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711B1 -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711B1
KR102655711B1 KR1020200099296A KR20200099296A KR102655711B1 KR 102655711 B1 KR102655711 B1 KR 102655711B1 KR 1020200099296 A KR1020200099296 A KR 1020200099296A KR 20200099296 A KR20200099296 A KR 20200099296A KR 102655711 B1 KR102655711 B1 KR 10265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ar
phase containing
discharg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775A (ko
Inventor
민경석
백세원
박상우
오경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0009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711B1/ko
Priority to US18/018,336 priority patent/US20230294998A1/en
Priority to JP2023507350A priority patent/JP2023536611A/ja
Priority to CN202180058513.6A priority patent/CN116057011A/zh
Priority to EP21853641.5A priority patent/EP4194402A1/en
Priority to PCT/KR2021/010332 priority patent/WO2022031074A1/ko
Publication of KR2022001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01B33/1585Dehydration into aero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91Preparation of aerogels, e.g. xero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8Processes carried out under supercritic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7Oxides of carbon, e.g. C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32Thermal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실리카 습윤겔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초임계 건조 공정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condenser)에서 응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지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A AEROGEL BLANKE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공정 중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사용된 CO2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aerogel)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고다공성 물질로서,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 그리고 낮은 열전도도를 가져 고효율의 단열재, 방음재 등의 용도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에어로겔은 다공성 구조로 인해 매우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섬유인 무기섬유 또는 유기섬유 등의 섬유상 블랭킷에 에어로겔을 함침하여 결합시킨 에어로겔 복합체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실리카 에어로겔을 이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랭킷의 경우, 실리카졸의 제조 단계, 겔화 단계, 숙성(Aging) 단계, 표면개질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종래의 기술은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고온 고압의 초임계 CO2를 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내에 함유된 에탄올 등의 용매를 추출하게 되며, 추출된 에탄올 등의 용매와 사용된 CO2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기(separator)가 사용되고 있다. 회수된 액상의 에탄올 등의 용매는 정제 공정 등을 통해 실리카 졸의 제조단계 및 겔화 단계에 재 사용된다. 한편, 용매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CO2는 분리기를 통해 분리되고, 응축된 후, 다시 재압축되어 초임계 건조 단계에 사용되며, 상기 재압축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초임계 건조 과정을 효율화하여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KR 10-2019-0056818 A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공정 중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사용된 초임계 추출액의 분리기를 통한 분리 조건을 조절하고, 회수된 CO2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초임계 건조 공정을 효율화하여 사용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실리카 습윤겔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초임계 건조 공정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condenser)에서 응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지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카 습윤겔이 투입되고, CO2가 주입되는 초임계 추출기;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분리기(separator); 및 상기 분리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condenser)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으로 운전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초임계 건조 공정에서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의 압력 조건을 조절하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일정 온도 이상 및 특정 범위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하여 전체적인 초임계 건조 공정을 효율화하여 사용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건설 또는 산업 현장에서 단열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은 그 표면을 소수화시키지 않는 경우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Si-OH)의 친수성 때문에 공기 중의 물을 흡수하게 되어 열전도율이 점차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건조 공정에서 기공 붕괴가 심화되어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을 기대하기 어려워 마이크로 포어(micro pore)를 갖는 초 단열 제품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수분 흡수를 억제시켜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리카 에어로겔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는 단계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카 에어로겔은 실리카 졸 제조단계, 겔화 단계, 숙성 단계, 표면개질 단계 및 초임계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표면개질 단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건조단계에서는 고온 고압의 초임계 CO2를 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내에 함유된 에탄올 등의 용매를 추출하게 되며, 추출된 에탄올 등의 용매와 사용된 CO2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기(separator)가 사용되고 있다.
회수된 액상의 에탄올 등의 용매는 정제 공정 등을 통해 실리카 졸의 제조단계 및 겔화 단계에 재사용되며, 용매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CO2는 분리기를 통해 분리되고, 응축된 후, 다시 재압축되어 초임계 건조 단계에 사용된다.
초임계 건조 단계는 추출된 에탄올 등의 용매와 사용된 CO2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단계 및 회수된 CO2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 단계에 비해 고압 조건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회수된 CO2를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압력을 맞춰주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재압축 과정을 거쳐야 하며 되며, 상기 재압축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1) 실리카 습윤겔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초임계 건조 공정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condenser)에서 응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기에서의 압력 조건인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및 상기 응축기에서의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인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은 종래의 분리기를 이용한 분리 단계 및 응축기를 통한 응축 단계에 비해 모두 압력, 또는 온도 및 압력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응축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 소비량 및 추후 재압축 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 단계의 온도는 추가적으로 흡수식 냉동기를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므로, 주변 공정의 폐열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 주입되는 CO2의 압력은 100 bar 내지 190 bar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20 bar 내지 180 bar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50 bar 내지 170 bar일 수 있다. 상기 CO2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압력으로 주입되는 경우 CO2가 기상/액상의 계면이 형성되어 균일하게 블랭킷 내부로 확산(Diffusion)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되는 경우 에너지 소요량이 증가되고 공정 소요 비용이 과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CO2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압력으로 주입되는 경우, 이후 추출액을 압력 저하시켰을 때 상기 추출액을 적절한 온도 범위까지 냉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건조 공정의 온도는 40℃ 내지 11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7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건조 공정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CO2가 에어로겔 기공(pore)으로의 확산이 저하되어 건조 효율이 떨어져 건조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건조단계에서는 고온 고압의 초임계 CO2를 사용하여 실리카 습윤겔 내에 함유된 에탄올 등의 용매를 추출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초임계 건조 단계 이후,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는 추출에 사용된 추출액을 배출하게 되며, 배출된 추출액은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되며, 분리기로부터 분리 배출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이란 초임계 건조 공정 후 발생하는 폐액을 의미하며, 이는 물, 유기 용매 및 CO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촉매로부터 유래한 잔류물, 표면 소수화를 위한 공정에서 사용된 표면개질제로부터 비롯된 암모늄 이온(NH4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헥산, 펜탄 및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분리기는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으로부터 CO2와 에탄올 등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플래쉬 세퍼레이터(flash separator) 또는 다단 증류기 등을 포함하는 기액 분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로서 플래쉬 세퍼레이터가 복수 개 연결되어 이용되거나 상기 다단 증류기가 사용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플래쉬 세퍼레이터 및 다단 증류기를 구성하는 증류기는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른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분리기는 예컨대 장치 상부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분리 배출하고, 장치 하부를 통해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을 분리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구체적으로 분리된 기상의 CO2일 수 있고, 상기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은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와 추가적으로 물 및 암모늄 이온(NH4 +) 등의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로 분리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응축기(condenser)에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해 액상으로 응축되어 초임계 추출기로 재순환될 수 있으며, 액상으로 배출된 용매 등은 정제 과정 등을 거친 후 겔화 과정의 원료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과정 이전에 추가적인 기액 분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80 bar, 더욱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7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2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50℃, 더욱 구체적으로 35℃ 내지 45℃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기에서의 압력 조건은 통상적으로 운전되는 분리기의 압력 조건보다 상승된 압력 조건이며, 이를 통해 회수되는 CO2가 추후 초임계 추출기로 재순환되기 전 가압되는 재압축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 범위와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재압축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응축기에서의 응축 온도는 구체적으로 17℃ 이상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7℃ 내지 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에서의 응축 압력은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80 bar, 더욱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70 bar일 수 있다. 상기 응축기에서는 응축시 상기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상기한 온도 범위로 응축하게 되며, 상기 응축기에서의 응축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응축에 필요한 에너지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온도 범위의 응축에는 흡수식 냉동기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주변 공정의 폐열의 활용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에서 상기 분리기는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가 다단으로 연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2)에서의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과정은 다단으로 연결된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를 통한 다단 분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는 같은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고, 또한 각각 다른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는 같은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경우 상기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의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은 분리기에 관해 전술한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가 각각 다른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을 가질 경우, 상기 제1 분리장치는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 조건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80 bar, 더욱 구체적으로 60 bar 내지 70 bar의 압력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2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50℃, 더욱 구체적으로 35℃ 내지 45℃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리장치는 5 bar 내지 30 bar의 압력 조건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8 bar 내지 25 bar, 더욱 구체적으로 8 bar 내지 20 bar의 압력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1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더욱 구체적으로 25℃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을 2차 분리기에 투입하여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추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0 bar 내지 65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bar 내지 50 bar, 더욱 구체적으로 10 bar 내지 2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0℃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더욱 구체적으로 20℃ 내지 3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차 분리기에서는 상기 분리기에서의 1차 분리보다 낮은 압력 조건에서의 기액분리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분리기를 통한 1차 분리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기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 내에 용해된 CO2를 추가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에 투입하기 전,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의 압력 조절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이 저하될 경우 추출액의 온도가 하강하며 이로써 상기 분리기의 온도 조건에 도달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추출액의 온도가 하강할 경우 상기 추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촉매로부터 유래한 잔류물, 표면개질제로부터 유래한 잔류물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염을 형성하며 석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액에 암모늄 이온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암모늄 이온이 고상의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석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추출액에 수산화나트륨 촉매로부터 유래한 나트륨 이온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나트륨 이온이 고상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형성하며 석출될 수 있다. 상기 고상의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석출된 탄산염은 여과장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은 여과 장치를 거쳐 여과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증류, 이온교환수지 또는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초임계 폐액을 재생하여 재사용하였으나, 상기 증류 또는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추가 설비 및 설비 가동 비용의 투자가 필요하여 경제성, 공정성이 좋지 못하였고, 중화반응에 의하는 방법은 격렬한 중화반응 및 중화열에 의해 안전성이 떨어지고, 산을 사용함에 따라 배관 및 기계 장치 등의 부식 등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상기와 같이 초임계 건조 공정 중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는 압력조절밸브의 조절을 통해 저하시켜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성을 유도한 후 이를 여과장치로 여과할 경우,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되는 추출액 내에 함유된 암모늄 이온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여과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은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여과 장치는 석출된 고상의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걸러낼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의 규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작은 석출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메쉬 단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 메쉬 내지 100,000 메쉬, 구체적으로 50 메쉬 내지 10,000 메쉬, 100 메쉬 내지 5,000 메쉬, 100 메쉬 내지 2,000 메쉬, 더욱 구체적으로 100 메쉬 내지 1000 메쉬, 100 메쉬 내지 400 메쉬의 규격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응축기를 통해 CO2로 회수되고, 회수된 CO2는 추가로 펌프를 통해 100 bar 내지 190 bar의 압력으로 재압축되어 초임계 추출기에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압축되는 압력은 전술한 초임계 추출기에 주입되는 CO2의 압력일 수 있고, 100 bar 내지 190 bar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20 bar 내지 180 bar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50 bar 내지 170 bar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통해 재압축된 CO2는 추가적으로 히터를 통해 상기 초임계 건조 공정의 온도 범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 범위는 40℃ 내지 9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내지 9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70℃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실리카 습윤겔이 투입되고, CO2가 주입되는 초임계 추출기;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분리기(separator); 및 상기 분리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condenser)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기는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 조건으로 운전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10℃ 이상의 온도 및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기는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는 다단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는 서로 같은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고, 또한 각각 다른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전단이 배관을 통해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이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분리기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초임계 추출기 내부의 압력을 유지시키고, 이후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저하시켜 추출액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치는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여과 장치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상기 추출액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은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액은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통과하며 압력이 저하하여 부피 팽창에 의해 온도가 하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온도가 하강할 경우 상기 추출액 내에 포함된 암모늄염이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로서 석출되어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에서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된 추출액은 상기 분리기로 전달되어 기액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상기 압력조절밸브 전단 사이에 추가적으로 프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초임계 건조 공정에서 CO2의 투입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탄산염, 에어로겔 형성시 및/또는 블랭킷에서 분리된 실리카 미립자, 또는 기타 미립자 등을 일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암모늄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압력조절밸브에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석출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탄산암모늄, 탄화수소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일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가 필터일 때, 상기 필터의 규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작은 석출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필터의 메쉬 단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 메쉬 내지 100,000 메쉬, 구체적으로 50 메쉬 내지 10,000 메쉬, 100 메쉬 내지 5,000 메쉬, 100 메쉬 내지 2,000 메쉬, 더욱 구체적으로 100 메쉬 내지 1000 메쉬, 100 메쉬 내지 400 메쉬의 규격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분리기와 응축기 사이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기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용매가 유입되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추가로 분리하기 위한 2차 분리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2차 분리기는 배관을 통해 2차 분리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2차 분리기는 상기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을 분리하는 분리기에 비해 낮은 압력 범위에서 운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분리기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용매로부터 추가적으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는 상기 응축된 CO2를 재압축하기 위한 펌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회수된 CO2가 유입되고, 재압축된 CO2를 초임계 추출기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초임계 추출기로 재압축된 CO2를 전달하기 전, 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초임계 추출기가 요구하는 압력 범위로 상기 CO2를 압축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는 상기 초임계 추출기가 요구하는 온도 범위를 상기 CO2를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예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발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는 실리카 습윤겔이 투입되고 CO2가 주입되는 초임계 추출기(100); 초임계 추출기(10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초임계 추출기(100)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분리기(200); 및 분리기(20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분리기(200)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30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가 포함하는 분리기(200)는 2개의 분리장치(201, 202)가 다단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고, 이때 2개의 분리장치(201, 202)는 같은 온도 및 압력 조건으로 운전될 수 있다. 분리기(200)가 2개의 분리장치(201, 202)를 포함할 때, 제1 분리장치(201)에서 분리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제2 분리장치(202)로 이송되며, 제2 분리장치(202)에서 분리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응축기(300)에 전달되어 응축기(300)를 통해 10℃ 이상의 온도 및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진다.
초임계 추출기(100)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은 압력조절밸브(400)을 통해 조절될 수 있고, 압력조절밸브(400)의 전단은 초임계 추출기(100)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분리기(20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압력조절밸브(400)의 후단에는 여과장치(41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초임계 추출기(100)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은 압력조절밸브(400)를 통과하여 여과 장치(410)를 통해 여과되며, 여과 장치(410)를 통해 여과된 추출액은 분리기(200)로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초임계 추출기(100)와 압력조절밸브(400) 전단 사이에는 추가적으로 프리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제1 분리장치(201) 및 제2 분리장치(202)에서 분리되어 각각의 분리장치(201,202) 하단에서 배출되는 액상은 그대로 회수될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2차 분리기(500)에 전달되어 추가 분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2차 분리기(500)는 2차 분리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300)에 전달하며 응축기(300)를 통해 10℃ 이상의 온도 및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응축기(300)를 통해 응축되어 CO2로 회수되고, 회수된 CO2는 추가로 펌프(600)를 통해 100 내지 190 bar의 압력으로 재압축되어 초임계 추출기(100)에서 재사용된다. 또한, 재압축된 CO2는 히터(700)를 통해 초임계 추출기(100)에 전달되기 전 재가열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에서, 압력조절밸브(400)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장치(410)의 후단에는 히터(405)가 연결되어 있다. 히터(405)는 분리기(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히터(405)로부터 배출된 추출액은 분리기(200)로 전달된다. 히터(405)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200)의 분리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조절밸브(400)를 통해 초임계 추출기(1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분리기(200)에서의 분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리기(200)의 제1 분리장치(201) 및 제2 분리장치(202)의 하단은 압력조절밸브(420)와 연결되어 있고, 압력조절밸브(420)의 후단은 2차 분리기(5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분리장치(201) 및 제2 분리장치(202)와 연결된 압력조절밸브(420)를 거쳐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이 2차 분리기(500)로 전달되며, 압력조절밸브(420)를 통해 제1 분리장치(201) 및 제2 분리장치(202)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420)와 2차 분리기(500) 사이에는 히터(425)가 설치되어 있고, 압력조절밸브(420)를 통과한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은 히터(425)에 의하여 가열되어 2차 분리기(50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히터(425)를 통해 2차 분리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2차 분리기(500)의 상단에는 압축기(510)가 연결되어 있고, 2차 분리기(500)의 하단에는 압력조절밸브(5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기(510) 및 압력조절밸브(520)를 통하여 2차 분리기(500)의 압력이 조절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기(510)의 후단에는 추가 응축기(515)가 설치되어 있어 2차 분리기(500)로부터 배출된 기상을 응축하게 된다. 응축기(300)는 1차 분리기(200)로부터 배출된 기상만을 응축하도록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 분리기(200)를 통과한 기상 및 2차 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은 각각 별개의 응축기를 통해 응축될 수 있다.
또한, 2차 분리기(500)에서 배출된 액상을 회수하기 위한 용매 회수탱크(800)가 압력 조절밸브(520) 후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회수된 용매가 저장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상용 공정모사 프로그램 ASPEN PLUS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제조방법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상수는 상기 프로그램 상에 내장되어 있는 값, 문헌상에 기재된 값 등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리카 전구체로서 수화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OS) 8.2 Kg 및 트리메틸에톡시실란(TMES) 2.0 kg을 에탄올 8.7 Kg과 혼합하여 실리카졸 19 Kg(타겟 밀도(TD) 40 Kg/m3)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에탄올 13.1 Kg 및 NH4OH(30% 수용액) 1.7 Kg을 혼합하여 겔화 촉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유리 섬유(glass fiber) 매트에 함침시켜 겔화시켰다. 10분 동안 겔화를 수행하였으며, 겔화 완료 후 상온(25℃)에서 10분간 안정화시킨 후, 상온에서 드라이에이징 및 표면 개질을 실시하였다.
표면개질 완료 후, 70 L 초임계 추출기에 제조된 실리카겔-섬유 복합체를 넣고 CO2를 80℃, 170 bar로 6.1 kg/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다. 이후 20분 동안 추출한 다음 다시 20분 동안 CO2를 80℃, 160 bar로 6.5 L/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고, 배출되는 추출액은 초임계 추출기에 연결된 압력 조절 밸브로 전달되었으며,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압력을 65 bar로 저하시켰다. 이후 1차 분리기를 통해 65 bar, 40℃에서 기액 분리하였으며, 2차 분리기를 통해 20 bar, 25℃에서 기액 분리하였고 이를 통해 가스상의 CO2 및 액상의 에탄올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가스상의 CO2는 응축기에서 17℃ 이하(65 bar)로 응축시킨 후, 170 bar로 재압축하였으며, 히터를 통해 80℃ 수준으로 재가열하여 순환시켰다. 분리기 하부로 분리한 액상의 에탄올은 재사용을 위해 추가적인 촉매(암모니아) 제거과정을 거쳤으며 졸 및 촉매 제조와 겔화 반응 등에 재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2차 분리기를 통해 10 bar, 25℃에서 기액 분리하였고 추가 회수된 CO2를 65 bar로 재압축 후 17℃ 이하로 응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 전구체로서 수화된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OS) 8.3 Kg을 에탄올 19 Kg과 혼합하여 실리카졸 40 L(타겟 밀도(TD) 40 Kg/m3)를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에탄올 3.4 Kg 및 NH4OH(30% 수용액) 0.18 Kg을 혼합하여 겔화 촉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유리 섬유(glass fiber) 매트에 함침시켜 겔화시켰다. 10분 동안 겔화를 수행하였으며, 겔화 완료 후 상온(25℃)에서 10분간 안정화시킨 후, 에탄올과 NH4OH의 혼합물(98:2의 부피비)을 제조하여 실리카졸 부피의 1.6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70℃에서 1시간 에이징하고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이용하여 표면 개질을 5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표면개질 완료 후, 70 L 초임계 추출기에 제조된 실리카겔-섬유 복합체를 넣고 CO2를 80℃, 170 bar로 6.1 kg/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다. 이후 20분 동안 추출한 다음 다시 20분 동안 CO2를 80℃, 160 bar로 6.5 L/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고, 배출되는 추출액은 초임계 추출기에 연결된 압력 조절 밸브로 전달되었으며,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압력을 65 bar로 저하시켰다. 이후 1차 분리기를 통해 65 bar, 40℃에서 기액 분리하였으며, 2차 분리기를 통해 10 bar, 25℃에서 기액 분리하였고 이를 통해 가스상의 CO2 및 액상의 에탄올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가스상의 CO2는 응축기에서 17 이하℃(65 bar)로 응축시킨 후, 170 bar로 재압축하였으며, 히터를 통해 80℃ 수준으로 재가열하여 순환시켰다. 분리기 하부로 분리한 액상의 에탄올은 재사용을 위해 추가적인 촉매(암모니아) 제거 과정을 거쳤으며 졸 및 촉매 제조와 겔화 반응 등에 재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해 실리카겔-섬유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압력조절밸브를 통해 50 bar로 저하시키고, 분리기에서 50 bar, 40℃로 기액분리하며, 상부로 회수된 CO2를 응축기에서 0℃로 응축시킨 후 170 bar로 재압축하였다. 히터를 통해 80℃로 재가열하여 순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에너지 소모량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에서 가열, 냉각 및 응축을 위해 소요된 열량(duty)을 Aspen Plus로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열전도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에서 회수된 에탄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에 대한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열전도도는 열전도도 측정기(NETZSCH, HFM436 Lambda)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가열
(Gcal/b)
냉각
(Gcal/b)
응축/펌핑(pumping)
(Gcal/b)
총 에너지 소모량
(Gcal/b)
비교예 1 대비 에너지 소모량
(%)
실시예 1 0.031 0.029 0.006 0.066 70
실시예 2 0.038 0.033 0.010 0.081 86
실시예 3 0.038 0.033 0.010 0.081 86
비교예 1 0.052 0.036 0.005 0.094 10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대비 70 내지 86%의 에너지 소모 만으로도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사용된 CO2 용매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열전도도(mW/mK) 17.55 17.29 17.60 17.94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에 비해 낮은 열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회수된 액상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을 때 비교예 1과 같은 종래 통상적인 용매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액상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을 제조하였을 때에 비하여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물성이 동등 수준 또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보다 적은 에너지 소모만으로도 초임계 건조 단계에서 사용된 CO2를 더욱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0: 초임계 추출기
200: 분리기
201: 제1 분리장치
202: 제2 분리장치
300, 530: 응축기
400, 420, 520: 압력조절밸브
405, 425, 700: 히터
410: 여과 장치
500: 2차 분리기
510: 압축기
600: 펌프
800: 용매 회수탱크

Claims (16)

  1. (1) 실리카 습윤겔을 초임계 추출기를 이용하여 초임계 건조 공정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condenser)에서 응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을 2차 분리기에 투입하여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추가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2차 분리기에서의 분리는 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리기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상기 응축기에 전달하여 10℃ 이상의 온도 및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분리기에 투입하기 전, 50 bar 내지 10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의 압력 조절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조절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O2를 포함하는 기상은 응축기를 통해 CO2로 회수되고, 회수된 CO2는 추가로 펌프를 통해 100 내지 190 bar의 압력으로 재압축되어 초임계 추출기에 재사용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8. 실리카 습윤겔이 투입되고, CO2가 주입되는 초임계 추출기;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초임계 추출기에서 배출된 추출액을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분리기(separator); 및
    상기 분리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condenser)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는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 조건으로 운전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분리기에서 배출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10℃ 이상의 온도 및 60 bar 내지 90 bar의 압력을 갖도록 응축하며,
    상기 분리기와 응축기 사이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기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용매가 유입되어 CO2를 포함하는 기상과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으로 추가로 분리하기 위한 2차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2차 분리기는 5 bar 내지 50 bar의 압력 조건으로 운전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제1 분리장치 및 제2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전단이 배관을 통해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이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분리기와 연결되어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추출액은 상기 압력조절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장치를 통해 여과된 추출액은 상기 분리기로 전달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기와 상기 압력조절밸브 전단 사이에 추가적으로 프리 필터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리기는 배관을 통해 2차 분리된 CO2를 포함하는 기상을 응축기에 전달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된 CO2를 재압축하기 위한 펌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회수된 CO2가 유입되고, 재압축된 CO2를 초임계 추출기로 전달하는 것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KR1020200099296A 2020-08-07 2020-08-0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265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96A KR102655711B1 (ko) 2020-08-07 2020-08-0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US18/018,336 US20230294998A1 (en) 2020-08-07 2021-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ilica aerogel blanket
JP2023507350A JP2023536611A (ja) 2020-08-07 2021-08-05 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202180058513.6A CN116057011A (zh) 2020-08-07 2021-08-05 用于制造二氧化硅气凝胶毡的方法和设备
EP21853641.5A EP4194402A1 (en) 2020-08-07 2021-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ilica aerogel blanket
PCT/KR2021/010332 WO2022031074A1 (ko) 2020-08-07 2021-08-05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96A KR102655711B1 (ko) 2020-08-07 2020-08-0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775A KR20220018775A (ko) 2022-02-15
KR102655711B1 true KR102655711B1 (ko) 2024-04-09

Family

ID=801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296A KR102655711B1 (ko) 2020-08-07 2020-08-07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4998A1 (ko)
EP (1) EP4194402A1 (ko)
JP (1) JP2023536611A (ko)
KR (1) KR102655711B1 (ko)
CN (1) CN116057011A (ko)
WO (1) WO20220310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646B1 (ko) * 2000-10-05 2002-11-04 김현효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재순환 방법 및 시스템
JP2010240629A (ja) * 2009-04-10 2010-10-28 Toshiba Corp 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KR101454233B1 (ko) * 2013-08-21 2014-10-23 주식회사 관평기술 에어로젤 블랑켓의 연속 생산방법과 생산장치 및 생산된 에어로젤 블랑켓
FR3053263B1 (fr) * 2016-07-04 2018-08-31 Keey Aerogrl Procede continu de fabrication d'un aerogel
KR102148388B1 (ko) * 2017-05-12 2020-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KR102201310B1 (ko) * 2017-09-12 2021-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매 분리방법 및 분리장치
KR102183537B1 (ko) 2017-11-17 2020-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초임계 폐액을 재사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KR101958995B1 (ko) * 2017-12-22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 초임계 건조 방법
EP3778481B1 (en) * 2018-11-27 2022-01-05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gel blanket
KR102559049B1 (ko) * 2018-12-20 2023-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429099B1 (ko) * 2018-12-20 2022-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초임계 건조 방법
KR20200099296A (ko) 2019-02-14 2020-08-24 삼인싸이언스(주) 풍속감지 기능을 갖는 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4998A1 (en) 2023-09-21
JP2023536611A (ja) 2023-08-28
WO2022031074A1 (ko) 2022-02-10
EP4194402A1 (en) 2023-06-14
CN116057011A (zh) 2023-05-02
KR20220018775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388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US20120246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bically Air-drying Sludge Filter Cakes
JP4365442B1 (ja) 石炭の改質方法
KR102183537B1 (ko) 초임계 폐액을 재사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CN103112871B (zh) 低浓度氨水分离提纯制备高浓氨的方法
KR102655711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WO2023279279A1 (zh) 尾气处理方法
CN104194854A (zh) 一种超重力法三甘醇天然气脱水系统及其工艺
KR101958995B1 (ko)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 초임계 건조 방법
CN108144420B (zh) 一种超临界水氧化过量氧回收系统
KR102160555B1 (ko) 폐용매 정제방법
KR20210115764A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N107930543B (zh) 一种用于制备气凝胶的溶剂置换和常压干燥的装置及方法
KR20210151540A (ko) 실리카 에어로겔 제조방법
CN108745351A (zh) 一种具有室温除甲醛性能的复合气凝胶材料及其应用
CN107935289A (zh) 一种电镀废水零排放处理系统
RU2232792C2 (ru) Способ деасфальтизации нефтяных остатков
RU2528806C1 (ru) Способ добычи газа из газовых гидратов
CN215524142U (zh) 一种制备碳分子筛基材的隧道窑
CN1305758C (zh) 羟胺水溶液的制备方法
CN102908880A (zh) 一种降低高含水氯甲烷干燥设备负荷的预脱水方法
CN108484357B (zh) 气凝胶生产中乙醇的回收方法
KR102242253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초임계 폐액 재생 방법
CN115427352B (zh) 气凝胶毡的制造方法
KR20220013190A (ko) 실리카 에어로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