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42B1 -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42B1
KR102660342B1 KR1020190042693A KR20190042693A KR102660342B1 KR 102660342 B1 KR102660342 B1 KR 102660342B1 KR 1020190042693 A KR1020190042693 A KR 1020190042693A KR 20190042693 A KR20190042693 A KR 20190042693A KR 102660342 B1 KR102660342 B1 KR 10266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member
rear side
coupled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61A (ko
Inventor
오주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3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판넬 형상이고, 후방부가 차량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후방부의 하방에 차량구동부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플로어판넬;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멤버 형상이며, 차량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플로어판넬의 하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멤버는 각각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를 따라 절곡되며 연장된 제1리어사이드멤버; 한 쌍의 멤버 형상이고, 전단부가 각각 제1리어사이드멤버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리어사이드멤버; 및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양측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후단부에 결합된 리어백빔;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REAR BODY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초소형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의 전방 오버행이 극단적으로 짧아지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있어서 전방 오버행이 짧아지더라도 차량의 후방부에 차량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차체 후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차량과 전기자동차의 개발에 따라 이동수단으로서의 차량의 개념과 형태가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소형의 이동수단으로서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개발되고 있는데,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경우 전기자동차로서 엔진이 없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하중을 줄이고 연비를 높이기 위해 전방의 엔진룸이 대폭 축소되는 디자인이 개발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엔진룸이 축소되는 경우에는 차량 전방의 구조체가 모두 짧아지게 되므로, 모터 또는 감속기 등의 차량구동부가 차량 전방에 배치될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 전방의 구조체가 짧아지는 디자인을 채택하더라도 차량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종래와 같은 수준의 충돌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차체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886087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초소형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의 전방 오버행이 극단적으로 짧아지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있어서 전방 오버행이 짧아지더라도 차량의 후방부에 차량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차체 후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판넬 형상이고, 후방부가 차량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후방부의 하방에 차량구동부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플로어판넬;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멤버 형상이며, 차량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플로어판넬의 하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멤버는 각각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를 따라 절곡되며 연장된 제1리어사이드멤버; 한 쌍의 멤버 형상이고, 전단부가 각각 제1리어사이드멤버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리어사이드멤버; 및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양측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후단부에 결합된 리어백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어사이드멤버는 플로어판넬 하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를 따라 연장된 상승부로 구성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는 제1리어사이드멤버 상승부의 중앙 지점에서 후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플로어판넬의 하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에 연결된 제1리어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어사이드멤버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연결 지점 중 하부 연결지점을 하방에서 함께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된 제1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브라켓은 제1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에서 절곡되며 연장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제2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리어사이드멤버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연결 지점 중 상부 연결지점에 결합되며 제1리어사이드멤버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은 전방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상이고 하면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멤버 형상이며, 플로어판넬의 상방 절곡 지점과 후방 절곡 지점의 사이 지점에 결합된 제2리어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리어크로스멤버는 절곡된 판넬 형상이며 플로어판넬의 상방 절곡 지점과 후방 절곡 지점의 사이 지점에 결합되어 폐단면의 멤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단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연결되고, 차량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플로어판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티컬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티컬멤버는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중앙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플로어판넬의 후방부의 측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는 서스펜션마운팅부에 결합되며,
일측은 서스펜션마운팅부 및 플랜지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플로어판넬의 상면에 결합된 서스펜션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브라켓은 버티컬멤버가 플로어판넬의 결합된 지점의 반대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에 따르면, 초소형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의 전방 오버행이 극단적으로 짧아지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있어서 전방 오버행이 짧아지더라도 차량의 후방부에 차량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다양한 로드패스가 형성되어 충돌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므로 차체가 충격을 잘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서스펜션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서스펜션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의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효과가 큰 차량은 전방 오버행이 극단적으로 짧은 차량이다. 최근 초소형 전기자동차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전방 차체 구조의 공간이 협소하여, 모터 및 감속기 등 차량구동부가 차량의 전방부에 위치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구동부 등은 차량의 후방부에 이들 장치가 배치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차량구동부가 차량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차량구동부가 차량의 후방부에 배치되더라도 충돌하중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는,
도 1 내지 6과 같이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판넬 형상이고, 후방부가 차량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후방부의 하방에 차량구동부(M)가 배치되는 설치공간(P)이 형성된 플로어판넬(100);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멤버 형상이며, 차량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플로어판넬(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멤버는 각각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를 따라 절곡되며 연장된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한 쌍의 멤버 형상이고, 전단부가 각각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리어사이드멤버(300); 및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양측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후단부에 결합된 리어백빔(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에는 절곡된 플로어판넬(100)이 마련된다. 도 1에서와 같이,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는 차량의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차량의 후방부에 설치공간(P)이 마련된다. 따라서, 모터 또는 감속기 등의 차량구동부(M)가 차량의 후방부의 설치공간(P)에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새로운 후방 차체 구조도 종래의 차체 구조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및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마련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는 플로어판넬(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를 따라 절곡된다. 그리고, 제2리어사이드멤버(300)는 전단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및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결합되어 상호 로드패스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후단부에는 리어백빔(400)이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시 1차적으로는 리어백빔(400)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고, 2차적으로는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좌굴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흡수하고 남은 충돌하중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좌굴되어 충격이 많이 흡수됨으로써 차체가 흡수하는 충돌하중이 많이 감소하게 되어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차량구동부(M)가 보호되며, 차량구동부(M)가 차량의 실내로 밀려들어와 승객에게 상해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리어사이드멤버(200)는 플로어판넬(100) 하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20) 및 연장부(220)에서 절곡되어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를 따라 연장된 상승부(240)로 구성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300)는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상승부(240)의 중앙 지점에서 후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차량의 후방 충돌시 충돌 하중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를 통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상승부(2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충돌 하중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의 상승부(240)의 중앙 지점에서 분기되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 상승부(240)의 상단부 및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의 연장부(220)로 분산되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이 효과적으로 충돌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플로어판넬(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연결된 제1리어크로스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어크로스멤버(500)가 양측의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차체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에 로드패스가 형성되어 한 쌍의 제1리어사이드멤버(200)간 충돌 하중이 제1리어크로스멤버를 통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및 4와 같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연결 지점 중 하부 연결지점을 하방에서 함께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된 제1고정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브라켓(700)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제1지지부(720) 및 제1지지부(720)에서 절곡되며 연장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제2지지부(7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브라켓(700)의 제1지지부(720)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고, 제1고정브라켓(700)의 제2지지부(740)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고정브라켓(700)을 통해 결합력이 증대됨으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서로 이격되지 않으므로 로드패스가 잘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4와 같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연결 지점 중 상부 연결지점에 결합되며 제1리어사이드멤버(200)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브라켓(800)은 전방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상이고 하면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720) 및 제2지지부(740)는 스팟용접을 통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6과 같이 본 발명의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멤버 형상이며, 플로어판넬(100)의 상방 절곡 지점과 후방 절곡 지점의 사이 지점에 결합된 제2리어크로스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리어크로스멤버(600)는 절곡된 판넬 형상이며 플로어판넬(100)의 상방 절곡 지점(120)과 후방 절곡 지점(140)의 사이 지점에 결합되어 폐단면의 멤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제2리어크로스멤버(600)가 플로어판넬(100) 및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폭 방향으로도 로드패스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리어크로스멤버(600)가 횡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차체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리어크로스멤버(600)가 절곡된 판넬 형상으로서 플로어판넬(100)과 속이 비어있는 폐단면을 형성하므로 차체의 강성은 확보됨과 동시에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3 및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는 하단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상면에 연결되고, 차량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플로어판넬(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티컬멤버(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티컬멤버(900)는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중앙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리어사이드멤버(300)는 전단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200)에 결합된 후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멤버 형상이다. 따라서, 제2리어사이드멤버(300)가 차량의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티컬멤버(900)를 제2리어사이드멤버(300)의 상면 및 플로어판넬(100)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버티컬멤버(900)가 결합됨으로써 제2리어사이드멤버(300)를 통해 유입되는 충돌하중이 제1리어사이드멤버(200)뿐만 아니라 버티컬멤버(900)를 통해 플로어판넬(100)에도 분산되므로 충돌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 내지 5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에는 플로어판넬(100)의 후방부의 측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60)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60)는 서스펜션마운팅부(S)에 결합되며, 일측은 서스펜션마운팅부(S) 및 플랜지부(160)에 결합되며 타측은 플로어판넬(100)의 상면에 결합된 서스펜션브라켓(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스펜션브라켓(B)은 버티컬멤버(900)가 플로어판넬(100)의 결합된 지점의 반대편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스펜션브라켓(B)이 마련됨으로써 서스펜션마운팅부(S)와 플로어판넬(100)간에 결합력이 증대된다. 또한, 플로어판넬(100)을 통해서 충돌하중이 서스펜션마운팅부(S)에도 분산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스펜션브라켓(B)이 버티컬멤버(900)가 플로어판넬(100)의 결합된 지점의 반대편에 결합됨으로써 서스펜션브라켓(B)과 버티컬멤버(900)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로드패스가 형성되어 충돌하중이 분산이 잘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플로어판넬 200 : 제1리어사이드멤버
300 : 제2리어사이드멤버 400 : 리어백빔
500 : 제1리어크로스멤버 600 : 제2리어크로스멤버

Claims (13)

  1. 차량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판넬 형상이고, 후방부가 차량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후방부의 하방에 차량구동부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플로어판넬;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멤버 형상이며, 차량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플로어판넬의 하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멤버는 각각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를 따라 절곡되며 연장된 제1리어사이드멤버;
    한 쌍의 멤버 형상이고, 전단부가 각각 제1리어사이드멤버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제2리어사이드멤버;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양측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후단부에 결합된 리어백빔; 및
    제1리어사이드멤버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연결 지점 중 상부 연결지점에 결합되며 제1리어사이드멤버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리어사이드멤버는 플로어판넬 하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를 따라 연장된 상승부로 구성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는 제1리어사이드멤버 상승부의 중앙 지점에서 후방으로 분기되어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플로어판넬의 하면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에 연결된 제1리어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리어사이드멤버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연결 지점 중 하부 연결지점을 하방에서 함께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된 제1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고정브라켓은 제1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에서 절곡되며 연장되고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제2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고정브라켓은 전방부가 제1리어사이드멤버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상이고 하면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로어판넬의 후방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되고,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멤버 형상이며, 플로어판넬의 상방 절곡 지점과 후방 절곡 지점의 사이 지점에 결합된 제2리어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리어크로스멤버는 절곡된 판넬 형상이며 플로어판넬의 상방 절곡 지점과 후방 절곡 지점의 사이 지점에 결합되어 폐단면의 멤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부가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상면에 연결되고, 차량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부가 플로어판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버티컬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버티컬멤버는 제2리어사이드멤버의 중앙 지점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플로어판넬의 후방부의 측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는 서스펜션마운팅부에 결합되며,
    일측은 서스펜션마운팅부 및 플랜지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플로어판넬의 상면에 결합된 서스펜션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서스펜션브라켓은 버티컬멤버가 플로어판넬의 결합된 지점의 반대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KR1020190042693A 2019-04-11 2019-04-11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KR10266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93A KR102660342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93A KR102660342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61A KR20200120161A (ko) 2020-10-21
KR102660342B1 true KR102660342B1 (ko) 2024-04-23

Family

ID=7303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93A KR102660342B1 (ko) 2019-04-11 2019-04-11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3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14B1 (ko) * 2015-07-02 2016-05-13 나르미모터스 주식회사 차체 프레임 연장구조
KR101785359B1 (ko) * 2010-07-23 2017-11-06 르노 에스.아.에스. 상승된 후방 바닥부를 가진 섀시 및 조립 방법
JP6358300B2 (ja) * 2016-09-06 2018-07-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7124A (ja) * 1983-04-06 1984-10-24 Chiyoda Chem Eng & Constr Co Ltd 制振装置
KR101886087B1 (ko) 2016-11-25 2018-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후방 차체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59B1 (ko) * 2010-07-23 2017-11-06 르노 에스.아.에스. 상승된 후방 바닥부를 가진 섀시 및 조립 방법
KR101620014B1 (ko) * 2015-07-02 2016-05-13 나르미모터스 주식회사 차체 프레임 연장구조
JP6358300B2 (ja) * 2016-09-06 2018-07-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61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344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4424208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4539366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4752411B2 (ja) 車体骨格構造
JP6212526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383247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9188899A (ja) 電動車両の車体前部構造
KR101518925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6254872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2013169806A (ja) 車体下部構造
JP4923406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2016060435A (ja) 車体前部構造
KR102660369B1 (ko) 차량의 전방 차체
JP2008230360A (ja) 電気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037107B2 (ja) 車体前部のフレーム構造
JP2021075089A (ja) 車両下部構造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01039345A (ja) キャブ構造
JP6027448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660342B1 (ko)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
JP4479299B2 (ja) 車体下部構造
JP2009012634A (ja) 車両の車体構造
KR102394581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CN114684266A (zh) 车身和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