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143B1 -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143B1
KR102661143B1 KR1020220031240A KR20220031240A KR102661143B1 KR 102661143 B1 KR102661143 B1 KR 102661143B1 KR 1020220031240 A KR1020220031240 A KR 1020220031240A KR 20220031240 A KR20220031240 A KR 20220031240A KR 102661143 B1 KR102661143 B1 KR 10266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eatback
seat
frame assembly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4215A (ko
Inventor
우운철
Original Assignee
우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운철 filed Critical 우운철
Priority to KR102022003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1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60N2002/684Joining means the back rest being mounted or joined with an easy attachment system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변환하거나 설정 각도로 수평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 기존 대비 효율적인 조립관계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에 기인한 작동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 유도될 뿐 아니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 일면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게 고정 결부되는 지지부재(20); 지지부재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어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보존하면서 임의 선택에 의해 지지부재의 슬라이드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는 가이드부재(30)를 수단으로 위치 구속된 상태에서 하향 선회 움직임이 확보됨에 따라 시트백(10)의 수평 전환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Seat fram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변환하거나 설정 각도로 수평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 기존 대비 효율적인 조립관계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에 기인한 작동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 유도될 뿐 아니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 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한다.
또한, 통상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레일이다.
통상적으로 시트레일은 고정형의 로워레일과 이동형의 어퍼레일, 그리고 롤러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워레일의 양단부는 레일 서포트 브라켓을 매개로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레일은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고 하단이 로워레일 속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로워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의 공간으로 설치되어서 로워레일에 대한 어퍼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도와주게 된다. 또한, 상기 어퍼레일의 상단에는 앵커마운팅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앵커마운팅브라켓의 일측에는 시트벨트 버클가 고정 결합된다.
한편, 차량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물건을 실을 때, 장비가 길고 큰 경우에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리어시트나 조수석 시트의 시트백을 접어 테이블 형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시트에는 시트백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시트 폴딩 장치가 구비되는바, 종래 시트 폴딩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은 전방 측면부가 링크 브래킷으로 시트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 브래킷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메인프레임 후방에는 리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 상단에는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이 힌지 고정되어 시트백 프레임이 전방으로 접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은 "L"자 형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쿠션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는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을 전방으로 접게 되면, 시트백 프레임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쿠션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링크브래킷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에서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이 움직이면 시트쿠션도 함께 움직이므로 시트쿠션에 탑승한 승객은 하중에 따라 시트백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있고, 시트백이 이동되면 복원되지 않아 손으로 잡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대비 새로운 패러다임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시트프레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1848호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시트백의 자유로운 각도 전환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수평 전환 시 정밀 정확한 위치 안내에 기인하여 보다 확실한 자세 제어와 함께 완벽한 가로 배치가 허용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100)는 착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0) 및 착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대부(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시트백 일면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게 고정 결부되는 지지부재(20); 지지부재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어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보존하면서 임의 선택에 의해 지지부재의 슬라이드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는 가이드부재(30)를 수단으로 위치 구속된 상태에서 하향 선회 움직임이 확보됨에 따라 시트백(10)의 수평 전환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과 일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0)가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의 위치 전환으로 좌대부(40)와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동일 동심원상에 천공 배열되는 다수의 결합공(21); 결합공의 중심에서 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가이드부재(30)를 기점으로 한 선회 움직임이 유도되는 회전축(22); 회전축과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의 두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의 어느 일면과 접촉 유지되는 안내돌기(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지지부재의 회전축(22)을 인입 수용하여 지지부재의 수평 전환 움직임 시 설정의 선회 경로를 제공하는 슬롯(31);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거치 수용되고 지지부재의 위치 변경에 기인한 안내돌기의 경로에 대응하여 설정의 만곡된 형상을 갖는 수용체(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체(32)는 상하 각 단부에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위치 구속되는 요입홀(3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 상으로의 걸림 구속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상의 고정툴(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구조의 지지부재 및 가이드부재로 인해 시트백의 자유로운 각도 전환이 허용될 뿐 아니라 시트백의 수평 전환 시 정밀 정확한 위치 안내에 기인하여 보다 확실하게 자세 제어되면서 시트백의 완벽한 수평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롯 및 수용체, 그리고 회전축 및 안내돌기 등의 제반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한 지지부재의 위치가 기존 대비 더욱 오차 없이 정확하게 변형 가능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상호 의존적인 결합 타입을 통해 시트백의 완벽한 위치 제어가 달성 가능함에 따라 활용 가치의 극대화가 구현될 뿐 아니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이점 또한 보유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지지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부재와 가이드부재가 채택된 시트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와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기존 방식에 의한 시트프레임의 작동 예시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트프레임의 작동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구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변환하거나 설정 각도로 수평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 기존 대비 효율적인 조립관계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제어에 기인한 작동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 유도될 뿐 아니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시트프레임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만족한다.
상기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100)는 착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0) 및 착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대부(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시트백 일면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게 고정 결부되는 지지부재(20);와, 지지부재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어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보존하면서 임의 선택에 의해 지지부재의 슬라이드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가이드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20)는 가이드부재(30)를 수단으로 위치 구속된 상태에서 하향 선회 움직임이 확보됨에 따라 시트백(10)의 수평 전환에 기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과 일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0)가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의 위치 전환으로 좌대부(40)와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가로 배열되는데, 이는 시트백의 자유로운 각도 전환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구성을 개략적으로 기재하면, 시트프레임 조립체는 시트백의 접이 기능을 위한 시트 폴딩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쿠션 프레임은 전방 측면부가 링크 브래킷으로 시트레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 브래킷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메인프레임 후방에는 리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베이스 상단에는 시트백이 고정되는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이 힌지 고정되어 시트백 프레임이 전방으로 접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은 "L"자 형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전방으로 접혀질 때 쿠션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 폴딩 구조는 시트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을 전방으로 접게 되면, 시트백 프레임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쿠션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링크브래킷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기존 구성에 의한 시트프레임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종래에는 제반 구성의 한계로 인해 시트백의 수평 전환이 완전치 않을 뿐 아니라 어느 특정 방향으로만 달성되는 접이 기능으로 인해 사용상 효율성이 보장되지 않았다. 예컨대 도 6처럼 시트백이 좌대부 상측에 맞대어 접이되거나 혹은 좌대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접이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술 보강이 시급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수평 전환 시 정밀 정확한 위치 안내에 기인하여 보다 확실한 자세 제어와 함께 완벽한 가로 배치가 허용되는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사상이 제안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동일 동심원상에 천공 배열되는 다수의 결합공(21);과, 결합공의 중심에서 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가이드부재(30)를 기점으로 한 선회 움직임이 유도되는 회전축(22);과, 회전축과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의 두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의 어느 일면과 접촉 유지되는 안내돌기(2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21)은 통상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한 개념의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이러한 결합공(21) 중심을 통해 단일의 회전축(22)이 더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재(20)의 선회 움직임을 보장되게 한다.
상기 회전축(22)은 도면과 같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돌출 정도는 추후 기술할 가이드부재의 슬롯(31) 상에 위치 구속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다.
상기 안내돌기(23)는 지지부재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측부 연장되는 바디에 비해 두부가 더 확장된 형상이어야 하고, 해당 두부를 통해 추후 기술할 가이드부재의 수용체(32) 상에서 안정적인 거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지지부재의 회전축(22)을 인입 수용하여 지지부재의 수평 전환 움직임 시 설정의 선회 경로를 제공하는 슬롯(31);과,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거치 수용되고 지지부재의 위치 변경에 기인한 안내돌기의 경로에 대응하여 설정의 만곡된 형상을 갖는 수용체(32);로 구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31)은 도면과 같이 설정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회전축(22)을 안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가이드부재(30)를 기반으로 한 지지부재(20)의 수평 전환에 적극 기여한다.
상기 수용체(32)는 슬롯(31) 주변에서 이와 동일 유사한 경로로 형성되어야 하고, 다만 안내돌기(23)의 크기 및 연장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 폭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용체(32)는 도면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각 단부에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위치 구속되는 요입홀(3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요입홀(32-1)은 시트백(10)의 수직 입설 시 의도치 않은 접이나 각도 변경이 불가하도록 제안되는바, 설정 심도로 형성되어 안내돌기(23)의 두부가 유동 없이 견고하게 위치 구속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 상으로의 걸림 구속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상의 고정툴(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툴(24)은 시트백에 형성한 소정의 공간을 통해 걸림되면서 뜻하지 않은 시트백의 위치 전환을 전면 차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구조의 지지부재 및 가이드부재로 인해 시트백의 자유로운 각도 전환이 허용될 뿐 아니라 시트백의 수평 전환 시 정밀 정확한 위치 안내에 기인하여 보다 확실하게 자세 제어되면서 시트백의 완벽한 수평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롯 및 수용체, 그리고 회전축 및 안내돌기 등의 제반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한 지지부재의 위치가 기존 대비 더욱 오차 없이 정확하게 변형 가능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상호 의존적인 결합 타입을 통해 시트백의 완벽한 위치 제어가 달성 가능함에 따라 활용 가치의 극대화가 구현될 뿐 아니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이점 또한 보유한다.
10. 시트백
20. 지지부재
30. 가이드부재
40. 좌대부
100.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Claims (6)

  1. 착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10) 및 착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대부(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 일면의 양측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게 고정 결부되는 지지부재(20);와, 지지부재와 일대일 대응 결합되어 시트백의 직립 상태를 보존하면서 임의 선택에 의해 지지부재의 슬라이드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는 가이드부재(30)를 수단으로 위치 구속된 상태에서 하향 선회 움직임이 확보됨에 따라 시트백(10)의 수평 전환에 기여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동일 동심원상에 천공 배열되는 다수의 결합공(21);
    결합공의 중심에서 일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가이드부재(30)를 기점으로 한 선회 움직임이 유도되는 회전축(22);
    회전축과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환형의 두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의 어느 일면과 접촉 유지되는 안내돌기(23);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과 일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0)가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의 위치 전환으로 좌대부(40)와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가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지지부재의 회전축(22)을 인입 수용하여 지지부재의 수평 전환 움직임 시 설정의 선회 경로를 제공하는 슬롯(31);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거치 수용되고 지지부재의 위치 변경에 기인한 안내돌기의 경로에 대응하여 설정의 만곡된 형상을 갖는 수용체(32);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32)는 상하 각 단부에 지지부재의 안내돌기(23)가 위치 구속되는 요입홀(3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시트백(10) 상으로의 걸림 구속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상의 고정툴(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KR1020220031240A 2022-03-14 2022-03-14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KR10266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40A KR102661143B1 (ko) 2022-03-14 2022-03-14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40A KR102661143B1 (ko) 2022-03-14 2022-03-14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15A KR20230134215A (ko) 2023-09-21
KR102661143B1 true KR102661143B1 (ko) 2024-04-29

Family

ID=8818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40A KR102661143B1 (ko) 2022-03-14 2022-03-14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1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026A (en) 1988-07-21 1991-05-14 Ikeda Bussan Co., Ltd. Automobile seat hinge
JP5328116B2 (ja) * 2007-07-19 2013-10-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116B2 (ko) * 1973-01-29 1978-08-12
IT1246075B (it) * 1991-05-28 1994-11-07 Sepi Spa Dispositivo a doppia articolazione per lo schienale abbattibile di un sedile posteriore di autoveicolo e sedile di autoveicolo comprendentetale dispositivo.
JPH0872596A (ja) * 1994-08-31 1996-03-19 Tachi S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KR19980024030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다목적용 시트를 구비한 버스
CN101365607A (zh) * 2006-01-05 2009-02-11 英提尔汽车公司 可折叠平放的座椅组件
KR101209975B1 (ko) *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101731848B1 (ko) 2011-05-11 2017-05-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KR101425353B1 (ko) * 2012-12-28 2014-08-01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다이브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026A (en) 1988-07-21 1991-05-14 Ikeda Bussan Co., Ltd. Automobile seat hinge
JP5328116B2 (ja) * 2007-07-19 2013-10-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15A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270B2 (en) Seat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CN107054176B (zh) 带中央垫体和控制台扶手的车辆座椅
JP443267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EP3444143B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11642993B2 (en) Seat mounting structure for a seat of a vehicle and vehicle and center seat structure
EP2709492B1 (en) Stadium and stowing seat
JP6449974B2 (ja) 車両用シート
WO2019065773A1 (ja) 乗物用シート
WO2019107451A1 (ja) 乗物用シート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CN111746366A (zh) 车辆结构
KR101731848B1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프레임
KR102661143B1 (ko)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EP3072732B1 (en) Vehicle seat device
JP7168877B2 (ja) 乗物用シート
US20170001543A1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JP5589833B2 (ja) 車両用シート
JP7368691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2563449B1 (ko)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KR100197259B1 (ko) 차량용 보조시트 폴딩장치
KR102546264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KR20090131572A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JP6708941B2 (ja) 車両用シート
JP6960360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7239803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