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57B1 -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 Google Patents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57B1
KR102659457B1 KR1020220001228A KR20220001228A KR102659457B1 KR 102659457 B1 KR102659457 B1 KR 102659457B1 KR 1020220001228 A KR1020220001228 A KR 1020220001228A KR 20220001228 A KR20220001228 A KR 20220001228A KR 102659457 B1 KR102659457 B1 KR 102659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fire prevention
prevention film
tobacco
cigaret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778A (ko
Inventor
변종원
변유신
Original Assignee
변종원
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원, 변유신 filed Critical 변종원
Priority to KR102022000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5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18Extinguisher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0Means for cutting-off the glowing ash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초형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이다.

Description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Tobacco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연초형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소비되고 있는 담배는 담뱃잎에 불을 붙여 태운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연초형 담배와, 담뱃잎을 쪄서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궐련형 전자담배와, 액체를 가열하여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액상전자담배 등이 있다.
이러한 담배들에서 연초형 담배의 경우 담뱃잎에 직접 불을 붙여서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이므로 담배로 인해 많은 화재가 일어났으며, 이러한 화재예방을 위해 많은 담배가 개발되었다.
화재방지를 위한 기능이 있는 담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050100호에 제안되어 있는 궐련연소강하제로 처리된 궐련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안전 담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디우탄검(Diutan Gum), 담머검(Darmar gum), 겔란검(Gellan gum) 및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궐련연소 강하제가 궐련지의 외측, 내측 또는 양측 모두 밴드형으로 코팅처리 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형으로 코팅처리된 영역은 폭이 4~20mm이며, 4~40mm 간격의 복수개의 밴드형이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연소강하제로 처리된 궐련지가 제안되어 있는데, 궐련연소 강하제가 담배를 태울 때 같이 태워짐으로 인해서 담배연기에 이물질에 의한 연기로 인해 소비자가 꺼리게 되고, 특히 건강에 더욱 해로울 수 있는 우려가 높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6790호에 제안되어 있는 화재 안전 담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연초와 상기 연초를 둘러싸는 궐련지로 이루어진 연초부와 상기 연초부의 후단부와 결합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담배에 있어서, 중심부에 상기 연초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환형의 소화 부재가 상기 궐련지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궐련지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상기 통과구멍의 내주면 전체가 상기 소화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 궐련지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안전 담배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식 역시 환형의 소화 부재가 담배가 탈 때 같이 태워질 수 있고 특정한 위치에 소화 부재가 인위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담배의 낭비가 심하게 일어나게 되어 소비자가 외면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0100호(2011. 7. 1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6790호(2015. 9. 2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담뱃갑에 들어가 있는 담배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있어서, 소비한 담배만큼 화재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플루오르화 케톤이 캡슐형태로 들어가 있어서 담배 불씨에 대한 소화효과를 높이고, 화재방지필름의 부착을 위한 접착물질에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난연성분이나 불연성분을 일정량 함유시켜 화재방지효과를 더욱 높인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는 연초형 담배에 있어서, 담배가 수납되는 담뱃갑과, 상기 담뱃갑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화재방지필름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는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담뱃갑에 들어가 있는 담배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있어서, 소비한 담배만큼 화재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플루오르화 케톤이 캡슐형태로 들어가 있어서 담배 불씨에 대한 소화효과를 높이고, 화재방지필름의 부착을 위한 접착물질에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난연성분이나 불연성분을 일정량 함유시켜 화재방지효과를 더욱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타관점에서 본 전체구성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설명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본 발명은 연초형 담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타관점에서 본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설명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는 연초형 담배에 있어서, 담배(1)가 수납되는 담뱃갑(10)과, 상기 담뱃갑(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화재방지필름(20)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은 라이터에 의해 담뱃잎에 불을 붙여 연기를 흡입하는 연초형 담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담뱃갑(10)은 담배(1)가 수납되는 박스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외면을 가지고 상부에는 담뱃갑(10)의 개폐를 위해 뚜껑(11)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담배(1)가 수납된다.
상기 담뱃갑(10)의 표면에는 화재방지필름(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 불씨 쪽에 화재방지필름(20)을 붙이면 화재방지필름(20) 자체의 연소작용과 함께 담배 불씨 쪽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담배 불씨를 끄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담뱃갑(10)에 들어가 있는 담배(1)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있다.
즉, 화재방지필름(20)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담뱃갑(10)에 들어가 있는 담배(1)의 수와 같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구성함으로써, 담배(1)를 태운 다음 하나씩 담뱃갑(10)에서 떼 내어 담배 불씨에 붙여 담배 불씨를 소화시킬 수 있다.
담배의 수가 20개가 들어가 있는 담뱃갑의 경우 화재방지필름(20)은 최소 20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2~5개 정도의 화재방지필름(20)을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담뱃갑(10)에 접착물질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플루오르화케톤이 캡슐형태로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플루오르화케톤(Fluorinated Ketone)은 케톤에서 수소 원자를 플루오린으로 치환해 인위적으로 만든 물질로 2002년 3M사가 'Novec 1230'이란 코드네임으로 제작한 새로운 방화제이며, 화학식은 CF3CF2OCF(CF3)2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플루오르화케톤을 캡슐 형태로 만들어 화재방지필름(20)을 만들 때 일정량 섞어주거나 부착시켜 줌으로써 담배 불씨의 열기가 화재방지필름(20) 쪽으로 전달되면 캡슐 내부에 들어가 있는 플루오르화케톤이 캡슐 밖으로 나오면서 담배 불씨의 열기를 뺏고 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플루오르화케톤은 물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 액체이며, 어는점은 영하 108℃이고, 끓는점이 49℃로 물보다 훨씬 낮다. 따라서 상온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지만 담배 불씨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면 빠르게 기화하고, 상온에서의 증기압은 물과 비교했을 때 12배나 크고 상온에서의 증발잠열은 물보다 25배나 작으므로 담배 불씨의 열에 의해 빠르게 기화하여 담배 불씨를 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에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난연성분이나 불연성분이 일정량 함유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물질에는 인화성 물질이 일정량 함유되게 되므로, 화재방지필름의 부착을 위해 사용된 접착물질로 인해 담배 불씨를 더욱 키울 수 있으므로,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난연성분이나 불연성분을 함유시켜 접착물질의 인화성을 떨어뜨리거나, 접착물질 자체를 불연성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분할된 크기가 너무 작아서 담배 불씨를 감싸는데 충분하지 않다면, 화재방지필름(20)의 크기를 크게 하고 여러 장을 덧대어 담뱃갑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상기 담뱃갑(10)은 담배(1)가 수납되는 담배수납공간(12)과 담배를 피운 다음 담배꽁초를 넣을 수 있는 꽁초수납공간(13)이 칸막이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담뱃값(10)을 열기 위한 뚜껑(11)도 담배수납공간(12)과 꽁초수납공간(13)의 크기에 맞도록 분할되어 구성된다.
즉, 담뱃갑(10) 내부에 연초담배의 수납을 위한 담배수납공간(12)과,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꽁초를 수납하는 꽁초수납공간(13)을 칸막이(14)에 의해 나뉘어 구성함으로써, 길에 버려지는 담배꽁초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화재방지필름(20)에 꽁초를 싸서 꽁초수납공간(13)에 넣게 됨으로써 화재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꽁초수납공간(13)의 상부에는 담배꽁초로 인한 냄새가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별도의 개폐뚜껑(11a)을 담뱃갑(10)에 설치하여 담배꽁초로 인한 악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뚜껑(11a) 내부에는 악취제거를 위해 방향제를 부가 구성하여 악취제거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14)는 담뱃갑(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최초 꽁초수납공간(13)에도 담배를 수납한 다음 수납된 담배(1)를 꺼냄으로써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로써, 담뱃갑(10)에는 특정한 상표나 사진 또는 경고문구와 같은 원 도안(15)이 인쇄되고, 상기 화재방지필름(20)에는 원 도안(15)과 동일한 형상의 필름 도안(21)이 인쇄되어 있다.
즉, 담뱃갑(10)에는 담배의 상표를 비롯해서 건강상 유익하지 못한 점 등을 기재하고, 담배로 발생한 질병이 있는 사람의 사진 등이 인쇄되어 있는데, 담뱃갑(10)에 인쇄되어 있는 도안과 동일한 형상의 필름 도안(21)을 화재방지필름(20)에 인쇄함으로써, 도안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화재방지필름(20)을 하나씩 분리할 때마다 담뱃갑(10)에 인쇄되어 있는 도안을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 도안(15)과 필름 도안(21)을 서로 다르게 인쇄하여 사용자가 화재방지필름(20)을 떼 내어 사용할 때마다 원 도안(15)의 완성률을 높이도록 하여 화재방지필름의 사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담뱃갑(10)의 전면과 배면에만 화재방지필름(20)을 부착하였으나, 도 8과 같이 화재방지필름(20)의 부착면적을 늘리기 위해 담뱃갑(10)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에도 화재방지필름(20)을 부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면적의 확대는 개별 화재방지필름(20)의 크기를 키워서 담배 불씨를 감싸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는 담뱃잎을 연소시켜 태우는 연초형 담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담뱃갑의 표면에 화재방지필름을 부착하여, 담배를 태운 다음 담배의 불씨 부분에 화재방지필름을 붙여 담배의 불씨를 완전히 끔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담뱃갑에 들어가 있는 담배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있어서, 소비한 담배만큼 화재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화재방지필름은 플루오르화 케톤이 캡슐형태로 들어가 있어서 담배 불씨에 대한 소화효과를 높이고, 화재방지필름의 부착을 위한 접착물질에는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난연성분이나 불연성분을 일정량 함유시켜 화재방지효과를 더욱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담배
10. 담뱃갑 11. 뚜껑
12. 담배수납공간 13. 꽁초수납공간
14. 칸막이 15. 원 도안
20. 화재방지필름 21. 필름 도안

Claims (6)

  1. 연초형 담배에 있어서,
    담배(1)가 수납되는 담뱃갑(10)과, 상기 담뱃갑(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화재방지필름(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담뱃갑(10)에 들어가 있는 담배(1)의 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수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담뱃갑(10)에는 특정한 상표나 사진 또는 경고문구와 같은 원 도안(15)이 인쇄되고, 상기 화재방지필름(20)에도 도안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담뱃갑(10)에 인쇄되어 있는 원 도안(15)과 화재방지필름(20)에 인쇄되어 있는 필름 도안(21)을 서로 다르게 인쇄하여 사용자가 화재방지필름(20)을 떼 내어 사용할 때마다 원 도안(15)의 완성률을 높이도록 하여 화재방지필름(20)의 사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담뱃갑(10)에 접착물질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방지필름(20)은 플루오르화케톤이 캡슐형태로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인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뱃갑(10)은 담배(1)가 수납되는 담배수납공간(12)과 담배를 피운 다음 담배꽁초를 넣을 수 있는 꽁초수납공간(13)이 칸막이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담뱃값(10)을 열기 위한 뚜껑(11)도 담배수납공간(12)과 꽁초수납공간(13)의 크기에 맞도록 분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6. 삭제
KR1020220001228A 2022-01-04 2022-01-04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KR10265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28A KR102659457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28A KR102659457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78A KR20230105778A (ko) 2023-07-12
KR102659457B1 true KR102659457B1 (ko) 2024-04-23

Family

ID=8716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28A KR102659457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4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43B1 (ko) * 2019-10-08 2021-04-02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736A (en) * 1997-12-16 1999-07-06 Suzuki; Shougo Cigarette package with extinguishing caps
KR100902948B1 (ko) * 2007-08-17 2009-06-12 니시엔터프라이즈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갖는 담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100B1 (ko) 2008-06-26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연소 강하제를 처리한 궐련지와 이를 포함하는화재안전 담배
KR20120003745U (ko) * 2010-11-19 2012-05-30 김상기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KR20150106790A (ko) 2014-03-12 2015-09-22 김마리용 화재 안전 담배
KR20200037573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일회용 재떨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43B1 (ko) * 2019-10-08 2021-04-02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78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6618B (zh) 可破坏的气溶胶生成制品
RU2297781C2 (ru) Искусственно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и его тепловыделяющий элемент
KR100598131B1 (ko) 밀폐형 흡연장치
JP2016527873A (ja) シガレット及びそれらの構造
KR102659457B1 (ko)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KR102660698B1 (ko) 화재방지를 위한 필름이 들어가 있는 연초형 담배
JPH08503379A (ja) 紙巻きタバコの消火・保管装置
WO2002054892A1 (fr) Cigarette
JP6837981B2 (ja) 喫煙物品のための管
JPH06277034A (ja) 紙巻たばこ
KR101258194B1 (ko) 휴대용 담뱃불 소화기
KR20190002150U (ko) 화재 안전 담배
KR101765803B1 (ko) 소화부가 형성된 화재 방지 담배
KR102640876B1 (ko)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JPH10210964A (ja) 防火に役立ち環境に良く副流煙のでないキセル
KR200261156Y1 (ko) 각초 포장 구조
WO2001039618A1 (fr) Unite cylindrique servant d'eteignoir a cigarettes
JP2022552787A (ja) 保持部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JPH1033156A (ja) 煙草消火具
KR20100006297U (ko) 화재 안전 담배
JPH119252A (ja) 防火に役立ち環境に良く副流煙の出ない燃焼支援喫煙具
JP2005137223A (ja) 煙草代用パイプ
KR20210099743A (ko) 에어로졸용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110008411U (ko) 화재 안전 담배
KR200354516Y1 (ko) 금연용 다기능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