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05B1 - 더블클러치 - Google Patents

더블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05B1
KR102656305B1 KR1020210121247A KR20210121247A KR102656305B1 KR 102656305 B1 KR102656305 B1 KR 102656305B1 KR 1020210121247 A KR1020210121247 A KR 1020210121247A KR 20210121247 A KR20210121247 A KR 20210121247A KR 102656305 B1 KR102656305 B1 KR 102656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ing
hub
unit
doubl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023A (ko
Inventor
정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21012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3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37Details relating to the hub member on which the sliding is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6Details of the tooth structure; Arrangements of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이중으로 전달하는 더블샤프트부와, 마찰부 사이에 배치되고 마찰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변속시 동력을 단속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내주면에 외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더블샤프트부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와, 구동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허브부의 축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와, 구동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커버부와, 구동부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허브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과정에서 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클러치{DOUBLE CLUTCH}
본 발명은 더블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과정에서 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샤프트가 존재하는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M)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클러치디스크가 두 개인 더블 클러치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는 두 개의 클러치가 필요하고, 기어방식도 듀얼(Dual)로 작동되며 ,한 개 단씩 변속될 때마다 이중으로 되어 있는 샤프트가 바뀌기 때문에 변속 속도가 빠르며 실제 연비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건식 더블클러치(Dry Double Clutch)는 종래의 습식 더블클러치(Wet Double Clutch)와는 다르게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클러치디스크와 압력판의 마찰에 의해서 엔진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더블클러치는 크게 셋더블 클러치(Set Double Clutch)와 댐퍼 플라이휠(Damper Flywheel)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건식 더블클러치에는 허브를 지지하는 스토퍼링이 직접적으로 허브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변속시 허브에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그대로 스토퍼링에 전달되어 스토퍼링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식 더블클러치를 조립 또는 해제할 때 허브의 조립이 단순하지 않아, 엔진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샤프트를 동시에 2개의 허브에 스플라인 결합시키므로, 조립이 어렵고, 조립 과정에서 부품 손상이나 마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6013호(2013.12.23. 등록, 발명의 명칭 : 전기구동 차량의 드라이브라인 조립 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과정에서 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클러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는: 동력을 이중으로 전달하는 더블샤프트부; 마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찰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변속시 동력을 단속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내주면에 외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더블샤프트부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허브부의 축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상기 구동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는 커버외판부; 및 상기 커버외판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를 덮는 커버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내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커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록킹판부; 및 상기 록킹판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허브부를 통과시키거나 상기 허브부를 구속하는 록킹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록킹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외판홀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커버제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록킹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래치부는 상기 록킹판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연장부; 상기 래치연장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제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래치걸림부; 및 상기 래치걸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버제한부의 내측면에 걸쳐지는 래치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단면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허브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는 록킹부의 조작에 의해 허브부가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는 록킹부가 구동부와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기존의 스냅링 대비 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는 록킹부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허브부를 압박하므로, 진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에서 록킹부가 허브부를 구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에서 록킹부가 허브부를 구속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에서 록킹부가 허브부를 구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에서 록킹부가 허브부를 구속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1)는 더블샤프트부(10)와, 구동부(20)와, 허브부(30)와, 스토퍼부(40)와, 커버부(50)와, 록킹부(60)를 포함한다.
더블샤프트부(10)는 동력을 이중으로 전달한다. 일 예로, 더블샤프트부(10)는 엔진과 같은 동력원과 연결되고, 허브부(30)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동력축부(11)와, 제1동력축부(1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미도시한 별도의 허브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동력축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마찰부(90) 사이에 배치되고, 마찰부(90)와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변속시 동력을 단속한다. 일 예로, 구동부(20)는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구동몸체부(21)와, 구동몸체부(21)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구동연장부(22)와, 구동연장부(22)의 양측에 결합되고 마찰부(90)와 접촉되는 구동접촉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몸체부(21)의 내주면에는 구동치열부(211)가 형성되어 허브부(30)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허브부(30)는 구동부(20)의 내주면에 외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더블샤프트부(10)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된다. 일 예로, 허브부(30)는 원통 덕트 형상을 하는 허브관부(31)와, 허브관부(31)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확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관부(31)의 내주면은 제1동력축부(11)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허브확장부(32)의 외주면은 구동치열부(211)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40)는 구동부(20)의 일측에 장착되고, 허브부(30)의 축방향 이탈을 제한한다. 일 예로, 스토퍼부(40)는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을 하고, 구동원을 향하는 면에 리벳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40)는 구동몸체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몸체부(2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확장부(32)를 커버하여 동력원 방향으로 허브부(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50)는 구동부(20)의 타측에 장착된다. 일 예로, 구동부(20)를 기준으로 스토퍼부(40)와 커버부(50)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부(50)와 스토퍼부(40)가 구동부(20)에 동시에 리벳 결합될 수 있다.
록킹부(60)는 구동부(20)와 커버부(50) 사이에 배치되고, 허브부(30)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부(60)는 구동부(20)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30)를 구속하여, 동력원 반대 방향으로 허브부(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록킹부(60)는 구동부(20)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30)를 구속 해제하여, 허브부(30)를 구동부(20)에서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50)는 커버외판부(51)와, 커버내판부(52)를 포함한다.
커버외판부(51)는 구동부(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커버외판부(41)는 원띠 형상을 하고, 구동몸체부(2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내판부(52)는 커버외판부(5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록킹부(60)를 덮는다. 일 예로, 커버내판부(52)는 원띠 형상을 하고, 커버외판부(51)에서 연장되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동몸체부(21) 및 구동몸체부(2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확장부(32)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50)는 커버제한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제한부(53)는 커버내판부(52)에서 돌출되고, 록킹부(6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 예로, 커버외판부(51)에는 내측 원주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외판홀부(511)가 형성되고, 커버내판부(5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커버제한부(53)는 외판홀부(511)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제한부(53)는 한 쌍이 이격되어 돌출되고, 커버제한부(53) 사이에 록킹부(60)가 배치되어 걸림 상태가 되거나 걸림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60)는 록킹판부(61)와, 록킹돌기부(62)를 포함한다.
록킹판부(61)는 구동부(20)와 커버부(5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일 예로, 록킹판부(61)는 원띠 형상을 하되, 내경이 허브확장부(3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록킹판부(61)는 구동몸체부(21)와 커버외판부(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돌기부(62)는 록킹판부(6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배치 상태에 따라 허브부(30)를 통과시키거나 허브부(30)를 구속한다. 일 예로, 록킹돌기부(62)는 구동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구동치열부(211)와 대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록킹부(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록킹돌기부(62)가 허브부(30)를 통과시키거나 허브부(30)의 동력원 반대 방향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60)는 록킹래치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래치부(63)는 록킹판부(61)에서 연장되고, 커버부(50)에 형성되는 외판홀부(511)를 따라 회전 가능하며, 커버부(50)에 형성되는 커버제한부(5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래치부(63)는 래치연장부(631)와, 래치걸림부(632)와, 래치삽입부(633)를 포함한다.
래치연장부(631)는 록킹판부(61)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로, 래치연장부(631)는 록킹판부(61)의 가장자리에서 동력원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걸림부(632)는 래치연장부(631)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버제한부(5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일 예로, 래치걸림부(632)는 래치연장부(63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외판홀부(511)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걸림부(632)의 길이는 한 쌍의 커버제한부(53) 사이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으며, 래치걸림부(632)가 커버제한부(53) 사이에 배치되면 래치걸림부(532)의 양측단부가 커버제한부(53)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래치삽입부(633)는 래치걸림부(632)에서 연장되고, 커버제한부(53)의 내측면에 걸쳐진다. 일 예로, 래치삽입부(633)는 래치걸림부(632)의 좌우 양측단에서 연장되어 커버제한부(53)에 지지될 수 있다.
그 외, 록킹래치부(63)는 래치조작부(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치조작부(634)는 래치걸림부(632)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이 될 수 있고,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도구를 래치조작부(634)에 삽입하여 래치걸림부(6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60)는 단면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허브부(30)를 압박한다. 일 예로, 록킹부(60)는 외경에서 내경으로 갈수록 경사 또는 밴딩되는 형상을 하되, 록킹판부(61)의 외주면은 커버부(50)에 압박되고, 록킹돌기부(62)는 허브부(30)의 허브확장부(32)를 압박하여 허브부(30)의 치타음이나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20)의 일측면에 스토퍼부(40)를 배치하고, 구동부(20)의 타측면에 록킹부(60)를 배치하며, 커버부(50)가 록킹부(60)를 커버하도록 한 다음, 리벳 방식에 의해 구동부(20)와, 스토퍼부(40)와, 커버부(50)를 결합한다.
이때, 구동부(20)의 중앙부에는 구동치열부(211)가 형성되고, 허브부(30) 조립을 위해 록킹돌기부(62)는 구동치열부(2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허브부(30)가 구동치열부(211)와 스플라인 결합되면, 작업자는 록킹부(60)를 회전시켜 록킹돌기부(62)가 구동치열부(211)와 엇갈리도록 배치한다. 그리하면, 록킹돌기부(62)가 구동치열부(21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30)를 구속하여 허브부(30)의 이탈을 방지한다.
허브부(30) 조립이 완료되면, 더블샤프트부(10)의 제1동력축부(11)가 허브부(30)를 관통하면서 허브부(30)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한편, 더블샤프트부(10) 또는 허브부(30) 교체가 필요한 경우, 록킹래치부(63)를 가압하여 커버제한부(53)와의 걸림을 해제한 후, 록킹래치부(63)를 회전시켜 허브부(3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1)는 록킹부(60)의 조작에 의해 허브부(30)가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1)는 록킹부(60)가 구동부(20)와 커버부(50) 사이에 배치되므로, 기존의 스냅링 대비 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1)는 록킹부(60)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허브부(30)를 압박하므로, 진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더블샤프트부 20 : 구동부
21 : 구동몸체부 22 : 구동연장부
23 : 구동접촉부 30 : 허브부
31 : 허브관부 32 : 허브확장부
40 : 스토퍼부 50 : 커버부
51 : 커버외판부 52 : 커버내판부
53 : 커버제한부 60 : 록킹부
61 : 록킹판부 62 : 록킹돌기부
63 : 록킹래치부 631 : 래치연장부
632 : 래치걸림부 633 : 래치삽입부

Claims (7)

  1. 동력을 이중으로 전달하는 더블샤프트부;
    마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찰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변속시 동력을 단속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내주면에 외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더블샤프트부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스플라인 결합되는 허브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허브부의 축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상기 구동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부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록킹판부; 및
    상기 록킹판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고,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허브부를 통과시키거나 상기 허브부를 구속하는 록킹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는 커버외판부; 및
    상기 커버외판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를 덮는 커버내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내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커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록킹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외판홀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커버제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록킹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래치부는
    상기 록킹판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연장부;
    상기 래치연장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제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래치걸림부; 및
    상기 래치걸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버제한부의 내측면에 걸쳐지는 래치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단면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허브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KR1020210121247A 2021-09-10 2021-09-10 더블클러치 KR10265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47A KR102656305B1 (ko) 2021-09-10 2021-09-10 더블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47A KR102656305B1 (ko) 2021-09-10 2021-09-10 더블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23A KR20230038023A (ko) 2023-03-17
KR102656305B1 true KR102656305B1 (ko) 2024-04-12

Family

ID=8587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47A KR102656305B1 (ko) 2021-09-10 2021-09-10 더블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3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2677B (zh) * 2011-08-18 2016-05-11 平和法雷奥有限公司 干式双离合器
KR102093560B1 (ko) * 2018-06-29 2020-03-2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분리형 토션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23A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0150B2 (ja) 動力伝達装置
WO2016088860A1 (ja) 動力伝達装置
JP5832472B2 (ja) トルクダンパ装置
KR101541661B1 (ko) 건식 더블 클러치
WO2007074620A1 (ja) 動力伝達装置
JP2002323064A (ja) 摩擦クラッチ
JP2717783B2 (ja) ねじり振動防止装置
JPS61105322A (ja) ねじり振動止め装置
WO2019139044A1 (ja) 動力伝達装置
JP7480281B2 (ja) 動力伝達装置
JP6961427B2 (ja) 動力伝達装置
US4518071A (en) Clutch disc having damper springs
KR102656305B1 (ko) 더블클러치
JP6215749B2 (ja) クラッチ装置
WO2024004365A1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自動二輪車
WO2007032283A1 (ja) 動力伝達装置
JP4520961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JP2020090987A (ja) 動力伝達装置
JP2019090429A (ja) クラッチ装置
JP5525435B2 (ja) トルクリミッタ付き軸継手
JP3841357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JPH0135938Y2 (ko)
JP4049521B2 (ja) 車両用遠心クラッチ装置
WO2018061626A1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CN111108304A (zh) 扭矩传递装置、扭转阻尼器及相关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