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34B1 -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34B1
KR102654634B1 KR1020230096619A KR20230096619A KR102654634B1 KR 102654634 B1 KR102654634 B1 KR 102654634B1 KR 1020230096619 A KR1020230096619 A KR 1020230096619A KR 20230096619 A KR20230096619 A KR 20230096619A KR 102654634 B1 KR102654634 B1 KR 10265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transport device
concret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화
최덕순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상봉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봉이엔씨 filed Critical (주)상봉이엔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6Pavings adjacent tramways rails ; Pavings comprising railway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 터널의 바닥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폭 7m 이하를 갖는 노면 전차용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 폭의 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운반장치를 콘크리트 제조 장치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운반장치의 수용통에 투입하는 단계(S20); 및 상기 운반장치를 상기 바닥면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용통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면에 타설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FLOOR PAVEMENT METHOD FOR STREETCAR USING SMALL CONCRETE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 터널의 바닥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는 도심 밀집 구조를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환경은 도심 도로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하여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교통수단이 도로의 기능을 일부 흡수하게 하고 있다.
대중교통 수단으로 많은 지하철이 만들어졌으나 이들은 광역권을 담당하며 지하철을 연결하는 짧은 구간은 소규모의 협궤열차 등이 건설되고 있었으며 이중 레일이 없는 구조인 노면 전차가 최근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내 트램 등의 노면 전차의 설치는 도심 밀집 구간에 교통난 해소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등록특허 제10-1572199호(이하 종래기술 1 참조).
도심 트램은 자동차와 비교하여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다수의 인원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단거리 구간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교통수단이나 시공 시 설치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공사를 위한 대형차량이 시내 교통마비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종래기술 2(등록특허 제10-0829062호)와 같이 배관,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터널 내부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방식을 택하였는데, 일반적으로 협소 터널의 바닥은 기울어진 상태가 많아서 콘크리트 슬럼프는 130mm 이하가 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슬럼프를 갖는 콘크리트를 배관을 통해 공급할 경우,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작아서 배관이 수시로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여 공사의 중단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실제 공사 시간보다 배관을 보수 또는 청소하는 시간이 자주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노면 전차용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빠른 시일 내에 그리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을 수행할 수 있는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폭 7m 이하를 갖는 노면 전차용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 폭의 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운반장치를 콘크리트 제조 장치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운반장치의 수용통에 투입하는 단계(S20); 및 상기 운반장치를 상기 바닥면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용통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면에 타설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반장치는, 그 폭이 0.5 ~ 3.0m이고, 그 높이가 1.0~4.0m이고, 그 길이가 2.0~6.0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통은, 직경이 100~500mm인 원형의 제1개구부 또는 변의 길이가 100~500mm인 사각형의 제1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장치는,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통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을 1~6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장치는, 상기 수용통 내부에 삽입되는 교반날, 및 상기 교반날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을 1~6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수용통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통은, 상기 수용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장치는, 상기 제2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통은, 후방에 구비되고 투입장치와 연통되는 제1개구부, 및 전방에 구비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장치는, 상측 개구가 상기 제2개구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후방측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경사진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메인가이드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상기 호퍼의 상단에 연결되는 날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포설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의 전방측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만곡되게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기는, 상기 호퍼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기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입구가 상기 호퍼의 하측 개구와 연통되고 하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노면 전차용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빠른 시일 내에 그리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운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협소 터널, 바닥면 및 운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운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운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협소 터널, 바닥면 및 운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은 노면 전차(예시적으로 트램)용 협소 터널(2)의 바닥면(3)(폭 7m 이하)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협소 터널(2)의 바닥면(3)은 일반적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가 많아서 슬럼프가 130mm이하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공 시 설치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공사를 위한 대형차량이 시내 교통마비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아 배관을 통해 상기한 콘크리트를 투입하였는데, 낮은 슬럼프를 갖는 콘크리트가 상기 배관을 막아서 시공 시간을 늦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본 방법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방법(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은 이동 단계(S10), 투입 단계(S20), 및 운반 및 타설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동 단계(S10)는 상기 바닥면(3) 폭의 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운반장치(1)를 콘크리트 제조 장치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본 방법은 상기 이동 단계(S10) 이전에 상기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제조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단계(S5)는 예시적으로 시멘트, 골재, 물 등을 교반하는 혼합장치(상기한 콘크리트 제조 장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운반장치(1)는 하부에 이동바퀴(12)가 구비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1) 상부에 배치되는 수용통(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 단계(S20)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운반장치(1)의 수용통(13)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협소 터널(2)의 바닥면(3) 폭(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은 7m 이하의 폭을 갖는다고 하였는데, 상기한 운반장치(1)의 폭은 바닥면(3) 폭의 3/2보다 작다.
여기에서 운반장치(1) 및 바닥면(3) 각각의 폭은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로서, 평면상에서 봤을 때 협소 터널(2)에서의 운반장치(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 길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반장치(1)의 폭이 0.5 ~ 3.0m 일 수 있는데, 폭이 0.5m 보다 작을 경우 수용통(13)의 폭 또한 그만큼 작아져야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운반량이 지나치게 감소되고, 3m를 초과할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 운반장치(1)의 운행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한 운반장치(1)의 폭은 1.5 ~ 2.7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운반장치(1)의 높이(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는 1.0~4.0m일 수 있다. 상기한 운반장치(1)의 높이가 1.0m보다 낮을 경우 수용통(13)의 높이가 낮아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운반량이 지나치게 적어지고, 운반장치(1)의 높이가 4.0m보다 클 경우 협소 터널(2)의 천장에 닿을 수 있다. 운반장치(1)의 높이는 2.0~4.0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운반장치(1)의 길이는 2.0m~6.0m 일 수 있다. 운반장치(1)의 길이란 협소 터널(2)에서 운반장치(1)의 이동 방향 길이를 의미하는데, 도 3을 기준으로 정면-배면 방향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한 운반장치(1)의 길이가 2.0m보다 작을 경우 콘크리트의 운반량이 지나치게 적어지고, 6.0m보다 클 경우 협소 터널(2)에서 커브 구간에서 운행이 어려울 수 있다. 운반장치(1)의 길이는 3.0~6.0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운반 및 타설 단계(S30)는 상기 운반장치(1)를 상기 바닥면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01), 및 상기 수용통(13)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바닥면(3)에 타설하는 단계(S30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방법은 콘크리트를 배관 등을 이용하여 바닥면(3) 측으로 운반하지 않고, 협소 터널(2)의 폭의 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운반장치(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운반하기 때문에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과정 등이 불필요하여 시공 과정이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통(13)은 직경이 100~500m인 원형의 제1개구부(131) 또는 변의 길이가 100~400mm인 사각형의 제1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개구부(131)의 직경 또는 변의 길이가 100mm 보다 작을 경우 콘크리트를 수용통(13)에 주입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500mm보다 클 경우 콘크리트의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가 콘크리트의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제1개구부(131)의 직경 또는 변의 길이는 100~40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는 상기 베이스(11)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통(13)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13)을 1~6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미도시)(드럼형)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제1회전부는 베이스(11)의 측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부에 의해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다.
예시적으로 제1회전부(미도시)는 베이스(11)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통(13) 하부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축결합 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1회전부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한 수용통(13)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는 드럼형 교반장치(제1회전부 및 수용통(13))(가경식)를 포함하여 혼합효율이 우수하고 콘크리트 잔재가 남지 않을 수 있다.
운반장치(1)가 드럼형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한 수용통(13)은 제1개구부(131)만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도 2와 같이 후방측에 제1개구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131)는 콘크리트와 주입하는 주입장치와 연결되는 투입장치(17)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장치(17)를 통해 콘크리트가 수용통(13)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방이란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전방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또한 수용통(13)은 전방측에 제2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개구부(132)는 포설기(18)와 연통될 수 있다. 제2개구부(132)는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포설기(18) 측으로 이동되어 바닥면(3)에 타설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운반장치(2)는 상측 개구가 상기 제2개구부(132)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호퍼(181)를 포함하는 포설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호퍼(181)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측 개구를 형성하는 상측 개구 내측에 상기 제2개구부(132)가 배치되어, 상기 제2개구부(132)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호퍼(181)의 상측 개구로 투입될 수 있다.
포설기(18)는 상기 호퍼(181)의 후방측 상단(상측 개구를 형성하는 후방측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경사진 메인가이드부(182a), 및 메인가이드부(182a)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상기 호퍼(181)의 상단에 연결되는 날개가이드부(182b)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가이드부(182a)의 양측(일 측 및 타 측)은 도 4를 기준으로 메인가이드부(182a)의 정면측 및 배면측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포설기(18)는 가이드부재(182)를 포함함으로써, 수용통(13)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가 호퍼(181)의 상측 개구로 투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으며, 호퍼(181)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포설기(18)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82)는 상기 메인가이드부(182a)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18)의 전방측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만곡되게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182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82c)의 형상은 수용통(13)의 전방측 하부 형상과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통(13)의 전방 측 하부가 상기 삽입홈(182c)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으며, 수용통(13)과 가이드부재(182)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수용통(13) 회전에 따른 마모를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통(13)의 전방측 하부가 상기한 삽입홈(182c)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포설기(18)는 상기한 호퍼(181)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발판부(183)는 예시적으로 호퍼(183)의 일측면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발판부(183)를 밟고 올라가 상측에서 호퍼(181)를 내려다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호퍼(181)를 보다 쉽게 유지보수 하고 세척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포설기(18)는 호퍼(18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입구가 상기 호퍼(181)의 하측 개구와 연통되고 하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1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하우징(184)의 내부에는 스크루 등이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전방 또는 하측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한 배출수단은 상기한 스크루로 한정하지 않으며, 콘크리트를 하우징(184)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설기(18)는 상기한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18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개폐수단(185)는 상기한 볼트 등을 매개로 하우징(184)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배출공을 개폐한다.
상기한 개폐수단(185)이 배출공을 폐쇄하였을 경우 물 등이 상기한 하우징(184)과 호퍼(181) 내부에 채워질 수 있으며, 개폐수단(185)이 배출공을 개방하였을 경우 물이 배출공을 통해 하우징(18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설기(18)는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184)과 개폐수단(185)을 포함하여 포설기(18)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제1회전부는 수용통(13)을 1~60rpm으로 회전시킨다고 하였는데, 콘크리트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이 위해 상기 (S301) 단계에서 상기한 콘크리트가 바닥면(3) 측으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수용통(13)이 제1회전부에 의해 회전되어 교반될 수 있다.
상기한 수용통(13)의 회전속도가 1rpm보다 작을 경우 콘크리트 성분의 혼합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아 콘크리트의 응결이 시작될 수 있으며, 60rpm보다 클 경우 차량의 동력장치(제1회전부)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운반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는 상기 수용통(13) 내부에 삽입되는 교반날(15), 및 상기 교반날(15)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15)을 1~6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운반장치(1)는 베이스(11)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상부에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2회전부(16)는 예시적으로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수용통(13)은 상부에 제1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131)에 상기한 교반날(15)이 구비되고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봉체가 관통될 수 있고, 상기 봉체가 제2회전부(16)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교반장치(제2회전부(16) 및 수용통(13))은 강제식으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교반장치와 비교하여 구성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1)의 수용통(13)은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개구부(132)를 통해 콘크리트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운반장치(1)은 상기 제2개구부(132)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제2개구부(1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제2개구부(132)는 교반장치의 점검수리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운반장치: 1 베이스: 11
이동바퀴: 12 수용통: 13
제1개구부: 131 제2개구부: 132
교반날: 15 제2회전부: 16
투입장치: 17 포설기: 18
호퍼: 181 가이드부재: 182
메인가이드부: 182a 날개가이드부: 182b
삽입홈: 182c 발판부: 183
하우징: 184 개폐수단: 185
협소 터널: 2 바닥면: 3

Claims (9)

  1. 폭 7m 이하를 갖는 노면 전차용 협소 터널의 바닥면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바닥면 폭의 2/3보다 작은 폭을 갖는 운반장치를 콘크리트 제조 장치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운반장치의 수용통에 투입하는 단계(S20); 및
    상기 운반장치를 상기 바닥면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용통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면에 타설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장치는,
    그 폭이 0.5 ~ 3.0m이고, 그 높이가 1.0~4.0m이고, 그 길이가 2.0~6.0m이고,
    상기 수용통은,
    직경이 100~500mm인 원형의 제1개구부 또는 변의 길이가 100~500mm인 사각형의 제1개구부를 갖고,
    상기 운반장치는,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통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통을 1~6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통은,
    후방에 구비되고 투입장치와 연통되는 제1개구부, 및 전방에 구비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장치는,
    상측 개구가 상기 제2개구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후방측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경사진 메인가이드부와 상기 메인가이드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상기 호퍼의 상단에 연결되는 날개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포설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메인가이드부 상단에서 상기 수용통의 전방측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만곡되게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형상은 상기 수용통의 전방측 하부 형상과 상응하고,
    상기 포설기는,
    상기 호퍼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설기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 입구가 상기 호퍼의 하측 개구와 연통되고 하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96619A 2023-06-16 2023-07-25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KR10265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437 2023-06-16
KR20230077437 2023-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634B1 true KR102654634B1 (ko) 2024-04-04

Family

ID=9063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619A KR102654634B1 (ko) 2023-06-16 2023-07-25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107U (ja) * 1993-01-08 1994-08-05 佐藤道路株式会社 運搬車兼用可動ミキサ
JP2001064908A (ja) * 1999-08-31 2001-03-13 Nichireki Co Ltd 簡易型散布装置
JP2002155503A (ja) * 2000-11-17 2002-05-31 Nippon Hodo Co Ltd 狭小部用敷均機械
KR20100010549A (ko) * 2008-07-23 2010-02-02 영중산업 주식회사 터널 내부에 시공되는 철로 도상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107U (ja) * 1993-01-08 1994-08-05 佐藤道路株式会社 運搬車兼用可動ミキサ
JP2001064908A (ja) * 1999-08-31 2001-03-13 Nichireki Co Ltd 簡易型散布装置
JP2002155503A (ja) * 2000-11-17 2002-05-31 Nippon Hodo Co Ltd 狭小部用敷均機械
KR20100010549A (ko) * 2008-07-23 2010-02-02 영중산업 주식회사 터널 내부에 시공되는 철로 도상 콘크리트 타설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669B1 (ko) 자갈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모르타르 공급장비
CN105696448A (zh) 一体式沥青路面刨铣修复车
CN109973117A (zh) 一种构筑物结构裂缝堵漏加固方法
CN112982109B (zh) 一种沥青混凝土路面的预防性养护方法
CN107476149B (zh) 一种非开挖式无砟轨道砂浆层离缝封缝处理方法
US20170260701A1 (en) Machine for preparing and laying a bituminous carpet for closing micro-trenches
KR101924007B1 (ko) 폼드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CN109183583A (zh) 分层热铣刨设备、热风微波复合就地热再生成套机组及其分层施工方法
KR102654634B1 (ko) 소형 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이용한 노면 전차용 바닥면 포장방법
CN205420986U (zh) 一体式沥青路面刨铣修复车
KR20170002011A (ko) 철도 공사용 콘크리트 연속 타설을 위한 재료공급장치
CN110820493A (zh) 一种城乡结合部道路土路肩自动铺设机
CN106758555B (zh) 地铁板式道床施工方法
CN113846534B (zh) 一种拼挂式同步碎石封层车
KR20120062132A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20200049301A (ko) 급속경화궤도 기계화 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공급장비의 시멘트 이송장치
CN207210923U (zh) 一种高速公路路面修补用压实整平装置
KR102219331B1 (ko) 급속경화궤도 기계화 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공급장비의 모르타르 믹싱장치 및 그 방법
CN208790331U (zh) 一种新型砂浆高料斗
CN201686927U (zh) 沥青路面就地热再生沥青混合料加热车
CN218711940U (zh) 一种再生沥青混合料预制构件成型模具
JP3970820B2 (ja) 埋設管の充填方法
CN2923801Y (zh) 一种路面施工中车载式运输车卸料防离析装置
CN211229556U (zh) 一种鱼雷罐防漏浆装置
CN217710187U (zh) 一种沥青路面加热车的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