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74B1 -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74B1
KR102655174B1 KR1020230189668A KR20230189668A KR102655174B1 KR 102655174 B1 KR102655174 B1 KR 102655174B1 KR 1020230189668 A KR1020230189668 A KR 1020230189668A KR 20230189668 A KR20230189668 A KR 20230189668A KR 102655174 B1 KR102655174 B1 KR 10265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support
rotation
clean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영
Original Assignee
삼화정공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정공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정공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8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밥솥을 받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110); 상기 받침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30); 상기 회전세척부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110)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50); 상기 밥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재(150)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치된 밥솥의 내면을 세척하는 세척구(192)를 회전시키는 회전세척부재(170); 상기 밥솥을 상기 받침부재(110)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밥솥안착부재(210)를 마련하여 밥솥을 밥솥안착부재에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고, 밥솥을 압착고무를 눌러 세척작업 도중에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밥솥안착부재에 형성된 삽입홈부를 중간받침대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밥솥안착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밥솥을 세척구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Cooking utensil and rice cooke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밥솥(또는 돌솥)을 밥솥안착부재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세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업용 식당이나, 레스토랑, 프렌차이즈 체인 식당, 호텔 등에서 대용량의 식기나 솥을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 장치는 솥, 냄비, 식기 등의 다양한 기구나 그릇 등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 장치는 특히 솥의 경우에 바닥이나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특히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하부면(바닥면)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 그을음을 세척하거나, 또는 솥의 내부면에 눌러붙은 밥을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솥의 하부면에 달라붙거나 내부면에 눌러붙은 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 다시 한번 세척해야 하므로 이중 세척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돌솥밥을 하는 돌솥은 그 재질이 석재를 주재료로 하여 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통상의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돌솥은 돌솥밥을 먹고 난 후 돌솥의 내면에 누룽지 또는 밥을 먹고 난 후에 딱딱하게 굳은 밥알 등이 남아있게 되며 중량이 무거운 석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돌솥의 세척에 따른 세척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돌솥을 세척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 등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어 작업자가 돌솥의 세척작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조리용 솥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조리용 솥 세척장치는 수조가 마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바퀴가 결합되고, 수조의 일측 바닥에는 수조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용 밸브가 구비된 세척대와, 상기 수조에 배치되도록 세척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리용 솥의 내부에 강하게 붙어있는 밥풀이나 누른밥 등의 잔여 음식물을 세척솔에 의해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세척부와, 상기 제1 세척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조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용 솥의 내부에 강하게 붙어있는 밥풀이나 누른밥 등의 잔여 음식물을 세척날개에 의해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1 세척부와 제2 세척부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동력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척부는 상기 세척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결속나사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솔 지지부재 및 상기 세척솔 지지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세척솔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전동식 세척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전동식 세척솔 기구는 일단이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수세미지지구 및 상기 수세미지지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세척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수세미지지구는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하단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름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름조절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지름조절부를 상기 지지축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20-000189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9204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0863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돌솥 또는 밥솥을 밥솥안착부재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세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밥솥안착부재에 안치된 밥솥 또는 돌솥을 안전하게 누른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밥솥 또는 돌솥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회전세척부재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이 무거운 돌솥 등의 내면에 남아있는 누룽지 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돌솥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솥 내부 또는 수세미장착구에 수세미를 끼운 상태에서 돌솥 내부에 있는 잔여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돌솥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는 밥솥을 받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110); 상기 받침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30); 상기 회전세척부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110)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50); 상기 밥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재(150)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치된 밥솥의 내면을 세척하는 세척구(192)를 회전시키는 회전세척부재(170); 상기 밥솥을 상기 받침부재(110)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밥솥안착부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밥솥안착부재(2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본체(211); 상기 받침본체(211)의 일측에 밥솥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밥솥안착부(212); 상기 받침본체(211)가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정되게 거치되게 상기 받침본체(2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213); 상기 받침본체(2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4); 상기 거치대(2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218); 상기 회전손잡이(218)의 동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19); 상기 회전프레임(219)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볼트(221); 상기 압착볼트(221)의 저면에 결합되는 압착고무(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110)는 상기 밥솥의 하부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대(111); 중량물인 밥솥을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밥솥투입공간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대(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중간받침대(113); 상기 세척구(192)의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중간받침대(11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커버(131)와, 전면커버(135) 및 후면커버(139)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커버(131)의 일측에 회전승강유닛(180)의 회전케이스(182)가 결합될 수 있게 핸들관통구멍(132)이 형성되며,
회전레버(177a)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타측에 레버관통구멍(133)이 형성되고, 높이조절핸들(155)이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에 바디높이조절구멍(134)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135)에는 세척구(192)의 회전을 온/오프 시키는 조작스위치(136)와 비상정지스위치(1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50)에는 상기 받침부재(110)의 중간받침대(113) 상면에 수직으로 서포트(15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52)에는 높이조절핸들(155)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바디(173)가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152)의 상면에는 상부받침대(153)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받침대(153)에는 높이조절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게 높이조절구멍(154)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멍(154)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155)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핸들(155)에는 상기 높이조절구멍(154)과 상기 바디(173)에 형성된 체결구멍(178)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세척부재(170)는 상면에 구동모터(171)와 감속기(172)가 설치되는 바디(173); 상기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피니언결합구멍(176)에 설치된 회전승강유닛(180)의 피니언기어(18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승강축(195);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척구(192); 상기 밥솥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구(19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브러시(1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73)에는 서포트(15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서포트결합구멍(17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회전축결합구멍(175)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가 피니언승강축(195)과 맞물려 설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결합구멍(175)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피니언결합구멍(176)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73)의 배면에 레버결합돌기(17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152)에 결합된 상기 바디(173)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레버결합돌기(177)에 제1 회전레버(177a)가 체결되며, 상기 제1 회전레버(177a)를 회전시킬 수 있게 제2 회전레버(177b)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서포트결합구멍(174)의 일측에 체결구멍(17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결합구멍(176)에는 피니언승강축(196)을 승강시키는 피니언기어(181)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81)의 일측에 회전케이스(182)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6)의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회전케이스(18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간격조절구멍(18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 설치되는 원판(185)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185)에는 상기 간격조절구멍(183)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원호구멍(186)이 형성되며,
상기 원판(185)에는 피니언승강축(195)을 승강시킴에 따라 세척구(192)의 높이를 조절하는 레버(187)와 손잡이(188)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173)의 일면에는 상기 세척구(192)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79)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79)에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돌기(1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에는 상기 구동모터(171)와 연결되는 모터회전축(194)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94)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구멍(197)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와 맞물리도록 래크(196)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세척구(192)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5)과 세척구(192) 사이에 플렉시블커버(19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에 의하면, 밥솥을 밥솥안착부재에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고, 밥솥을 압착고무를 눌러 세척작업 도중에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밥솥안착부재에 형성된 삽입홈부를 중간받침대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밥솥안착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밥솥을 세척구의 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서포트에 설치된 바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바디의 높이 조절에 따른 밥솥의 크기에 상관없이 세척작업을 할 수 있으며, 손잡이와 회전케이스의 간격 조절에 의해 세척구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하강된 세척구를 태엽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의 밥솥안착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의 밥솥안착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는 일정 크기를 갖는 밥솥을 받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110)와, 상기 받침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30)와, 상기 회전세척부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110)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50)와, 상기 밥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재(150)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치된 밥솥의 내면을 세척하는 세척구(192)를 회전시키는 회전세척부재(170)와, 상기 밥솥을 상기 받침부재(110)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밥솥안착부재(21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 세척장치는 솥밥을 짓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돌솥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밥솥 등에 담긴 밥을 먹고 난 후에 이들 돌솥 또는 밥솥 등의 조리용구를 세척하는 것으로, 밥솥(10, 이하 '돌솥'을 포함한다)을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받침부재(110)와,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회전세척부재(17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30)와, 상기 회전세척부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50)와, 밥솥을 세척하는 회전세척부재(170)와, 상기 받침부재(110)의 내측으로 밥솥을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밥솥안착부재(210)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받침부재(110)는 상기 밥솥의 하부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대(111)와, 중량물인 밥솥을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밥솥투입공간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대(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중간받침대(113)와, 상기 세척구(192)의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중간받침대(11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17)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대(111)는 밥솥(10)의 하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강성을 갖도록 양측을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중간받침대(113)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112)이 형성된다.
또 상기 중간받침대(113)는 중량물인 밥솥(10)을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게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밥솥(10)이 안치된 밥솥안착부재(210)가 투입될 수 있게 밥솥투입공간부(114)가 형성된다.
아울러 밥솥안착부재(210)의 투입 시 원활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투입안내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안내부(115)는 라운드 형상 또는 모따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17)는 중간받침대(113)의 상면 좌우 양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117)의 일측에는 회전케이스(182)가 노출될 수 있게 케이스공간부(118)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110)는 금속 또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밥솥(10)과 중간받침대(113)의 밥솥투입공간부(114)에 투입되는 밥솥안착부재(210)를 안정되게 받쳐 줌은 물론 내부의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커버(131)와, 전면커버(135) 및 후면커버(139)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커버(131)의 일측에 회전승강유닛(180)의 회전케이스(182)가 결합될 수 있게 핸들관통구멍(132)이 형성되며, 회전레버(177a)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타측에 레버관통구멍(133)이 형성된다. 또 높이조절핸들(155)이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에 바디높이조절구멍(134)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135)에는 세척구(192)의 회전을 온/오프 시키는 조작스위치(136)와 비상정지스위치(137)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를 커버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커버(131)와, 측면커버(13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135)와, 측면커버(131)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커버(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커버(131)의 일측에는 회전케이스(182)가 노출되게 핸들관통구멍(13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회전레버(177b)가 외부로 노출되게 레버관통구멍(133)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에는 높이조절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게 바디높이조절구멍(134)이 형성되며, 구동모터(171)와 감속기(172)가 바디(173)와 연결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135)에는 회전세척부재(170)의 회전을 온/오프 시키는 조작스위치(136)가 설치되고, 작업 도중에 회전세척부재(17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게 비상정지스위치(137)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전면커버(135)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면커버(135)의 하부에는 작업자가 세척 작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명커버(138)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커버(135) 및 후면커버(139)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서포트부재(150)에는 상기 받침부재(110)의 중간받침대(113) 상면에 수직으로 서포트(15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52)에는 높이조절핸들(155)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바디(173)가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152)의 상면에는 상부받침대(153)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받침대(153)에는 높이조절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게 높이조절구멍(154)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멍(154)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155)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핸들(155)에는 상기 높이조절구멍(154)과 상기 바디(173)에 형성된 체결구멍(178)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부재(150)의 고정받침대(151)는 중간받침대(113)의 상면에 설치되고, 고정받침대(151)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서포트(152)가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152)의 상면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의 상부받침대(153)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받침대(153)에는 높이조절구멍(154)이 형성되고, 높이조절구멍(154)에는 높이조절핸들(155)의 높이조절나사(156)가 체결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156)는 높이조절구멍(154)과 바디(173)의 체결구멍(178)에 체결되며, 높이조절핸들(155)에 의해 서포트(152)에 결합된 바디(173)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핸들(155)은 상부받침대(153)의 높이조절구멍(154)에 체결된 상태에서 높이조절핸들(155)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바디(173)의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회전세척부재(170)는 상면에 구동모터(171)와 감속기(172)가 설치되는 바디(173)와, 상기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피니언결합구멍(176)에 설치된 회전승강유닛(180)의 피니언기어(18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승강축(195)과,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척구(192)와, 상기 밥솥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구(19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브러시(193)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152)에는 바디(173)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173)의 상면, 즉 측면커버(131)의 상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71)와 감속기(172)가 설치된다.
상기 바디(173)에는 서포트(15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서포트결합구멍(17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회전축결합구멍(175)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가 피니언승강축(195)과 맞물려 설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결합구멍(175)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피니언결합구멍(176)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173)의 배면에 레버결합돌기(17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152)에 결합된 상기 바디(173)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레버결합돌기(177)에 제1 회전레버(177a)가 체결되며, 상기 제1 회전레버(177a)를 회전시킬 수 있게 제2 회전레버(177b)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서포트결합구멍(174)의 일측에 체결구멍(178)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173)의 후방에는 서포트(152)에 설치될 수 있게 서포트결합구멍(174)이 형성되고, 바디(173)의 전방에는 구동모터(17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게 회전축결합구멍(175)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바디(173)에는 회전축결합구멍(175)에 설치된 피니언승강축(195)을 승강시키는 피니언기어(181)가 설치될 수 있게 피니언결합구멍(17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결합구멍(175)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결합구멍(176)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회전축결합구멍(175)에 설치된 피니언승강축(195)과 피니언기어(181)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또 상기 바디(173)의 후면에는 레버결합돌기(17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결합돌기(177)에는 제1 회전레버(177a)가 체결되며, 상기 제1 회전레버(177a)에는 측면커버(131)의 레버관통구멍(133)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회전레버(177b)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레버(177a, 177b)는 서포트결합구멍(174)에 결합된 바디(173)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레버(177a, 177b)를 풀어줌에 따라 상기 바디(173)는 서포트(152)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레버(177a, 177b)를 조임에 따라 상기 바디(173)는 서포트(15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레버(177a, 177b)는 서포트(152)에 결합된 바디(173)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바디(173)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세척하고자 하는 밥솥(10)의 크기(또는 높이)에 따라 세척구(19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밥솥(10)의 높이에 따라 바디(173)에 설치된 세척구(19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바디(173)에는 높이조절나사(156)가 체결되는 체결구멍(178)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73)의 일측면에는 리미트스위치(179)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결합구멍(176)에는 피니언승강축(196)을 승강시키는 피니언기어(181)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81)의 일측에 회전케이스(182)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6)의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회전케이스(18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간격조절구멍(18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 설치되는 원판(185)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185)에는 상기 간격조절구멍(183)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원호구멍(186)이 형성되며, 상기 원판(185)에는 피니언승강축(195)을 승강시킴에 따라 세척구(192)의 높이를 조절하는 레버(187)와 손잡이(188)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173)의 일면에는 상기 세척구(192)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79)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79)에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돌기(184)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결합구멍(176)에는 세척구(192)를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승강유닛(180)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81)는 피니언결합구멍(176)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니언기어(181)는 피니언승강축(195)에 형성된 래크(196)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81)의 일측에는 회전케이스(182)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케이스(182)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간격조절구멍(183)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조절구멍(183)은 동심원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케이스(183)의 외면에는 리미트스위치(179)와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돌기(184)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스위치접촉돌기(184)는 리미트스위치(179)에 접촉되어 구동모터(171)의 회전력을 세척구(192)에 전달하여 세척구(19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는 회전케이스(182)와 동일한 직경의 원판(185)이 설치되고, 상기 원판(185)에는 세척구(192)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간격조절구멍(183)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원호구멍(186)이 형성된다.
즉, 간격조절구멍(183)과 원호구멍(186)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손잡이(188)의 회전에 따른 세척구(192)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판(185)에는 레버(187)가 연장 형성되고, 레버(187)에는 작업자가 피니언기어(18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188)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유닛(191)은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면서 밥솥(10)의 내면을 세척하는 것으로, 밥솥(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세척구(192)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구(192)의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다수의 브러시(193)가 설치된다.
이러한 브러시(193)는 밥솥(10)의 내면에 강하게 접착된 밥알을 떼어낼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설거지용 수세미 등이 씌워질 수 있다.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에는 감속기(172)와 연결되는 모터회전축(19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94)은 죠커플링(미도시) 등에 의해 감속기(172)와 연결된다.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에는 상기 구동모터(171)와 연결되는 모터회전축(194)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94)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구멍(197)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와 맞물리도록 래크(196)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세척구(192)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5)과 세척구(192) 사이에 플렉시블커버(198)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에는 피니언기어(181)와 맞물릴 수 있게 래크(196)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94)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슬라이딩구멍(197)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세척구(192)와 피니언승강축(195)의 승강에 따라 하부가 노출되지 않게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커버(19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173)의 타면에는 세척구(192)의 하강 시 세척구(192)를 상승시키는 태엽스프링(199)이 설치되고, 상기 태엽스프링(199)을 커버하는 스프링커버(200)가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의 밥솥안착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의 밥솥안착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밥솥안착부재(2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본체(211)와, 상기 받침본체(211)의 일측에 밥솥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밥솥안착부(212)와, 상기 받침본체(211)가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정되게 거치되게 상기 받침본체(2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213)와, 상기 받침본체(2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4)와, 상기 거치대(2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218)와, 상기 회전손잡이(218)의 동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19)와, 상기 회전프레임(218)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볼트(221)와, 상기 압착볼트(221)의 저면에 결합되는 압착고무(222)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본체(211)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에는 밥솥(10)을 거치시킬 수 있게 밥솥안착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밥솥안착부(212)의 하부에는 중간받침대(1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치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2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부(213)는 중간받침대(113)의 양측에 걸릴 수 있게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본체(211)의 상면에는 회전손잡이(218)가 설치될 수 있게 거치대(214)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214)에는 다수의 제1 리벳결합구멍(2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리벳결합구멍(215)에는 리벳(216)이 결합되고, 상기 리벳(216)에는 링크(217)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218)는 링크(217)와 레빗(216)에 의해 거치대(2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거치대(214)에는 상기 회전손잡이(218)에 의해 회전프레임(219)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프레임(219)의 일측에는 리벳(216)이 결합될 수 있게 제2 리벳결합구멍(2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프레임(219)에는 압착볼트(221)가 설치되고, 상기 압착볼트(221)의 하부에는 밥솥(10)의 테두리(11) 부위를 가압하는 압착고무(222)가 설치된다.
도 10(b)에서와같이, 회전손잡이(218)를 들어올리게 되면 회전프레임(219)은 상승하게 되고, 회전프레임(219)이 상승된 상태에서 밥솥안착부(212)에 세척하고자 하는 밥솥(1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18)를 하강시키면 회전프레임(219)이 하강되면서 압착고무(222)가 밥솥(10)의 테두리(11)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상기 밥솥(10)은 압착고무(222)에 의해 세척 작업 도중에도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2는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 또는 앉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다리(231)가 설치될 수 있고, 받침다리(231)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232)가 설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3은 테이블(233) 위에 세척장치를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테이블(233)의 도어(233a) 내측에는 밥솥(10)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용품 또는 세척용구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세척구(192)의 회전을 제어하는 페달식 스위치(234)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테이블(233)의 저면에는 테이블(23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23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물 사용이 가능한 싱크대 등에서 밥솥(10)을 세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하부받침대(111)의 하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드레인(235)을 구비하고, 세척 작업에 사용된 물을 싱크대의 배수관(236)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세척이 이루어진 물을 배수와 함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세척수 공급관(237)이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237)에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38)가 설치되며,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게 세척수 분사노즐(239)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환경에 따라 세척장치를 받침다리(231) 또는 테이블(233)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척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싱크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배수와 함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공급해 줌으로써 밥솥(10)의 세척에 따른 작업 여건을 자유롭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받침부재 111: 하부받침대
112: 볼트구멍 113: 중간받침대
114: 밥솥투입공간부 115: 투입안내부
117: 상부커버 118: 케이스공간부
130: 커버부재 131: 측면커버
132: 핸들관통구멍 133: 레버관통구멍
134: 바디높이조절구멍 135: 전면커버
136: 조작스위치 137: 비상정지스위치
138: 투명커버 139: 후면커버
150: 서포트부재 151: 고정받침대
152: 서포트 153: 상부받침대
154: 높이조절구멍 155: 높이조절핸들
156: 높이조절나사
170: 회전세척부재 171: 구동모터
172: 감속기 173: 바디
174: 서포트결합구멍 175: 회전축 결합구멍
176: 피니언결합구멍 177: 레버결합돌기
177a: 제1 회전레버 177b: 제2 회전레버
178: 체결구멍 179: 리미트스위치
180: 회전승강유닛 181: 피니언기어
182: 회전케이스 183: 간격조절구멍
184: 스위치접촉돌기 185: 원판
186: 원호구멍 187: 레버
188: 손잡이 191: 세척유닛
192: 세척구 193: 브러시
194: 모터회전축 195: 피니언승강축
196: 래크 197: 슬라이딩구멍
198: 플렉시블커버 199: 태엽스프링
200: 스프링커버
210: 밥솥안착부재 211: 받침본체
212: 밥솥안착부 213: 삽입홈부
214: 거치대 215: 제1 리벳결합구멍
216: 리벳 217: 링크
218: 회전손잡이 219: 회전프레임
220: 제2 리벳결합구멍 221: 압착볼트
222: 압착고무
231: 받침다리 232: 높이조절구
233: 테이블 234: 페달식 스위치
235: 드레인 236: 배수관
237: 세척수 공급관 238: 제어밸브
239: 세척수 분사노즐

Claims (9)

  1. 일정 크기를 갖는 밥솥을 받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110);
    상기 받침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트부재(150)와 회전세척부재(170)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30);
    상기 회전세척부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110)의 일측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부재(150);
    상기 밥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재(150)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치된 밥솥의 내면을 세척하는 세척구(192)를 회전시키는 회전세척부재(170);
    상기 밥솥을 상기 받침부재(110)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밥솥안착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세척부재(170)는 상면에 구동모터(171)와 감속기(172)가 설치되는 바디(173);
    상기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피니언결합구멍(176)에 설치된 회전승강유닛(180)의 피니언기어(18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승강축(195);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설치되는 세척구(192);
    상기 밥솥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구(19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브러시(193);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결합구멍(176)에는 피니언승강축(196)을 승강시키는 피니언기어(181)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81)의 일측에 회전케이스(182)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6)의 승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회전케이스(18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간격조절구멍(18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 설치되는 원판(185)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185)에는 상기 간격조절구멍(183)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원호구멍(186)이 형성되며,
    상기 원판(185)에는 피니언승강축(195)을 승강시킴에 따라 세척구(192)의 높이를 조절하는 레버(187)와 손잡이(188)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173)의 일면에는 상기 세척구(192)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79)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케이스(182)의 외면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79)에 접촉되는 스위치접촉돌기(1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안착부재(21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본체(211);
    상기 받침본체(211)의 일측에 밥솥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밥솥안착부(212);
    상기 받침본체(211)가 상기 받침부재(110)에 안정되게 거치되게 상기 받침본체(2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213);
    상기 받침본체(21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4);
    상기 거치대(2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218);
    상기 회전손잡이(218)의 동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19);
    상기 회전프레임(219)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볼트(221);
    상기 압착볼트(221)의 저면에 결합되는 압착고무(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10)는 상기 밥솥의 하부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대(111);
    중량물인 밥솥을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밥솥투입공간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대(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중간받침대(113);
    상기 세척구(192)의 양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중간받침대(11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커버(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3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커버(131)와, 전면커버(135) 및 후면커버(139)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커버(131)의 일측에 회전승강유닛(180)의 회전케이스(182)가 결합될 수 있게 핸들관통구멍(132)이 형성되며,
    회전레버(177a)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타측에 레버관통구멍(133)이 형성되고,
    높이조절핸들(155)이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커버(131)의 상면에 바디높이조절구멍(134)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135)에는 세척구(192)의 회전을 온/오프 시키는 조작스위치(136)와 비상정지스위치(1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150)에는 상기 받침부재(110)의 중간받침대(113) 상면에 수직으로 서포트(152)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152)에는 높이조절핸들(155)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바디(173)가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152)의 상면에는 상부받침대(153)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받침대(153)에는 높이조절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게 높이조절구멍(154)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구멍(154)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155)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핸들(155)에는 상기 높이조절구멍(154)과 상기 바디(173)에 형성된 체결구멍(178)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73)에는 서포트(15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서포트결합구멍(17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회전축결합구멍(175)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가 피니언승강축(195)과 맞물려 설치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결합구멍(175)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피니언결합구멍(176)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73)의 배면에 레버결합돌기(17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152)에 결합된 상기 바디(173)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레버결합돌기(177)에 제1 회전레버(177a)가 체결되며, 상기 제1 회전레버(177a)를 회전시킬 수 있게 제2 회전레버(177b)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17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156)가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서포트결합구멍(174)의 일측에 체결구멍(17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에는 상기 구동모터(171)와 연결되는 모터회전축(194)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94)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구멍(197)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81)와 맞물리도록 래크(196)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승강축(195)의 하부에 세척구(192)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승강축(195)과 세척구(192) 사이에 플렉시블커버(19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KR1020230189668A 2023-12-22 2023-12-22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KR10265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668A KR102655174B1 (ko) 2023-12-22 2023-12-22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668A KR102655174B1 (ko) 2023-12-22 2023-12-22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74B1 true KR102655174B1 (ko) 2024-04-05

Family

ID=9071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668A KR102655174B1 (ko) 2023-12-22 2023-12-22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33Y1 (ko) * 1995-08-16 1998-07-15 김종진 태핑가공을 겸한 포터블 드릴링머신
KR100434733B1 (ko) *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KR200492049Y1 (ko) 2020-03-26 2020-07-27 정성목 전동식 세척솔 기구
KR20200001891U (ko) 2019-02-19 2020-08-27 김복운 조리용 솥 세척장치
KR20210086363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한국미래기술 솥 세척 장치
KR20210139009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33Y1 (ko) * 1995-08-16 1998-07-15 김종진 태핑가공을 겸한 포터블 드릴링머신
KR100434733B1 (ko) * 2001-11-15 2004-06-04 배병태 고기 구이판 세척장치
KR20200001891U (ko) 2019-02-19 2020-08-27 김복운 조리용 솥 세척장치
KR20210086363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한국미래기술 솥 세척 장치
KR200492049Y1 (ko) 2020-03-26 2020-07-27 정성목 전동식 세척솔 기구
KR20210139009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561B1 (ko) 돌솥 세척기구를 구비한 싱크대
WO2007048280A1 (fr) Lave-batterie
CN106923771A (zh) 自动清洗消毒智能洗碗机
KR102655174B1 (ko)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KR200492397Y1 (ko) 조리용 솥 세척장치
EP2941996B1 (en) Floor cleaning machine
CN108294713B (zh) 用于烹饪用具的清洁装置
KR102632058B1 (ko) 돌솥 세척장치
KR102632059B1 (ko) 돌솥 세척장치
CN211760646U (zh) 一种具有粉尘处理的不锈钢加工用抛光装置
KR960006959Y1 (ko) 식기 세척기
JP2942909B2 (ja) 鍋研磨装置
KR101753577B1 (ko) 용기 세척장치
CN208692928U (zh) 一种旋转式辅助炒菜装置
CN111568330A (zh) 餐具除渣装置
JPH10258011A (ja) 食器洗浄機のラック支持構造
CN220494882U (zh) 多功能加热破壁料理机
CN211355318U (zh) 一种单手洗碗机
CN219306547U (zh) 单手用厨房烹饪辅具套件
CN220936540U (zh) 一种便于使用的猪蹄打毛机
KR20100008820U (ko) 브러쉬의 회전력으로 전방 추진력을 갖는 바닥청소기
CN212489821U (zh) 一种帮助洗碗器械
KR200333018Y1 (ko) 자동세척기
CN108056718A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CN213785126U (zh) 一种烧鸡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