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604B1 -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604B1
KR102655604B1 KR1020200189184A KR20200189184A KR102655604B1 KR 102655604 B1 KR102655604 B1 KR 102655604B1 KR 1020200189184 A KR1020200189184 A KR 1020200189184A KR 20200189184 A KR20200189184 A KR 20200189184A KR 102655604 B1 KR102655604 B1 KR 10265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lt
indirect live
screw head
insul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598A (ko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이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디아이(주) filed Critical 이디아이(주)
Priority to KR102020018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 공사에서 전선을 인장하는 인장시스템에서 전선을 안전하게 파지하는 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인장기의 전선 클램프는,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와 체결되는 절연관 체결부와, 절연관 체결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파지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 상부 및 하부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하부 고정부를 관통하여 이동부에 고정되어,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 및 하부 고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선의 외경에 따라 위치조절부재의 인입 깊이를 조절하는 게이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WIRE CLAMP DEVICE FOR INDIRECT LIVE-LINE}
본 발명은 간접활선 공사에서 전선을 인장하는 인장시스템에서 전선을 안전하게 파지하는 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절단시 전선 안전걸이의 양측에 배치되어 전선을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전선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에서 활선으로 전선을 다루는 다수의 공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각 전력회사의 사정에 따라 이용을 달리한다.
근래 일부 국가의 전력회사에서 활선을 직접 손으로 다루는 직접활선에서 절연 스틱에 기구를 부착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작업하는 간접활선으로 공법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전선을 당기는데 이용하는 기존의 인장기는 일측을 일측 전선에 연결하고 타측을 타측 전선과 연결하고 본체의 레바를 조작하여 전선을 당기도록 작동한다.
이때 보수되어야 할 전선은 피복을 벗겨내고 절단이 이루어지고, 다시 슬리브를 삽입하여 보수가 되는데, 피복이 벗겨지고 절단되는 부위의 전선을 양측에서 안전하게 파지할 뿐 아니라, 전선의 외경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선 클램프가 필요하다.
특히, 활선으로 사용되는 전선의 외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전선의 외경에 따라 별도의 장치 또는 지그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40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접활선 공법에서 전선을 안전하게 파지하고, 전선의 외경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선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는,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와 체결되는 절연관 체결부; 및 상기 절연관 체결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 및 상기 하부 고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외경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인입 깊이를 조절하는 게이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아이볼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지부재는 상기 아이볼트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부 관통홀; 및 상기 아이볼트의 나사머리가 안착되는 나사머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의 외경에 따라 선택 적용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 각각은, 서로 다른 중심축과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 각각은, 상기 게이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은 하나의 볼트부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부 이동경로는 상기 볼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나사머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관통부; 및 상기 볼트부의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는, 상기 하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는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하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과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전선의 일부가 파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간접활선 공법에 적용되는 전선 인장기는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 하측이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에 고정되고 상측에 상기 전선을 인입시켜 거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전선 안전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클램프는 한 쌍이 상기 전선 인장기의 좌우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절연관 체결부와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는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 공법에서 다양한 외경의 전선을 파지할 수 있는 전선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인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연 스틱에 의해 조정이 용이한 전선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선의 외경에 따라 별도의 지그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부의 거치홈에 의해 전선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상부 고정부의 돌기에 의해 전선 표면과 전선 클램프 간 마찰력을 증가시켜, 전선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지부재에 의해 위치조절부재의 인입 깊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위치조절부재를 완전히 조이는 것만으로 전선을 완벽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의 볼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나사머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관통부와, 볼트부의 직경으로 관통되어 제1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하는 볼트부 이동경로에 의해, 게이지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가 적용된 전선 인장기가 절단 전의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가 적용된 전선 인장기가 절단된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구성 중 게이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에 전선이 파지되기 전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에 전선이 파지된 후의 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가 적용된 전선 인장기가 절단 전의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가 적용된 전선 인장기가 절단된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는 제안되는 전선 인장기의 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인장기는 기본적으로 간접활선 공사 시 다양한 절연 스틱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를 참조하면, 전선 인장기는 고정 절연관(11), 가변 절연관(12), 구동용 회전고리(13), 손잡이(14), 좌우측 전선 안전걸이(15a, 15b), 좌우측 전선 클램프(17a, 17b) 및 위치조절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용 회전고리(13)를 간접활선용 로터 스틱(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가변 절연관(12)이 고정 절연관(11)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전선을 인장하거나 이완시킬 수 있다.
전선 안전걸이(15a, 15b)는 로터 스틱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후, 회전고리를 고정하고, 회전 덮개를 열어 전선(20)을 삽입하고 덮개를 닫아 내부에 전선(20) 거치시킴으로써, 전선(20)의 처짐이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클램프(17a, 17b)는 본 발명에 해당되는 부품으로서, 하부의 위치조절부재(16)를 소정 방향으로 돌려 위치조절부재(16)의 단부와 고정 체결된 이동부를 수직 이동시켜 전선을 파지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전선 클램프(17a, 17b)의 일 측, 즉 파지부를 각각 양측 전선(20)에 고정하고, 전선 클램프(17a, 17b)의 타 측, 즉 절연관 체결부를 각각 손잡이(14)와 가변 절연관(12)에 체결하고, 좌우측 전선 안전걸이(15a, 15b)의 하측은 절연관(12)에 고정하고, 상측에는 전선(20)을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전선 인장기가 배전선로에 장착된 상태로, 여기서 전선(20)은 보수를 위해 피복을 벗긴 부분(20a)를 포함한다.
도 2는 전선 인장기가 배전선로에 장착된 상태로, 피복을 벗긴 부분(20a)의 중간부를 절단한 후, 구동용 회전고리(13)를 로터 스틱을 이용하여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변 절연관(12)이 고정 절연관(11)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선(20)을 인장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양측으로 분리된 전선(20)의 좌우측은 전선 클램프(17a, 17b)에 의해 안전하게 파지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클램프(17a, 17b)를 포함한 전선 인장기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보수 공사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전선의 규격에 따라, 직선 슬리브를 결정하고 슬리브의 길이에 맞게 전선(20)의 외피를 벗겨낸다.
전선(20)의 일 측, 즉 피복을 벗긴 부분(20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전선 클램프(17a, 17b)를 배치하고, 로터 스틱을 이용해 전선 클램프(17a, 17b)의 위치조절부재를 조여 전선(20)을 파지하고, 전선(20)의 타 측도 동일한 방법으로 전선 클램프(17a, 17b)로 파지한다.
이어서, 양쪽에 있는 전선 안전걸이(15a, 15b)를 전선(20)에 결합한 후, 피복을 벗긴 부분(20a)의 중간부를 로터 스틱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절단된 부분(20a)의 일 단부에 절연 안전캡을 설치하고, 전선(20)을 비틀어 반대쪽 절단된 부분(20a)의 다 단부와의 간격을 벌려 놓는다.
한쪽의 전선 안전걸이(15a, 15b)의 회전고리에 로터 스틱을 걸고 회전고리를 돌려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보수 공사가 실행되고, 보수 공사가 완료되면 절단된 전선을 접속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클램프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는 절연관 체결부(200)와 파지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관 체결부(200)는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와 체결되고, 파지부(100)는 절연관 체결부(2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전선을 파지할 수 있다.
절연관 체결부(200)와 절연관의 단부는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절연관의 좌측 단부에는 손잡이(14)가 배치되고, 우측 단부에는 가변 절연관(12)이 배치되어, 좌측의 전선 클램프(17a)의 절연관 체결부(200)는 손잡이(14)의 단부와 체결되고, 우측의 전선 클램프(17b)의 절연관 체결부(200)는 가변 절연관(12)의 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절연관의 구성은 일 실시 형태로, 절연관의 구성 중 손잡이(14)와 고정 절연관(11)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좌우측의 전선 클램프(17a, 17b)는 모두 절연관의 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클램프의 파지부(10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110, 120), 상부 및 하부 고정부(110, 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130), 하부 고정부(120)를 관통하며 이동부(130)에 고정되어, 이동부(13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6) 및 하부 고정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선(20)의 외경에 따라 위치조절부재(16)의 인입 깊이를 조절하는 게이지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절부재(16)는 아이볼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구성 중 위치조절부재(16)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16)는 볼트부(16a), 나사머리(16b), 고리(16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130)의 하측에는 고정부재(1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130)의 측면에는 볼트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는 하부 고정부(120)를 관통하며 이동부(130)에 고정되어, 이동부(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60)는 위치조절부재(16)의 중심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60)가 복수 개일 경우, 위치조절부재(1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등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빔 형태의 가이드부재(160)를 두 개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160)의 형상 및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이동부(130)의 상단에는 거치홈(131)이 형성되고, 상부 고정부(110)의 하단에는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131)에 의해 전선(20)이 이동부(13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돌기(111)에 의해 전선(20)과 상부 고정부(110) 간 마찰력이 발생하여, 전선 클램프는 전선(20)을 완벽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의 구성 중 게이지부재(14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게이지부재(140)는, 위치조절부재(16)의 볼트부(16a)가 관통하는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위치조절부재(16)의 나사머리(16b)가 안착되는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지부재(140)는 파지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외경에 따라 선택 적용되도록,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20)의 외경에 대응하는 각각의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는, 서로 다른 중심축과 깊이(또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된 볼트부 관통홀(141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중간에 배치된 볼트부 관통홀(142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2b), 우측에 배치된 볼트부 관통홀(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3b) 각각은 서로 다른 중심축을 포함하고, 각각의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는 서로 다른 깊이(D2, D3)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전선(20)의 외경이 표시되어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에 배치된 나사머리 안착부(141b)는 게이지부재(140)의 상면일 수 있다.
중간에 배치된 나사머리 안착부(142b)의 깊이(D2)는 우측에 배치된 나사머리 안착부(143b)의 깊이(D3)보다 얕게 형성되어, 파지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외경이 작아질수록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의 깊이는 깊어질 수 있다.
전선(20)의 외경이 160 스퀘어일 경우, 위치조절부재(16)의 볼트부(16a)는 좌측의 볼트부 관통홀(141a)에 관통하고 위치조절부재(16)의 나사머리(16b)는 좌측의 나사머리 안착부(141b), 즉 게이지부재(1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전선의 외경이 95 스퀘어일 경우, 위치조절부재(16)의 볼트부(16a)는 중간의 볼트부 관통홀(142a)를 관통하고 위치조절부재(16)의 나사머리(16b)는 중간의 나사머리 안착부(142b)에 안착될 수 있다.
전선의 외경이 58 스퀘어일 경우, 위치조절부재(16)의 볼트부(16a)는 우측의 볼트부 관통홀(143a)를 관통하고 위치조절부재(16)의 나사머리(16b)는 우측의 나사머리 안착부(143b)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위치조절부재(16)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 중 파지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외경이 표시된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에 위치조절부재(16)를 관통 및 안착시킴으로써 위치조절부재(16)의 인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 각각은, 게이지부재(14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볼트부 이동경로(190)를 형성할 수 있다.
볼트부 이동경로(190)는 볼트부(16a)의 직경보다 크고 나사머리(16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dM)을 갖는 제1 관통부와, 볼트부(16a)의 직경(dm)으로 관통되어, 제1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부가 볼트부(16a)의 직경(dm)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지부재(140)를 제1 관통부에서 제2 관통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크기의 힘이 필요하며, 이러한 볼트부 이동경로(190)의 형상에 의해 게이지부재(140)는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지부재(140)는 하부 고정부(1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45)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지부재(14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면 체결홀(145)에 볼트를 체결하여 게이지부재(140)를 하부 고정부(120)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홀(145) 간 이격거리는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의 중심축 간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선 클램프에 전선(20)을 파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게이지부재(140)의 위치를 확인한다.
게이지부재(140)의 위치는, 파지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외경이 표시된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에 위치조절부재(16)가 관통 및 안착되어 있는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게이지부재(140)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면, 체결홀(145)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 하부 고정부(120)로부터 게이지부재(140)를 분리하고, 고정위치조절부재(16)를 풀어 나사머리(16b)를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에서 이탈시키고, 게이지부재(140)를 밀거나 당겨 해당 외경이 표시된 볼트부 관통홀(141a, 142a, 143a) 및 나사머리 안착부(141b, 142b, 143b)를 선택하고, 체결홀(145)에 삽입된 볼트를 조여 하부 고정부(120)에 게이지부재(140)를 고정할 수 있다.
게이지부재(14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고정되면, 도 10과 같이 위치조절부재(16)를 조여 이동부(130)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전선(20)이 상부 고정부(110)와 이동부(130) 사이에 배치되면 위치조절부재(16)를 끝까지 조여 전선(20)을 파지할 수 있다.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고정된 게이지부재(140)에 의해 위치조절부재(16)의 최대 인입 깊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전선(20)의 외경에 맞춰 완벽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전선(20)은 상부 고정부(110)의 돌기(111)와 이동부(130)의 거치홈(131)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고정 절연관
12 : 가변 절연관
13 : 구동용 회전고리
14 : 손잡이
15a, 15b : 전선 안전걸이
16 : 위치조절부재
17, 17a, 17b : 전선 클램프
20, 20a : 전선
100: 파지부
200: 절연관 체결부
110: 상부 고정부
120: 하부 고정부
130: 이동부
140: 게이지부재
150: 고정부재
160: 가이드부재
190: 볼트부 이동경로
111: 돌기
131: 거치홈
145: 체결홀
16a: 볼트부
16b: 나사머리
16c: 고리
141a, 142a, 143a: 볼트부 관통홀
141b, 142b, 143b: 나사머리 안착부
dM: 제1 관통부
dm: 제2 관통부

Claims (8)

  1.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와 체결되는 절연관 체결부; 및
    상기 절연관 체결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 상기 상부 및 하부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 및 상기 하부 고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외경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인입 깊이를 조절하는 게이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부재는,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볼트부가 관통하는 볼트부 관통홀; 및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나사머리가 안착되는 나사머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의 외경에 따라 선택 적용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 각각은, 서로 다른 중심축과 깊이로 형성되는, 전선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아이볼트인, 전선 클램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 및 나사머리 안착부 각각은, 상기 게이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되는, 전선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볼트부 관통홀은 하나의 볼트부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부 이동경로는,
    상기 볼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나사머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관통부; 및
    상기 볼트부의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관통부를 연결하는 제2 관통부;를 포함하는, 전선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선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단에는 상기 전선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하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과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전선의 일부가 파지되는, 전선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간접활선 공법에 적용되는 전선 인장기는,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 하측이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에 고정되고 상측에 상기 전선을 인입시켜 거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전선 안전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클램프는 한 쌍이 상기 전선 인장기의 좌우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절연관 체결부와 상기 간접활선용 절연관의 단부는 힌지 체결되는, 전선 클램프.
KR1020200189184A 2020-12-31 2020-12-31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KR10265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4A KR102655604B1 (ko) 2020-12-31 2020-12-31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184A KR102655604B1 (ko) 2020-12-31 2020-12-31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98A KR20220096598A (ko) 2022-07-07
KR102655604B1 true KR102655604B1 (ko) 2024-04-29

Family

ID=8239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84A KR102655604B1 (ko) 2020-12-31 2020-12-31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1789A (ja) * 2019-02-12 2019-05-09 株式会社永木精機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KR101984829B1 (ko) *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016A (ko) 2019-01-22 2019-02-11 주식회사 성진 간접활선 공사용 장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29B1 (ko) *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JP2019071789A (ja) * 2019-02-12 2019-05-09 株式会社永木精機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59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744B2 (ja) 架空地線張替方法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US4911572A (en) Cable tie back clamp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JP5843697B2 (ja) 電線挟持体
KR101850531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 케이블 단말장치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KR102655604B1 (ko) 간접활선용 전선 클램프
CA2210372C (en) Wire untwisting apparatus
KR20200002212A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WO2017179550A1 (ja) 掴線器及び該掴線器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JP5738677B2 (ja) 架空配電線の装柱金具
US2504360A (en) Clamp means
JP2019004609A (ja) 鳥害防止用索条の保持具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JP2014032746A (ja) 高圧引下線用コネクタ
KR102321409B1 (ko) 파이프 절단장치
JP5897627B2 (ja) 高圧引下線用切断補助具
KR102583475B1 (ko) 현수애자 지지장치
KR20220033753A (ko) 간접활선용 전선 안전걸이
JP6892651B2 (ja) 防鳥用索条の張架方法
KR100604575B1 (ko) 케이블 파지 장치 및 케이블 견인 장치
CN110742030A (zh) 一种绑线装置及绑线方法
CN219084593U (zh) 一种可调式夹具及拉伸测试机
CN205166803U (zh) 转动省力且固定尾线方便的紧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