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150B1 -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 Google Patents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150B1
KR102538150B1 KR1020220046935A KR20220046935A KR102538150B1 KR 102538150 B1 KR102538150 B1 KR 102538150B1 KR 1020220046935 A KR1020220046935 A KR 1020220046935A KR 20220046935 A KR20220046935 A KR 20220046935A KR 102538150 B1 KR102538150 B1 KR 102538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rts
wire parts
stent
vasospa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adsorbability or resorbability, i.e. in adsorption or resorptio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89The prosthesis being coated or cover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97Coating or prosthesis-covering structure made of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및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제2 와이어부는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A stents for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spasms}
본 발명은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열된 뇌동맥류에 대한 코일 색전술의 시행 시 혈관을 유지시키면서 뇌혈관연축(vasospasm) 등을 방지하는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후 1주에서 3주사이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합병증으로 뇌혈관 연축이 있다.
뇌혈관 연축은 뇌지주막하 출혈 후 발생하는 가역적인 뇌혈관 수축으로 뇌동맥류 재파열 다음으로 환자의 사망 및 신경학적 장애와 연관된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뇌혈관 연축은 뇌동맥류 파열 후 4~14일 사이에 발생하는데 주로 6~10일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가 2일 이후 저절로 호전된다. 혈관 검사상 혈관연축은 CTA, MRA, DSA와 같은 영상 검사에서 좁아진 동맥이 관찰되는 경우를 말하며 저자에 따라 20~90%까지 보고하고 있지만 보통 50~60%에서 관찰된다.
상기한 뇌혈관 연축은 지연성 뇌허혈 및 이로 인한 뇌경색의 주요 원인이다. 2007년 보고에 의하면 2,741명의 뇌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26%에서 뇌경색이 발생하였고 이는 불량한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전술한 뇌혈관 연축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치료법으로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Triple H (유도성 고혈압(induced hypertension), 과혈증(hypervolemia), 혈청희석(hemodilution))라는 치료법이 있으며 이는 혈압을 높이고, 혈액량을 늘리고, 혈액을 희석하는 일반적 처치이다.
두번째는 동맥내 약물치료로 뇌혈관 인터벤션을 통해 미세카테터(microcatheter)를 해당 병변에 위치시킨 후 미세카테터(microcatheter)를 통해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인 니카르디핀(nicardipine)이나 니모디핀(nimodipine)을 혈관 내로 주입(injection)하여 혈관 내피세포를 통해 혈관에 칼슘통로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를 작용시켜 혈관 근육의 경련이나 발작(spasm)을 막는 방법으로 심한 뇌혈관 연축 환자가 있을 때 많이 시행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혈관 내의 약품 농도가 지속적이지 않아 이런 치료를 반복해야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5847호(2003.06.1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뇌동맥류에 대한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시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는 혈관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혈관으로 칼슘통로차단제를 방출하여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하는 뇌혈관 연축에 대한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3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상기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3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이고, 상기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뇌혈관연축(vasospasm)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팅부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3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뇌동맥류에 대한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시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는 혈관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혈관으로 칼슘통로차단제를 방출하여 뇌혈관연축(vasospasm)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가 동맥류가 발생된 동맥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에 구비된 제2 와이어부 및 코팅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의 (a)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가 동맥류가 발생된 동맥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부(110), 제2 와이어부(120) 및 코팅부(130)를 포함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변(예시적으로 동맥류) 위치에 있는 동맥(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와이어부(110)는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와이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제1 와이어부(110)는 상면 및 하면은 평평하고, 측부만 라운딩처리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제1 와이어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동맥(10))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킨다.
도 3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2 와이어부(120)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교차되어 결합되고, 다수로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는 도 1 내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와이어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와 같이 상면 및 하면은 평평하고, 측부만 라운딩처리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2 와이어부(120)가 제1 와이어부(110)보다 넓고 크게 형성되는 이유는 제2 와이어부(120)에 최대한 많은 양의 코팅부(130)가 도포되도록 하여 혈관으로 방출되는 코팅부(130)를 통한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혈관에 대한 제2 와이어부(12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상기한 효과를 배가시킨다.
아울러, 제2 와이어부(120)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팅부(130)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된다.
이와 같이 제2 와이어부(120)를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접촉면적이 넓은 와이어가 혈관에 오랜 기간 동안 밀착되어 있을 경우 혈관 주변의 조직이 와이어에 밀착됨에 따라 떼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제1 와이어부(110)보다 접촉면적이 넓은 제2 와이어부(120)가 생분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에 구비된 제2 와이어부 및 코팅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팅부(130)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에 도포되어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 코팅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와이어부(1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도포되어 형성된다.
또한, 코팅부(130)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일 수 있다.
상기한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한다.
이를 위한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제2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2, 도 3의 (b),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설명하도록 하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와이어부(도 3의 (b) 참고)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부(110), 제2 와이어부(120), 코팅부(130) 및 제3 와이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부(110)는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와이어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킨다.
제2 와이어부(120)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교차되어 결합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한 이유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이에 따른 제2 와이어부(120)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팅부(130)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된다.
코팅부(130)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에 도포되어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코팅부(130)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이다.
구체적으로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3 와이어부(140)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에 결합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3 와이어부(14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3 와이어부(140)는 형상 및 크기가 제1 와이어부(110)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다만, 제3 와이어부(140)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와이어부(110)와 상이하다.
상기한 제3 와이어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와 마찬가지로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킨다.
3.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제3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2, 도 3의 (c)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설명하도록 하되,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하며, 제3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와이어부(도 3의 (c) 참고)를 더 포함하며, 제2 실시예의 제3 와이어부와 형성되는 방향이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2,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부(110), 제2 와이어부(120), 코팅부(130) 및 제3 와이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부(110)는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제1 와이어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며, 상기한 제1 와이어부(110)는 제1, 2 실시예의 제1 와이어부(1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제2 와이어부(120)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교차되어 결합되며,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한 제2 와이어부(120)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팅부(130)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된다.
위와 같은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2 실시예의 제2 와이어부(1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코팅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에 도포되어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코팅부(130)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이다.
구체적으로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한다.
제3 와이어부(140)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에 결합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3 와이어부(14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3 와이어부(140)는 형상 및 크기가 제1 와이어부(110)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다만, 제3 와이어부(140)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와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제1 와이어부(110) 및 제2 실시예의 제3 와이어부(140)와 상이하다.
상기한 제3 와이어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와 마찬가지로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킨다.
4.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제4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2, 도 3의 (d)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를 설명하도록 하되, 제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하며, 제4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100)는 제1 와이어부(110), 제2 와이어부(120) 및 코팅부(1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와이어부(11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며, 다수로 형성된다.
다만, 제1 와이어부(110)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는 것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고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d)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110)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12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를 각각 첫번째 제1 와이어부, 두번째 제1 와이어부, 세번째 제1 와이어부라고 하고,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를 각각 첫번째 제2 와이어부, 두번째 제2 와이어부, 세번째 제2 와이어부라고 한다면, 첫번째 제1 와이어부와 두번째 제1 와이어부 사이에 첫번째 제2 와이어부가 배치되고, 두번째 제1 와이어부와 세번째 제1 와이어부 사이에 두번째 제2 와이어부가 배치된다는 것이다.
즉,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120)가 교번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110)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12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120)도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제1 와이어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제1 와이어부(110)는 형상 및 크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제2 와이어부(12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제1 와이어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보다 넓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2 와이어부(120)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팅부(130)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된다.
이와 같은 제2 와이어부(120)는 형상 및 크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코팅부(130)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에 도포되어 다수의 제2 와이어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코팅부(130)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이다.
구체적으로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한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혈관경련수축, 혈관연축, 혈관경련 (vasospasm) 및 혈관발작(spasm)을 방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뇌동맥류에 대한 코일 색전술을 시행할 시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는 혈관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혈관으로 칼슘통로차단제를 방출하여 뇌혈관연축(vasospasm)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동맥
100: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110: 제1 와이어부
120: 제2 와이어부
130: 코팅부
140: 제3 와이어부

Claims (11)

  1.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의 내부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내측 및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동맥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팅부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2.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3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내측 및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동맥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팅부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3.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상기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및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가 이루는 내부공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와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3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제2 와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내측 및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동맥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팅부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4.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와이어부; 및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에 도포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보다 내측 및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동맥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팅부가 혈관에 방출된 후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이고,
    상기 칼슘통로차단제는 혈관으로 방출되면서 뇌혈관연축(vasospasm)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통로차단제는 니카르디핀(nicardipine), 니모디핀(nimodipine), 디히드로피리딘계의 니페디빈, 니카르디빈 및 파파베린유도체의 베라파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7. 삭제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혈관의 내부공간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10.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3 와이어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중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와이어부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2 와이어부 중 반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와이어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혈관 연축 치료를 위한 스텐트.
KR1020220046935A 2022-04-15 2022-04-15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KR10253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35A KR102538150B1 (ko) 2022-04-15 2022-04-15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35A KR102538150B1 (ko) 2022-04-15 2022-04-15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150B1 true KR102538150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35A KR102538150B1 (ko) 2022-04-15 2022-04-15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1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18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5525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약물 방출 조절형 생분해성 스텐트용 약물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코팅제로 코팅된 생분해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5422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융합성 혈관용 스텐트
KR20170029081A (ko) * 2015-09-04 2017-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스텐트
KR20210041524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와인 스텐트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텐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187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5525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약물 방출 조절형 생분해성 스텐트용 약물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코팅제로 코팅된 생분해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5422A (ko) * 2014-06-19 2015-12-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융합성 혈관용 스텐트
KR20170029081A (ko) * 2015-09-04 2017-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스텐트
KR20210041524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와인 스텐트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1162B2 (en) Occlusion device
AU2018217310B2 (en) Variable porosity intra vascular implant manufacturing method
Lang Transcatheter embolization in management of hemorrhage from duodenal ulcer: long-term results and complications.
AU2013304936B2 (en) Implant
US6165194A (en) Intravascular flow modifier and reinforcement device
Canadian Neurosurgical Society practice guidelines review group Current management of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guidelines from the Canadian Neurosurgical Society
CN101687088A (zh) 阻塞血管缺损的多层编织结构
US11065096B2 (en) Thromboembolic protective flow-diverting, common carotid to external carotid intravascular stent
KR102538150B1 (ko) 뇌혈관 연축의 치료를 위한 스텐트
JP7467044B2 (ja) 編組インプラントを使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3050520A1 (zh) 一种瘤颈封堵装置
Matsagas et al. Carotid endarterectomy with bovine pericardium patch angioplasty: mid-term results
US20110276071A1 (en) Vasospasm-reducing aneurysm clip
CN209966659U (zh) 一种新型血管支架
KR20160022597A (ko) 뇌동맥류 색전술용 스텐트
Nariai et al. Distal migration of the flow-redirection endoluminal device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Fujii et al. Effects of diamond-like-carbon coating for ePTFE artificial vascular graft as arteriovenous graft
WO2013183725A1 (ja) 非ヒトモデル動物、非ヒトモデル動物の作製方法及び抗血栓薬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Inoue et al. Incidence of ischemic lesions by diffusion-weighted imaging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with routine shunt usage
CN219271020U (zh) 封堵系统及封堵装置
Tone et al. Unruptured Aneurysmal Shrinkage of the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Following Stent Jailing of the Arterial Orifice: A Case Report
Fusco et al. Surgical and endovascular management of cerebral aneurysms
Kuwayama et al. Double LVIS Jr. stenting of a ruptured proximal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 a case report
Tang et al. Vessel embolization: Transcatheter embolization of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nd aortopulmonary collateral arteries
Ahmad et al. Left Gastric Artery Pseudoaneurysm Complicating Chronic Calcifying Pancreatitis in a Ch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