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389A1 - 의료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389A1
WO2017039389A1 PCT/KR2016/009853 KR2016009853W WO2017039389A1 WO 2017039389 A1 WO2017039389 A1 WO 2017039389A1 KR 2016009853 W KR2016009853 W KR 2016009853W WO 2017039389 A1 WO2017039389 A1 WO 20170393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stent
monofilament
metal wir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8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동훈
고영국
김순중
고영주
신왕수
정소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70393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389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길이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금속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1 스텐트와, 단일 길이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 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2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와이어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텐트와 상기 제 2 스텐트가 서로 접촉되어 교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이중구조의 망상을 형성하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의료용 스텐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자가팽창성과 초기 압축 강력을 확보하면서도 일정기간 경과후 생분해될 수 있는 의료용 스텐트에 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혈관은 혈전 또는 동맥경화 등에 의해 혈관의 협착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노화나 기타의 질병에 의해 혈관의 일부분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 르는 동맥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혈관의 협착이나 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 중에서 외과적 수술 또 는 외과적 수술이 불가능한환자의 경우 수술을 하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주는 고 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조혈관 스텐트가 사용되는 데, 이러한 의료용 스텐트 는 혈관 외에도 식도, 담도 등의 인체 내의 내강을 따라 삽입되고, 인체 내에 망 상형의 스텐트에 고정시킴으로써 협착 및 폐색을 방지하고, 인체의 내강을 확보 또는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의료 시술에 활용되고 있다.
가령, 협착된 혈관의 통로를 확장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선단부 근방에 벌 룬 (balloon) 형성부를 삽입하고 이것을 확장함으로써 혈관 협착부를 확장하는데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 스텐트가 삽입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고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킬 수 있고 이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팽창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 고 있다.
현재, 관상동맥 질환 치료에 금속 스텐트의 활용이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 냈으나, 금속 스텐트의 경우 체내에 영구적으로 잔류하는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 고 있다. 이에 PCT/JP2001/001983(이가키, 케이지)호는 혈관 스텐트용 선재 및 이를 이용한 혈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스텐트 재료로서 생체흡수성 폴리머인 폴리 (L-락티드)가 사용되고 그 결정화도가 15 60%이고, 그 직경이 0.08~0.30mm 인 생분해성 스텐트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말 초혈관용 스텐트로서 PLLA(Poly-L-Iactide) 모노 필라멘트 (monofilament)로 이 루어진 브레이드 (Braid) 스텐트를 사용하나 자가팽창 (self expansion)이 되지 않 아 벌룬형성부를 통한삽입시 팽창후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열 셋팅을 해주 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나이티놀와이어의 자가팽창성과 생분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망상형 이중구조 스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초기 압축강력과 자가팽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일정기간 경 과후 생분해되어 혈관 내벽에의 지속적인 자극감소와 함께 금속 구조에 의한 혈 관 손상을 최소화할수 있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일 길이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 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금속 와이어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1 스텐트와, 단일 길이의 생분해성 고분자 모노 필 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 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2 스텐트를 포함하 고, 상기 금속 와이어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텐 트와상기 제 2 스텐트가서로 접촉되어 교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이중구조의 망상을 형성하는 의료용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 와이어는 나이티놀이고,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PPLA모노 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텐트의 금속 와이어와상기 제 2 스텐트의 모노 필라멘 트 와이어의 연결구조는,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서로 격자무늬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조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원통상으로 감길 때 윗선과 아래선 금속 와이어로 이중으로 꼬인 경우에는 이중으로 꼬인 부분의 사이에 상 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조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단선일 경우에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단선의 금속 와이어의 위쪽또는 아래쪽을 통과시켜 연결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조에서, 윗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상기 금속 와이 어의 위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면 아래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상기 금속 와 이어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텐트와상기 제 2 스텐트의 조성비는 1:2 의 구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일 길이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금속 와이어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 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1 스텐트를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단일 길이의 생분해성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2 스텐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와이어에 상기 모노 필라멘 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텐트와상기 제 2 스텐트가서로 접촉되어 교 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망상형 이중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와이어는 나이티놀이고,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PPLA모노 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윗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상기 금속 와이어의 위를 통과하도 록 연결하면 아래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아래를 통과 하도톡 연결하여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서로 격자무 늬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원통상으로 감길 때 윗선과 아래선 금속 와이 어로 이중으로 꼬인 경우에는 이중으로 꼬인 부분의 사이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와이어가 단선일 경우에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단선의 금속 와이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통과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를 40CTC 이상에서 열처리하 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모노 필라멘트를 100°C 이하 열처 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원통형 스텐트 상에 PLGA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고, 상기 PLGA 표면상에 상기 PLGA 고분자 용액 대비 25~35¾ 범위의 PTX 약물을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1 차 원통형 스텐트 구조를 형성하는 나이티놀 와이어와, 2 차 원통형 스텐트 구조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PLLA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1 차 금속 와이어와 2 차 생분해성 고분자물질의 흔합물로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망 상형 이중구조를 형성할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PLLA 스텐트 보다 자가 확장성 및 의료 시술성에서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수 있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를 브레이딩한스텐트임에도 소량 첨가된 나이티놀 와이어에 의해 자가팽창이 가능하고, 게다가 기존 나이티 놀 스텐트에 비해 금속의 양을 절반으로 감소시키고 생분해성 필라멘트를 부가함 으로써, 체내 잔류 스텐트의 양을 줄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물 코팅 시, 코팅 용액의 고분자와 스텐트 스트럿 고분자와의 친 화성으로 인해 딥코팅 (dip coating)에 의한 코팅이 가능하여 고분자의 표면에 파 크리탁샐과 같은 약물이 로딩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6 은 지그재그 와이어 스텐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 는, 1 차 및 2 차원통형 스텐트 와이어의 결합을 위하 여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의 브레이딩시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와 연결하 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은 G1 (일반 금속 스텐트), G2(PLLA/Nitinol 스텐트, 약물코팅이 없 음), G3(PLLA/Nitinol스텐트, 50% PTX/PLGA코팅), G4(PLLA/Nitinol 스텐트, 30% PTX/PLGA코팅)에 대한 최소 내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에서 "와이어형 스텐트"는 복수의 단위 와이어로 구성되는 스텐트 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는스텐트를 구성하는 가닥을 의미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 (cell)"은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10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100)는 복수 개의 와이어가 서로 접촉되어 교차하며 직경이 6mm 이고 가로축 길이가 30mm 인 망상형 이중구조로서 원통형 스텐트를 형성할수 있다. 즉, 1 차원통형 스텐 트 구조를 형성하는 나이티놀 와이어 (nitinol wireXlO)와, 2 차원통형 스텐트 구 조를 형성하는 생분해성 PLLA(Poly-L-lactide) 모노필라멘트 (monofilament)(20) 로 구성되어, 1차금속 와이어와 2차 생분해성 고분자물질의 흔합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망상형 이중구조를 형성할수 있다.
여기서, 1차원통형 스텐트는 단일 길이의 나이티놀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길이방향의 축 (가로축)을 가지며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 상으로 벤딩되어 원통형으로 감겨진 망상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2 차 원통형 스텐트도 단일 길이의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의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모노필라멘트 와이어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 딩되어 원통형으로 감겨진 망상형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 (10)에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텐트와 상 기 제 2 스텐트가서로 접촉되어 교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이중구 조의 망상형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스텐트 (100)는, 탄성을 가진 나이티놀 와이어 (10)를 셀 (cell) 크기 6mm 인 성 긴 구조로 1 차 브레이딩을 하고, 그 위에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 (20)로 셀 크기가 3mm로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의 샐 크기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덜 성 긴 구조로 2차 브레이딩을 한다. 이때, 1 차 금속 와이어의 스텐트와 2차 생분 해성 고분자 모노필라멘트 스텐트의 조성비는 30 35%: 65 70%의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의 구성비가 바람직하다. 이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브레 이딩한스텐트임에도 소량 첨가된 나이티놀 와이어에 의해 자가팽창이 가능한 최 적의 비율로서, 일체형 스텐트의 조성비에서 금속의 양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므로, 체내 잔류 스텐트의 양을 줄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어, 1차 나이티놀 와이어와 2차 PPLA모노필라멘트의 두 와이어의 결 합을 위하여 이미 브레이딩된 나이티놀 와이어에 PLLA 필라멘트를 걸어주거나 엮어주는 형태로 브레이딩한다. 이를 통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형으 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상기 1 차 및 2 차 와이어가 교차되어 일체형의 망상구조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의 구조는 1 차 및 2 차 와이어가 교차되며 접 촉되는 형태로 와이어의 둘레면이 라운드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나, 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텐트의 구조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서로 다른 와이어 와의 접촉이 불안정하지 않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수축 및 팽창 함에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의 구조를 형성할 때, 복수개의 와이어 (100)의 둘레면 이 라운드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가서로 교차되는 교차지점에서 와이어는 접촉되 는 다른 와이어와 일대일 (1: 1)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다대일의 점 접촉이 있거 나, 적은 면적의 선 또는 면으로 접촉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텐트는 시술 시에 혈관에 삽입되어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인체 내 에 고정되어 내강을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밀착된 스텐트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 액 순환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정의 강성 및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구성 될 수 있다.
이때, 1차금속 와이어로서는 나이티놀 와이어가 바람직하다. 또한, 나이 티놀 (nitinol)은 Ni-Ti 합금의 일종으로, 형상 기억을 갖는 합금으로서, 가장 일반 적인 것은 55-nitinol 이며, Ni 54 내지 56 중량 %, 나머지 Ti로 구성될 수 있으 며, 내식성이 좋으며, 자성이 없고, 0.234 lb/in3의 비교적 낮은 밀도를 갖는다. 이어, 2차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생체 내 또는자연환경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PLLA 모노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가령, 락트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ic acid)의 공중합체 혹은 단일중합체; 포도당 유도 체 등 탄수화물 유래 모노머를 구성분자로 하는 중합체; 알긴산 둥 생분해성 하 이드로젤; 또는 폴리펩티드, 다당류,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같은 천연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biodegradable polymers)로는 폴 리락티드 (PLA, Polylactide), 폴리 -L-락티드 (PLLA, Poly-L-lactide), 폴리글리콜 리드 (PGA, Polyglicolide), 폴리락티드-코 -글리콜리드 (PLGA, Polylactide-co- glicolide), 폴리 ε-카프로락톤 (PCL, Poly ε-caprolactone), 폴리락티드 -코-카프로 락톤 (PLCL, Polylactide-co-caprolactone), 폴리디옥사논 (PDO, Polydioxanone), 폴리 β-히드록시부티레이트 (PHB, Poly β-hydroxybutyrate)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흔합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스텐트는, 1 차로 나이티놀 와이어에 2 차 PLLA 모노필라멘트를 걸어주어 망상의 와이어의 둘레면을 라운드하게 형성 하는 형태로서, 이는 기존의 나이티놀 와이어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스텐트에 비 해 금속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생분해성 필라멘트를 부가함으로써, 초기 압 축 강력과자기 팽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일정기간 경과 후 생분해되어 혈관 내 벽에서의 지속적인 자극 감소와 함께 금속 균열 (fracture)에 의한 혈관손상을 최 소화할수 있다.
도 3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제조과정 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통형 스텐트 (100)는, 먼저 나이티놀 와이 어 원통형 스텐트 구조를 형성하고, 이어 상기 1차 원통형 스텐트에 2차 생분해 성 PLLA원통형 스텐트 구조를 형성하며, 1 차 및 2 차원통형 스텐트 와이어의 결합을 위하여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 (20)의 브레이딩시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 걸어주는 형태로 연결한다.
먼저, 1차 원통형 스텐트는, 단위길이를 갖는 나이티놀 와이어가지그 (30) 의 원주면을 따라 제 1 기준핀 (31) 또는 제 2 기준핀 (32) 등의 다수의 벤딩 포인 트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면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기준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준턴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턴 (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피크부 (lc)와 밸리부 (lb)를 갖고, 상기 피크부 (lc)와 밸리부 (lb)들은 좌우로 경사진 직선부 (la)들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준턴 (1)들은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 (h)와 동 일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된다.
한편, 1차 및 2차의 원통형 스텐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 준턴의 좌우 경사 방향으로 배열 (기준턴의 직선부를 따라 배열)되면서 이와 겹쳐 지는 기준턴의 직선부 (la)들을 코일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다수개의 연결턴 (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턴 (2)들은 기준턴 직선 부 (la)간의 거리 (d)와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준턴 (1)과 연결턴 (2)들에 의해 나이티놀 와이어는 도 3과 같은 단위샐을 형성한다. 이때, 탄성을 가진 나이티놀 와이어 (10)를 셀 (cell) 크기 d=6mm인 성긴 구조로 1차브레이딩을 통홰 단위샐을 형성할수 있다. 이 어서, 그 위에 생분해성 PLLA 모노 필라멘트 (20)로 셀 크기가 d=3mm 로 상기 나이티놀 와이어의 셀 크기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덜 성긴 구조로 2 차브레이딩 을통해 단위셀을 형성할수 있다.
상기 도 3 의 단위셀에는 서로 교차되지 않은 상태로 배열된 기준턴 (1)들 을 코일상으로 감으면서 메쉬상으로 연결하는 연결턴 (2)이 있어서, 스텐트의 유 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턴 (2)들이 이와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 (la)들을 코일상으로 감고 있어서 팽창성도 우수하다. 또한, 연결턴 (2)이 기준턴 의 직선부 (la)를 감는 회수는 2~10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자세히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스텐트 제작용 지그 (30)의 제 1 기준핀 (31)과 제 2 기준핀 (32)을 따라 나이티놀 와이어를 지그재로 일회전하여 하나의 기준턴 (1)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준턴으로부터 지그 (10)의 아 래방향으로 기준턴 높이 (h)와 동일한 간격 (H) 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또하나의 기준턴 (1)을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원통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되어있는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형성한다.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 과 같이 기준턴의 직선부 (la)들을 좌'우 경사방 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턴 (2)을 형성한다. 이때, 연결턴 (2) 간의 간격은 기준턴 직 선부간 거리 (d)와 동일하도록 조정하며, 연결턴 (2)과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 (la)는 연결턴 (2)으로 감아준다.
상기한 연결턴 (2)의 형성이 완료되면 나이티놀 와이어가 지그 (30)의 제 1 기준핀 (31)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와이어를 매듭하면 제 1 원통형 스텐트의 세 선 작업이 완료된다.
이어 도 7a 내지 도 7c 를 참조하여, 1 차 및 2 차 원통형 스텐트 와이어 의 결합을 위하여 생분해성 PLLA 모노필라멘트 (20)의 브레이딩시 상기 나이티 놀 와이어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LA 모노필라멘트 (20)의 브레이딩을 통한 연결구조에서, 나이티놀 와이어 (10)가 지그의 기준핀 (33)을 통해 원통상으로 감 길 때 윗선과 아래선 나이티놀 와이어로 (10)가 이중으로 꼬인 경우에는 이중으로 꼬인 부분의 사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점선 원형)에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 (20)를 통과시켜 연결시킨다.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조에서, 나이티놀 와이어가 단선 일 경우에는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가 단선의 나이티놀 와이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통과시켜 연결한다. 가령, 나이티놀 와이어 (10)가 단선일 경우에 기준 핀 (35)과 기준핀 (36)을 연결하는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 (20)가 나이티놀 와 이어 (10)의 위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면, 기준핀 (34)와 기준핀 (37)을 연결하는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 (20)는 나이티놀 와이어 (10)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연 결한다 (각각, 빨간색으로 표시된 점선 원형 참조 )·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핀 (39)의 윗선의 PPLA 모노필라멘트 와 이어 (20)가 나이티놀 와이어 (10)의 위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면 기준핀 (38)의 아래 선의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는 나이티놀 와이어 (10)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연결한다 (각각, 빨간색으로 표시된 점선 원형 참조). 이를 통해, 상기 윗선과 아 래선에서 형성되는 나이티놀 와이어의 셀과 PPLA 모노필라멘트 와이어의 셀이 그 단면에서 서로 격자무늬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원통형 스텐트의 지그재그 와이어 구조는 제 1 원통형 스텐 트와유사한 패턴을 가지며, 제 1 원통형 스텐트또는 제 2 원통형 스텐트의 지그 재그 와이어는 전술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원통형 구조체의 일단을 형성하는 제 1 기준턴 및 이와 연속적으로 이웃하는 제 2 기준턴, 제 3 기준턴 등 을 형성하게 되는데, 제 1 기준턴의 직선부들은 이웃하는 제 2 기준턴의 피크부들 과 꼬임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기준턴의 직선부들은 이와 이웃하는 제 3 기준턴의 피크부들과 역시 꼬임 형태로 연결되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열처리 과정을살펴보면, 브레이딩된 1차나이티놀 와이어는 지 그 (30)와 함께 400 °C 이상의 가열오븐에서 10-20 분 동안 가열하는 열처리 과 정 후, 2 차 PLLA 모노필라멘트 브레이딩하고, 브레이딩된 PLLA 필라멘트를 100°C 이하 열처리하면서 30분 ~ 4시간서냉한다. 이와 같이, 1차 나이티놀 와 이어는 자가팽창 (Self expansion)을 위한 최적의 열처리가 필요하고 생분해성 필 라멘트 와이어는 용융을 방어하는 최적의 열처리가 필요하며, 이들 각각 열처리 하여 망상의 라운딩 스텐트 구조를 형성할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PPLA 스텐트와 본 발명에 따른 PLLA/Nitinol 스텐트를 비교하면 표 1과 같고, Radial force에서의 0.8N 에서 1.6N으로 2배 향상되고 시술성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다.
【표 1】
o
II O C
II
Figure imgf000013_0001
또한, 약물 코팅시 코팅 용액의 고분자 (PLGA, Polylactide-co-glicolide) 와 스텐트 스트럿 고분자 (PLLA)와의 친화성으로 인해 딥 (dip) 코팅이 가능하여, 고분자 (PLGA)의 표면에 파크리탁샐 (PTX)과 같은 약물의 로딩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4주 또는 8주후의 QCA분석표는 다음표 2와 같다.
【표 2】
Gl(n=5) G4 (n=5) p-value
Pre-implantation 3.68±0.62 4.20±0.38 3.71±0.52 4.10±0.38 0.26 diameter(mm)
4주후
MLD(mm) 3.01士0.52 1.97土 0.81 2.11± 1.66 4.06±0.39 0.013 Diameter 19.0士 12.7 39.3士 18.1 46.8±38.0 4.8士 4.2 0.032 stenosis(%)
8주후
MLD(mm) 3.03±0.46 1.80±1.08 L81±1.67 3·39±0.45 0.108
Diameter 24.6±4.8 47.3±29.8 53.6±42.5 14.6士 6.3 0.172 stenosis(%)
표 2 및 도 8은 G1 (일반 금속 스텐트), G2(PLLA/Nitinol 스텐트, 약물코팅이 없음), G3(PLLA/Nitinol 스텐트, 50% PTX/PLGA 코팅), G4(PLLA/Nitinol 스텐트, 30% PTX/PLGA 코팅)에 대한 최소 내경 (minimal luminal diamete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LA/Nitinol 스텐트 (G2)는 일반 금속 스텐트 (G1) 보다증가된 반경 방향 힘 (radial force)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PLLA/Nitinol 스텐트는 코팅 용액의 고분자 (PLGA, Polylactide-co-glicolide)와 스텐트 스트럿 고분자 (PLLA)와의 친화성으 로 인해 딥 (dip) 코팅이 가능하여, 고분자 (PLGA)의 표면에 파크리탁셀 (PTX)과 같은 약물의 로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코팅 용액의 고분자 (PLGA, Polylactide-co-glicolide)물질의 중량 대비 10 60%의 PTX 약물 코팅을 할 경 우의 luminal diameter를 비교한 것이다. 이때, 30% PTX 약물 코팅 (G4)은 slow releasing 을 나타내고, 50% PTX 약물 코팅 (G3)은 fast releasing 을 나타낸다. 따라서, 30% PTX 약물 코팅 (G4)가 diameter stenosis 및 recoiling에서 좋은 성 능을 구현하므로 PTX 약물 코팅의 범위는 오차 5% 범위에서 25~35%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 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 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하여야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나이티놀 와이어
20: PPLA모노필라멘트 와이어
30: 지그
31, 32, 33, 34, 35, 36, 37, 38, 39: 기준핀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1
단일 길이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금 속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1 스텐트 와,
단일 길이의 생분해성 고분자 모노필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 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모노필라멘트 와이어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 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2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와이어에 상기 모노필라멘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 텐트와상기 제 2 스텐트가서로 접촉되어 교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 한 이중구조의 망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는 나이티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필라멘트 와이어는 PPLA 모노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텐트의 금속 와이어와상기 제 2 스텐트의 모노 필라멘트 와 이어의 연결구조는, 상기 금속 와이어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서로 격자 무늬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스텐트.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원통상으로 감길 때 윗선과 아래 선 금속 와이어로 이증으로꼬인 경우에는 이중으로 꼬인 부분의 사이에 상기 모 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스텐트.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단선일 경우에는 상기 모노 필라 멘트 와이어가 단선의 금속 와이어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통과시켜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에서, 윗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상기 금속 와이어의 위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면 아래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텐트와 상기 제 2 스텐트의 조성비는 1:2 의 구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
【청구항 9]
단일 길이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금 속 와이어가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1 스텐트 를 형성하는 제 1단계와,
단일 길이의 생분해성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 향의 축을 가지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벤딩되어 원 통상으로 감겨진 구조의 제 2 스텐트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와이어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스텐트와 상기 제 2 스텐트가 서로 접촉되어 교차하여 동심형으로 둘레면이 라운드한 망상형 이중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는 나이티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 조방법.
【청구항 1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PPLA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2】
제 9항에 있어서,
윗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상기 금속 와이어의 위를 통과하도록 연 결하면 아래선의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금속 와이어와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서로 격자무늬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원통상으로 감길 때 윗선과 아래선 금속 와이어로 이 중으로 꼬인 경우에는 이중으로 꼬인 부분의 사이에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 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단선일 경우에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 와이어가 단선 의 금속 와이어의 위쪽또는 아래쪽을 통과시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금속 와이어를 40C C 이상에서 열처리하고, 상 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를 i(xrc 이하 열처리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청구항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통형 스텐트 상에 PLGA 고분자 용액을 코팅하고, 상기 PLGA 표면상에 상기 PLGA 고분자 용액 대비 25 35% 범위의 PTX 약물을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
PCT/KR2016/009853 2015-09-04 2016-09-02 의료용 스텐트 WO20170393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69 2015-09-04
KR1020150125769A KR101721485B1 (ko) 2015-09-04 2015-09-04 의료용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389A1 true WO2017039389A1 (ko) 2017-03-09

Family

ID=5818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853 WO2017039389A1 (ko) 2015-09-04 2016-09-02 의료용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1485B1 (ko)
WO (1) WO2017039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74B1 (ko) * 2017-07-10 2019-05-08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분해성 스텐트 제조 방법
KR102561897B1 (ko) * 2021-01-27 2023-08-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150B1 (ko) * 2022-04-15 2023-05-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520A (ja) * 2004-01-22 2007-07-1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医療装置
KR20080009052A (ko) * 2005-02-04 2008-01-24 폴리-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섬유-강화 복합체 흡수성 내뇨관 스텐트
JP2009056314A (ja) * 1999-02-01 2009-03-19 Univ Texas Syst 織物血管内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法およびその搬送用装置
KR20100045211A (ko) * 2008-10-23 2010-05-03 (주) 태웅메디칼 체내 분해성 2중 구조 스텐트
KR20140056607A (ko) * 2012-10-30 2014-05-12 주식회사 제노스 듀얼 코팅 스텐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1084C (zh) 2000-03-13 2006-06-28 伊垣敬二 血管支撑架用线材及用此线材的血管支撑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314A (ja) * 1999-02-01 2009-03-19 Univ Texas Syst 織物血管内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法およびその搬送用装置
JP2007518520A (ja) * 2004-01-22 2007-07-1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医療装置
KR20080009052A (ko) * 2005-02-04 2008-01-24 폴리-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섬유-강화 복합체 흡수성 내뇨관 스텐트
KR20100045211A (ko) * 2008-10-23 2010-05-03 (주) 태웅메디칼 체내 분해성 2중 구조 스텐트
KR20140056607A (ko) * 2012-10-30 2014-05-12 주식회사 제노스 듀얼 코팅 스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8975B1 (ko) 2020-08-12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081A (ko) 2017-03-15
KR101721485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108B2 (en) Tubular implant
US7833260B2 (en) Bioabsorbable polymeric medical device
US7846197B2 (en) Bioabsorbable polymeric medical device
EP2326292B1 (en) Self-expanding medical device
RU2750637C1 (ru) Гибкий стент и система катетер - стент
WO2017039389A1 (ko) 의료용 스텐트
JP2005514106A (ja) 腸管内に埋設可能なプロテーゼ
CN112617949B (zh) 弹簧圈及其制备方法
CN112312936A (zh) 生物可吸收的导流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3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423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