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601B1 - 다기능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601B1
KR102658601B1 KR1020230121968A KR20230121968A KR102658601B1 KR 102658601 B1 KR102658601 B1 KR 102658601B1 KR 1020230121968 A KR1020230121968 A KR 1020230121968A KR 20230121968 A KR20230121968 A KR 20230121968A KR 102658601 B1 KR102658601 B1 KR 10265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brake
brake lever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워크
Priority to KR102023012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01B1/ko
Priority to KR1020240048938A priority patent/KR102697397B1/ko
Priority to KR1020240048937A priority patent/KR102697396B1/ko
Priority to KR1020240048936A priority patent/KR102697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1Control means thereof hydraul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설치된 1쌍의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도가 천천히 변경되게 하는 복수의 유압 댐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접이식 의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보행보조기 {Multifunctional walking aid}
본 발명은 다기능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 또는 환자가 안정적으로 직립 및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보행 중 힘들 때는 앉아서 휴식이 가능한 다기능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 노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교통사고나 산업재해 또는 질병으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혼자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은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바퀴가 있는 보행보조기는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멈춤 상태로 고정되거나 브레이크가 없어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을 보행시에 안정적이지 않고, 보행 중 휴식을 취할 때도 의자로 이동하여 앉거나 바닥에 앉아야 하기 때문에 휴식을 취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어 왔으며, 보행보조기에서 벗어나 착석시에도 오로지 사용자의 힘만으로 보행보조기에 의지하여 착석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74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 중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착석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설치된 1쌍의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도가 천천히 변경되게 하는 복수의 유압 댐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접이식 의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손잡이를 구비하고, 팔 안착부 및 상체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압 댐퍼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팔을 상기 상체 지지부 또는 상기 팔 안착부에 지지시켜 착석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는, 복수의 전방높이 고정홀이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하부에 브레이크 페달 및 회전용 캐스터가 구비된 앞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는, 복수의 후방높이 고정홀이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하부에 방향전환이 되지 않는 뒷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브레이크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후방높이 조절부에 브레이크바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상기 브레이크바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회전하여 뒷바퀴에 접촉됨으로써, 회동하는 뒷바퀴가 서서히 회동을 멈추게 하거나 회동이 가능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의자는,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되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이 힘든 노약자들이 혼자 보행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고, 보행 중에 휴식도 취할 수 있게 하며, 보행 보조기에서 벗어나 착석시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상부 프레임이 회전되어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바가 회전되어 뒷바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접이식 의자가 회전되어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려 브레이크 고정바가 브레이크 고정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려 브레이크 고정바가 브레이크 고정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상부프레임이 회전되어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바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바가 회전되어 뒷바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접이식 의자가 회전되어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혼자 보행을 하기 힘든 노약자들이 보행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고, 보행 중 쉽게 멈춰 휴식을 취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보조기에서 벗어나 착석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행 보조기는 메인 프레임(100), 상부 프레임(200), 유압댐퍼(300), 브레이크부(400), 전방높이 조절부(500), 후방높이 조절부(600), 접이식 의자(7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한쌍의 지지 프레임(110)과 복수의 연결 프레임(120)으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10)은 원통모양의 파이프가 여러차례 절곡되어 파이프의 양끝이 바닥으로 향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10)은 복수의 연결 프레임(120)이 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0)은 원통형상의 파이프 일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0) 원통형상의 파이프가 각각의 위치마다 각각의 길이에 맞게 잘라져 접합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0)은 지지 프레임(110)을 전방에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120)은 지지 프레임(110)에 외측의 안쪽 방향에 접합되어 지지 프레임(110)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의 역할도 하며 후술되는 접이식 의자(700)를 결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은 상부에 상부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0)은 전방 프레임(210) 및 후방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210)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가 절곡되어 일측은 상부를 향하고 타측은 후방을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210)은 일측의 끝부분에 손잡이(212)가 구비되고, 타측에 위치고정 탄성돌기(211)가 구비되며, 후방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212)는 전방 프레임(210)의 끝부분을 외면에서 감싸고, 손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12)는 사용에 안전하도록 스펀지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210)은 손잡이(212)를 파지하는데 안전하도록 일측의 끝단에 고무 재질로 형성된 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210)은 위치고정 탄성돌기(211)가 구비되어, 후방 프레임(2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프레임(210)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위치고정 탄성돌기(211)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전방 프레임(210)의 내측에 일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위치고정 탄성돌기(211)는 외력이 인가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며 전방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기본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위치는 위치고정 탄성돌기(211)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며, 전방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보다 삽입되지 않은 부분이 더 많은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프레임(210)은 후방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220)은 전방 프레임(210)의 원통형상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프레임(220)은 원통모양의 파이프가 여러차례 절곡되어 양끝이 전방을 향하는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220)은 상부에 팔 안착부(222) 및 상체 지지부(223)가 결합될 수 있다.
팔 안착부(222)는 하부에 팔 안착부 결합구에 의해 후방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팔 안착부 결합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팔 안착부가 고정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팔 안착부(222)는 단면이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은 등변 사다리꼴 모양에 상부의 가운데부분이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팔 안착부(222)는 움푹 파인 부분으로 팔이 안착되고, 팔 거치시 팔이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며,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부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팔 안착부(222)는 사용시에 안전하고 불편함이 없도록 푹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체 지지부(223)는 후방 프레임(2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상체의 폭에 대응대는 길이로 형성되며,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푹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220)은 복수의 위치고정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220)에 전방 프레임(210)을 결합할 때, 전방 프레임(210)의 위치고정 탄성돌기(211)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더 삽입시킨 상태에서 후방 프레임(220)의 내측에 삽입하여 후방방향으로 밀어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전방 프레임(210)은 위치고정 탄성돌기(211)를 후방 프레임(220)의 복수의 위치고정홀(221)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고정홀(221)에 삽입됨으로써 전방 프레임(210)의 위치가 변경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에 의해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은 U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으며,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부방향에서 하부부방향으로 씌워져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은 전면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반이 막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 결합 브라켓(230)은 상부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전방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00)은 복수의 유압댐퍼(300)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유압댐퍼(300)는 복수의 유압댐퍼 결합 브라켓(330)에 의해 후방 프레임(220) 및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 안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압댐퍼(300)는 피스톤(310) 및 실린더 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10)은 후방 프레임(220)에 결합되고, 실린더 몸체(320)는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압댐퍼(300)는 사용자가 착석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착석시 몸이 보행보조기로부터 멀어지고, 손 또는 팔을 사용하여 몸에 무게를 지탱하면서 천천히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유압댐퍼(300)가 결합됨으로써, 상부 프레임(200)의 각도가 천천히 변경되어 팔이 지지하는 무게가 줄어들고 그만큼 사용자도 보다 쉽게 착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보행 중에 팔 안착부(222)에 팔을 거치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착석할 때에는 몸이 보행보조기로부터 멀어지면서 몸쪽방향으로 무게가 이동하여 팔꿈치에 힘을 주어 지지하거나 손으로 상체 지지부(223)를 잡고 지지하면서 내려가게 된다.
그러므로, 팔꿈치 또는 손에 힘이 가해지며 몸에 무게를 지지하게 되는데, 여기서, 팔 안착부(222) 및 상체 지지부(223)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200)의 각도가 변경되게 된다.
이 때, 상부 프레임(200)에 결합된 유압댐퍼(300)의 피스톤(310)은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 실린더 몸체(320)의 내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더 들어가게 되고, 실린더 몸체(320) 내에 채워져 있는 유체에 의해 유체저항이 작용하여 상부 프레임(200)의 각도가 천천히 변경되어, 사용자가 보다 힘을 덜 들이고 쉽게 착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00)은 손잡이(212)의 전면에 브레이크 레버(41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410)는 손잡이(212)의 전면에 결합되어, 손잡이(212)와 함께 쉽게 움켜쥐어 잡을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410)는 후술되는 브레이크바(420)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하부에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500) 및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110)은 전방 및 후방의 하부 부분에 복수의 높이고정 탄성돌기(130)가 결합될 수 있다.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10)에 일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는 외력이 인가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고,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기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위치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이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보다 삽입되지 않은 부분이 더 많은 상태일 수 있다.
복수의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는 지지 프레임(110)의 전방 하부 뒷부분 및 후방 하부 앞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높이 조절부(500)는 복수의 전방높이 고정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의 전방 하부 뒷부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130)가 복수의 전방높이 고정홀(5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높이 고정홀(510)에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130)에 외력을 인가하면 높이고정 탄성돌기(130)와 결합된 스프링이 압축되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게 된다.
이때, 전방높이 조절부(500)에 지지 프레임(110)을 삽입하고, 전방높이 조절부(500)의 복수의 전방높이 고정홀(510) 중 어느 하나의 전방높이 고정홀(510)에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를 삽입시키면,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는 스프링의 압축 해제력에 의해 기본위치로 돌아오며,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500)의 하부에는 복수의 앞바퀴(520)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앞바퀴(520)는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캐스터(522)가 구비되고, 브레이크 고정페달(521)이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고정페달(521)에 외력을 인가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하면 앞바퀴(520)는 회동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반대로, 다시 브레이크 고정페달(521)에 외력을 인가하여 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앞바퀴(520)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 일 수 있다.
후방높이 조절부(600)는 복수의 후방높이 고정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 하부 앞부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130)가 복수의 후방높이 고정홀(610) 중 어느 하나의 후방높이 고정홀(610)에 삽입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130)에 외력을 인가하면 높이고정 탄성돌기(130)와 결합된 스프링이 압축되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게 된다.
이때, 후방높이 조절부(600)에 지지 프레임(110)을 삽입하고, 후방높이 조절부(600)의 복수의 후방높이 고정홀(610) 중 어느 하나의 후방높이 고정홀(610)에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를 삽입시키면, 높이고정 탄성돌기(130)는 스프링의 압축 해제력에 의해 기본위치에 위치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600)의 하부에는 방향전환이 되지 않는 복수의 뒷바퀴(6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600)는 브레이크바(42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바(420)는 후방높이 조절부(6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바(420)는 후방높이 조절부(6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브레이크바 스프링 연결부(630)에 결합된 스프링과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바 스프링 연결부(630)는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 외측면에서 후방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바(420)는 브레이크바 스프링 연결부(630)에 결합된 스프링과 결합되며, 브레이크 레버(410)와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30)는 브레이크 레버(410)를 손잡이(212)와 함께 움켜쥐면, 당겨지게 되어 브레이크바(420)와 결합된 스프링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바(420)가 회전되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바(420)는 뒷바퀴(620)에 접촉되어 회동을 서서히 멈추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브레이크 레버(410)를 놓으면, 브레이크 레버(410)와 연결된 와이어(430)의 위치도 변경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바(420)와 결합된 스프링이 압축 해제력에 의해서 브레이크바(420)를 기본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바(420)는 뒷바퀴(620)에서 멀어져 회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바(420)의 기본 위치는 스프링이 압축되지 않고, 뒷바퀴(6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접이식 의자(700)가 결합될 수 있다.
접이식 의자(700)는 지지 프레임(110)에 접합된 연결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이식 의자(700)는 사용자가 보행 중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휴식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접이식 의자(700)는 안착부(710), 의자 결합봉(720), 결합봉 고정구(730), 의자 고정 브라켓(740), 의자 끼움 브라켓(7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710)는의 하부에는 복수의 의자 결합봉(720)이 결합될 수 있다.
의자 결합봉(720)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부(710)의 폭보다는 넓고, 메인 프레임(100)의 폭 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의자 결합봉(720) 중 전방에 결합되는 의자 결합봉(720)은 결합봉 고정구(7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봉 고정구(730)는 소정의 폭을 갖고, 단면의 내측이 의자 결합봉(720)의 반지름을 갖는 반원통의 형상이며, 양측 끝단은 절곡되어 안착부(710)의 하부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관통홀에 삽입된 볼트를 의자의 하부에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방향 의자 결합봉(720)의 양측에는 복수의 의자 고정 브라켓(740)이 결합될 수 있다.
의자 고정 브라켓(740)은 의자 결합봉(720)을 끼울 수 있도록 상부부분의 단면의 내측이 의자 결합봉(720)의 외측면의 지름을 갖는 원통의 형상이 소정의 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의자 결합봉(720)을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타측은 삽입된 의자 결합봉(720)이 더 삽입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막힌 상태일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원통의 하부에 원기둥의 형상이 연장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하부에는 양끝단이 절곡되어진 C형상의 브라켓이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된 부분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의자 고정 브라켓(740)은 의자 결합봉(7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 접합된 연결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의자 고정 브라켓(740)이 연결 프레임(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의자 고정 브라켓(740)에 형성된 홀에 노브 볼트가 삽입되고, 노브 볼트를 노브 너트에 체결하여 연결 프레임(120)의 내에서 조여져 보다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의자 결합봉(720) 중 후방방향 의자 결합봉(720)에는 복수의 의자 끼움 브라켓(750)이 결합될 수 있다.
의자 끼움 브라켓(750)은 의자 결합봉(720)을 끼울 수 있도록 상부부분은 단면의 내측이 의자 결합봉(720)의 외측면의 지름을 갖는 원통의 형상이 소정의 폭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의자 결합봉(720)을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타측은 삽입된 의자 결합봉(720)이 더 삽입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막힌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상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이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하부에는 지지 프레임(110)에 접합된 연결 프레임(1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C형상의 브라켓이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의자(700)는 연결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경시켜 의자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접이식 의자(700)는 사용할 때 안착부(710)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외력을 인가하여 누르면, 의자 끼움 브라켓(750)이 연결 프레임(120)에 끼움결합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접이식 의자(7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외력을 인가하여 들어올리면, 끼움해제되어 쉽게 수직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팔 안착부 하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레버가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리 않은 상태르르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려 브레이크 고정바가 브레이크 고정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 보조기의 브레이크 레버가 눌려 브레이크 고정바가 브레이크 고정구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 대비, 브레이크 레버가 변경되고, 브레이크 고정바, 브레이크 고정구 및 브레이크 레버 결합 브라켓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 요소는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손으로 브레이크 레버(410)를 잡지 않고, 팔 안착부(222)와 브레이크 레버(450)를 결합하여 일정무게 이상의 외력을 인가되면 회동하는 뒷바퀴(620)를 멈추게 하거나 멈춘 상태에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복수의 브레이크 레버(450), 브레이크 고정바(451), 복수의 브레이크 결합 브라켓(460) 및 복수의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레이크 레버(450)는 일측 끝부분의 측면에 브레이크 고정바(4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브레이크 레버(450)는 후방 프레임(220)의 전방부분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팔 안착부(222)가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450)는 손잡이 부분이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소정의 폭을 갖는 브레이크 고정바(45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50)는 브레이크 레버 결합 브라켓(460)에 의해 상부에 팔 안착부(222)가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 결합 브라켓(460)은 소정의 폭을 갖는 U형상의 브라켓이 브레이크 레버(450)의 폭에 맞도록 양끝단이 절곡되고, 팔 안착부(222)의 하부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관통홀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50)는 팔 안착부(222)에 외력을 인가하면 브레이크 레버(450)가 눌려 회전되고, 와이어(430)로 연결된 브레이크바(420)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바(420)가 뒷바퀴(620)에 접촉되어 뒷바퀴(620)가 회동하지 못하게 하거나, 회동하는 뒷바퀴(620)를 서서히 멈추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450)는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470)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470)는 후방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 고정구(470)는 직육면체의 형상에 바닥면은 후방 프레임(22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직육면체의 상부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일측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은 브레이크 레버(450)가 위치해 있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고정구(470)에 브레이크 레버(450)에 형성된 브레이크 고정바(451)를 삽입시켜 브레이크 레버(450) 및 브레이크바(420)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팔 안착부(222)에 외력을 인가하면 브레이크 레버(450)는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브레이크 레버(450)와 와이어로 연결된 브레이크바(420)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팔 안착부(222)를 바깥쪽으로 밀면 브레이크 레버(450)의 측면에 형성된 브레이크 고정바(451)가 후방 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470)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으로써, 브레이크 레버(450)와 브레이크바(420)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브레이크 레버(450)는 팔 안착부(222)의 거치된 팔의 무게 또는 보행시 팔 안착부(222)에 인가되는 외력만으로 브레이크 레버(450)가 눌려 브레이크바(420)가 회전하여 제동이 된다면, 보행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팔 안착부(222)에 인가되는 외력은 일정 무게 이상일 수 있다.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행보조기는 손이 불편해도 팔 안착부(222)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보행중에 멈추고 싶으면 쉽게 브레이크부(400)를 작동시켜 보행보조기를 서서히 멈추게 하거나 멈춰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지지 프레임
120 : 연결 프레임
130 : 높이고정 탄성돌기
200 : 상부 프레임
210 : 전방 프레임
211 : 위치고정 탄성돌기
212 : 손잡이
220 : 후방 프레임
221 : 위치고정홀
222 : 팔 안착부
223 : 상체 지지부
230 : 상부프레임 결합 브라켓
300 : 유압댐퍼
310 : 피스톤
320 : 실린더 몸체
330 : 유압댐퍼 결합 브라켓
400 : 브레이크부
410 : 브레이크 레버
420 : 브레이크바
430 : 와이어
440 : 브레이크 스프링
450 : 브레이크 레버
451 : 브레이크 고정바
460 : 브레이크 레버 결합브라켓
470 :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
500 : 전방높이 조절부
510 : 전방높이 고정홀
520 : 앞바퀴
521 : 브레이크 고정페달
522 : 캐스터
600 : 후방높이 조절부
610 : 후방높이 고정홀
620 : 뒷바퀴
630 : 브레이크바 스프링 연결부
700 : 접이식 의자
710 : 안착부
720 : 의자 결합봉
730 : 결합봉 고정구
740 : 의자 고정 브라켓
750 : 의자 끼움 브라켓

Claims (7)

  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설치된 1쌍의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도가 천천히 변경되게 하는 복수의 유압 댐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접이식 의자;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은,
    위치고정 탄성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복수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홀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고정홀에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기 위치고정 탄성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 및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손잡이를 구비하고, 팔 안착부 및 상체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부에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가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브레이크 레버가 결합되고,
    상기 후방높이 조절부에 브레이크바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상기 브레이크바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회전하여 뒷바퀴에 접촉됨으로써, 회동하는 상기 뒷바퀴가 서서히 회동을 멈추게 하거나 회동이 가능하지 않게 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일측에 브레이크 고정바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팔 안착부가 결합되어, 상기 팔 안착부에 일정 무게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브레이크 레버가 눌려 회전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바가 회전되어 상기 뒷바퀴에 접촉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는,
    외력이 인가되어 눌려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팔 안착부를 바깥쪽으로 밀면 상기 팔 안착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브레이크 레버도 같이 밀려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브레이크 고정바가 상기 브레이크 레버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팔 안착부는,
    단면이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은 등변 사다리꼴 모양에 상부의 가운데부분이 움푹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압 댐퍼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사이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팔을 상체 지지부 또는 팔 안착부에 지지시켜 착석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높이 조절부는,
    복수의 전방높이 고정홀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하부에 브레이크 페달 및 회전용 캐스터가 구비된 앞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방높이 조절부는,
    복수의 후방높이 고정홀이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높이고정 탄성돌기에 의해 높이가 고정되고,
    하부에 방향전환이 되지 않는 뒷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의자는,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되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행 보조기.

KR1020230121968A 2023-09-13 2023-09-13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65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968A KR102658601B1 (ko) 2023-09-13 2023-09-13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8A KR102697397B1 (ko) 2023-09-13 2024-04-11 팔의 무게에 의해 제동이 가능한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7A KR102697396B1 (ko) 2023-09-13 2024-04-11 상체가 지지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6A KR102697395B1 (ko) 2023-09-13 2024-04-11 브레이크 레버의 고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968A KR102658601B1 (ko) 2023-09-13 2023-09-13 다기능 보행보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8937A Division KR102697396B1 (ko) 2023-09-13 2024-04-11 상체가 지지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8A Division KR102697397B1 (ko) 2023-09-13 2024-04-11 팔의 무게에 의해 제동이 가능한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6A Division KR102697395B1 (ko) 2023-09-13 2024-04-11 브레이크 레버의 고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601B1 true KR102658601B1 (ko) 2024-04-19

Family

ID=9088181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968A KR102658601B1 (ko) 2023-09-13 2023-09-13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7A KR102697396B1 (ko) 2023-09-13 2024-04-11 상체가 지지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6A KR102697395B1 (ko) 2023-09-13 2024-04-11 브레이크 레버의 고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8A KR102697397B1 (ko) 2023-09-13 2024-04-11 팔의 무게에 의해 제동이 가능한 다기능 보행보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8937A KR102697396B1 (ko) 2023-09-13 2024-04-11 상체가 지지되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6A KR102697395B1 (ko) 2023-09-13 2024-04-11 브레이크 레버의 고정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행보조기
KR1020240048938A KR102697397B1 (ko) 2023-09-13 2024-04-11 팔의 무게에 의해 제동이 가능한 다기능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586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37B1 (ko) *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101767431B1 (ko) 2016-12-15 2017-08-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210024772A (ko) * 2019-08-26 2021-03-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브레이크 기능과 인체감지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보행보조기
KR20220060571A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네오에이블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230106879A (ko) * 2022-01-07 2023-07-14 남현기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37B1 (ko) *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101767431B1 (ko) 2016-12-15 2017-08-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210024772A (ko) * 2019-08-26 2021-03-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브레이크 기능과 인체감지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보행보조기
KR20220060571A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네오에이블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230106879A (ko) * 2022-01-07 2023-07-14 남현기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7396B1 (ko) 2024-08-21
KR102697395B1 (ko) 2024-08-21
KR102697397B1 (ko) 202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4871A (en) Transfer aid
EP2090276B1 (en) Height adjustable rolling walker for transportation seating
US20060038430A1 (en) Inwardly folding rollator with an upwardly pivotable seat
US20040245737A1 (en) Height-adjustable cordless brake
TW200800132A (en) Manipulation device for wheelchair foot plates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EP1145696B1 (en) Vehicle to assist walking
KR101654843B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JP2014030692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JP2008132194A (ja) 歩行器
US9113757B2 (en) Toilet and support bars for the disabled
KR102658601B1 (ko) 다기능 보행보조기
US7396031B2 (en) Mobility device
KR200465717Y1 (ko) 레그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JP2008295656A (ja) 車椅子の走行姿勢の調整機構
CA2498165C (en) Height-adjustable cordless brake
KR100690336B1 (ko) 휠체어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JP2000000279A (ja) 起立式歩行器
JP2019092986A (ja) 移動補助椅子
US12090115B2 (en) Cable tension adjuster for height-adjustable wheeled vehicle
JPH07313554A (ja) 車椅子
CN213099202U (zh) 单手制动助行车
KR200408128Y1 (ko) 휠체어용 틸팅장치
GB2617311A (en) Device to aid wal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