍(26)은 가변적인 직경을 가지고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9)는 상기 상측 칼라(314)의 구멍(26)과 하측 칼라(318)의 구멍(27)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하측 칼라(318)의 제 2 부분(318b)과 푸시어(4) 반대편의 단부 사이의 길이에서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칼라(314) 및 하측 칼라(318)는 상기 코어(317)에 인접하는 두 단부에 배치되는 대응 영역(316, 325)을 규정하고, 이들 영역(316, 325)은 동일한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 유압 서보기구(100).
KR1020197019461A 2016-12-16 2017-12-15 유압 서보기구 KR102661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127801 2016-12-16
IT102016000127801A IT201600127801A1 (it) 2016-12-16 2016-12-16 Servocomando idraulico ad area differenziale
PCT/IB2017/058017 WO2018109743A1 (en) 2016-12-16 2017-12-15 Hydraulic servo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992A KR20190098992A (ko) 2019-08-23
KR102661223B1 true KR102661223B1 (ko) 2024-04-2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227B2 (ja) 非対称バルブ作動構造を持つ圧力制御バルブ
US7146998B2 (en) Hydraulic valve
JP2009174714A (ja) 分離型圧力補正装置を備えた油圧制御弁システム
US3991865A (en) Device for gradually increasing hydraulic pressure
KR100889719B1 (ko) 유압 제어 장치
KR20110043611A (ko) 압력 방출 밸브
JP5848721B2 (ja) 緩衝弁
AU2015293278B2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JP2683244B2 (ja) 制御弁
JP6440451B2 (ja) ロードセンシングバルブ装置
KR102661223B1 (ko) 유압 서보기구
EP1333182A1 (en) Hydraulic controller
JP3337121B2 (ja) パイロット弁
EP1375927B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industrial vehicle with hydraulic control device
KR20080083366A (ko) 유동 분할기
DE102018218301A1 (de) Verdrängungssteuerungsvorrichtung
WO2016072322A1 (ja) ロードセンシングバルブ装置
JP2007514106A (ja) 流体圧制御装置
KR20190098992A (ko) 유압 서보기구
TWI771044B (zh) 氣體缸
JP2001241559A (ja) スプール弁
JP2006017273A (ja) スプール弁
KR101925516B1 (ko) 차량용 보조제동장치의 유압밸브
JP4083963B2 (ja) 油圧制御装置
CN115992840A (zh) 流量自适应负载反馈多路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