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146B1 -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146B1
KR102658146B1 KR1020210037808A KR20210037808A KR102658146B1 KR 102658146 B1 KR102658146 B1 KR 102658146B1 KR 1020210037808 A KR1020210037808 A KR 1020210037808A KR 20210037808 A KR20210037808 A KR 20210037808A KR 102658146 B1 KR102658146 B1 KR 10265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nexin3
muscle
diagnosing
possibility
express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871A (ko
Inventor
최제용
이동교
김한
김현주
차상국
홍유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2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61Muscle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7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muscle, cartilage or connective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근육 손상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상된 근육 세포에서 Pannexin3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뱀독으로 근육 사멸 및 괴사가 나타난 동물모델에서 Pannexin3 결실 시 근육의 괴사가 촉진되고 재생이 느려지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Pannexin3은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Pannexin3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절제는 근육 질환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muscule damage comprising pannexin3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근육 손상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격근은 환경적인 자극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직이다. 이러한 적응 반응 중 근육 손상이나 부하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근육은 과도한 운동시, 근육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어 손상이 빈번히 일어나게 된다.
근육 손상이 유발되면, 이것은 근 부피의 손실과 운동 결핍을 초래하여 경기력 상실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근육 손상은 운동 이외에도 유전적 질병(genetic disorder), 암(cancer), 염증(inflammation), 감염(infection) 또는 여러 의학적인 영향을 포함하는 흔한 질병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근육 손상이 일어났을 때, 골격근은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극심한 근 손상 후 며칠 내로 새로운 근관(myotube)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골격근의 재생 능력은 느리고 비능률적이며 완벽하지 않으므로 골격근의 재생과 기능 회복 촉진을 증대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1069호 (2020.01.06. 공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근육 손상을 진단하기 위해, Pannexin3 (Panx3)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바이오마커로 제공하며, 상기 Pannexin3의 발현 또는 활성 조절제를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annexin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재생 예후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Pannexin3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육 손상이 유도된 동물로부터 분리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시험물질이 접촉된 세포에서 Pannexin3 발현 또는 활성화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상기 Pannexin3 발현 또는 활성화 수준이 증가한 시험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된 근육 세포에서 Pannexin3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뱀독으로 근육 사멸 및 괴사가 나타난 동물모델에서 Pannexin3 결실 시 근육의 괴사가 촉진되고 재생이 느려지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Pannexin3은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Pannexin3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절제는 근육 질환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근육세포 골화에서의 Panx3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Panx3의 과발현에 의한 연조직세포에서의 골분화마커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Panx3 결실에 의한 근육 손상 악화 및 재생 억제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Panx3 결실에 의한 근육 손상 악화 및 재생 억제를 면역학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근육 손상에 다른 근육 질환과 관련된 유전자를 연구하던 중 cobra toxin을 이용하여 근육에 사멸과 괴사가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panx3 결실 시 근육의 괴사가 촉진되고 재생이 느려짐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annexin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annexin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는 상기 Pannexin3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상기 Pannexin3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근육 손상이 예측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혈액, 타액 및 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이 대조군보다 증가한 경우 근육 손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Pannexin3은 NP_443191.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재생 예후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Pannexin3 발현 감소의 경우 근육 손상이 악화되고 근육 재생이 저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후예측"은 질환의 경과 및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환의 치료 후 경과는 환자의 생리적 또는 환경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후 병의 경과를 예측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Pannexin3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는 Pannexin3 유전자 또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저분자 화합물, 펩티드, 앱타머, 항체 및 천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은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질환(myopathy), 근육 손상(muscular injur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무력증(myasthenia), 근육감소증(sarcopenia), 근신경 전도성 질병(myoneural conductive disease), 피부근육염(dermatomyositis), 당뇨병성 근위축증(diabetic amyotrophy),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및 퇴행성 근육질환(degenerative muscle diseas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Pannexin3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Pannexin3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육 손상이 유도된 동물로부터 분리된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시험물질이 접촉된 세포에서 Pannexin3 발현 또는 활성화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여 상기 Pannexin3 발현 또는 활성화 수준이 증가한 시험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annexin3 발현 또는 활성화 정도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효소면역분석법 (ELISA), 면역조직화학,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분석법 (FAC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측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조예>
하기의 참조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참조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 시약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과산화벤조일 (benzoyl peroxide), DMSO (Dimethyl sulfoxide), 에탄올, fast red violet LB, 글리세롤, naptol As-Mx phosphate,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dimethylformamide), 질산 (nitric acid), nonylphenyl-polyethyleneglycol acetate,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 PFA), 피크르산 (picric acid) 용액, 질산은 (silver nitrate), 아세트산나트륨 (sodium acetate), 탄산나트륨 (sodium carbonate), 티오황산나트륨 (sodium thiosulfate), β-글리세로포스파트 (β-glycerophosphate)는 Sigma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아세톤 (Acetone) 및 포름알데하이드 (formaldehyde) 용액은 JUNSEI (Nihonbashi-honcho, Chuo-ku, Tokyo)에서 구입하였다. DMEM (Hyclone), permount는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에서 구입하였다.
태아소혈청 (FBS)는 GIBCO (Grand Island, NY, U.S.A), oligo(dT)는 Promega (Madison, WI, USA),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은 Lonza (Rockland, ME, USA), SuperScript Ⅱ Reverse Transcriptase는 Intron (iNtRON Biotechnology, Gyeinggi-do, Korea), SYBR green master mixture는 ABI (Carlsbad,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2. 실험동물관리
Pannexin3 12주령 암컷마우스를 사용하여 뱀독(cobra toxin)을 주사하여 근육손상정도와 재생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SPF (Specific Pathogen Free) 실험동물 사육실 (온도 25℃, 상대습도 60%)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사료는 일반식을 주었으며 (Super bead Co, Korea), 모든 동물실험은 경북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라 수행하였다. (동물실험승인번호: KNU-2018-0156).
3. 실험기기
실시간 (Real-time) PCR은 ViiA7 (Applied Biosystems, CA, U.S.A)을 사용하였으며, DNA 및 RNA 정량은 Nano drop 2000, Incubator는 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ELISA reader (TECAN, Ma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험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 세포배양
혈관평활근세포는 DMEM에 10% (v/v) FBS, 페니실린 (100 units/㎖)과 스크렙토마이신 (100 units/㎖)을 넣고, 37℃, 5% (v/v) CO2 항온항습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 분화실험은 세포가 배양접시에 100% 채웠을 때 아스코르빅산 (50 ㎍/㎖)와 β-글리세로포스파트 (10 mM)를 첨가하여 유도하였다. 분화기간 동안 분화배지는 3일마다 교체하였다.
2. 폰코사 (Von kossa) 염색
근육의 광화 진행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폰코사 염색을 수행하였다. 뱀독(cobra toxin) 주사후 7일째와 21일째 종아리 근육을 분리하여 4℃에서 4% PFA로 하루 동안 고정 후 파라핀 샘플을 제조하였다. 파라핀 절편을 재수화 (rehydration) 후 1% AgNO3을 첨가하고 UV 아래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3차수로 2번 세척한 후 5% 티오황산나트륨 (sodium thiosulfate)을 첨가하여 5분 동안 반응시켜 비 특이적인 신호를 제거하였다. 에오신 (Eosin)으로 counter 염색하여 관찰한 후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3. 조직면역학 염색
관절연골을 중심으로 자른 파라핀 절편을 재수화한 후 Tri-EGTA (Tris 1.211g+EGTA 0.19g/ddH2O 1L; TEG)용액에 넣어서 전자레인지에 끓여서 retriever 하고 상온에서 천천히 식혔다. Retriever된 샘플을 3% H2O2/메탄올과 1% BSA/PBS용액으로 blocking한 후 0.1% Triton X-100을 투과시켰다. 다음으로 일차 항체를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키고, 이차 항체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DAB substrate를 이용하여 발색한 후 탈수하고 관찰하고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4. 실시간 PCT(Real-time PCR)
조골세포분화 표지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근육세포를 조골세포로 분화를 유도시키고 분화 14일에 RNA 추출 Kit (Easy-blue)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2 ㎍의 전체 RNA을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 0.5 ㎕에 2× SYBR green PCR master mixture (5 ㎕)와 특이적 프라이머 (0.2 ㎕)를 혼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표 1과 같다. 프라이머는 Primer Express software (ABI)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mPanx3-F AAC TGC CCC TGG ATA AGA TGG T
mPanx3-R TGA TCG GAG ACC CTG ATG AGA
mRunx2l-F ACA TGG CCA GAT TCA CAG TGG
mRunx2-R TGG TGC CCG TTA GCA ATT G
mOsteopontin-F CAT GAG ATT GGC AGT GAT TTG C
mOsteopontin-R TGC AGG CTG TAA AGC TTC TCC T
mOsteocalcin-F TTC TGC TCA CTC TGC TGA CCC T
mOsteocalcin-R CCT GCT TGG ACA TGA AGG CTT
mMGP-F ACA CCT TTA TGT CCC CTC AGC A
mMGP-R ATC GCA GGC CTC TCT GTT GAT
<실시예 1> 근육세포 골세포화에서의 Panx3의 발현변화 확인
근육의 골세포화에서 근육은 염증인자 등에 의해 hif-2a를 유도하여 Runx2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근육 손상을 촉진하고 골세포화로의 전환분화 (transdifferentiation)를 유도하며 근육의 재생을 억제하므로, 근육의 골세포화는 근손상 및 재생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Jia-Jie Hu, Zi Yin et al. Pharmacological Regulation of In Situ Tissue Stem Cells Differentiation for Soft Tissue Calcification Treatment).
이에 따라, 근육세포 골세포화에서의 Panx3의 발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근육세포주인 C2C12를 사용하여 분화를 유도하고, ALP 염색을 통하여 골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A와 같이 OM (osteogenic media)을 처리한 그룹에서 골화가 촉진되어 염색이 많이 되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B와 같이 골화를 유도한 그룹에서 골분화 마커인 Runx2, Osteocalcin 및 Osteopontin의 발현 증가가 확인하였으며, Panx3 유전자 발현 증가도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Panx3은 근육세포 손상 회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될 수 있다.
<실시예 2> 근육세포에서 Panx3 과발현에 의한 골분화 마커들의 발현변화 확인
Panx3의 과발현에 의한 근육세포에서의 골분화 마커들의 발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C2C12 세포주에 Panx3를 과발현시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Panx3의 발현에 의하여 골분화 마커인 Runx2 및 Osteocalcin이 감소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Panx3 결실에 의한 근육 손상 악화 및 재생 억제
Panx3가 제거된 생쥐 종아리 근육에 뱀독(cobra toxin)을 주사하여 근육 손상 정도와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Panx3이 결실된 마우스에서 근육의 손상이 더 악화되었으며 재생도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Panx3 유전자는 근육 손상을 저해시키고 근육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면역학 염색을 수행하여 Panx3 결실에 의한 근육 손상 악화 및 재생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뱀독에 의한 손상은 근육세포의 괴사와 사멸 및 석회화 과정을 나타내며, 손상정도 및 근육 재생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면역학 염색으로 Runx2를 염색한 결과, 도 4와 같이 Panx3 결실된 생쥐의 종아리 근육의 석회화가 더욱 악화되었으며, 회복 속도 역시 매우 더디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로서,
    상기 Pannexin3이 검출되지 않으면, 뱀독(cobra toxin)에 의한 근육 석회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Pannexin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용 키트로서,
    상기 Pannexin3이 검출되지 않으면, 뱀독(cobra toxin)에 의한 근육 석회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용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annexin3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는 상기 Pannexin3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상기 Pannexin3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용 키트.
  4.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Pannexin3이 검출되지 않으면, 뱀독(cobra toxin)에 의한 근육 석회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근육 석회화가 예측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혈액, 타액 및 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가능성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annexin3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 또는 Pannexin3 단백질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보다 낮은 경우 근육 석회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석회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37808A 2020-03-26 2021-03-24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658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6948 2020-03-26
KR1020200036948 202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871A KR20210120871A (ko) 2021-10-07
KR102658146B1 true KR102658146B1 (ko) 2024-04-18

Family

ID=7860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808A KR102658146B1 (ko) 2020-03-26 2021-03-24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2106385XA (en) * 2016-12-29 2021-07-29 Univ Miami Method for modulating inflammasome activity and inflammation in the lung
KR20200001069A (ko) 2018-06-26 2020-01-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자기공명기법을 이용한 근육병증 질환의 진단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ell Physiology. 2018. Vol.233, No.10, pp.7057-7070.*
Pannexin3를 이용한 이소성 석회화 기전 연구. 중견연구자지원사원 최종(결과) 보고서, (2020.03.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871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aves et al. Estradiol is a critical mediator of macrophage-nerve cross talk in peritoneal endometriosis
Oñate et al. Stem cells isolated from adipose tissue of obese patients show changes in their transcriptomic profile that indicate loss in stemcellness and increased commitment to an adipocyte-like phenotype
JP2020511674A (ja) 細胞老化バイオマーカー
Arosio et al. MEF2D and MEF2C pathways disruption in sporadic and familial ALS patients
KR102658146B1 (ko) Pannexin3을 포함하는 근육 손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633897B1 (ko) Pannexin3을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Marcantoni et al. Dys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human fetal endothelial cells from gestational diabetes in response to TGF-β1
KR102118631B1 (ko) 관절염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Wang et al. The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and it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implications
KR101970764B1 (ko) 조혈모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cotl1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20190139780A (ko) c-src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시누클레인병증(synuclein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2120578A (ja) Ccaat/エンハンサー結合タンパク質発現抑制剤、il-1関与炎症性疾患の治療薬、及び、il-1又はil-17関与炎症性疾患の治療薬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70022925A (ko)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JP2013007724A (ja) 筋ジストロフィーの病態及び治療評価のための分子マーカー
KR102396763B1 (ko) 혈관내피세포 유래 cxcl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삼중음성유방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20230040906A (ko) Smpd1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3594B1 (ko) 염증 반응 매개 신혈관생성 질환 진단용 조성물
KR102200605B1 (ko) 기분 장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Npas4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리닝 방법
KR101895973B1 (ko)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475915B1 (ko) miRNA-27a-3p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의 표적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00536B1 (ko) Miro2 발현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0230B1 (ko) 핵고아수용체 RORα의 발현 및 활성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7954B1 (ko) 뇌졸중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102275313B1 (ko) Dec1의 발현 및 활성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iu et al. Upregulation of miR-107 suppresses Wnt3a/β-catenin signaling in degenerated intervertebral disc cells following hyperbaric oxygen treatment—in vitro and in viv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