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380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380B1
KR102657380B1 KR1020220028633A KR20220028633A KR102657380B1 KR 102657380 B1 KR102657380 B1 KR 102657380B1 KR 1020220028633 A KR1020220028633 A KR 1020220028633A KR 20220028633 A KR20220028633 A KR 20220028633A KR 102657380 B1 KR102657380 B1 KR 10265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ehicle
user
unit
mob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1994A (ko
Inventor
김민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380B1/ko
Publication of KR2023013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이 결합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결합될 수 있는 도킹 장치가 마련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의 무선 충전이 대중화됨에 따라 점차 차량에 사용자 단말의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유닛이 적용되고 있다.
통상의 무선 충전 유닛의 경우 콘솔 트레이, 암레스트 전/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의 충전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시 활용되고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차량 내에서 적극적으로 사용자 단만을 활용할 수 있는 예는 없다.
사용자 단말이 결합될 수 있는 도킹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위치 또는 행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도킹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이 결합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이동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동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롤(roll), 요(yaw), 피치(pitch), 상하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동 유닛의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스튜어트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상기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과, 무선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킹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인증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고정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일체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안착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양측을 지지하여 좌우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여 전후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단과 접촉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트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이 결합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상기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과, 무선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킹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결합될 수 있는 도킹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위치 또는 행동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도킹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부분 노출형 도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의 3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의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스튜어트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3자유도 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도킹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킹 장치에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본인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본인 인증 전의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명령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일부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을 결정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적외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모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도킹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 폰)(1)의 무선충전을 위한 도킹장치(10)는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부분 노출형(10a)(도 1의 (a)에 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2) 전부를 노출시키는 전부 노출형(10b) (도 1의 (b)에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장치(10)는 기종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단말(1)의 사이즈(높이), 무선충전코일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차량 주행 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의 다양한 폭과 형태에 대응할 수 있는 가변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분 노출형 도킹장치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부분 노출형 도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킹장치(10)는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20)과, 고정 유닛(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유닛(30)과, 이동 유닛(3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고정 유닛(20)은 차량의 대시보드(9)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진 않은 형태이고, 이동 유닛(30)은 고정 유닛(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유닛(20)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20)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 원통형상일 수 있고, 이동 유닛(30)은 고정 유닛(20) 내부에 수용되며 상대 회전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유닛(30)에는 사용자 단말(1)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21)이 구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는 이동 유닛(30)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유압, 압축공기 등과 같은 동력원 및 기어, 링크 등과 같은 동력전달기구 등을 포함하는 구동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40)는 이동 유닛(30)을 통해 사용자 단말(1)의 롤(roll), 피치(pitch), 요(yaw) 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액츄에이터(40)는 수직축(31)을 기준으로 이동 유닛(3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는 이동 유닛(30)의 외주면에 설치된 링기어(41)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2)와, 모터(42)의 동력을 링기어(4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모터(42)는 연속적 방향전환을 구현하거나, 스텝모터와 같이 단계적 방향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동력전달기구는 모터(42)의 회전력을 링기어(4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벨트, 풀리 및 기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기구의 일 예로서 모터(42)의 축에 결합된 상태로 링기어(41)와 맞물리는 피니언(43)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40)는 후술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 유닛(30)을 운전석을 주시하는 방향 또는 동승석을 주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부분 노출형 도킹장치의 이동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이동 유닛(30)은 사용자 단말(1)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50)과, 무선 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60)을 포함한다.
고정 모듈(50)은 사용자 단말(1)이 안착 지지되는 폰 지지대(51)와, 폰 지지대(51)에 안착된 사용자 단말(1)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홀더(55)를 포함한다.
폰 지지대(5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 단말(1)의 후면을 지지하는 종방향 지지부(51a)와, 종방향 지지부(51a)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사용자 단말(1)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부(51b)를 포함하고, 횡방향 지지부(51b)에는 사용자 단말(1)이 삽입 안착될 때 충격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종방향 지지부(51a)의 배면에는 무선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55)는 사용자 단말(1)의 양측을 파지하여 좌우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1 홀더(56)와, 폰 지지대(51)에 안착된 사용자 단말(1)의 전후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 홀더(57)를 포함한다.
제1 홀더(56)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홀더 피니언(56a)과, 홀더 피니언(56a)과 맞물린 상태로 홀더 피니언(56a)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홀더 랙(56b)과, 한 쌍의 홀더 랙(56b)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각각 사용자 단말(1)의 측부를 파지하는 홀더 클램프(56c)를 포함한다.
제2 홀더(57)는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전방에 위치되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팽창 가능한 에어 푸셔(57a)를 포함한다.
에어 푸셔(57a)는 폰 지지대(51)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 제2 홀더 지지대(57b)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푸셔(57a)는 사용자 단말(1)의 삽입 또는 인출 신호에 따른 공압 제어를 통해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홀더(57)는 에어 푸셔 대신 고무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의 전후 움직임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이 이동 유닛(30)의 슬롯(21)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 단말(1)은 디스플레이(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1 홀더(56) 및 제2 홀더(57)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2)는 기종마다 노출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컨텐츠 영역 또한 기종마다 상이하므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초기에 기종을 입력함에 따라 컨텐츠 표시부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유닛(30)의 슬롯(21)에는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스윙 도어(21a)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이동 유닛(30a)은 기종마다 상이한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2) 노출영역을 동일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액츄에이터(40a)는 충전/인증 모듈(60)과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랙(41a)과, 승강랙(41a)의 랙기어와 맞물리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승강피니언(41b)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액츄에이터(40a)의 구동에 의해 충전/인증 모듈(60), 홀더(55)는 일체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이 이동 유닛(30a)에 삽입 전 사전 입력된 사용자 단말(1)의 기종에 따라 액츄에이터(40a)는 승강피니언(41b)을 구동하여 승강랙(41a)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기종에 무관하게 디스플레이(2)의 노출영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제3 실시예의 이동 유닛의 배단면도이고,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이동 유닛(30b)은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NFC 안테나(3) 위치가 사용자 단말(1)의 상단에 위치되어 이동 유닛(30)의 충전/인증 모듈(60) 인식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유닛(30b)에 구비된 충전/인증 모듈(60)은 위치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액츄에이터(40b)는 사용자 단말(1)을 지지하는 폰 지지대(51) 및 홀더(55)를 포함하는 고정 모듈(50)만을 일체로 승강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b)는 전술한 승강랙(41a)과 승강피니언(41b)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승강랙(41a)의 일측이 고정 모듈(50)에만 연결됨에 따라 승강랙(41a)의 상하 이동 시 폰 지지대(51) 및 홀더(55)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사전 입력된 사용자 단말(1)의 기종에 따라 액츄에이터(40b)는 사용자 단말(1)에 구비된 NFC 안테나(3)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 모듈(50)을 하강시켜 이동 유닛(30b)에 구비된 충전/인증 모듈(60)에 인식 시킨 후 도 9와 같이 다시 고정 모듈(50)을 상승시켜 사용자 단말(1)의 일부가 노출되는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c)는 충전/인증 모듈(60)을 상하 이동시킴에 의해 사용자 단말(1)의 상단에 위치된 NFC 안테나(3)를 인식한 후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폰 지지대(51) 및 홀더(55)를 포함하는 고정 모듈(50)은 이동 유닛(30c)에 고정되고, 폰 지지대(51) 근방에 위치된 충전/인증 모듈(60)은 승강랙(41a)과 승강피니언(41b)의 조합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40c)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이 장착된 이동 유닛이 하나의 수직축(31)을 기준으로 운전석 또는 동승석 방향인 좌우로 회전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동 유닛은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3 자유도(Degree Of Freedom;DOF) 이상을 실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란 기구학(Kinematics) 또는 역기구학(Inverse Kinematics)에서의 자유도를 말한다. 기구의 자유도란 기구의 독립적인 운동의 수, 또는 각 링크 간의 상대 위치의 독립된 운동을 결정하는 변수의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x축, y축, z축으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상의 물체는, 물체의 공간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3 자유도(각 축에서의 위치)와, 물체의 공간적인 자세(orientation)를 결정하기 위한 3 자유도(각 축에 대한 회전 각도)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자유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물체가 각각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고 한다면, 이 물체는 6 자유도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의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롤(roll), 요(yaw), 피치(pitch) 운동 또는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롤 방향은 Z축 주위의 회전방향이고, 요 방향은 X축 주위의 회전방향이고, 피치 방향은 Y축 주위의 회전방향일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각 축을 직접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하거나, 링크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유닛(30d)은 3자유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Z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케이싱(32d)과, 제1 케이싱(32d) 내에서 Y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케이싱(33d)과, 제2 케이싱(33d) 내에서 X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3 케이싱(3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싱(34d) 내에는 전술한 고정 모듈(50)과 충전/인증 모듈(60)이 내장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d)는 제1 케이싱(32d), 제2 케이싱(33d) 및 제3 케이싱(34d)을 각 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기어, 링크 등의 기구적 구성요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0d)는 도 11과 같이 모터(41d)의 동력을 피니언(42d)을 통해 제1 케이싱(32d)의 외면에 설치된 링기어(43d)에 전달시킴에 의해 제1 케이싱(32d)을 Z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도 12와 같이 X축에 직결되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통해 제3 케이싱(34d)을 X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도 13과 같이 Y축에 직결되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통해 제2 케이싱(33d)을 Y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액츄에이터(40d)는 도 14와 같이, 링크부재(44d)를 이용하여 각 축을 간접적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링크부재(44d)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45d), 제2 링크(46d) 및 제3 링크(47d)를 포함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40d)의 모터는 제1 링크(45d)를 회전시킴에 의해 제1 링크(45d)의 움직임과 연동하는 제2 링크(46d) 및 제3 링크(47d)를 통해 각 케이싱이 대응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액츄에이터(40e)는 이동 유닛(30)의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스튜어트 플랫폼(Stewart Platform)을 채용할 수 있다.
스튜어트 플랫폼은 고정부인 고정 플랫폼(41e)과 운동부인 운동 플랫폼(42e)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43e,44e)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실린더(45e)를 포함하고, 운동 플랫폼(42e)에는 이동 유닛(30)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플랫폼(41e)과 실린더(45e) 사이에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43e)는 2자유도, 병진운동(Linear Joint)하는 실린더(45e)는 1자유도 그리고 운동 플랫폼(42e)과 실린더(45e)의 피스톤과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44e)는 2자유도로서, 운동 플랫폼(42e)에 결합된 이동 유닛(30)은 6자유도 운동이 된다.
이를 통해, 운동 플랫폼(42e)에 고정 모듈(50)과 충전/인증 모듈(60)을 포함한 이동 유닛을 결합시킴에 의해 사용자 단말(1)은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의 도킹장치(70)는 고정 유닛(71)이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유닛(7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 유닛(80)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이동 유닛(80)의 고정 모듈(50)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 단말(1)의 기종에 따른 노출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고정 모듈(50)에 사용자 단말(1)이 안착되면, 제1 홀더(56)가 사용자 단말(1)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동하여 파지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홀더(56)가 제2 홀더(57) 대신 사용자 단말(1)의 전방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 모듈(50)의 후방에는 충전/인증 모듈(60)이 위치되고, 충전/인증 모듈(60)은 회동 프레임(81)에 내장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81)에는 제1 홀더(56)가 설치될 수 있고, 고정 모듈(50)의 후방에 소정간격 이격된 회동축(82)이 구비될 수 있다.
회동 프레임(81)은 고정 유닛(71) 내부에 배치된 액츄에이터(90)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82)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하여 사용자 단말(1)이 운전석 또는 동승석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회동축(82)을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90)는 회동축(82)과 직결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기어, 링크 등과 같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서는 이동 유닛이 하나의 회동축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예를 도시하나,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자유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의 3자유도 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이동 유닛(80a)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1)은 고정 모듈(50)의 종방향 지지부(51a)와 수직하는 X축, 종방향 지지부(51a)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Z축인 회동축(82) 및 종방향 지지부(51a)의 폭방향과 평행하는 Y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사용자 단말(1)을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x축 액츄에이터(90a) 및 y축 액츄에이터(9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프레임(81)은 회동 프레임(81)의 하부에 결합된 y축 액츄에이터(90b)의 구동에 의해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고정 모듈(50) 및 충전/인증 모듈(60)은 회동 프레임(81)에 결합된 x축 액츄에이터(90a)의 구동에 의해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x축 액츄에이터(90a)는 동력원인 모터가 X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83)에 직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y축 액츄에이터(40)는 동력원인 모터가 고정 유닛(20)의 하단에 결합된 회동판(91)에서 Y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84)에 직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동판(91)은 대시보드(9) 내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유닛(80a)은 액츄에이터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1)의 롤, 피치, 요 방향의 3자유도 운동을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1)의 다양한 모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70)는 도 15에 도시된 스튜어트 플랫폼을 채용하여 6 자유도 모션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전부 노출형 도킹장치(70)는 고정 모듈(50)과 충전/인증 모듈(60)만이 구비될 수 있고, 스튜어트 플랫폼의 운동 플랫폼(42e)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킹 장치의 기구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도킹 장치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킹 장치(10), 고정 유닛(20) 및 이동 유닛(30)을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0에서 설명하는 도킹 장치, 고정 유닛 및 이동 유닛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도킹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도킹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과, 사용자 단말(1)이 결합되는 도킹 장치(10)를 포함하는 차량(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 및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
사용자 단말(1)은, 앞서 설명한 도킹 장치(10)에 의해 차량(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이 인증된 단말인 경우 차량(100)의 제어 명령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식별되는 사용자의 행위나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도킹 장치(10)가 모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동 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과 연동할 수 있다. 차량(100)의 동작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사용자 단말(1)이 결합되는 도킹 장치(10)와, 사용자 단말(1)과의 연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차량(100)의 시트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생기(13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차량(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각 구성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각 구성이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 공지된 유형의 무선 통신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통신부(110)의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1)이 서비스 가입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의 통신을 지원하여 사용자 단말(1)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는, 도1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도킹 장치로, 사용자 단말(1)이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이 결합된 상태로 모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 유닛(30)과 이동 유닛(3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과의 연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이동 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도킹 장치(10)가 모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롤, 요, 피치, 상하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킹 장치(10)가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1)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도킹 장치(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행위에 반응하여 사용자에 응답 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의 NFC 안테나와 충전/인증 모듈(60)의 NFC 안타네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로부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사이의 협조 및 호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고 등 외부 이벤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운전자 주의 분산 여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ICC(in cabin camera)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130)는, 차량(100)의 시트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발생기(130)는, 대시 보드(9)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터치 패널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AVN(audio/video/navigation)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차량(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 공지된 유형의 저장 매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킹 장치에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고,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본인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본인 인증 전의 사용자 단말이 도킹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하는 것을 식별하고(2310), 도킹 장치(10)로 인증 절차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2320).
예를 들어, 도킹 장치(10)는, 사용자 단말(1)의 결합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의 결합을 식별하는 경우 제어부(120)로 사용자 단말(1)의 결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으며,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이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는, 사용자 단말(1)의 NFC 안테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충전/인증 모듈(6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2330), 사용자 단말(1)과 NFC 통신을 통하여 인증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2340), 제어부(120)로 인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2350). 예를 들어,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1)의 기종 정보나, 사용자 단말(1)의 사용자의 운전자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충전/인증 모듈(60)을 이동시켜 사용자 단말(1)과 NFC 통신으로 인증 정보를 획득하도록 도킹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2360), 인증 식별 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할 수 있다(2370).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2380).
다만,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NFC 통신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토큰 등과 같은 다른 인증 대체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증 수단에의 제한은 없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권한 및 접근성 허용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의 도킹 장치(10)에의 결합 즉시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실행 의사를 물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있어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은 위급 상황이나 무선 결제 등에 본인 인증을 통한 사용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차량(100)에 결합하기 이전에 즉, 차량(100)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1)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인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100)의 외부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100)의 기능(예를 들어, 운전 활성화 기능)을 명령하거나 사용자 설정 기능(예를 들어, IMS(integrated memory system))을 수행하도록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본인 인증이 완료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1)이 차량(100)에 결합되는 경우 본인 인증 없이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여부만을 확인하여 차량 제어 어플레이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을 통한 본인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차량(100)이 사용자 단말(1)이 삽입되는 경우 NFC를 통한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여부 식별 외에 본인 인증이 완료되어야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이 잠금해제 상태로 삽입된 경우에는 잠금해제 상태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을 제어하고, 잠금해제가 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활성화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인증 여부 식별이나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시스템의 갱신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나, 컨텐츠, 스트리밍 정보 등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의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을 제어하거나 도킹 장치(10)의 모션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명령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제공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이동 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도킹 장치(10)가 모션을 구현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롤, 요, 피치, 상하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은, 마이크, 카메라,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시스템으로 통하여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 위치나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터, 터치, 얼굴 표정 등)를 식별하고, 사용자 위치나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모션 제어 명령을 결정하여 차량(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킹 장치(10)가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이 켜지고 운전자가 착석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로부터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추적하도록 액츄에이터(40)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안면 인식이 안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하기 위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1)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도킹 장치(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행위에 반응하여 사용자에 응답 모션(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사용자 발화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이 사용자 발화 방향을 향하도록 도킹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과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이 차량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100) 내 센서(예{를 들어, ICC 카메라 등)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예를 들어, 가속도 등)가 사용자 단말(1)의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명령은, 드라이브 모드, 공조, AVN, 서스펜션 세팅, 고성능 모드, 배터리 제어, 외부 통신망 제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면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외부 통신망 제어는, 업데이트, OTA, 차량 간 통신, 기기 간 통신, 홈 IOT, 차량 관리, 예약 등의 외부 통신 관련 제어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차량(100) 또는 사용자 단말(1)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사용자 행위를 식별할 수 있으며, 손바닥, 손등, 관절 등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행위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사용자 행위를 중심으로 차량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은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 시스템(차량 통합 모듈 또는 CAN 통신망)에 접속하여 차량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통신망을 활용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사용자 단말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기기(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를 제어할 수 있어, 차량 안테나의 부하를 축소할 수 있다.
다만, 차량(100)은, 실시예에 따라, 인식되는 사용자에 따라 차량 제어의 권한의 설정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운전자에게는 전 권한을 수여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비운전자에게는 비운전 영역에 관한 권한만을 수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일환으로 사용자 단말(1)의 디스플레이 노출 영역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은, 디스플레이 노출 영역에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캐릭터가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여 리액션이나 발화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여 도킹 장치(10)가 모션을 구현하도록 하여 캐릭터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컨텐츠(예를 들어, 캐릭터)를 대화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상하좌우로 도킹 장치(10)가 모션하도록 액츄에이터(40)를 제어하여 대화 상대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컨텐츠 역시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이 기능과 같은 인증이 수반되는 컨텐츠, 영상 컨텐츠, 사고 발생 로직 컨텐츠, 사용자 설정 기능 수행 컨텐츠(예를 들어 IMS), 명령 이후 수행하는 활동을 위한 컨텐츠(예를 들어, DVRS, 주행기록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일부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사이의 협조 및 호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에는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캐릭터 및 그 모션이 표시되고,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는 캐릭터 이외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전부를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명령(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 공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1)로 전달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사용자 단말(1) 사이의 입력 우선순위가 차량(100) 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을 결정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적외선 발생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차량(100)의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고 등 외부 이벤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DVRS(drive video record system)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및 차량 외부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 등 외부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으며, 사고 방지를 위한 알람과 차량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100)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발생기(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생기(130)가 사용자에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도 사용자 단말(1)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이 노출도가 높은 카메라를 포함하거나 적외선 발생기를 가지는 경우 적외선 발생기(130)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등의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긴급 통신망(예를 들어, 119, 112, 911)을 연결하고, 양방향 음성 명령을 지원하고, 차량(100)의 위치, 구조 필요 여부 및 차량(100) 내/외부 영상(승객 영상, 사고 현상 확인)을 구조대에 송출하도록 사용자 단말(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사고에 대응하도록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고, 배터리를 제어하고, 화재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조치가 필요함을 공지하고 응급 구조대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사고 발생 알림을 주변 차량에 공지하고, 램프 제어를 통하여 사고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운전자 주의 분산 여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ICC(in cabin camera)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 주의 분산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 주의 분산을 경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과 사용자 단말(1)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은, 도 1 내지 도 33에서의 스마트 폰이 아닌, 차량(100)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은, 도킹 장치(1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X, Y, Z 축 각각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33에서의 스마트 폰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차량(100)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모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도킹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3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3510),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도킹 장치(10)의 이동 유닛(30)을 제어할 수 있다(3520).
즉, 차량(100)은,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도킹 장치(10)가 모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롤, 요, 피치, 상하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가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킹 장치(10)가 움직이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사용자 단말(1)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이동 유닛(30)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도킹 장치(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행위에 반응하여 사용자에 응답 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면(3610의 예), 충전/인증 모듈(60)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620).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1)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3630의 예),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할 수 있다(3640).
즉, 차량(100)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이 도킹 장치(10)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의 NFC 안테나와 충전/인증 모듈(60)의 NFC 안타네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사용자 단말(1)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3650의 예),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3660).
즉, 차량(100)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로부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예를 들어, 발화, 제스처, 표정 변화 등)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사용자 단말 2: 디스플레이,
10: 도킹장치, 20: 고정유닛,
30: 이동유닛, 40: 액츄에이터,
50: 고정모듈, 60: 충전/인증 모듈,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적외선 발생기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저장부

Claims (24)

  1.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이 결합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인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이동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동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롤(roll), 요(yaw), 피치(pitch), 상하 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이동 유닛의 6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스튜어트 플랫폼을 포함하는 차량.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상기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인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과, 무선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킹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인증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고정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차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차량.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충전/인증 모듈을 일체로 승강 이동시키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안착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양측을 지지하여 좌우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여 전후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단과 접촉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트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차량.
  18. 차량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이 결합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행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인 차량의 제어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위에 기초한 모션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의 수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 모션 또는 상기 사용자 행위에 응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화에 대응하는 설정 모션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이동 유닛의 모션을 제어하는 명령인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과, 무선충전부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인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킹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FC 안테나와 상기 충전/인증 모듈의 NFC 안테나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것으로 식별하는 경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20028633A 2022-03-07 2022-03-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633A KR10265738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633A KR10265738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994A KR20230131994A (ko) 2023-09-15
KR102657380B1 true KR102657380B1 (ko) 2024-04-17

Family

ID=8801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633A KR102657380B1 (ko) 2022-03-07 2022-03-07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33B1 (ko) * 2015-03-24 2015-07-29 조성일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05977B1 (ko) * 2014-12-31 2016-03-23 한국과학기술원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최소한의 자유도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667990B1 (ko) * 2015-06-10 2016-10-21 (주) 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75B1 (ko) * 2012-12-26 2015-08-31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KR101628482B1 (ko) * 2014-09-18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신호 분석을 통한 동작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1054B1 (ko) * 2015-06-12 2017-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220022380A (ko) * 2020-08-18 2022-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977B1 (ko) * 2014-12-31 2016-03-23 한국과학기술원 햅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최소한의 자유도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540233B1 (ko) * 2015-03-24 2015-07-29 조성일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67990B1 (ko) * 2015-06-10 2016-10-21 (주) 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994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784A1 (en) Operating a vehicle and a wearable device
JP2023159063A (ja) 車両
US20140002357A1 (en) Enabling and Disabling Features of a Headset Computer Based on Real-Time Image Analysis
US951777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 detected gaze
KR20170025179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4010912B (zh) 用于增强车辆内摄像仪视场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80208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ehicle driver by a pattern of movement
US11386678B2 (en) Driver authentication for vehicle-sharing fleet
CN108688593B (zh) 用于通过移动模式来识别车辆的至少一个乘客的系统和方法
CN107628033A (zh) 基于乘员警觉性的导航
KR101965578B1 (ko) 이동식 대쉬보드 로봇
CN107813831A (zh) 用于车辆和移动通信设备连接性的系统和方法
KR20220104067A (ko)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가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5991942A (zh) 车辆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11511703B2 (en) Driver personalization for vehicle-sharing fleet
CN116061829A (zh) 车载显示设备的控制方法、装置、车载显示设备以及车辆
KR20200009986A (ko) 차량용 로봇 및 상기 로봇의 제어 방법
JP2019006183A (ja) 操縦支援装置、操縦支援方法、プログラム
KR10265738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5185080A (zh) 一种车用可穿戴ar抬头显示系统
CN107395660A (zh) 通信连接方法、装置、终端用户设备、系统和机动车
US11881035B2 (en) Calibr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drive recorder, vehicle, and storage medium
CN112572320B (zh) 车辆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525192A (zh) 一种智能座舱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220283636A1 (en) Calibr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drive recorder, vehicl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