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876B1 -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 Google Patents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876B1
KR102640876B1 KR1020230038821A KR20230038821A KR102640876B1 KR 102640876 B1 KR102640876 B1 KR 102640876B1 KR 1020230038821 A KR1020230038821 A KR 1020230038821A KR 20230038821 A KR20230038821 A KR 20230038821A KR 102640876 B1 KR102640876 B1 KR 10264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case
storage space
cigarette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6442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PCT/KR2023/0048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00222A2/ko
Publication of KR2023014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가 수납되는 제1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2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3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3이너케이스로부터 분리되고, 내부에는 소화제가 내장된 소화제 케이스가 배치되는 제4이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케이스, 상기 제2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서로 이웃하도록 수납 공간에 삽입되는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Cigarette case with fire extinguishing agent}
본 발명은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배를 피운 후 담배를 버릴 때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켜 다른 가연성 물질에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주재료인 담뱃잎을 태워 흡연하는 제품이다.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담배의 경우 인화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라이터와 성냥개비와 같은 인화성 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 담배에 불을 붙여 흡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흡연자는 담배를 피운 후 재를 불씨가 남아 있는 재를 털어낸 후 발로 끄거나 재떨이에 담배를 비벼 산소를 차단시켜 불씨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불씨가 바람에 날리거나 제대로 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연성 물질과 만나게 되는 경우 화재로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담배꽁초는 세계적인 문제의 하나로 무심코 버려진 담배꽁초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토양오염, 화재발생, 해양오염, 미세 플라스틱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체까지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다 아는 사실이다.
또한, 버려진 담배꽁초들을 청소하거나 수거하기도 용이치 않다.
게다가 흡연 장소도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담배꽁초를 지정된 곳에 버리기가 쉽지 않아 습관적으로 땅에 버리고 신발로 비벼 잔불을 끄고 방치하기 일수다.
비가 오면 수거되지 않은 담배꽁초는 배수구를 막히게 하거나 강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 조류와 바다 생물들에 의해 먹이로 오인되어 폐사 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1-0069418호는 화재 방지용 캡슐에 알코올이 설치된 담배에 관한 것으로 담배 내부에 소화를 할 수 있도록 냉매가 저장된 캡슐이 구비되며, 담배가 연소되면서 캡슐에 열을 가하게 되면 캡슐이 터지면서 캡슐 내부에 저장된 냉매가 담배에 붙은 불과 직접 접촉하여 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캡슐에 알코올이 설치된 담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캡슐이 터지면서 담배에 붙은 불을 소화할 수 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해 캡슐이 터질 수 있고, 담배 내부에 캡슐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 특허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9418호(화재 방지용 캡슐에 알코올이 설치된 담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담배 케이스 내부에 소화제가 배치되어, 담배를 피운 후 담배를 버릴 때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켜 다른 가연성 물질에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꽁초를 바닥에 버리지 않고 담배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어 수거가 용이한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가 수납되는 제1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2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3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3이너케이스로부터 분리되고, 내부에는 소화제가 내장된 소화제 케이스가 배치되는 제4이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케이스, 상기 제2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서로 이웃하도록 수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상기 소화제 케이스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소화제 케이스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지탱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내측 공간 중에서 상기 탄성부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라이터가 수납되는 라이터 수납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1출입홀과 상기 제1출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 일측에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2출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출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입홀, 상기 제2출입홀 및 상기 제3출입홀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라이터가 통과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하부면에,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하부면에,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홀 및 제2절개홀은, 상기 개폐부재가 관통 삽입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내부면에 난연성 재질이 부착되거나, 상기 제4이너케이스 자체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담배 케이스 내부에 소화제가 배치되어, 담배를 피운 후 담배를 버릴 때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켜 다른 가연성 물질에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가 완전히 소화된 담배꽁초를 바닥에 버리지 않고 담배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어 수거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담뱃재의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키고, 소화된 담배꽁초를 담배 케이스 내에 수납할 수 있어, 환경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및 화재발생 등 생물체까지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개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개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는, 수납케이스(100)와, 제1이너케이스(200)와, 제2이너케이스(300)와,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0)를 포함한다.
수납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몸체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10) 내부에는 몸체부(110)와 대응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0)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와, 제1이너케이스(200)와, 제2이너케이스(300)와,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의 직육면체 형상은 예시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1출입홀(111)과 제1출입홀(111)을 개폐하도록 몸체부(110) 일측에 결합되는 개폐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12)는 직육면체 형상인 몸체부(110)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하부면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되되, 제3이너케이스(400) 내부에 수납되는 제4이너케이스(500)의 위치 방향인 모서리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부재(112)는 후술할 제1절개홀(113) 및 제2절개홀(420) 방향으로 개폐부재(112)가 관통 삽입되도록 제1절개홀(113) 및 제2절개홀(420)의 반대 방향인 몸체부(110)의 하부면 모서리로부터 연장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하부면에, 개폐부재(112)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개홀(113)에는 개폐부재(112)의 일부가 제1절개홀(113)에 관통 삽입되어, 관통 삽입된 개폐부재(112)로 인해 제1출입홀(111)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개폐부재(112)는 몸체부(110)의 하부면 모서리에 결합된 일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제1출입홀(111)을 개폐하되, 타측이 제1절개홀(113)에 관통 삽입되면 제1출입홀(111)을 덮어 제1출입홀(111)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12)는 타측이 제1절개홀(113)에 관통 삽입된 후 후술되는 제2절개홀(420)에 이어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상술된 제2절개홀(42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개폐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개구된 상부 전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로, 개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개구된 상부 중에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0)의 개구된 상부를 각각 개별로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는 내부에 밀폐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는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 내부에 수납된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이너케이스,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의 개구된 상부에 끼움 삽입되어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부재는 고무실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이너케이스(200)는,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가 수납된다.
제2이너케이스(300)는,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수납된다.
제3이너케이스(400)는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수납된다.
또한 제3이너케이스(400) 내에 담배 꽁초가 수납 시, 남아 있는 담뱃재의 열을 차단하는 보조수납케이스(430)가 더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수납케이스(430)는 제3이너케이스(400)의 높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보조수납케이스(430)는 제3이너케이스(4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이너케이스(400)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2출입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이너케이스(400)는 하부면에, 개폐부재(112)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420)을 포함하며, 제1절개홀(113) 및 제2절개홀(420)은 개폐부재(112)가 관통 삽입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는 몸체부(11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일부는 몸체부(11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몸체부(110)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높이에 따라 둘레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에 삽입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의 둘레보다, 몸체부(1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의 둘레가 더 짧을 수 있다.
즉, 몸체부(110)에 삽입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의 단면적인 몸체부(1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에 삽입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는 몸체부(110) 외측에 배치되는 높이는 동일하나, 몸체부(110)에서 외측에 배치된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 보다 더 짧은 둘레인 것은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로, 몸체부(110) 외측에 배치된 제1이너케이스(200) 및 제2이너케이스(300)의 둘레가 몸체부(110)에 삽입된 둘레보다 더 짧은 둘레로 형성될 수 있고, 제3이너케이스(400)의 몸체부(110)에 삽입된 둘레는 몸체부(110) 외측에 배치된 둘레와 동일한 둘레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이너케이스(200) 및 제2이너케이스(300)의 연장된 둘레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120)는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제1이너케이스(200) 및 제2이너케이스(300)를 구획하는 구획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이너케이스(500)는 제3이너케이스(400)에 삽입되거나, 제3이너케이스(400)로부터 분리되고, 내부에는 소화제(511)가 내장된 소화제 케이스(510)가 배치된다.
또한 제4이너케이스(500)는 소화제 케이스(510)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소화제 케이스(510)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지탱하는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압력은 흡연자가 다 피운 담배 불씨를 소화시키기 위해, 소화제 케이스(510)에 내장된 소화제(511)에 담배를 짓누르면서, 소화제 케이스(510)에 인가되는 힘 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소화제 케이스(510)가 제4이너케이스(500)의 내부 벽면 둘레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또는 탈락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화제 케이스(510)의 하부에 배치된 탄성부(520)가 제4이너케이스(500)의 내부 벽면 둘레에 끼워져 밀착 결합됨으로써, 소화제 케이스(510)에 인가되는 외부 압력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제4이너케이스(500)는 내측 공간 중에서 탄성부(520)의 하부에, 탄성부(520)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라이터가 수납되는 라이터 수납 공간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이너케이스(500)는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출입홀(5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출입홀(111), 제2출입홀(410) 및 제3출입홀(550)은 외부와 연통되어 라이터가 통과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이너케이스(500)는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이너케이스(500)는 내부면에 난연성 재질이 부착되거나, 제4이너케이스(500) 자체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이너케이스(500) 뿐만 아니라, 수납 케이스 내부면에 난연성 재질이 부착되거나, 담배 케이스 자체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는 서로 이웃하도록 수납 공간에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대비 제2이너케이스(300)만이 포함되지 않으며, 제1이너케이스(200), 제3이너케이스(400) 제4이너케이스(500)의 크기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제1이너케이스(200),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의 제2이너케이스(300)가 제외된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납케이스(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수납케이스(100)는, 복수개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직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수납케이스(100)가 두 개로 병렬 배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나의 수납케이스(100)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에는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가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수납케이스(100)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에는 다른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가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담배 꽁초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제4이너케이스(5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4이너케이스(500)는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와, 다른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에 동시 삽입될 수 있고,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에만 삽입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제1이너케이스(200)에만 삽입될 수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몸체부(110) 내부에는 제1이너케이스(200) 및 제4이너케이스(500) 뿐만 아니라, 제2이너케이스(300) 및 제3이너케이스(40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에는 제1이너케이스(200)가 수납되지 않고, 제4이너케이스(500)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에만 제1이너케이스(200)가 수납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에는 다양한 제1이너케이스(200) 내지 제4이너케이스(500)가 수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몸체부(110)에 수납되는 제1이너케이스(200), 제2이너케이스(300), 제3이너케이스(400) 및 제4이너케이스(500)는 수납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를 통해 담배 케이스 내부에 소화제가 배치되어, 담배를 피운 후 담배를 버릴 때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켜 다른 가연성 물질에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담뱃재에 남아있는 불씨가 완전히 소화된 담배꽁초를 바닥에 버리지 않고 담배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어 수거가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담뱃재의 불씨를 완전히 소화시키고, 소화된 담배꽁초를 담배 케이스 내에 수납할 수 있어, 환경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및 화재발생 등 생물체까지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납케이스
110 : 몸체부
111 : 제1출입홀
112 : 개폐부재
113 : 제1절개홀
120 : 개폐부
121 : 구획부
200 : 제1이너케이스
300 : 제2이너케이스
400 : 제3이너케이스
410 : 제2출입홀
420 : 제2절개홀
430 : 보조수납케이스
500 : 제4이너케이스
510 : 소화제 케이스
511 : 소화제
520 : 탄성부
530 : 수납 공간부
540 : 덮개부
550 : 제3출입홀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수납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담배가 수납되는 제1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또는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2이너케이스;
    상기 수납 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고, 내측에 상기 담배 꽁초가 수납되는 제3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3이너케이스로부터 분리되고, 내부에는 소화제가 내장된 소화제 케이스가 배치되는 제4이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너케이스, 상기 제2이너케이스 및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서로 이웃하도록 수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상기 소화제 케이스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소화제 케이스에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지탱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내측 공간 중에서 상기 탄성부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라이터가 수납되는 라이터 수납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1출입홀과 상기 제1출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 일측에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하부에 관통 형성된 제2출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3출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출입홀, 상기 제2출입홀 및 상기 제3출입홀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라이터가 통과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하부면에,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절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이너케이스는,
    하부면에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2절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개홀 및 제2절개홀은,
    상기 개폐부재가 관통 삽입되도록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이너케이스는,
    내부면에 난연성 재질이 부착되거나, 상기 제4이너케이스 자체가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부 전체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내측이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소화제 케이스가 외부 압력을 지탱하도록 상기 제4이너케이스의 내부 벽면 둘레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38821A 2022-04-12 2023-03-24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KR10264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864 WO2023200222A2 (ko) 2022-04-12 2023-04-11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424A KR20220053527A (ko) 2022-04-12 2022-04-12 담배 케이스가 꽁초 소화(消火) 케이스 및 담배꽁초 케이스와 분리된 일체형 담배 케이스 유닛
KR1020220045424 202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442A KR20230146442A (ko) 2023-10-19
KR102640876B1 true KR102640876B1 (ko) 2024-02-27

Family

ID=81428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424A KR20220053527A (ko) 2022-04-12 2022-04-12 담배 케이스가 꽁초 소화(消火) 케이스 및 담배꽁초 케이스와 분리된 일체형 담배 케이스 유닛
KR1020230038821A KR102640876B1 (ko) 2022-04-12 2023-03-24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424A KR20220053527A (ko) 2022-04-12 2022-04-12 담배 케이스가 꽁초 소화(消火) 케이스 및 담배꽁초 케이스와 분리된 일체형 담배 케이스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53527A (ko)
WO (1) WO202320004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380A1 (en) * 1999-12-23 2001-07-05 David Neilan Brady Cigarette pack
KR100791275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9059A (en) * 1987-09-15 1988-12-06 Hui Kab Kim Cigarette case having an ash tray
KR940023902U (ko) * 1993-04-17 1994-11-16 김원덕 위생 재떨이
KR200176998Y1 (ko) * 1999-08-20 2000-04-15 황보국정 휴대용 담배 꽁초 수납용기(재떨이)
KR200177001Y1 (ko) * 1999-08-26 2000-04-15 황보국정 착탈식 휴대용 담배 꽁초 수납용기(재떨이)
KR20010069418A (ko) 2001-03-20 2001-07-25 한순환 화재 방지용 캡슐에 알코올이 설치된 담배.
KR20100012746U (ko) * 2009-06-16 2010-12-24 채연성 담배꽁초 수거 기능을 갖는 담배갑
KR20110073151A (ko) * 2009-12-21 2011-06-29 김강웅 재떨이겸용 담배케이스
KR20160009286A (ko) * 2014-07-16 2016-01-26 박상일 재떨이가 구비된 담배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380A1 (en) * 1999-12-23 2001-07-05 David Neilan Brady Cigarette pack
KR100791275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442A (ko) 2023-10-19
KR20220053527A (ko) 2022-04-29
WO2023200042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876B1 (ko)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US5501332A (en) Cigarette extinguishing storage device
KR101258194B1 (ko) 휴대용 담뱃불 소화기
JP3165886U (ja) 携帯用のタバコ切断機能付きタバコケース
WO2006084302A1 (en) Cigarette butt extinghisher/disposal
JPH06277034A (ja) 紙巻たばこ
KR20190002150U (ko) 화재 안전 담배
WO2023200222A2 (ko) 소화제가 배치된 담배 케이스
KR200354518Y1 (ko) 소화실이 구비된 재떨이
KR20140101913A (ko) 휴대용 흡연장치
KR20160009286A (ko) 재떨이가 구비된 담배갑
JP3055987U (ja) 灰皿付きタバコケース
KR20014925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담뱃갑
KR950001374B1 (ko) 자동 소화용 재털이 덮개
JPH1033156A (ja) 煙草消火具
JPH0646822A (ja) 消火機能付吸殻入れ兼用タバコ包装箱
KR200382050Y1 (ko) 담배갑
KR910002587Y1 (ko) 재털이
KR101247076B1 (ko) 소화 기능이 구비된 위생 재떨이
KR200179679Y1 (ko) 담배꽁초 소화,보관구가 있는 휴대용 라이타
KR960003546Y1 (ko) 담배 꽁초 위생처리용 재떨이
KR200209254Y1 (ko) 일회용 재떨이
KR0123460Y1 (ko) 재털이와 성냥이 부착된 담배갑
KR930003310Y1 (ko) 휴대용 재떨이
KR200260110Y1 (ko) 수조가 연설된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