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122B1 -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122B1
KR102658122B1 KR1020230181208A KR20230181208A KR102658122B1 KR 102658122 B1 KR102658122 B1 KR 102658122B1 KR 1020230181208 A KR1020230181208 A KR 1020230181208A KR 20230181208 A KR20230181208 A KR 20230181208A KR 102658122 B1 KR102658122 B1 KR 10265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upling
elastic base
upper sid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현
Original Assignee
이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현 filed Critical 이서현
Priority to KR102023018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0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 B27N3/203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베이스(30)를 배치하는 단계(S1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에 결합부재(20)를 배치하는 단계(S20); 상기 결합부재(20)의 상측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결합부재(20)에 목재를 배치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에 어퍼시트(40)를 배치시키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에 로어시트(50)를 배치시키는 단계(S60); 상기 S50 단계 및 S60 단계 이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가압열융착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을 제공하고, 목재가 탄성베이스에 부착되기 때문에, 휨변형이 용이하고 곡면을 형성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synthetic wood}
본 발명은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합성 목재는 원목 분쇄물과 올레핀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결합하여 고온, 고압에서 압출 또는 사출 성형시켜 목재의 장점과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친환경 무독성 제품으로, 이미 북미지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목재의 대체품으로 연구 개발되어 널리 상용화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7년 10월 8일 환경부 고시 취급 제한 금지 물질에 관한 규정 제2조 고유번호 06-4-59항에 의거 CCA(크롬, 동, 구리 비속) 처리 방부목 사용이 금지되어 이후 합성 목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합성 목재는 내충성이 우수하고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없으며, 다양한 색상과 탈변색이 거의 없고 수분에 강하며, 탄성, 인장강도, 휨 강도, 압축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나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변형이 없고 반영구적 수명을 가진다.
또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방출량이 거의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일정 기간이 지난 합성 목재는 수거 후 분쇄 등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작업 방법이 목재와 동일하고 모든 목공용품을 통해 가공이 가능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며, 못, 스크류, 피스, 나사 등을 사용할 경우 목재보다 2~4배 정도의 유지력을 가진다.
또한, 가벼운 물청소만으로도 초기의 외관을 회복시켜 주므로 도장이나 오일 스테인 등의 특별한 표면 처리가 필요 없어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특징이 있는 매우 유용한 건축 소재이다.
특히, 마루판, 천정판, 문짝, 문틀, 창호, 펜스와 같은 건축물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로 기존의 고급 소재로 인식되고 있는 목재(원목)를 사용할 경우 목재의 특성에 의해 수분흡수율이 높아서 제품의 변형 즉, 휨현상(뒤틀림) 및 자외선 흡수에 따른 산화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목재를 대신하여 합성수지(PP 또는 PE 등)와 목분 그리고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성형한 합성 목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12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6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09459호
본 발명은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베이스(30)를 배치하는 단계(S1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에 결합부재(20)를 배치하는 단계(S20); 상기 결합부재(20)의 상측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결합부재(20)에 목재를 배치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에 어퍼시트(40)를 배치시키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에 로어시트(50)를 배치시키는 단계(S60); 상기 S50 단계 및 S60 단계 이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가압열융착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을 통해 제작된 친환경 합성목재는, 제 1 두께로 형성된 상기 탄성베이스(3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두께 보다 얇은 제 2 두께로 형성된 상기 목재(10);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를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20);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상기 어퍼시트(4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을 커버하는 상기 로어시트(5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20)가 격자형상의 매쉬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상기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에 조사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70 단계는 진공상태에서 섭씨 120도 내지 150도의 온도로 진행되고, 상기 S70에서 어퍼가압플레이트가 상기 어퍼시트(40)를 상기 목재(10) 측으로 가압하고, 로어가압플레이트가 상기 로어시트(50)를 상기 탄성베이스(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목재가 탄성베이스에 부착되기 때문에, 휨변형이 용이하고 곡면을 형성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결합부재의 탄성률이 상기 목재의 탄성률 보다 크고 상기 탄성베이스의 탄성률 보다 작기 때문에, 휨 변형 시 상기 목재 및 탄성베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탄성률 차에 따른 이격 또는 들뜸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압열융착을 통해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제작시간 및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하나의 결합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겹쳐져 배치되어 바인더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목재 및 탄성베이스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인더를 충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가 도시된 단면도이ㄷ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철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는, 제 1 두께로 형성된 탄성베이스(30)와,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두께 보다 얇은 제 2 두께로 형성된 목재(10)와,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와,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어퍼시트(40)와,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을 커버하는 로어시트(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목재(10)는 천연목재가 사용되고, 하부에 탄성베이스(30)가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휨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2 두께는 1mm 내지 2mm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두께는 3mm 내지 5m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는 상기 탄성베이스(30)로 인해 어느 정도의 휨변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곡면을 형성시키기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 탄성베이스(30)는 이소부틸렌(Isobuthylene)에 이소프렌(Isoprene)을 혼성중합한 탄성베이스(30)(Isobuthylene Isoprene Rubber)에 폴리부틸렌(Polybutylene)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쿠마론레진(Curmarone Resin)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탄성베이스(30)는 이소부틸렌에 소량의 이소프렌을 혼성중합시킨 것으로써, 긴 사슬모양의 구조를 지닌 불활성 고무이다. 탄성베이스(30)는 기체와 수분에 대하여 낮은 투과성을 가지므로 방수재료로도 적절한 성능을 가진다.
또한 탄성베이스(30)는 천연고무나 스틸렌부타디엔 고무에 비하여 내공기 투과성은 7-8배 이상 우수하고, 내수분 투과성은 10배 이상이다. 탄성베이스(30)는 다른 고무에 비하여 분자구조가 선형이고, 이중결합이 적으며, 비극성이므로, 수분, 산소와 친화력이 낮아 용해도가 낮고 이들 분자 내 확산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에 따라 다른 고무에 비하여 우수한 내공기 투과성을 가진다.
첨가재인 상기 폴리부틸렌은 액상의 형태로서 혼합되어 점착성을 부여한다.
상기 결합부재(20)는 격자형상의 매쉬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는 상기 결합부재(20)의 열융착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인더(도 4의 60)가 사용된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올 60중량%, 아크릴 모노머 6중량% ~14중량%, 이소시아네이트 26중량% ~ 34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폴리올은, 다수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이다. 식물에서 추출한 오일에서 유래한 천연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생산의 주재료로 이용된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올 60중량% 및 아크릴 모노머 6중량% ~14중량%를 교반하여 아크릴 모노머로 개질된 폴리올을 형성하고, 이후 이소시아네이트(-NCO) 26중량% ~ 34중량%를 교반하여 폴리우레탄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기본적으로 우레탄 결합의 특성상 의해 아크릴 수지에 비해 풍부한 탄성, 높은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및 우수한 방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목재보드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강하므로 균열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부재(20)가 매쉬 패턴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바인더를 채우기 용이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바인더가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를 용이하게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0)의 탄성률이 상기 목재(10)의 탄성률 보다 크고 상기 탄성베이스(30)의 탄성률 보다 작기 때문에, 휨 변형 시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탄성률 차에 따른 이격 또는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시트(40)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5~15중량부와, 개질폴리에틸렌 5~15중량부와, 에폭시 수지 1~10중량부와, 비스무스 화합물 1~10중량부와,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10~3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시트(40)는 투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목재(10)의 무늬 및 색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크릴산 10~30중량부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질폴리에틸렌은 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란계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실란계 화합물은 glycidoxy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2-(3, 4-epoxycyclohexyl)은, ethyl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phen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로어시트(50)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10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20 중량부와, 아크릴 모노머 10~30중량부와, 글리콜 5~15중량부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25중량부와, STO(SrTiO3)와 아크릴산(Acrylic acid, AA)으로 개질화된 게르마늄 0.5~5중량부와, 아크릴산(Acrylic acid, AA)과 글리콜로 개질화된 TiO2 1~10중량부와, 다공성 질석 분말 1~10중량부와, 실리카 입자 2~10중량부와, 규산나트륨 45~6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시트(50)의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수지는 인장강도, 신장률, 내구성, 접착력 등의 물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접착력과 함께 방오 성능 및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n-Butyl acrylate(BAM), Methyl methacrylate(MMA), Methyl Acrylate(MA), Acrylic Acid(A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목재(10) 대신에 MDF, PB, 집성목 등과 같은 합성목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은, 탄성베이스(30)를 배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에 결합부재(20)를 배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결합부재(20)의 상측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결합부재(20)에 목재를 배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에 어퍼시트(40)를 배치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에 로어시트(50)를 배치시키는 단계(S60)와, 상기 S50 단계 및 S60 단계 이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가압열융착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S70 단계는 진공상태에서 섭씨 120도 내지 150도의 온도로 진행된다.
상기 가압열융착 단계(S70)에서 어퍼가압플레이트(미도시)가 상기 어퍼시트(40)를 상기 목재(10) 측으로 가압하고, 로어가압플레이트(미도시)가 상기 로어시트(50)를 상기 탄성베이스(30)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상기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에 조사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철단계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결합부재(20)가 겹쳐져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측단면으로 볼 때, 상기 결합부재(20)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부(21), 제 2 결합부(22) 및 제 3 결합부(23)와, 상기 제 1 결합부(21)의 일단(21a) 및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하측 및 제 2 결합부(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결합연결부(24)와,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타단(21b) 및 제 3 결합부(23)의 일단(23a)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1)의 상측 및 제 3 결합부(23)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연결부(25)를 포함한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연결부(24)가 상기 제 1 결합부(21) 및 제 2 결합부(22) 사이에 겹쳐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결합연결부(25)가 상기 제 1 결합부(21) 및 제 3 결합부(23) 사이에 겹쳐져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이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결합부(23)의 일단(23a)이 상기 제 1 결합부(21)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재(20)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 및 제 3 결합부(23)의 일단(23a)이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하는 특징이 있다.
즉,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 및 제 3 결합부(23)의 일단(23a)이 일측(도면에서 우측) 및 타측(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상기 결합부재(20)가 가압열융착될 때, 두께가 2겹으로 형성될 수 있고, 3겹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상기 결합부재(20)를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만드는 공정을 접철단계(S120)라고 정의한다.
상기 제 1 결합연결부(24) 및 제 2 결합연결부(25)를 통해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 사이에 바인더공간(65)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인더(60)을 충진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0)가 격자 형태의 매쉬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바인더공간(65)과 함께 보다 많은 양의 바인더를 채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바인더공간(65)은 상기 결합부재(20) 및 목재(10) 사이에 형성되는 어퍼바인더공간(65a)과, 상기 결합부재(20) 및 탄성베이스(30) 사이에 형성되는 로어바인더공간(65b)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바인더공간(65a)이 상기 제 1 결합부(21), 제 2 결합부(22) 및 제 3 결합부(23)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로어바인더공간(65b)이 상기 제 1 결합부(21), 제 2 결합부(22) 및 제 3 결합부(23) 하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은, 탄성베이스(30)를 배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에 결합부재(20)를 겹치게 배치하는 접철단계(S120)와, 상기 결합부재(20)의 상측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결합부재(20)에 목재를 배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에 어퍼시트(40)를 배치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에 로어시트(50)를 배치시키는 단계(S60)와, 상기 S50 단계 및 S60 단계 이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가압열융착시키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는, 제 2 결합부(22)가 배치되는 단계(S121)와, 상기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에서 일측 방향으로 제 1 결합연결부(24)를 상기 제 2 결합부(22)의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2)와,
상기 제 1 결합연결부(24)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결합부(21)를 제 1 결합연결부(24)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3)와,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타단(21b)에서 일측 방향으로 제 2 결합연결부(25)를 제 1 결합부(21)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4)와,
상기 제 2 결합연결부(25)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3 결합부(23)를 제 1 결합부(21)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5)를 포함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목재 20 : 결합부재
30 : 탄성베이스 40 : 어퍼시트
50 : 로어시트

Claims (5)

  1.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에 있어서,
    탄성베이스(30)를 배치하는 단계(S1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에 결합부재(20)를 겹치게 배치하는 접철단계(S120);
    상기 결합부재(20)의 상측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결합부재(20)에 목재(10)를 배치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에 어퍼시트(40)를 배치시키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에 로어시트(50)를 배치시키는 단계(S60);
    상기 S50 단계 및 S60 단계 이후에 열 및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10), 탄성베이스(30),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를 한번에 가압열융착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을 통해 제작된 친환경 합성목재는,
    제 1 두께로 형성된 상기 탄성베이스(3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상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두께 보다 얇은 제 2 두께로 형성된 상기 목재(10);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베이스(30) 및 목재(10)를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부재(20);
    상기 목재(1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상기 어퍼시트(40);
    상기 탄성베이스(30)의 저면을 커버하는 상기 로어시트(5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20)가 격자형상의 매쉬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상기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에 조사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70 단계는 진공상태에서 섭씨 120도 내지 150도의 온도로 진행되고,
    상기 S70에서 어퍼가압플레이트가 상기 어퍼시트(40)를 상기 목재(10) 측으로 가압하고, 로어가압플레이트가 상기 로어시트(50)를 상기 탄성베이스(30)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자외선을 상기 어퍼시트(40) 및 로어시트(50)에 조사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부(21), 제 2 결합부(22) 및 제 3 결합부(23);
    상기 제 1 결합부(21)의 일단(21a) 및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하측 및 제 2 결합부(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결합연결부(24);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타단(21b) 및 제 3 결합부(23)의 일단(23a)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1)의 상측 및 제 3 결합부(23)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연결부(25);를 포함하고,
    S120 단계는, 제 2 결합부(22)가 배치되는 단계(S121)와,
    상기 제 2 결합부(22)의 타단(22b)에서 일측 방향으로 제 1 결합연결부(24)를 상기 제 2 결합부(22)의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2)와,
    상기 제 1 결합연결부(24)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1 결합부(21)를 제 1 결합연결부(24)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3)와,
    상기 제 1 결합부(21)의 타단(21b)에서 일측 방향으로 제 2 결합연결부(25)를 제 1 결합부(21)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4)와,
    상기 제 2 결합연결부(25)의 일단에서 타측 방향으로 제 3 결합부(23)를 제 1 결합부(21) 상측으로 절곡하는 단계(S125)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단계(S120)에서, 상기 제 1 결합연결부(24) 및 제 2 결합연결부(25)를 통해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 사이에 바인더공간(65)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목재(10) 및 탄성베이스(30)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인더(60)을 충진시키는 친환경 합성목재 제작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81208A 2023-12-13 2023-12-13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KR10265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1208A KR102658122B1 (ko) 2023-12-13 2023-12-13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1208A KR102658122B1 (ko) 2023-12-13 2023-12-13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22B1 true KR102658122B1 (ko) 2024-04-17

Family

ID=9087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1208A KR102658122B1 (ko) 2023-12-13 2023-12-13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54Y1 (ko) 2001-02-14 2001-07-19 박정애 접착면이 구비된 천연 무늬목 시트
KR101370695B1 (ko) 2012-07-10 2014-03-05 장영만 합판용 접착 시트
KR102003749B1 (ko) * 2019-05-30 2019-07-25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접착력 향상, 기계적 특성 강화된 미끄럼방지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683B1 (ko) * 2019-09-11 2020-02-25 주식회사 트리포트 자가부착식 내외장시트
KR102109459B1 (ko) 2019-11-08 2020-05-12 이은철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54Y1 (ko) 2001-02-14 2001-07-19 박정애 접착면이 구비된 천연 무늬목 시트
KR101370695B1 (ko) 2012-07-10 2014-03-05 장영만 합판용 접착 시트
KR102003749B1 (ko) * 2019-05-30 2019-07-25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접착력 향상, 기계적 특성 강화된 미끄럼방지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683B1 (ko) * 2019-09-11 2020-02-25 주식회사 트리포트 자가부착식 내외장시트
KR102109459B1 (ko) 2019-11-08 2020-05-12 이은철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0840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5985397A (en) Coated synthetic resin board tiles
EP0824570B1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sitions, moulded flat or extruded to give complex formation, dimensional stability, added strength, biological resistance, using non toxic resin formulations
KR100537541B1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5510382A (ja) 接着縁型建築パネルと製造方法
CN112969560B (zh) 覆盖的面板以及制造覆盖的面板的方法
US5976689A (en) Coated synthetic resin board tiles
WO2020095196A1 (en) Covered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ed panels
Singh et al. Natural fiber composites for building applications
JP4185940B2 (ja) 床基材の製造方法及び床材の製造方法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2658122B1 (ko)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작공법
EP2424726A1 (de) Verwendung eines verbundwerkstoffes auf basis eines einkomponenten-polyurethanklebstoffes
KR20090023483A (ko) 다공성 물체의 함침 방법
CA2760407A1 (en)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a wood which are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KR101602674B1 (ko) 방수 및 방습 성능을 향상시킨 가구용 미장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302198B1 (ko) 천연마루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113B1 (ko) 유아용 매트
KR101555854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이용한 복합 바닥재
JPS6264544A (ja) 複合材料の改良製法
KR20030025033A (ko)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이용한 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N210961078U (zh) 一种新型木纤复合铝板
KR101790273B1 (ko) 가구용 목재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0284950A (ja) 化粧パネル及び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CN201318012Y (zh) 防虫蛀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