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34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34B1
KR102658734B1 KR1020190114481A KR20190114481A KR102658734B1 KR 102658734 B1 KR102658734 B1 KR 102658734B1 KR 1020190114481 A KR1020190114481 A KR 1020190114481A KR 20190114481 A KR20190114481 A KR 20190114481A KR 102658734 B1 KR102658734 B1 KR 10265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creen
light
light sour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141A (ko
Inventor
허재명
유호준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34B1/ko
Priority to EP20864483.1A priority patent/EP3970138A4/en
Priority to PCT/KR2020/011935 priority patent/WO2021054660A1/en
Priority to US17/015,607 priority patent/US11610562B2/en
Publication of KR2021003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26Control of mixing and/or overlay of colours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변광원의 위치와 종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배치 각도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변 광원 환경에 적합하게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를 인식하여, 시청자의 영상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적정한 밝기 값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조도 센서만을 사용해 주변 밝기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 밝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였다.
그러나, 주변 광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마다 비춰지는 광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충분히 주변광이 미치는 영향을 보정할 수가 없다. 특히, 예를 들면 150인치 이상의 초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주변광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마다 더욱 불균일하게 비춰지기 때문에 주변광의 영향을 정확하게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광은 태양광, 형광등, 백열등, 네온등, LED등과 같은 다양한 광원이 분포될 수 있다. 각종 광원은 다양한 색상의 광을 비추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주변광의 색상에 따른 영향을 보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광원의 위치와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배치 각도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의 배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서브감지부의 배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조도센서 또는 컬러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상기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상기 광량에 대응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지자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방위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설치 방위각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위치를 식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와이파이 통신 수행 시에 공유기(AP)와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설치지역을 식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화질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감지부의 배치각도를 기초로 상기 광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정 각도로 배치된 감지부에 의해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의 배치 각도 및 상기 감지된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광원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배치 방향에 대한 주변 광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마다 불균일하게 비춰지는 광량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예를 들면 태양광, 형광등, 백열등, 네온등, LED등과 같은 다양한 광원의 종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주변광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위치마다 입사된 광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과 주변 광원의 종류에 따라 입사된 광의 색상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보정, 즉 보색 대비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외부광의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용자 친화적인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조도센서의 배치각도에 따라 입사되는 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서브조도센서를 각각 정면, 좌측으로 45도, 우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UI를 나타낸다.
도 6은 광원의 위치가 좌측에 있을 때의 장면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도 7은 광원의 위치가 우측에 있을 때의 장면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도 8은 다양한 광원의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형광등의 파장 별 광의 세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할로겐램프의 파장 별 광의 세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쿨 화이트(cool white) LED의 파장 별 광의 세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웜 화이트(warm white) LED의 파장 별 광의 세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서브컬러센서를 각각 정면, 좌측으로 45도, 우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4 내지 제6서브조도센서를 각각 정면, 상측으로 45도, 하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7 내지 제11서브조도센서를 각각 정면, 좌측 45도, 우측 45도, 상측으로 45도, 하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내측', '외측', '내면', '외면', '전방', '후방'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서브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공급받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사이니지, 스마트폰, 태블릿 PC,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전자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특정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컨텐츠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셋탑박스와 같은 컨텐츠공급장치(2)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으로 영상 컨텐츠를 공급받고, 리모컨(4)으로부터 수신된 IR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는 텔레비전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예를 들면 HDMI, DP, 썬더볼트 등과 같은 영상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출력장치, 예를 들면 모니터, TV 등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의 표시하는 화면(101)과, 화면(101)을 둘러싸는 하우징(102), 및 화면 전방의 하우징(102)에 마련되어 주변의 광을 감지하는 감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101)의 하단 중앙에 위치한 하우징(10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초대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4 모서리, 그리고 화면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위치한 하우징에 복수의 감지부(12)가 배치될 수도 있다.
감지부(12)는 카메라(121), 조도센서(122), IR송수신부(123) 및 컬러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공급장치(2)는 요청에 따라 컨텐츠공급자가 제공하는 영상컨텐츠 및/또는 EPG UI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공급장치(2)는 각 컨텐츠공급자가 제공하는 셋탑박스,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국, 케이블을 통해 컨텐츠를 공급하는 케이블방송국,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를 공급하는 미디어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신호입출력부(11), 감지부(12), 메모리(13), 프로세서(14), 및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 입력수신부, 음성처리부, 영상처리부,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11)는 컨텐츠신호수신부(112), 리모컨신호 송수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공중파 방송국, 케이블방송국, 미디어방송국 등으로부터 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셋탑박스와 같은 전용의 컨텐츠공급장치(2)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가 수신하는 컨텐츠신호는 유선신호 또는 무선신호일 수 있고, 디지털신호 또는 아날로그신호일 수도 있다. 컨텐츠신호는 공중파 신호, 케이블신호, 위성신호 또는 네트워크신호일 수도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USB 메모리의 접속을 위한 USB 포트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영상/음성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포트인 HDMI, DP, 썬더볼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포트와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과 음성 신호는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송수신될 수도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프로세서(14)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신호에는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영상컨텐츠 및/또는 EPG UI가 실려 있다. 영상 컨텐츠는 드라마, 영화, 뉴스, 스포츠, 음악, VOD 등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 내용의 제한은 없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컨텐츠공급장치(2), 서버(3), 또는 그 밖의 다른 장치들과 공유기(AP)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UWB(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신호수신부(112)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컨신호송수신부(114)는 리모컨(4)으로부터 리모컨신호, 예를 들면 IR신호, 블루투스신호, 와이파이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리모컨신호송수신(114)는 컨텐츠공급장치(2)와 같은 외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정보를 포함하는 IR신호, 블루투수신호, 와이파이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공급장치(2), 서버(3), 리모컨(4) 각각에 대해 전용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전용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공급장치(2)는 HDMI모듈, 서버(3)는 이더넷 모뎀이나 와이파이 모듈, 리모컨(4)은 블루투수 모듈이나 IR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공급장치(2), 서버(3), 리모컨(4) 모두와 통신을 수행하는 공용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공급장치(2), 서버(3), 리모컨(4)는 와이파이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신호 수신부(112)외에, 컨텐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컨텐츠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신호 수신부(112)와 컨텐츠신호 출력부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거나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감지부(12)는 화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에 따른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센서(122), 화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색상을 측정하는 컬러센서(124), 및 디스플레이장치(1)의 방위각을 감지하는 지자계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122)는 예를 들면, CDS(황화카드뮴)을 광도전체로 사용하는 광도전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센서(122)는 서브감지부로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정면에 소정 배치각도, 예를 들면 45도 각도로 마련된 3개의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조도센서(122)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서브조도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3개의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는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3개의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는 각각 화면의 정면, 정면에서 좌측으로 45도 방향, 그리고 정면에서 우측으로 45도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3개의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는 전술한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조도센서는 좌우 측 외에 상하 측의 소정 배치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조도센서는 정면과 상하좌우 측의 소정 배치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컬러센서(124)는 백색광이 포함된 고유의 파장 대역을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컬러센서(124)는 RGB의 3가지 단색 센서를 일체화한 집적형 컬러센서와 2개의 다이오드를 세로로 형성한 다층형 컬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센서(124)는 서브감지부로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정면에 소정 배치각도, 예를 들면 45도 각도로 마련된 3개의 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컬러센서(124)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서브컬러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3개의 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는 각각 화면의 정면, 정면에서 좌측으로 45도 방향, 그리고 정면에서 우측으로 45도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3개의 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는 전술한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의 색상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컬러센서는 좌우 측 외에 상하 측의 소정 배치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컬러센서는 정면과 상하좌우 측의 소정 배치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자계센서(126)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놓여있는 방위각을 파악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3)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액세스 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메모리(15)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입사되는 광의 광량 또는 색상에 대응하는 보상휘도, 또는 보상 색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프로세서(14)가 실행할 수 있는, 광의 입사각에 따른 광량, 지자계센서(126)에서 측정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놓여 있는 방위각과 시간 정보, 그리고 와이파이(Wi-Fi) 모듈과 공유기(AP)의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광원의 위치를 결정하는 광원위치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프로세서(14)가 실행할 수 있는, 컬러센서(126)에서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에 따라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는 광원종류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광의 위치 및 광원의 종류에 따라 영상의 화질, 예를 들면 영상의 밝기를 화면 위치별로 차별적으로 조절하고, 입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영상의 컬러를 조절하는 광원보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음성인식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13)는 운영체제,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1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각 구성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예컨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내장된 또는 외부의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메모리(13)에 저장된 광원위치식별 모듈을 실행하여, 조도센서(122)에서 감지한 광의 입사각에 따른 광량과, 지자계센서(126)에서 측정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놓여 있는 방위각 및 시간 정보와, 그리고 와이파이(Wi-Fi) 모듈과 공유기(AP)의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광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메모리(13)에 저장된 광원종류식별 모듈을 실행하여, 컬러센서(126)에서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에 따라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는 광원 종류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메모리(13)에 저장된 광원보상 모듈을 실행하여, 광의 위치에 따라 영상의 화질, 예를 들면 영상의 밝기를 화면 위치별로 차별적으로 조절하고, 광원의 종류 식별에 의한 입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영상의 컬러를 보상하도록 디스플레이(1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는 입사각에 따른 광량을 기초로 밝은 부분에서의 영상 밝기를 높이고 어두운 부분에서의 영상 밝기를 낮추도록 영상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는 예를 들면 황색 계열의 파장을 가진 광이 입사될 경우 보색대비를 활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비휘발성의 메모리로부터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휘발성의 메모리로 로드하고,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SoC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조 시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5)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5)는 메모리(13)에 저장된 또는 신호입출력부(11)를 통해 컨텐츠 공급장치(2) 또는 서버(3)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저장된 또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식별된 광원의 위치 및/또는 종류를 고려하여 보정된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는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5)는 LCD 패널, LCD패널을 구동시키는 LCD패널구동부, 및 LCD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LCD패널은 영상의 컬러를 표현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조도센서(122) 배치각도에 따라 입사되는 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도센서(122)에 입사되는 광량은 0도, 즉 광원(태양)의 위치가 조도센서(122)의 정면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최대 일 때 1, 광원(태양)의 위치가 정면에서 좌우 90도, 즉 조도센서(122)의 평면과 평행하여 입사되는 광량이 없을 때 0으로 정규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의 위치는 조도센서(122)에 입사되는 입사되는 광량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를 각각 정면, 좌측으로 45도, 우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에 입사되는 광량의 비율이 0: 30: 85 라면, 도 3에서 각도가 우측 75도일 때 0.3, 각도가 30도일 때 0.85 정도이므로, 태양광은 정면에서 우측으로 75도 각도에서 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자계센서(126)는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의 방위각과 시간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과 공유기(AP) 사이의 연결정보, 즉 IP주소를 기초로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가 위치한 지역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서(14)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방위각, 지역정보, 시간정보, 그리고 디스플레이(15)의 배치를 기준으로 한 태양광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UI(103)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는 시간 및 태양의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15)는 시간 및 위치별 입사광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한 UI(103)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화면의 가로변 중앙에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중앙의 각 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에 입사되는 광량을 기초로 좌단 및 우단에서 광량을 식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서(14)는 좌단에서 우단까지의 광량 비율을 식별하여 영상의 화질, 즉 밝기를 더욱 정밀하게 보정하거나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한 UI(103)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 및 7은 각각 광원의 위치가 좌측에 있을 때의 장면(104)과 우측에 있을 때의 장면(104)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어두운 밤의 바닷가를 나타낸 장면(104)에서 좌측에 위치한 광원이 바닷가를 비추는 특수한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6과 동일한 어두운 밤의 바닷가를 나타낸 장면(104)에서 대해 우측에 위치한 광원이 바닷가를 비추는 특수한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과 7에 나타낸 특수한 시청환경은 영상제작자 또는 영상편집자가 특수한 장면(104)마다 특정 시간에서 광원의 위치를 고려한 디스플레이(15)의 영상 조절 신호를 추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광원의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백열등(A)은 파장 380~780nm에서 광의 세기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분포이며, 780nm, 적외선(IR)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태양(B)은 파장 380~450nm까지 광의 세기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450nm-780nm까지 완만하게 감소하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이며, 약 450nm, 연한 파란색(light blue)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메탈할라이드 램프(C)는 파장 380~780nm에서 광의 세기가 특정 파장마다 유효값을 나타내는 불규칙한 분포이며, 약 550nm, 초록색(green)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LCD RED(D)는 파장 380~780nm에서 광의 세기가 약 620nm에서 단일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분포이며, 연한 빨강색(light red)을 나타낸다.
LCD Green(E)은 파장 380~780nm에서 광의 세기가 약 550nm 부근에서 단일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분포이며, 초록색(green)을 나타낸다.
LCD Blue(F)는 파장 약 430~510nm에서 광의 세기가 유효값을 나타내는 분포이며, 약 440nm, 연한 파란색(light blue)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LED RED(G)는 파장 610~650nm에서 광의 세기가 유효값을 나타내는 분포이며, 약 630nm, 진한 빨강색(deep red)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형광등, 할로겐램프, 쿨 화이트(cool white) LED, 및 웜 화이트(warm white) LED의 파장 별 광의 세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형광등은 광의 세기가 550nm 및 610nm에서 유효값을 나타내는 분포로서, 약 610nm, 주황색(orange)에서 더 지배적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할로겐 램프는 광의 세기가 400nm-600nm까지 증가하다가 600nm-780nm까지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포로서, 약 600nm, 주황색(orange)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쿨 화이트 LED는 광의 세기가 400nm-450nm까지 최대값으로 증가하다가 450nm-500nm에서 40%까지 감소하고, 500nm-550에서 50%까지 증가하다가 다시 550nm-780에서 0%로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포이며, 약 450nm, 연한 파란색(light blue)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웜 화이트 LED는 광의 세기가 500nm-560nm까지 최대값으로 증가하다가 560nm-780nm에서 0%로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분포이며, 약 560nm, 초록색(green)에서 가장 지배적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를 각각 정면, 좌측으로 45도, 우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내지 제3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는 입력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와 광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측정된 광의 파장(R, G, B, IR) 또는 주파수와 광의 세기를 기초로 전술한 도 8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원의 고유 패턴을 비교하여 입사되는 광원의 종류와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제1 내지 제3서브컬러센서(124-1,124-2,124-3)에서 측정된 광의 파장과 광의 세기를 기초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원 또는 단일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광원의 방향,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 및 광의 세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는 영상의 컬러에 보색대비 효과를 제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는 화면 전체적으로 단일 또는 부분적으로 차별적을 영상의 컬러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의 컬러조절은 표시할 원본 영상데이터의 보정을 통해, 자발광 표시소자의 경우에 RGB화소를 제어하고, LCD 표시소자의 경우 컬러필터를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에서, 감지부(12)의 조도센서(122)는 디스플레이(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감지부(12)의 배치각도에 따른 광량 및 시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지자계선서(126)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배치된 방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와이파이 모듈과 공유 간의 연결정보, IP어드레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가 위치하는 지역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4에서, 프로세서(14)는 감지부(12)의 배치각도, 감지 광량, 방위각, 시간정보, 지역정보 등을 기초로 광원, 예를 들면 태양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프로세서(14)는 광원(태양)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5)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는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원본 영상데이터의 밝기를 차별적으로 보정하고, 이에 의해 백라이트의 제어 또는 화소의 휘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그림자 효과,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진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21에서, 컬러센서(124)는 디스플레이(15)로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22에서, 프로세서(14)는 측정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고유 패턴을 분석하여 광원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23에서, 프로세서(14)는 식별된 광원의 지배적인 파장, 즉 색상에 따라 디스플레이(15)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영상의 조절은 광원 종류에 따른 지배적인 색상에 대응한 보색대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원본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컬러필터 또는 RGB 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광원의 위치에 따른 영상 조절과 광원의 파장에 따른 영상 조절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둘 모두를 고려하여 영상 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광원의 위치 및/또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UI/UX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4 내지 제6서브조도센서(222-1,222-2,222-3)를 각각 정면, 상측으로 45도, 하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제4 내지 제6서브조도센서(222-1,222-2,222-3)에 입사되는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 즉 수직방향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4 내지 제6서브조도센서(222-1,222-2,222-3)를 도 4의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배치각도를 가진 제1 내지 제3서브조도센서(122-1,122-2,122-3)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에 대해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6은 조도센서(22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서브컬러센서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7 내지 제11서브조도센서(322-1~322-5)를 각각 정면, 좌측 45도, 우측 45도, 상측으로 45도, 하측으로 45도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는 제7 내지 제11서브조도센서(322-1~322-5)에 입사되는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 즉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4)는 제7 내지 제11서브조도센서(322-1~322-5)에서 각각 감지한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에 대해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17과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소정 배치각도로 배치한 복수의 서브컬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위치식별 모듈 광원종류식별 모듈광원보상 모듈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메모리(13)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제품 또는 네트워크통신으로 송수신되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모듈들은 단독 또는 통합되어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감지부(12)의 배치 각도 및 감지된 광량을 기초로 광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하는 동작, 및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광원의 종류에 대응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디스플레이장치
11: 신호입출력부
12: 감지부
122: 조도센서
124: 컬러센서
126: 지자계센서
13: 메모리
14: 프로세서
15: 디스플레이
2: 컨텐츠공급장치
3: 서버
4: 리모컨

Claims (15)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화면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게 상기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상기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센서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게 상기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상기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세트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의 배열 또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로 입사되어 감지되는 상기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 세트는 상기 화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2센서와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2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3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되며,
    상기 제2센서세트는 상기 화면의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4센서와 제5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4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5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반대되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화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센서에 가까운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1측은 상기 평면을 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측과 반대되고 제1센서에서 먼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2측은 상기 화면의 전방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세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의 수평측 중앙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상기 제1센서 세트 및 제2센서 세트는, 조도센서 또는 컬러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상기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에 상기 광량에 대응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되는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광의 파장 또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의 컬러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화면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며, 상기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상기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센서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며, 상기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상기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센서 세트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의 배열 또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로 입사되어 감지되는 상기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 세트는, 상기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2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3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이고,
    상기 제2센서 세트는 상기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4센서 및 제5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4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5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반대이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센서에 가까운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1측은 상기 평면을 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측과 반대되고 제1센서에서 먼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2측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의 전방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화면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센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며, 상기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1센서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제1센서에 인접하며, 상기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제2센서 세트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의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의 배열 또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센서 세트의 센서들로 입사되어 감지되는 상기 광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 세트는 상기 화면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2센서와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2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3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되며,
    상기 제2센서 세트는 상기 화면의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센서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4센서와 제5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4센서가 이루는 각 및 상기 제1센서에 대해 상기 제5센서가 이루는 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반대되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화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센서에 가까운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1측은 상기 평면을 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측과 반대되고 제1센서에서 먼 상기 제2센서 내지 제5센서의 제2측은 상기 화면의 전방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삭제
KR1020190114481A 2019-09-18 2019-09-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5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81A KR102658734B1 (ko) 2019-09-18 2019-09-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20864483.1A EP3970138A4 (en) 2019-09-18 2020-09-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IT
PCT/KR2020/011935 WO2021054660A1 (en) 2019-09-18 2020-09-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015,607 US11610562B2 (en) 2019-09-18 2020-09-0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81A KR102658734B1 (ko) 2019-09-18 2019-09-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41A KR20210033141A (ko) 2021-03-26
KR102658734B1 true KR102658734B1 (ko) 2024-04-19

Family

ID=7486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81A KR102658734B1 (ko) 2019-09-18 2019-09-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10562B2 (ko)
EP (1) EP3970138A4 (ko)
KR (1) KR102658734B1 (ko)
WO (1) WO2021054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047A (ko) * 2021-08-20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05235A1 (ko) * 2022-06-30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069A (ja) 1995-09-07 1997-03-28 Toshiba Corp 表示装置の輝度調整装置
KR100593751B1 (ko) *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시스템,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노광장치
US8379060B2 (en) * 2007-12-25 2013-02-19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calibration
CN102893321A (zh) * 2010-05-12 2013-01-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TWI436338B (zh) * 2011-01-14 2014-05-0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用於顯示設備的背後打光補償系統及方法
US20130076712A1 (en) * 2011-09-22 2013-03-28 Dong Zheng Distributed Light Sensors for Ambient Light Detection
JP2013218128A (ja) * 2012-04-10 2013-10-24 Sharp Corp 表示装置
KR102227440B1 (ko) * 2013-12-2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4765446A (zh) 2014-01-07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方法
KR20150082032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6762B1 (ko) * 2014-11-10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주변 환경에 기반한 컨텐트 적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6137736A (ja) 2015-01-26 2016-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462856B2 (ja) 2015-03-26 2019-01-30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信号監視方法、映像信号監視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121451B2 (en) * 2015-10-22 2018-11-06 Abl Ip Holding Llc Ambient light probe
US20170263047A1 (en) * 2016-03-10 2017-09-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80050847A (ko)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453374B2 (en) * 2017-06-23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2418607B1 (ko) * 2017-06-23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976886B2 (en) 2017-06-23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90027018A (ko) * 2017-09-04 2019-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467541B1 (de) 2017-10-05 2022-01-05 Leica Geosystems AG Sensor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0138A4 (en) 2022-08-24
US11610562B2 (en) 2023-03-21
US20210082372A1 (en) 2021-03-18
WO2021054660A1 (en) 2021-03-25
EP3970138A1 (en) 2022-03-23
KR20210033141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5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7688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8882278B1 (en) Projected display
JP2020502846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6587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6997748B (zh) 显示器装置以及用于显示的方法和设备
US2020014377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141516A (zh) 用于本公开的图像捕获领域的基于专用照明元件及显示器的闪光灯照明
EP3732670B1 (en) Mobile terminal adjusting image quality of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082614B2 (en)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harmoniz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11402260B2 (en) Method for adjusting openable angle of display screens and multi-screen terminal
US20190373206A1 (en) Mobile terminal adjusting image quality of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007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3167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558290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65331A1 (en) Determining light effects based on a light script and/or media content and light rendering properties of a display device
US20190373167A1 (en) Spotlight detection for improved image quality
US20230239559A1 (en) Activating light sources for output image
KR20230028047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295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9645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