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009A -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009A
KR20210139009A KR1020200057224A KR20200057224A KR20210139009A KR 20210139009 A KR20210139009 A KR 20210139009A KR 1020200057224 A KR1020200057224 A KR 1020200057224A KR 20200057224 A KR20200057224 A KR 20200057224A KR 20210139009 A KR20210139009 A KR 2021013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chamber
detergent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900B1 (ko
Inventor
홍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5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 제2안착판이 형성된 받침판에 지지되는 챔버가 형성되고, 챔버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솥 및 그릇 중 하나만 세척부에 의해 세척하거나 또는 동시에 세척이 이루어지며, 챔버에 설치되어 세척부의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를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구동부에 의해 개별 또는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솥과 같은 식기를 눌어붙은 찌꺼기를 세척하는 제1 세척부와 1차 세척된 식기를 광택세척하는 제2 세척부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신속한 세척과 함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Dishwasher free of water and detergent}
본 발명은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챔버 내에 넣고 세제와 물로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솥과 같은 식기에 눌어붙은 찌꺼기를 세척하는 제1 세척부와 1차 세척된 식기를 광택세척하는 제2 세척부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신속한 세척과 함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챔버 내에서 물과 세제를 분사시켜 식기를 세척한후 공기를 분사시켜 건조하는 방식의 식기 세척기가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는 식기에 눌어붙은 밥풀 등의 찌꺼가 완전하게 세척되지 않으므로 1차 물에 담가 불린 후 식기세척기에 넣고 식기를 세척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기세척기는 밥그릇, 접시, 국그릇 등과 같은 시기를 세척할 뿐 돌솥, 무쇠솥 등과 같이 식당에서 사용하는 밥솥은 식기세척기에 넣고 세척하지 못하는 관계로 사람이 수작업으로 일일이 세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통상 식기세척기는 식기 세척을 위생적, 능률적으로 하는 기기이다. 식후 설거지를 합리화하여 가사노동의 경감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식기의 형상이나 재질이 일정한 미국에서는 1960년대 초부터 발매되어 보급률이 높은 편이다. 한국은 식기 형상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식기를 넣는 방법상 성능이 떨어지고,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로 전분질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유 등으로 개발이 뒤떨어지고 있다.
식기세척기는 가정용과 대량 취사용이 있다. 가정용은 자동온수식 바닥 설치형과 순간탕비기(瞬間湯沸器)와 같이 급탕설비에 직결해서 사용하는 소형의 탁상형이 있는데 모두 자동식이다.
이들은 각각의 분사방식에 의해 세제액으로 더러움을 씻어 내리고 마무리세척 후 건조된다. 또 보관고(保管庫)로도 사용되며, 온탕과 세척효력에 따라 살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대량 취사용에는 초음파 사용의 진동방식과 분사방식의 컨베이어 형태가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식기세척기의 경우,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사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보완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4-0008450호(1994.12.21. 공고)의 '스폰지 등 부드러운 그릇닦개가 하단부에 형성된 지주를 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하고, 상하 두개의 원추형 캠이 형성된 지지관을 지주에 상하로 승강조작할 수 있게 끼워 설치하며, 지주의 하단부측에는 그릇닦개가 형성된 지지간을 하부캠에 의하여 좌우로 벌어질 수 있게 스프링과 함께 설치하고, 캠의 지지관에는 그릇협지간이 형성된 풀리를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상부캠에 의하여 그릇을 협지간이 그릇을 협지한 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상하로 승강되는 좌판에 닦을 그릇을 놓고 지주에 형성된 그릇닦개에 접촉되게 상승시킨 다음 전자석이나 레버기구 등을 이용하여 캠을 상승 동작시키면, 그릇닦개의 지지간은 스프링에 의하여 좌우로 벌어지면서 그릇의 내면에 접촉되고 협지간은 스프링에 의하여 그릇을 협지되고, 이때 모우터에 의하여 협지간을 회전시키면 그릇도 함께 회전되어 그릇닦개의 접찰에 의하여 단시간에 깨끗하게 닦아내어 대형 식당 등에서 다량의 그릇을 보다 능률적으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장시간 사용 시 지지간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됨에 따라 지지간이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그릇의 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릇닦개와 그릇이 함께 회전하여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4-0008450호(1994.12.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당 등에서 솥 및 그릇 등의 식기를 세척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기에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의 세척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 물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식당에서 사용하는 돌솥, 무쇠솥과 같은 밥솥과 냉면 그릇과 같이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로 세척할 수 없는 식기 등을 세척하여 설거지를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 제2안착판이 형성된 받침판에 지지되는 챔버가 형성되고, 챔버의 세척공간에 제1, 제2안착판에 설치된 솥 및 그릇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동시에 세척 또는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챔버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세척부가 설치되며, 챔버에 설치되는 구동부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세척부의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를 개별 또는 동시에 승하강시켜 세척 또는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챔버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세척부와 구동부가 설치되고, 챔버가 지지되는 받침판이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 제2안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척부는, 제1세척부재와 제2세척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로 이루어지며, 제1, 제2세척부가 챔버에서 받침판 쪽으로 승하강되게 형성되고, 제1, 제2세척부의 제1, 제2세척부재가 회전하면서 솥 및 그릇의 세척 중 승하강이 이루어져 솥 및 그릇의 내측 상단과 하단를 고르게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세척부는, 챔버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와; 제1, 제2가이드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와; 제1, 제2세척부함체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모터와; 제1, 제2세척부재가 결합되는 제1, 제2착탈부재를 가지며 제1, 제2세척모터에 설치되는 제1, 제2연결축과; 제1, 제2연결축에 결합되는 제1, 제2세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세척부재는, 제1, 제2연결축의 제1, 제2착탈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부는, 챔버의 내측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와; 제1, 제2브라켓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과;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제2세척부함체를 승하강시키는 제1, 제2체인과; 제1, 제2체인의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에 회전축이 연결되면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제2감속기와; 제1, 제2감속기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체인은, 제1, 제2세척부함체에 설치되는 제1, 제2고정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부는, 제1, 제2세척부함체에 설치된 제1, 제2접촉판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져 제1, 제2세척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컨트롤러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챔버의 내측에 설치된 격판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제1상부리미트스위치와 제1하부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1리미트스위치 및 제2상부리미트스위치와 하부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2리미트스위치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솥 및 그릇 등의 식기를 세척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기에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의 세척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당에서 사용하는 돌솥, 무쇠솥과 같은 밥솥과 냉면 그릇과 같이 식기세척기로 세척할 수 없는 식기 등을 세척하여 설거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세척부재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솥 및 그릇에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의 세척 시 제1 및 제2세척부재가 각기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 솥 및 그릇 또는 담겨지는 음식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솥 및 그릇의 세척이 깨끗하게 이루어지므로 고객으로부터 컴플레인이 들어오지 않는 것은 물론 고객으로 하여금 청결한 식당의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후면덮개를 제거한 상태에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로 구성되는 세척부 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로 구성되는 구동부 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에 의헤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제2세척부재가 연결부재에 의해 원터치 형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에 설치된 제1, 제2세척부재에 의해 솥 및 그릇이 세척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제1세척부가 하강하여 솥을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제2세척부가 하강하여 솥을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제1세척부와 제2세척부가 하강하여 솥을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는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안착판(131), 제2안착판(132)이 형성된 받침판(130)에 지지되는 챔버(100)가 형성되고, 챔버(100)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솥 및 그릇 중 하나만 세척부(200)에 의해 세척하거나 또는 동시에 세척이 이루어지며, 챔버(100)에 설치되어 세척부(200)의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를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구동부(300)에 의해 개별 또는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솥 및 그릇 등의 식기를 세척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기에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의 세척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챔버(100), 세척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식당에서 사용하는 돌솥, 무쇠솥과 같은 밥솥과 냉면 그릇과 같이 식기세척기로 세척할 수 없는 식기등을 세척하여 설거지를 간단용이하게하고 더불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용기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세척부재(제1, 제2세척부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기를 세척한다.
상기 식기 세척기의 챔버(100)는 내측에 세척부(200)와 구동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커버(110)와 후면덮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하방향으로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받침판(130)이 설치되어 솥 및 그릇을 세척하는 세척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130)에는 제1안착판(131)과 제2안착판(132)이 설치되어 세척부(200)에 의해 솥 및 그릇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제2안착판(131, 132)은 제1, 제2세척부(210, 220)의 하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전면커버(110)에는 조작판(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120)은 세척부(200) 및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21), 세척부(200)의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의 구동을 선택하는 복수의 선택버튼(122),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의 구동 시간을 각각 설정하는 복수의 시간설정버튼(123),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의 설정 내용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판(120)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러는 조작판(120)의 전원스위치(121) 선택버튼(122) 시간설정버튼(123) 제1스위치(125) 및 제2스위치(12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1, 제2세척모터(212, 222), 제1, 제2구동모터(315, 325), 제1, 제2 리미트스위치(316, 3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함은 물론 표시부(124)를 통해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 형태로 이루어지져 조작판(120)의 배면쪽에 설치되거나 또는 챔버(100)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PCB에는 제1, 제2세척모터(212, 222), 제1, 제2구동모터(315, 325), 제1, 제2 리미트스위치(316, 326)의 전원회로, 메모리, 마이컴(또는 MCU) 등을 포함하여 제어에 필요한 회로가 구성된다. 이러한 회로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해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챔버(100)의 전면커버(110)에는 조작판(120)에서 설정한 상태에 따라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에 의해 솥 및 그릇의 세척을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하는 제1스위치(125)와 제2스위치(1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안착판(131, 132)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중앙에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안착홀(미부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안착판(131, 132)의 상부에는 솥 및 그릇의 세척 시 회전하는 제1세척부재(213)와 제2세척부재(223)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패드(미부호)가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안착홀(미부호)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패드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홀(미부호)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00)의 내측에는 공간이 구획되면서 제1리미트스위치(316)와 제2리미트스위치(326)가 설치되는 격판(140)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부(200)는 제1세척부재(213)와 제2세척부재(223)가 각각 설치되는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로 이루어지며, 제1, 제2세척부(210, 220)는 챔버(100)에서 받침판(130) 쪽으로 승하강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210, 220)의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회전하면서 솥 및 그릇의 세척 중 승하강이 이루어져 솥 및 그릇의 내측 상단과 하단를 고르게 세척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210, 220)는 챔버(100)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와, 제1, 제2가이드로드(211-4, 221-4)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와,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모터(212, 222)와,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결합되는 제1, 제2착탈부재(212-2, 222-2)를 가지며 제1, 제2세척모터(212, 222)에 설치되는 제1, 제2연결축(212-1, 222-1)과, 제1, 제2연결축(212-1, 222-1)에 결합되는 제1, 제2세척부재(213, 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에 설치된 제1접촉판(211-1)과 제2접촉판(221-1)이 각각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복수의 제1리미트스위치(316) 및 복수의 제2리미트스위치(326)에 접촉하여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의 위치를 컨트롤러(미도시)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는 양측면에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211-2)와 제2가이드부재(221-2)가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제1, 제2가이드부재(211-2, 221-2)는 복수의 제1, 제2가이드로드(211-4, 221-4)에 결합되어 챔버(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는 제1고정체(211-3)와 제2고정체(221-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체(211-3)는 구동부(300)의 제1체인(313)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체(221-3)는 구동부(300)의 제2체인(323)에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체(211-3)와 제2고정체(221-3)는 제1, 제2체인(313, 323)과 함께 이동하여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챔버(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제2가이드로드(211-4, 221-4)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1가이드로드(211-4)는 제1세척부함체(211)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1세척부함체(211)의 이동 시 가이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제2가이드로드(221-4)는 제2세척부함체(221)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2세척부함체(221)의 이동 시 가이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재(213, 223)는 제1, 제2연결축(212-1, 222-1)에 설치된 제1, 제2착탈부재(212-2, 222-2)에 의해 원터치로 착탈이 이루어지며, 도 6와 같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세척부재(213, 223)는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세척부재(213)는 솔이 형성된 반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제2세척부재(223)는 수세미가 형성된 반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제2세척부(210, 220)를 각기 다르게 형성하는 것은 제1, 제2안착판(131, 132)에 안착되는 그릇의 종류에 따라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1세척부(210)에 의해 1차 세척이 이루어진 솥 및 그릇을 제2세척부(220)를 통해 2차로 세척하면서 광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제2세척부(210, 220)는 솔이 형성된 반달 형상, 수세미가 형성된 반달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솥 및 그릇의 외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수세미가 형성된 아치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솥 및 그릇을 세척하기 위한 형상은 상기의 반달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연결축(212-1, 222-1)의 양측으로 거리가 이격되게 제1세척부함체(211, 212)의 하부에 제1, 제2가이드축(212-3, 222-3)이 복수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제2가이드축(212-3, 222-3)은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와 함께 이동되어 솥 및 그릇의 세척 시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와 함께 솥 및 그릇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300)가 챔버(100)의 내부에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동부는 복수의 제1브라켓(311), 제1스프라켓(312) 제1체인(313) 제1감속기(314) 및 제1구동모터(315)를 포함하고, 제2구동부(320)는 제2브라켓(321), 제2스프라켓(322), 제2체인(323), 제2감속기(324), 제2구동모터(32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브라켓(311)은 제1상부브라켓(311-1)과 제1하부브라켓(3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부브라켓(311-1)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챔버(100)의 내측 상부 면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하부브라켓(311-2)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챔버(100)의 내측 하부 면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제2브라켓(321)은 제2상부브라켓(321-1)과 제2하부브라켓(32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상부브라켓(321-1)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챔버(100)의 내측 상부 면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2하부브라켓(321-2)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챔버(100)의 내측 하부 면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스프라켓(312)은 제1상부스프라켓(312-1)과 제1하부스프라켓(3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부스프라켓(312-1)은 제1상부브라켓(3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하부스프라켓(312-2)은 제1하부브라켓(3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스프라켓(322)은 제2상부스프라켓(322-1)과 제2하부스프라켓(32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상부스프라켓(322-1)은 제2상부브라켓(3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하부스프라켓(322-2)은 제2하부브라켓(32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체인(313)은 제1상부스프라켓(312-1)과 제1하부스프라켓(312-2)에 결합되어 제1구동모터(31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체인(323)은 제2상부스프라켓(322-1)과 제2하부스프라켓(322-2)에 결합되어 제2구동모터(32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감속기(314)와 제2감속기(324)는 제1상부스프라켓(312-1)과 제2상부스프라켓(322-1)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감속기(314)와 제2감속기(324)의 회전축은 제1상부스프라켓(312-1)과 제2상부스프라켓(322-1)에 각각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315)와 제2구동모터(325)의 구동력에 의해 제1체인(313), 제2체인(323)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구동모터(315)는 제1감속기(314)에 각각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구동모터(325)는 제2감속기(324)에 각각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모터(315)와 제2구동모터(32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제2체인(313, 323)이 결합된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가 이동하면서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이 접촉되는 제1리미트스위치(316), 제2리미트스위치(326)가 챔버(100)의 격판(140)에 설치된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6)는 제1상부리미트스위치(316-1)와 제1하부리미트스위치(316-2)로 이루어져 격판(1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326)는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26-1)와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26-2)로 이루어져 격판(1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상부리미트스위치(316-1)와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26-1)가 격판 상부의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와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26-2)가 격판 하부의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16-1, 326-1) 또는 제2,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에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이 각각 접촉되면, 제1,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16-1, 326-1) 또는 제2,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에서 컨트롤러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의 상승된 초기 상태의 위치 또는 하강되어 솥 및 그릇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컨트롤러에서 파악한다.
또한,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에 의해 솥 및 그릇의 세척 중 컨트롤러는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상승하도록 제어신호를 제1, 제2구동모터(315, 325)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제1, 제2구동모터(315, 325)의 구동에 의해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가 상승하면서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이 상승하여 제2,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에서 떨어진다.
이때 컨트롤러는 제어신호를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로 인가하여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하강되어 솥 및 그릇의 내부에서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져 솥 및 그릇의 내부 상하를 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316) 및 제2리미트스위치(326)는 제1, 제2포토인터럽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제2포토인터럽터는 격판(140) 및 제1, 제2접촉판(211-1, 221-1)에는 수광과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서터가 각각 설치되며,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는 제조 시 배선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챔버(100)의 전면커버(110)에 설치된 조작판(120)의 전원스위치(121)를 눌러 전원이 인가되면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조작판(120)을 통해 제1세척부(210) 및 제2세척부(220)의 세척시간을 설정하며, 이때 설정하는 세척시간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여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밥솥과 같이 밥알이 말라 붙는 경우에는 세척 시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척시간을 약 10초 정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순히 음식물의 양념 등이 말라 붙은 경우에는 밥알이 말라 붙은 경우보다 잘 떨어지기 때문에 밥솥을 세척하는 시간보다 짧은 약 5초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시간의 설정은 상기의 예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거지를 담당하는 주방직원이 적절하게 세척시간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판(120)을 통해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의 세척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솥 및 그릇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세척할 솥 또는 그릇을 제1안착판(13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챔버(100)의 전면커버(110)에 설치된 제1스위치(125)를 눌러 제1세척부재(213)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세척부재(213)에 의해 세척이 완료되면, 제2안착판(132)으로 옮긴 상태에서 제2스위치(123)를 눌러 제2세척부(223)에 의해 광택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 솥 및 그릇을 제1안착부(131)에서 제2안착부(132)로 옮긴 후 제1안착판(131)에는 새롭게 세척할 솥 또는 그릇을 위치시켜 제1스위치(125)를 눌러 제1세척부재(213)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세척부(210)에서 제2세척부(220)에 의해 순차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솥 및 그릇의 세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세척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되는 세척부(200)와 구동부(300)의 작동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상기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 및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솥 및 그릇을 제1안착판(131)과 제2안착판(13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면커버(110)에 설치된 제1, 제2스위치(125, 126)를 누르면, 상기 제1, 제2스위치(125, 126)의 전기적 신호가 컨트롤러로 인가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세척부(200)의 제1, 제2세척모터(212, 222)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부(300)의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모터(212, 222)는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1, 제2세척부재(213, 223)를 회전시켜 솥 및 그릇을 세척 및 광택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는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력을 제1, 제2감속기(314, 324)로 전달하고, 제1, 제2감속기(314, 324)와 결합된 제1, 제2스프라켓(312, 322)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감속기(314)와 연결된 제1스프라켓(312)의 제1상부스프라켓(312-1)이 회전되면서 제1체인(313)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감속기(324)와 연결된 제2스프라켓(322)의 제2상부스프라켓(322-1)이 회전되면서 제2체인(323)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 제2체인(313, 323)과 결합된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받침판(130)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의 제1, 제2가이드부재(211-2, 221-2)가 제1, 제2가이드로드(211-4, 221-4)에 가이드되면서 이동되는 것은 물론 제1, 제2세척부(213, 223) 및 제1, 제2가이드축(212-3, 222-3)이 함께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에 설치된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은 제1,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16-1, 326-1)에서 떨어지면서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제2체인(313, 323)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가 챔버(100)의 내측 하부쪽으로 이동하면서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이 제1,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에 접촉되면, 제1,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는 컨트롤러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고, 컨트롤러는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로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가 더 이상의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제2세척모터(212, 222)에는 전원을 계속 인가하여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의 회전에 의해 솥 및 그릇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의 회전에 의해 솥 및 그릇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1, 제2가이드축(212-3, 222-3)이 솥 및 그릇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솥 및 그릇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로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제2체인(313, 3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는 약 3㎝ 내지 5㎝ 정도 상승한 후 다시 하강시켜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에 의해 솥 및 그릇 내부의 하부와 상부를 고르게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세척부재(213, 223)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컨트롤러는 조작판(120)의 표시부(124)를 통해 '세척 중'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상승과 하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세척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하면, 컨트롤러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가 상승되도록 제1, 제2구동모터(315, 325)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는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 제2감속기(314, 324)로 구동력을 전달시켜 제1, 제2상부스프라켓(312-1, 322-1)을 회전시켜 제1, 제2체인(313, 323)이 역방향(제1세척부함체와 제2세척부함체의 상승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제1, 제2체인(313, 323)이 회전하면서 제1, 제2고정체(211-3, 212-3)에 의해 결합된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챔버(100)의 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제1, 제2접촉판(211-1, 221-1)이 상승하여 제1, 제2하부리미트스위치(316-2, 326-2)에서 떨어지면서 제1,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16-1, 326-1)에 접촉되면, 컨트롤러는 제1, 제2구동모터(315, 325)로 인가하던 전원을 차단시켜 상승된 위치를 유지되도록 하고, 이때 컨트롤러는 조작판(120)의 표시부(124)에 '세척 대기'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안착판(131)에서 세척한 솥 및 그릇은 제2안착판(132)으로 옴겨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안착판(132)에서 광택세척이 이루어진 솥 및 그릇을 꺼내어 마지막으로 헹굼하여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의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가 항상 동시에 작동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커버(110)의 제1스위치(125) 또는 제2스위치(126) 중 하나만을 조작하여 제1세척부(210) 또는 제2세척부(220) 중 하나만 구동시켜 솥 또는 그릇의 세척 또는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솥 및 그릇에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의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주방직원이 힘 들이지 않으면서 솥 및 그릇의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솥 및 그릇의 세척 시 달라붙은 밥풀, 양념 등이 제거가 용이함으로써 세제 및 물의 사용하지 않고 세척할 수 있어 물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장저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챔버 110: 전면커버
120: 조작판 121: 전원스위치
122: 선택버튼 123: 시간설정버튼
124: 표시부 125: 제1스위치
126: 제2스위치 130: 받침판
131: 제1안착판 132: 제2안착판
140: 격판 200: 세척부
210: 제1세척부 211: 제1세척부함체
211-1: 제1접촉판 211-2: 제1가이드부재
211-3: 제1고정체 211-4: 제1가이드로드
212: 제1세척모터 212-1: 제1연결축
212-2: 제1착탈부재 212-3: 제1가이드축
213: 제1세척부재 220: 제2세척부
221: 제2세척부함체 221-1: 제2접촉판
221-2: 제2가이드부재 221-3: 제2고정체
221-4: 제2가이드로드 222: 제2세척모터
222-1: 제2연결축 222-2: 제2착탈부재
222-3: 제2가이드축 223: 제2세척부재
300: 구동부 310: 제1구동부
311: 제1브라켓 311-1: 제1상부브라켓
311-2: 제1하부브라켓 312: 제1스프라켓
312-1: 제1상부스프라켓 312-2: 제1하부스프라켓
313: 제1체인 314: 제1감속기
315: 제1구동모터 316: 제1리미트스위치
316-1: 제1상부리미트스위치 316-2: 제1하부리미트스위치
320: 제2구동부 321: 제2브라켓
321-1: 제2상부브라켓 321-2: 제2하부브라켓
322: 제2스프라켓 322-1: 제2상부스프라켓
322-2: 제2하부스프라켓 323: 제2체인
324: 제2감속기 325: 제2구동모터
326: 제2리미트스위치 326-1: 제2상부리미트스위치
326-2: 제2하부리미트스위치

Claims (8)

  1.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 제2안착판(131, 132)이 형성된 받침판(130)에 지지되는 챔버(100)가 형성되고, 챔버(100)의 세척공간에 제1, 제2안착판(131, 132)에 설치된 솥 및 그릇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동시에 세척 또는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챔버(100)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세척부(200)가 설치되며, 챔버(100)에 설치되는 구동부(300)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세척부(200)의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를 개별 또는 동시에 승하강시켜 세척 또는 광택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세척부(200)와 구동부(300)가 설치되고,
    챔버(100)가 지지되는 받침판(130)이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받침판(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솥 및 그릇이 안착되는 제1, 제2안착판(131, 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제1세척부재(213)와 제2세척부재(223)가 각각 설치되는 제1세척부(210)와 제2세척부(220)로 이루어지며,
    제1, 제2세척부(210, 220)가 챔버(100)에서 받침판(130) 쪽으로 승하강되게 형성되고,
    제1, 제2세척부(210, 220)의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회전하면서 솥 및 그릇의 세척 중 승하강이 이루어져 솥 및 그릇의 내측 상단과 하단를 고르게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세척부(210, 220)는,
    챔버(100)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와;
    제1, 제2가이드로드(211-4, 221-4)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와;
    제1, 제2세척부함체(210, 220)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제2세척모터(212, 222)와;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결합되는 제1, 제2착탈부재(212-2, 222-2)를 가지며 제1, 제2세척모터(212, 222)에 설치되는 제1, 제2연결축(212-1, 222-1)과;
    제1, 제2연결축(212-1, 222-1)에 결합되는 제1, 제2세척부재(213, 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세척부재(213, 223)는,
    제1, 제2연결축(212-1, 222-1)의 제1, 제2착탈부재(212-2, 22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구동부(310, 320)는,
    챔버(100)의 내측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제2브라켓(311, 321)와;
    제1, 제2브라켓(311, 321)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312, 322)과;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312. 32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를 승하강시키는 제1, 제2체인(313, 323)과;
    제1, 제2체인(313, 323)의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제2스프라켓(312, 322)에 회전축이 연결되면서 제1, 제2브라켓(311, 321)에 설치되는 제1, 제2감속기(314, 324)와;
    제1, 제2감속기(314, 324)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제2구동모터(315, 3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체인(313, 323)은,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에 설치되는 제1, 제2고정체(211-3, 221-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제1, 제2세척부함체(211, 221)에 설치된 제1, 제2접촉판(211-1, 221-1)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져 제1, 제2세척부재(213, 223)가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컨트롤러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챔버(100)에 내측에 설치된 격판(14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제1상부리미트스위치(316-1)와 제1하부리미트스위치(316-2)로 이루어지는 제1리미트스위치(316) 및 제2상부리미트스위치(326-1)와 하부리미트스위치(326-2)로 이루어지는 제2리미트스위치(326)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KR1020200057224A 2020-05-13 2020-05-13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KR10236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24A KR102369900B1 (ko) 2020-05-13 2020-05-13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24A KR102369900B1 (ko) 2020-05-13 2020-05-13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09A true KR20210139009A (ko) 2021-11-22
KR102369900B1 KR102369900B1 (ko) 2022-03-04

Family

ID=7871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224A KR102369900B1 (ko) 2020-05-13 2020-05-13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59B1 (ko) *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32058B1 (ko) *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55174B1 (ko) * 2023-12-22 2024-04-05 삼화정공사주식회사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50B1 (ko) 1992-12-31 1994-09-15 한국신철강기술연구조합 입자분급효율을 높인 유동층 환원방법 및 장치
KR950000577U (ko) * 1993-06-28 1995-01-03 하수경 눌린 칩 펠레트(Pellet)제거장치
KR950000273Y1 (ko) * 1993-05-31 1995-01-16 오복수 그릇 자동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50B1 (ko) 1992-12-31 1994-09-15 한국신철강기술연구조합 입자분급효율을 높인 유동층 환원방법 및 장치
KR950000273Y1 (ko) * 1993-05-31 1995-01-16 오복수 그릇 자동 세척기
KR950000577U (ko) * 1993-06-28 1995-01-03 하수경 눌린 칩 펠레트(Pellet)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59B1 (ko) *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32058B1 (ko) *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55174B1 (ko) * 2023-12-22 2024-04-05 삼화정공사주식회사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900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900B1 (ko)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
CN109339158B (zh) 智能灶台柜的盆体
CN105361643B (zh) 全自动烧菜系统及方法
CN106923771A (zh) 自动清洗消毒智能洗碗机
US20220151455A1 (en)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341690U (zh) 一种洗碗机
CN113116137B (zh) 一种自动煮面设备
KR101868561B1 (ko) 돌솥 세척기구를 구비한 싱크대
CN205322063U (zh) 全自动烧菜系统
CN110710862A (zh) 一种自动炒菜机
CN110215169B (zh) 一种滑盖式双水槽洗碗机
CN109363579B (zh) 一种餐桌式洗碗机
CN202143618U (zh) 自动洗碗机
CN209694387U (zh) 一种便于清洁的电控餐桌
US2342742A (en) Dishwashing machine
CN113812897A (zh) 一种碗碟清洗机
CN112603227A (zh) 一种用于厨房餐具处理的自动清洗装置
CN111713970A (zh) 全自动炒菜机
CN212489821U (zh) 一种帮助洗碗器械
CN213129378U (zh) 一种提高清理效率的自动洗碗装置
CN212698778U (zh) 一种可提高沥水速率的洗碗机
CN220293575U (zh) 一种洗碗机用碗架
CN213371823U (zh) 一种可以自动存取餐具的台下式洗碗机
CN211748732U (zh) 一种自动炒菜机
CN216602784U (zh) 一种揭盖式商用洗碗机碗筐升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