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01B1 -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01B1
KR102660301B1 KR1020240005384A KR20240005384A KR102660301B1 KR 102660301 B1 KR102660301 B1 KR 102660301B1 KR 1020240005384 A KR1020240005384 A KR 1020240005384A KR 20240005384 A KR20240005384 A KR 20240005384A KR 102660301 B1 KR102660301 B1 KR 10266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ending
row
wire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혁
유석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24000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91Locking connectors, e.g. using male-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스텐트는 벤딩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후크부와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행 이동을 수행하는 행 전이부를 구비하고, 행 전이부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분산 위치한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식도, 혈관 등의 인체 내강에 삽입하여 통로를 확보하는 스텐트와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도, 십이지장, 담도, 요도관, 기도 등과 같은 인체 내강에 종양이나 기타 원인으로 협착 부위가 발생하면 해당 기관이 정상 기능을 할 수 없다. 이 경우, 스텐트는 해당 협착 부위에 삽입되어 협착 부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는 인체 내강의 통로 확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텐트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의 와이어를 메쉬 형태로 엮어 원통체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메쉬 구조 원통체는 방사상으로 텐션 작동을 하면서 협착 부위를 확장시킨다.
스텐트는 크로스(cross), 후크(hook) 등의 다양한 결합(또는 벤딩) 방식을 적용하여 와이어를 벤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크로스 결합이 많을수록 폭방향 압축성은 양호하지만 유연성이 떨어지고, 후크 결합이 많을수록 폭방향 압축성은 떨어지고 유연성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스텐트를 형성할 때, 하나의 와이어로 전체 메쉬 구조를 형성해야 압축성, 유연성 등을 전체에 고르게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와이어로 전체 메쉬 구조를 형성하면서 압축성, 유연성 등을 최대화 내지 최적화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특허등록 제0974308호(스텐트), 한국특허등록 제1238720호(제거용 스텐트), 한국특허등록 제1773370호(스텐트) 등은 크로스, 후크 등의 결합 형태를 갖는 스텐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텐트에서 일정 비율의 후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주선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지주선은 스텐트의 볼륨을 높여 압축률을 떨어뜨려 작은 직경의 튜브에 장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지주선을 감는 과정에서 와이어끼리 마찰이 발생하면, 인체 내 삽입 시에 절단 불량의 의료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스텐트에서 지주선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와이어를 엮을 때 규칙적인 패턴이 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행 전이부 영역이 행 방향을 따라 1~3개 열에 편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상(radial) 또는 원주를 따라 후크가 편중되는 결과가 발생하여, 스텐트의 전체 영역에서 팽창력을 균일하게 발휘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선행특허]
1. 한국특허등록 제0974308호(스텐트)
2. 한국특허등록 제1238720호(제거용 스텐트)
3. 한국특허등록 제1773370호(스텐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선을 사용하지 않고 방사상(radial) 또는 원주를 따라 후크를 균일하게 분산 위치시킴으로써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팽창력을 발휘(유지)할 수 있는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는 제조 틀에서 와이어를 벤딩하여 형성하는 메쉬 구조의 스텐트로서, 벤딩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후크부; 및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행 이동을 수행하는 행 전이부를 구비하고, 행 전이부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분산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행 전이부는 정방향 행 전이부와 역방향 행 전이부가 '+'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전체 영역에 걸쳐 규칙적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후크부 사이에는, 행 전이부에서 3개의 와이어 크로스부가 포함되고, 행 전이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1개의 와이어 크로스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후크부는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한 결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후크부는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형성한 벤딩부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와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후크부와 후크부에 인접하는 와이어 크로스부는 상하 반대되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에서, 후크부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벤딩부를 제외하고, 동일 열에서 행 방향을 따라 행 전이부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벤딩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은 정방향 벤딩 단계와 역방향 벤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벤딩 단계는 정방향 제1 벤딩 단계, 정방향 제2 벤딩 단계, 반복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제1 벤딩 단계는, 시작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1 연장부; 및 제1-1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을 2개 이상 형성한 후, 최종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1-3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정방향 제2 벤딩 단계는, 제1-3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1 연장부; 및 제2-1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을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의 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 형성한 후, 최종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2-3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의 최종 제2-2 연장부와 제2-3 연장부는 좌하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정방향 행 전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반복 단계는 정방향 행 전이부를 열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정방향 제2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하고, 이때 벤딩부에서는 먼저 형성한 벤딩부와 후크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역방향 벤딩 단계는 역방향 제1 벤딩 단계, 반복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제1 벤딩 단계는, 정방향 벤딩 단계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에 도달한 후, 시작 포인트의 열을 기준으로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와 동일한 형태로 벤딩하되, 시작 포인트의 열에서 열 방향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이전 위치에서 좌상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역방향 행 전이부를 형성하여 시작 포인트의 열에 도착할 수 있다.
반복 단계는 역방향 행 전이부를 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역방향 제1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하고, 이때 벤딩부에서는 먼저 형성한 벤딩부와 후크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에서, 역방향 벤딩 단계는, 역방향 행 전이부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가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에서 정방향 행 전이부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에서, 후크 결합은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먼저 형성한 벤딩부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와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에서, 후크 결합은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의 인접 와이어 크로스부와 상하로 반대되는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스텐트는 지주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행 전이부를 스텐트의 전체 영역에 분산 위치시킴으로써 스텐트가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팽창력을 발휘(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2a~2l는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 도시하는 부분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에서 와이어 진행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는 제조 틀에서 와이어를 벤딩하여 메쉬 구조로 형성하는 것으로, 정방향 패턴과 역방향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패턴은 행(길이)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도 1에서 위쪽에서 아래로 가면서) 정방향 벤딩 패턴을 행을 전이(이동)하면서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패턴은 행(길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도 1에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가면서) 역방향 벤딩 패턴을 행을 전이(이동)하면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다수의 후크부(H)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부(H)는 벤딩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후크부(H)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벤딩부에는 형성하지 않는데, 이들 벤딩부는 다른 벤딩부와 교차하지 않는 부분이다.
후크부(H)는 동일 열에서 행 방향을 따라 행 전이부(T)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벤딩부에 형성할 수 있는데, 행 전이부(T)에서는 와이어(W)가 다른 영역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하며,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벤딩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후크부(H)는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한 결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크부(H)는 와이어(W)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형성한 벤딩부와 후크(걸림) 결합하는데, 이때 먼저 형성한 와이어(W)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또는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다수의 행 전이부(T)를 구비할 수 있다.
행 전이부(T)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산 배치함으로써 후크부(H)를 스텐트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산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균일한 행 전이부(T)와 후크부(H)의 전체 영역에 걸친 고른 분포는 스텐트가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팽창력을 발휘(유지)하게 할 수 있다.
행 전이부(T)는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행 전이를 수행하는 정방향 행 전이부(TF)와 역방향으로 행 전이를 수행하는 역방향 행 전이부(TR)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은 도 1의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영역에서 '+'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크로스 결합할 수 있다. 정방향 행 전이부(TF)와 역방향 행 전이부(TR)의 교차('+'자) 형태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고르게(균일하게) 분산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와이어(W)가 상하로 겹치면서 교차하는 다수의 크로스부(C)를 구비할 수 있다.
크로스부(C)는 와이어(W)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후크부(H) 사이에 형성할 수 있는데, 행 전이부(T)에서는 3개의 크로스부(C)를 형성하고, 행 전이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1개의 크로스부(C)를 형성할 수 있다.
크로스부(C)는 후크부(H)의 결합 형태와 상하 반대되는 형태로 교차하는데, 예를 들어 와이어(W)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전 후크부(H)의 결합 형태가 먼저 형성한 와이어(W)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이면 후크부(H) 다음의 크로스부(C)는 먼저 형성한 와이어(W)의 하부로 지나면서 교차하고, 이전 후크부(H)의 결합 형태가 먼저 형성한 와이어(W)를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이면 후크부(H) 다음의 크로스부(C)는 먼저 형성한 와이어(W)의 상부로 지나면서 교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의 결합 형태(즉, 이전 후크부(H)의 결합 형태가 먼저 형성한 와이어(W)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여서 후크부(H) 다음의 크로스부(C)를 먼저 형성한 와이어(W)의 하부로 지나면서 교차시킴)를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후크부(H)의 결합 형태를 하나로 통일시켜 동일한 형태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크로스부(C)의 교차 형태도 하나의 형태로 통일되어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W)는 금속, 합성 고분자, 천연 고분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금속은 형상기업 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니켈-티탄늄 형상기억 합금(Ni-Ti shape memory alloy), 마르텐사이트 니켈-티탄늄 형상기억 합금(martensitic Ni-Ti shape memory alloy)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금속으로는, 스텐인레스강(stainless steel), 탄탈늄(tantalum), 텅스텐(W, tungste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합성 고분자는 분해성(degradable) 고분자, 비분해성(non-degradable) 고분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및 그 공중합체(copolymers), 폴리글라이코릭산(poly(glycolic acid)) 및 그 공중합체 등이 있고, 비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아미드(polyamides: nylons), 폴리시아노 아크릴레이트(poly(cyano acrylates)),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s) 등이 있다.
천연 고분자는 콜라겐(collagen), 알부민(albumin), 실크 단백질(silk protein), 폴리리신(poly(L-lysine)), 폴리글루타민산(poly(L-glutamic acid)), 폴리아스파틱산(poly(aspartic aci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와이어(W)는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거나 2개 이상의 재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길이방향 팽창률과 폭방향 압축률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와이어(W)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인체 내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면을 코팅 처리할 수 있다.
도 2a~2l는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을 순차 도시하는 부분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에서 와이어 진행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 방법은 도 2a~2i에 도시한 정방향 벤딩 단계와 도 2j~2l에 도시한 역방향 벤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벤딩 단계는 도 2a에 도시한 정방향 제1 벤딩 단계, 제 2b에 도시한 정방향 제2 벤딩 단계, 그리고 도 2c~2i에 도시한 반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제1 벤딩 단계는, 도 2a의 도시와 같이, 시작 포인트(S)에서 와이어(W)를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1 연장부(E11), 그리고 제1-1 연장부(E11)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2 연장부(E12)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1 단위 패턴(E10)을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정방향 제1 단위 패턴(E10)을 3개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후, 정방향 제1 벤딩 단계는, 최종 정방향 제1 단위 패턴(E10)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S)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1-3 연장부(E13)을 형성할 수 있다.
정방향 제2 벤딩 단계는, 도 2b의 도시와 같이, 제1-3 연장부(E13)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W)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1 연장부(E21), 그리고 제2-1 연장부(E21)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2 연장부(E22)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2 단위 패턴(E20)을 정방향 제1 단위 패턴(E10)의 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정방향 제1 단위 패턴(E10)을 3개 형성하고 있어서, 정방향 제2 단위 패턴(E20)도 3개를 형성하고 있다. 이후, 최종 정방향 제2 단위 패턴(E20)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S)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2-3 연장부(E2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 제2 단위 패턴(E20)의 최종 제2-2 연장부와 제2-3 연장부는 좌하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면서 정방향 행 전이부(TF)를 구성할 수 있다.
반복 단계는, 도 2c~2i의 도시와 같이, 정방향 행 전이부(TF)를 열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정방향 제2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벤딩부에서는 먼저 형성한 벤딩부가 있으면, 먼저 형성한 벤딩부와 후크 결합을 수행하여 후크부(H)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부(H)를 형성할 때, 먼저 형성한 와이어(W)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또는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2c~2i에서는 전자의 후크 결합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크로스부(C)는 와이어(W)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전 후크부(H)의 결합 형태와 반대되는 교차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벤딩 단계는 도 2j에 도시한 역방향 제1 벤딩 단계, 그리고 도 2k,2l에 도시한 반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제1 벤딩 단계는, 도 2i의 도시와 같이, 정방향 벤딩 단계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W)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S)에 도달한 후(E31), 도 2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 포인트(S)의 열을 기준으로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와 동일한 형태로 벤딩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포인트(S)의 열에서 열 방향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이전 위치에서 좌상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역방향 행 전이부(TR)를 형성하여 시작 포인트(S)의 열에 도착할 수 있다.
반복 단계는, 도 2k,2l의 도시와 같이, 역방향 행 전이부(TR)를 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역방향 제1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벤딩부에서는 먼저 형성한 벤딩부가 있으면 후크 결합을 수행하여 후크부(H)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부(H)를 형성할 때는 정방향 벤딩 단계에서 선택한 후크 결합 형태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부(C)도, 정방향 벤딩 단계와 동일하게, 와이어(W)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전 후크부(H)의 결합 형태와 반대되는 교차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반복 단계가 완료되면, 최종 역방향 행 전이부(TR)에 의해 와이어(W)가 시작 포인트(S)에 도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에서, 역방향 벤딩 단계는 역방향 행 전이부(TR)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가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에서 정방향 행 전이부(TF)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은, 1열/1행의 시작 포인트(S)로 하여, 1번에서 81번까지의 정방향 벤딩 단계와 82번에서 112번까지의 역방향 벤딩 단계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 : 크로스부
H : 후크부
S : 시작 포인트
T : 행 전이부
TF : 정방향 행 전이부
TR : 역방향 행 전이부
W : 와이어

Claims (12)

  1. 제조 틀에서 와이어를 벤딩하여 형성하는 메쉬 구조의 스텐트에 있어서,
    벤딩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후크부;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행 이동을 수행하는 행 전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행 전이부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분산 위치하고, 정방향 행 전이부와 역방향 행 전이부가 '+'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전체 영역에 걸쳐 규칙적으로 이격 배열되며,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상기 후크부 사이에는, 행 전이부에서 3개의 와이어 크로스부가 포함되고, 행 전이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1개의 와이어 크로스부가 포함되는, 스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전체 영역에 걸쳐 동일한 결합 형태를 갖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형성한 벤딩부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또는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하는, 스텐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인접하는 와이어 크로스부는
    상하 반대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스텐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벤딩부를 제외하고, 동일 열에서 행 방향을 따라 상기 행 전이부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벤딩부에 형성하는, 스텐트.
  8. 제조 틀에서 와이어를 벤딩하여 메쉬 구조의 스텐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작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1-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을 2개 이상 형성한 후, 최종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상기 시작 포인트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1-3 연장부를 형성하는 정방향 제1 벤딩 단계;
    상기 제1-3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1 연장부; 및 상기 제2-1 연장부의 종점 포인트에서 벤딩하여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제2-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을 상기 정방향 제1 단위 패턴의 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 형성한 후, 최종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의 종점 포인트에서 좌하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상기 시작 포인트와 동일 열에 위치하는 제2-3 연장부를 형성하는 정방향 제2 벤딩 단계, 여기서 상기 정방향 제2 단위 패턴의 최종 제2-2 연장부와 제2-3 연장부는 좌하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정방향 행 전이부를 구성하며;
    상기 정방향 행 전이부를 열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정방향 제2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정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하고, 벤딩부에서 후크 결합을 수행하는, 정방향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벤딩 단계의 종점 포인트에서 와이어를 좌상 사선 방향으로 2 단위 셀만큼 연장하여 시작 포인트에 도달한 후, 상기 시작 포인트의 열을 기준으로 상기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와 동일한 형태로 벤딩하되, 상기 시작 포인트의 열에서 열 방향으로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이전 위치에서 좌상 사선 방향으로 4 단위 셀만큼 연장하는 역방향 행 전이부를 형성하여 시작 포인트의 열에 도착하는 역방향 제1 벤딩 단계;
    상기 역방향 행 전이부를 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2 단위 셀 만큼 이동시키면서 상기 역방향 제1 벤딩 단계를 행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가면서 동일하게 반복하고, 벤딩부에서 후크 결합을 수행하는, 역방향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벤딩 단계는
    상기 역방향 행 전이부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가 상기 정방향 제1 벤딩 단계에서 정방향 행 전이부 사이의 연속하는 벤딩부의 수보다 적은, 스텐트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은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먼저 형성한 벤딩부를 하부에서 진입한 후 상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와 상부에서 진입한 후 하부에서 인출하는 결합 형태 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관되게 유지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은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의 인접 와이어 크로스부와 상하로 반대되는 방향의 결합 구조를 갖는,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0240005384A 2024-01-12 2024-01-12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384A KR102660301B1 (ko) 2024-01-12 2024-01-12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384A KR102660301B1 (ko) 2024-01-12 2024-01-12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301B1 true KR102660301B1 (ko) 2024-04-24

Family

ID=908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5384A KR102660301B1 (ko) 2024-01-12 2024-01-12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3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420B1 (ko) 2016-02-26 2017-08-02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스텐트
KR102264476B1 (ko) 2020-11-30 2021-06-11 제성호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4171B1 (ko) * 2020-12-09 2021-06-11 주식회사 제가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420B1 (ko) 2016-02-26 2017-08-02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스텐트
KR102264476B1 (ko) 2020-11-30 2021-06-11 제성호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4171B1 (ko) * 2020-12-09 2021-06-11 주식회사 제가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999A (en) St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7998193B2 (en) Stent with variable features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such stent
CN101065078B (zh) 支架
JP2975584B2 (ja) 体腔拡張用ステント
JP3814596B2 (ja) 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
KR100633020B1 (ko)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US6203569B1 (en) Flexible stent
US5824059A (en) Flexible stent
US5833699A (en) Extending ribbon stent
US8034097B2 (en) Radially expandable vessel support
JPH09164154A (ja) 管状人工器官
EP0881892A1 (en) Expandable stent
US20060173531A1 (en) Stent with variable features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such stent
JPH1170172A (ja) 医療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64171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4476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0301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39389A1 (ko) 의료용 스텐트
EP1014891B1 (en) Expandable stent
KR102660943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62084A (ja) 可撓性の改良されたステント
KR102486166B1 (ko) 스텐트, 그것을 형성하는 방법과 핀 결합형 지그
JP2003019209A (ja) ステント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CN116236330A (zh) 支架及其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