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569B1 -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569B1
KR102659569B1 KR1020210096585A KR20210096585A KR102659569B1 KR 102659569 B1 KR102659569 B1 KR 102659569B1 KR 1020210096585 A KR1020210096585 A KR 1020210096585A KR 20210096585 A KR20210096585 A KR 20210096585A KR 102659569 B1 KR102659569 B1 KR 10265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factor correction
correction coil
power
coil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339A (ko
Inventor
김현철
정재용
이정수
한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텀, 한택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텀
Priority to KR102021009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3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TV,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구비되어서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기기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공(111a)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중앙공(111a)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관(11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되고, 끼움관(112)에 외삽되고,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중앙에는 끼움관(112)에 외삽되어서 끼움고정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되어서 정형화된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제품의 사이즈를 줄이고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PFC COIL ASSEMBLY FOR POWER BOARD OF VEDIO DEVICE AND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 비용과 제작 공수를 줄이고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EMI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V,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영상기기에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해당 영상기기의 동작 전압에 맞도록 전력값을 변환시켜주는 모듈형의 파워보드(Power Board, 전력변환모듈)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기기의 파워보드는 최근에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는 입력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여 전원 효율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역률보상코일(PFC 코일, power factor correction coil)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 전원의 전류파형이 사인파가 아닌 펄스형태로 될 때 역률이 저하되며, 역률이 저하되면 전력 손실이 증가하여 전력 품질을 저하시키고 에너지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전압의 위상보다 전류의 위상이 늦게 도달하는 것이 역률 저하의 원인이므로 부하와 역률보상회로를 병렬 연결시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최대한 일치하도록 하면 역률을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역률보상코일은 상하로 분리된 자기 코어를 에폭시나 테이프로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내습 등 환경 신뢰성에 취약하며, 단자부 납땜으로 인한 접촉 불량 문제, 구동시 발열 문제, 부피가 큰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기술이 특허등록번호 제 10-2066735 호(공고일: 2020년 01월 15일)에 의한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 특허등록번호 제 10-2066735 호에 의한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발명은 그 등록공보에 상술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위 특허등록번호 제 10-2066735 호에 의한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보빈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식으로 역률보상코일을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위 위 특허등록번호 제 10-2066735 호에 의한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기술은 보빈에 권선 공정시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권선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했으므로 권선의 정렬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므로 권선되는 와이어의 점용 공간이 커져서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 10-2066735 호(공고일: 2020.01.15)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757564호(공고일: 2007.09.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목적은,
첫째, EMI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보빈에 권선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품의 제작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아지도록 하며,
셋째,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를 보빈에 권선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TV,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구비되어서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기기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공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재치되고, 상기 끼움관에 외삽되어서 고정되어서,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관에 외삽되어서 끼움고정되기 위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는,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되어서 정형화된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끼움관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는 단계와, 끼움공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된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정형화된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와, 역률보상코일 뭉치의 끼움공을 끼움관에 끼움 고정하여서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EMI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보빈에 권선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품의 제작이 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제작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를 보빈에 권선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100A)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베이스(100A)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정형화된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S412)의 상세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자 와이어(201)를 홀딩하기 위한 제1 홀딩구(151)를 채택한 경우의 주요부 구성도로서, 도 11의 (a)는 케이싱 바디(110B)에 제1 홀딩구(151)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11의 (b)는 단자 와이어(201)가 제1 홀딩구(151)에 홀딩된 상태에서 케이싱 바디(110B)에 제1 홀딩구(151)가 체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자 와이어(201)를 홀딩하기 위한 제2 홀딩구(152)를 채택한 경우의 주요부 구성도로서, 도 12의 (a)는 케이싱 바디(110B)에 제2 홀딩구(152)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12의 (b)는 단자 와이어(201)가 제2 홀딩구(152)에 홀딩된 상태에서 케이싱 바디(110B)에 제2 홀딩구(152)가 체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자 와이어(201)를 홀딩하기 위한 제3 홀딩구(153)를 채택한 경우의 주요부 구성도로서, 도 13의 (a)는 케이싱 바디(110B)에 제3 홀딩구(153)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13의 (b)는 단자 와이어(201)가 제3 홀딩구(153)에 홀딩된 상태에서 케이싱 바디(110B)에 제2 홀딩구(152)가 체결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TV,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전력변환모듈)에 구비되어서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기기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공(111a)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중앙공(111a)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관(11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되고, 상기 끼움관(112)에 외삽되고,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관(112)에 외삽되어서 끼움고정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형성하는 각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되어서 정형화된 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보빈에 권선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에, 권선의 정렬이 균일하게(고르게) 되어서 EMI 특성이 좋아지고 특성 편차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하므로 종래의 보빈에 권선하는 방식에 비하여 작업 방법이 쉽게 진행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정형화하여서 끼움 고정하므로 동일한 자기용량을 가지는 경우 와이어의 턴수를 작게해도 되므로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권선방식은 외면이 울퉁불퉁하여서 절연테이프로 외부를 감았으나, 본원 발명은 정형화 제작하므로 절연테이프에 의한 테이핑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 대해서 휘어지는 성질이 없이 하드(hard)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정밀 성형이 되어서 EMI 특성이 좋아지고 전기적 특성의 편차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를 융착제(예컨대, 폴리아미드 재질)로 피복하고(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융착제 피복 전에 절연제로 절연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융착제 자체가 절연물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피복된 도전성 와이어에 피복된 융착제를 예컨대 용제(예: 알콜)에 의해서 녹이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녹이며, 융착제가 녹아 있는 상태의 도전성 와이어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끼움공(210)이 형성되도록 권선지그를 이용하여서 감겨져서 코일 뭉치를 형성하며, 코일 뭉치에서 녹아 있는 융착제가 경화되어서 도전성 와이어 상호간이 서로 융착 성형되어서 정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부 자기코어(310)와 상부 자기코어(3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자기코어(310)는 중앙에 중족(311)이 돌출 형성되고, 중족(311)의 좌우측으로 외족(312)이 돌출 형성되며, 중족(311)과 외족(312)사이에는 하부 삽입공간(31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자기코어(320)는 중앙에 중족(321)이 돌출 형성되고, 중족(321)의 좌우측으로 외족(322)이 돌출 형성되며, 중족(321)과 외족(322)사이에는 상부 삽입공간(323)이 형성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3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끼움 고정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끼움 고정하고, 상부 자기코어(320)를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일측에 돌출 형성된 단자대(131)와, 상기 단자대(131)에 몰딩 형성되고,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와이어와 결선되고 파워보드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P1)과, 상기 단자대(131)와 높이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타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대(132)와, 상기 고정대(132)에 절곡 형성되는 고정핀(13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에 의하면, 제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서 슬림형의 TV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1), 끼움관(112), 단자대(131) 및 고정대(132)로 이루어져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끼움 고정하고 결선하는 기구물을 베이스(110A)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131)의 내측면(131a)은 코일 뭉치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132)의 내측면(132a)은 코일 뭉치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131)에는 와이어를 단자핀(133)으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홈(131b)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주 코일 뭉치(200A)와, 보조 코일 뭉치(200B)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보조 코일 뭉치(200B)는 상기 주 코일 뭉치(200A)에 비하여 권선수가 적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향 단차 형성되고, 보조 코일을 재치하기 위한 보조코일 재치단(11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코일 재치단(111e)에 상기 보조 코일 뭉치(200B)가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주 코일 뭉치(200A)가 보조 코일 뭉치(200B)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는 하부 자기코어(310)의 하부 삽입공간(313)에 끼워져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8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끼움 고정하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싱(Ca)에 장입되어서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둘레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끼움관(112) 및 둘레부(113)에 의해서 케이싱 바디(11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 바디(110B)의 내부 즉, 둘레부(113)와 끼움관(112)과 베이스플레이트(111)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삽입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상기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되어서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외주면은 상기 둘레부(113)의 내주면(113a)에 밀착되거나 또는 내주면(113a)과 간극을 형성하면서 삽입공간(S1)에 삽입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덮개중앙공(121a)이 형성된 덮개플레이트(121)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21)에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1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덮개(12)는 케이싱 바디(110B)를 개폐하며, 상기 둘레부(113)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끼움관(112)에 끼워져서 상기 케이싱 바디(11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120)가 케이싱 바디(110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케이싱 바디(110B)의 삽입공간(S1)은 덮개(120)에 의해서 닫히게 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싱 바디(110B)와 덮개(120)는 케이싱(Ca)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Ca)은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장입 고정할 수 있는 기구물이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덮개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상부 자기코어(320)가 길이방향(외족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2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하면에는, 하부 자기코어(310)가 길이방향(외족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안착홈(111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부 자기코어(320)와 하부 자기코어(310)를 초기 위치를 유동없이 잡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113)의 내주면(113a)이나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11)에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단자 와이어(201)를 영상기기의 파워보드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홀(145)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덮개플레이트(1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으로 형성되고, 개구 형상의 걸림공(123a)이 형성된 체결날개(12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걸림공(123a)에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둘레부(113)의 내주면(113a)에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20)가 둘레부(113) 쪽인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체결날개(123)가 상기 둘레부(113)의 내주면(113a)을 타고 내려가면서 걸림공(123a)이 걸림돌기(143)에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아래로 하강시키기만 하면 덮개가 둘레부(113)에 걸림 고정되어서 체결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덮개(120)의 덮개중앙공(111a)의 내주연을 따라서 안착돌테(128)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테(128)가 안착되도록 끼움관(112)의 상단에는 안착대(1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20)가 케이싱 바디(110B)를 닫는 경우, 상기 안착돌테(128)가 안착대(112b)가 안착되어서 상기 덮개(120)의 위치를 잡아주면서 유동이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덮개플레이트(121)의 일측에는 케이싱 바디(110B)와 덮개(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싱(Ca)의 내부[즉, 삽입공간(S1)]로 함침액을 넣기 위한 상부 유입구(1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싱(Ca)의 내부[즉, 삽입공간(S1)]로 함침액을 넣기 위한 하부 유입구(14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유입구(127)와 하부 유입구(147)는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둘 중의 어느 하나의 구성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상기 함침액은 케이싱(Ca)의 내부에 구비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케이싱(Ca)의 내부에 함침하고 이후 경화에 의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케이싱(Ca)에 일체화하기 위한 액으로서 예컨대 절연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함침액은 예컨대 예컨대 에폭시 수지액, 바니쉬액, 우레탄 수지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끼움관(112)에 끼워져서 케이싱 바디(110B)와 덮개(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싱(Ca)의 내부에 구비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함침액으로 함침하기 위해서 케이싱(Ca)의 내부로 함침액을 넣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케이싱(Ca)의 내부에 함침액으로 함침하고, 상기 케이싱(Ca)의 내부에 충진된 함침액을 경화(예컨대 열경화)함으로써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Ca)에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Ca)에 일체화 되어 있다는 것은 함침액의 경화에 의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Ca)에 한몸(one body)으로 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와 같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Ca)의 내부에 경화된 함침액에 의해서 일체로 됨으로써,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이 더욱더 견고하게 케이싱(Ca)에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전류의 인가로 인하여 동작시에 코일의 떨림으로 인한 소음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절연 특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단자 와이어(201)를 접속하기 위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단자 와이어(201)를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단자 와이어(201)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양 끝에 위치하여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접속되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와이어의 단부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 안내홀(145)에 구비되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양 끝에 종단되어서 단자로 이용되는 단자 와이어(201)가 흔들리거나 유격이 없이 영상기기의 파워보드로 인출되도록 단자 와이어(201)를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 홀딩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홀딩부재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홀딩부재는, 단자 와이어(201)를 통과시키면서 끼우기 위한 제1 끼움홀(15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바디부(151a)와, 상기 제1 바디부(151a)의 상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된 상부 플랜지(151b)와, 상기 제1 바디부(151a)의 하단에서 외향으로 절곡된 하부 플랜지(15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홀딩구(15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홀딩구(151)는 제1 바디부(151a)와 단자 와이어(201) 사이의 간극을 충진하여서 제1 홀딩구(151)와 단자 와이어(201)를 접합하기 위한 제1 땜납부(W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홀딩부재는, 단자 와이어(201)를 통과시키면서 끼우기 위한 제2 끼움홀(152a')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바디부(152a)와, 상기 제2 바디부(152a)의 상단에서 절곡된 상부 플랜지(15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홀딩구(152)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부(152a)의 길이방향[도면을 기준으로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제2 절개슬릿(152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2 절개슬릿(152e)을 채택한 이유는, 제2 홀딩구(152)가 케이싱 바디(110B)의 와이어 안내홀(145)에 끼워졌을 때 마찰력과 텐션이 작용되어서 케이싱 바디(110B)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 홀딩구(152)는, 상기 제2 바디부(152a)와 단자 와이어(201) 사이의 간극을 충진하여서 제2 홀딩구(152)와 단자 와이어(201)를 접합하기 위한 제2 땜납부(W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홀딩부재는, 단자 와이어(201)가 통과되기 위한 제3 끼움홀(153a')이 형성되어 있는 제3 바디부(153a)와, 상기 제3 바디부(153a)의 상단에서 절개부(153c')가 형성된 C 자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단자 와이어(201)를 코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코킹부(153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3 홀딩구(15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홀딩구(153)는 단자 와이어(201)를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도전성 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바디부(153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3 절개슬릿(153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홀딩구(153)는 금속 시트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사각기둥이나 원형통으로 형성하여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바디부(153a)의 일측에는 제1 고정돌기(153f)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돌기(153f)로부터 이격되어서 제2 고정돌기(153g)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돌기(153f)와 제2 고정돌기(153g)를 채택함으로써, 제3 홀딩구(153)가 와이어 안내홀(145)에 끼워졌을 때에 제3 홀딩구(153)의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나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끼움관(112)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S410).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110A)가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바디(110B) 및 덮개(120)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
그리고, 끼움공(210)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정형화된 형태로 형성된다(S412).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정형화된 형태로 형성되는 과정(S412)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역률보상코일 뭉치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에 융착제를 피복한다(S512).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전성 와이어에 피복된 융착제를 예컨대 용제(예: 알콜)에 의해서 녹이거나 또는 열을 가하여 녹이는 단계(S514)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융착제가 녹아 있는 상태의 도전성 와이어가 서로 밀착되면서 끼움공(210)이 형성되도록 예컨대 권선지그를 이용하여서 감아서 코일 뭉치를 형성한다(S516).
그리고, 코일 뭉치에서 녹아 있는 상태의 융착제를 경화시키면 도전성 와이어 상호간이 서로 융착되어서 정형화된 형태로 성형된다(S518).
녹아 있는 상태의 융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온에 놓아두면 열이 식어서 경화되거나 또는 휘발성 용매가 휘발되면서 경화된다.
다음으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끼움공(210)을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하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베이스(110A)에 체결되거나 또는 케이싱 바디(110B)에 체결된다(S414).
즉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끼움공(210)을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하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베이스(110A)에 체결되고(S414),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끼움공(210)을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하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 바디(110B)에 체결된다(S414).
그리고, 제2 실시예 특유의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끼움관(112)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는 단계(S410)는, 끼움관(112)이 중앙에 돌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둘레부(113)가 형성된 케이싱 바디(110B)를 제작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끼움공(210)을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하여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 바디(110B)에 체결되는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케이싱 바디(110B)에 덮개(120)를 체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끼움관(112)에 끼워져서 케이싱 바디(110B)와 덮개(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싱(Ca)의 내부에 구비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함침액(절연액)으로 함침하기 위해서 케이싱(Ca)의 내부로 함침액을 넣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케이싱(Ca)의 내부에 함침액으로 함침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싱(Ca)의 내부에 충진된 함침액을 경화함으로써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케이싱(Ca)에 일체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함침액(절연액)의 경화에 의해서 케이싱(Ca)에 일체화함으로써, 절연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 간의 떨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A : 베이스 110B : 케이싱 바디
Ca : 케이싱
111 : 베이스플레이트 111a : 중앙공
111e : 보조코일 재치단 111f : 제2 안착홈
112 : 끼움관 112b : 안착대
111e : 보조코일재치부 111f : 제2 안착홈
113 : 둘레부 113a : 둘레부의 내주면
S1 : 삽입공간
120 : 덮개 121 : 덮개플레이트
121a : 덮개중앙공 121c : 제1 안착홈
123 : 체결날개 123a : 걸림공
125 : 안착돌테 127 : 상부 유입구
128 : 안착돌테 131 : 단자대
131a : 단자대의 내주면 131b : 와이어 인출홈
132 : 고정대 133 : 단자핀
134 : 고정핀 143 : 걸림돌기
145 : 와이어 안내홀 147 : 하부 유입구
151 : 제1 홀딩구 151a : 제1 바디부
151a' : 제1 끼움홀 151b : 상부 플랜지
151c : 하부 플랜지 W1 : 제1 땜납부
152 : 제2 홀딩구 152a : 제2 바디부
152a' : 제2 끼움홀 152b : 상부 플랜지
152e : 제2 절개슬릿 W2 : 제2 땜납부
153 : 제3 홀딩구 153a : 제3 바디부
153a' : 제3 끼움홀 153c : 코킹부
153c' : 절개부 153e : 제3 절개슬릿
153f : 제1 고정돌기 153g : 제2 고정돌기
200 : 역률보상코일 뭉치
200A : 주 코일 뭉치 200B : 보조 코일 뭉치
210 : 끼움공 201 : 단자 와이어
310 : 하부 자기코어 311 : 중족
312 : 외족 313 : 하부 삽입공간
320 : 상부 자기코어 321 : 중족
322 : 외족 323 : 상부 삽입공간

Claims (4)

  1.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에 구비되어서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기기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중앙공(111a)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중앙공(111a)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움관(11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재치되고, 상기 끼움관(112)에 외삽되고, 교류입력전원의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중앙에는 상기 끼움관(112)에 외삽되어서 끼움고정되기 위한 끼움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도전성 와이어가 상호 융착되어서 정형화된 형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둘레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끼움관(112) 및 둘레부(113)에 의해서 케이싱 바디(11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 바디(110B)의 내부에는 삽입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상기 끼움관(112)에 끼움 고정되어서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 구비되며,
    상기 끼움관(112)에 끼워져서 케이싱 바디(110B)와 덮개(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싱(Ca)의 내부에 구비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함침액으로 함침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싱(Ca)의 내부로 함침액을 넣어서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케이싱(Ca)의 내부에 함침액으로 함침하고,
    상기 케이싱(Ca)의 내부에 충진된 함침액을 경화함으로써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를 상기 케이싱(Ca)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는,
    도전성 와이어를 융착제로 피복하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에 피복된 융착제를 녹이며, 융착제가 녹아 있는 상태의 도전성 와이어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끼움공(210)이 형성되도록 감아서 코일 뭉치를 형성하며, 코일 뭉치에서 녹아 있는 융착제를 경화하여서 도전성 와이어 상호간이 서로 융착되면서 정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중앙공(121a)이 형성된 덮개플레이트(121)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21)에 형성된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1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덮개(120)는 케이싱 바디(110B)를 개폐하며,
    상기 둘레부(113)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역률보상코일 뭉치(200)가 끼움관(112)에 끼워져서 상기 케이싱 바디(11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덮개(120)가 케이싱 바디(110B)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113)의 내주면(113a)이나 베이스플레이트(111)에는,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와이어를 영상기기의 파워보드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홀(1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안내홀(145)에 구비되어서, 역률보상코일 뭉치(200)의 양 끝에 종단되어서 단자로 이용되는 단자 와이어(201)가 흔들리거나 유격이 없이 영상기기의 파워보드로 인출되도록 단자 와이어(201)를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 홀딩부재(151,152,15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KR1020210096585A 2020-02-25 2021-07-22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KR10265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85A KR102659569B1 (ko) 2020-02-25 2021-07-22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78A KR102359294B1 (ko) 2020-02-25 2020-02-25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KR1020210096585A KR102659569B1 (ko) 2020-02-25 2021-07-22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78A Division KR102359294B1 (ko) 2020-02-25 2020-02-25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339A KR20210108339A (ko) 2021-09-02
KR102659569B1 true KR102659569B1 (ko) 2024-04-22

Family

ID=77569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78A KR102359294B1 (ko) 2020-02-25 2020-02-25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KR1020210096585A KR102659569B1 (ko) 2020-02-25 2021-07-22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78A KR102359294B1 (ko) 2020-02-25 2020-02-25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59294B1 (ko)
CN (1) CN1133805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683A (ja) * 2009-07-01 2011-01-20 Tdk Corp 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564B1 (ko) 2005-06-14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100647227B1 (ko) * 2005-08-17 2006-11-23 주식회사 모빌일렉트론 이원화된 소형 트랜스
KR20110008444A (ko) * 2009-07-20 2011-01-27 주식회사 솔레모 코일 성형 장치
KR101275472B1 (ko) * 2010-12-20 2013-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5890334B2 (ja) * 2013-02-04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アクトル
KR20150050025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150144261A (ko) * 2014-06-16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110344B1 (ko) 2018-12-28 2020-05-14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CN110233030B (zh) * 2019-07-08 2020-06-30 文登市迈世腾电子有限公司 Pfc线圈装置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683A (ja) * 2009-07-01 2011-01-20 Tdk Corp 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80518A (zh) 2021-09-10
KR20210108339A (ko) 2021-09-02
KR102359294B1 (ko) 2022-02-07
KR20210108022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8125B2 (ja) ケースユニット及び電子部品
US8779883B2 (en) Coil device
EP2012330A2 (en) Insulating cover-equipped transformer mounted on circuit board
JP6354304B2 (ja)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8773234B2 (en) Transformer
KR102659569B1 (ko) 영상기기의 파워보드용 역률보상코일 어셈블리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20140197914A1 (en) Transformer assemblies with moveable terminal blocks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00241A (zh) 多路开关电源变压器及其制备方法
KR102210425B1 (ko) 변압기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2359297B1 (ko) Smps용 변압기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H0831381B2 (ja) 変成器
KR102194177B1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CN108428539B (zh) 线圈装置
JP3344954B2 (ja)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KR20210129784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55228U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09246257A (ja) コイル部品
JP3512758B2 (ja) 小型トランス
JP3063084B2 (ja) 電源装置の主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5173B2 (ja) コイル装置
JP2008311394A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