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68B1 - 공압 회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공압 회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68B1
KR102654568B1 KR1020180116927A KR20180116927A KR102654568B1 KR 102654568 B1 KR102654568 B1 KR 102654568B1 KR 1020180116927 A KR1020180116927 A KR 1020180116927A KR 20180116927 A KR20180116927 A KR 20180116927A KR 102654568 B1 KR102654568 B1 KR 10265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tube
connector
pneumatic circuit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563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68B1/ko
Priority to US16/197,695 priority patent/US10969041B2/en
Priority to DE102018220252.4A priority patent/DE102018220252A1/de
Priority to CN201811464826.8A priority patent/CN110966476B/zh
Publication of KR2020003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tightened by a wedge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튜브가 O-링을 압축하지 못하고 압축 위치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상태로 누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공압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튜브의 단부와 커넥터 바디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그 내부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새어 나오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으로 유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에지 톤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공압 회로용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압 회로용 커넥터{Connector for pneumatic circuit}
본 발명은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가 O-링을 압축하지 못하고 압축 위치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상태로 누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공압 회로와 공압 시스템들이 구비되고, 특히 대형 트럭과 같은 상용차에서는 일반 승용차에 비해 많은 공압 회로와 공압 시스템들이 장착되고 있다.
대형 트럭의 경우, 보통의 승용차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공압 브레이크 시스템, 샤시 에어 서스펜션, 캡(cab) 에어 서스펜션, 시트 서스펜션 등의 장치가 추가로 장착되고, 이들 장치에 공압 회로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의 공압 회로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호스나 튜브 등 배관 부품과 더불어, 호스나 튜브 등을 서로 연결해주거나 타 부품과 접속해주는 연결용 부품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자동차의 공압 회로에 적용되는 연결용 부품인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내에 가이드, O-링(ring), 클램프가 조립된 구성을 가지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공압 회로용 커넥터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튜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튜브가 잘못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공압 회로의 공기 통로가 되는 튜브(1)가 커넥터(100)에 조립됨으로써, 이 커넥터(100)를 통해 튜브와 튜브 간의 연결, 또는 튜브와 타 부품 간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이때, 커넥터(100)는 접속을 위해 튜브(1)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110), 상기 커넥터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튜브(1)의 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120), 상기 가이드(120)를 따라 삽입된 튜브(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130), 상기 클램프(130)에 의해 고정된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sealing)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1)와 함께 사용되는 실링부재(140)로는 통상 고무 재질의 O-링이 사용될 수 있고, 커넥터 바디(110) 내부로 가이드(120)를 따라 튜브(1)의 단부를 삽입하면, 삽입되는 튜브에 의해 O-링(140)이 압축되고, 압축된 상태의 O-링(140)이 튜브(1) 외주면과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튜브(1)를 커넥터(100)에 조립할 때에는 튜브를 커넥터 바디(110) 내부로 삽입하여 튜브가 가이드(120) 외주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고, 이때 튜브(1)가 클램프(130)의 후크부(131)를 통과한 뒤 O-링(140)을 압축하도록 O-링과 가이드 외주면 사이로 완전히 밀어 넣어지도록 한다.
또한, 튜브(1)를 완전히 밀어 넣은 뒤 다시 튜브를 당겨서 클램프(130)의 후크부(131에 튜브(1)가 물리도록 하는데, 이로써 튜브(1)가 클램프(130)에 의해 고정되어 커넥터 바디(1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며, 이때 O-링(140)이 튜브(1) 외주면과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에 압착된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2에서 좌측의 도면은 튜브(1)가 커넥터 바디(110)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에서 우측의 도면은 튜브(1)가 커넥터 바디(110)에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조립시 작업자가 부주의로 튜브(1)를 커넥터 바디(110) 내부로 완전히 밀어 넣지 않으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가 가이드(120)와 O-링(140) 사이로 진입하지 못하여 O-링 또한 압축되지 않게 된다.
결국, O-링(140)이 압축된 상태로 커넥터 바디(110)와 튜브(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해주어야 하지만, 튜브에 의해 O-링이 눌리지 않으면서 미세하게 공기가 새는 누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트럭과 같은 상용차에서는 브레이크 시스템 및 서스펜션 등의 공압 회로에 많은 수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고, 사용되는 커넥터의 위치도 다양하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튜브가 O-링을 압축할 수 있는 조립 정 위치에 있지 못하고 압축 위치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커넥터를 찾는 것이 쉽지가 않으며, 누기가 발생한 커넥터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튜브가 O-링을 압축하지 못하고 압축 위치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상태로 누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공압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튜브의 단부와 커넥터 바디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그 내부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새어 나오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으로 유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에지 톤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공압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서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의 내부 공간인 튜브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에서 원주방향으로의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입구들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출구들이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이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커넥터 바디를 경사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입구 부분 쪽 커넥터 바디에 에지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는 불완전한 조립 상태나 튜브 또는 커넥터의 열화로 인한 고장 상태일 때 커넥터 내 틈새를 통해 새어 나온 공기가 공기 통과 구멍을 통과하면서 휘파람 소리와 같은 알림음이 발생하고, 작업자가 차량 내 커넥터 중 알림음이 발생하고 있는 커넥터를 쉽게 찾아내 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 튜브 및 커넥터의 불량 조립 상태가 방지될 수 있고,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공압 회로용 커넥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 튜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커넥터에 튜브가 잘못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에서 커넥터 바디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의 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커넥터 바디의 공기 통과 구멍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튜브 오조립시 공기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소리 발생 원리가 되는 에지 톤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에서 커넥터 바디(110)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에서 커넥터 바디(110)의 단부 끝면(113)에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의 출구(114b)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에서 커넥터 바디(110)의 공기 통과 구멍(114)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튜브(1)가 조립 정 위치에 올바르게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커넥터(100)의 구성 중 커넥터 바디(110)만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에는 커넥터 바디(1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114)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에 튜브(1)의 단부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이렇게 커넥터(100) 일측에 튜브(1)의 단부가 삽입되어 조립될 때, 미도시된 커넥터(100)의 타측 부분에는 미도시된 다른 튜브나 부품이 조립된다.
이로써, 커넥터(100)를 통해 튜브(1)와 튜브 간의 연결, 또는 튜브(1)와 타 부품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에서 커넥터 바디(110) 내부에 가이드(120), 클램프(130), O-링(ring)(140)이 조립되는 점은 공지의 커넥터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100)는, 접속을 위해 튜브(1)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110), 상기 커넥터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튜브(1)의 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120), 상기 커넥터 바디(110) 내부에 삽입된 튜브(1)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130), 상기 커넥터 바디(110) 내부에서 튜브(1)의 단부와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sealing)부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넥터 바디(110)의 일측 부분에 튜브(1)가 조립되고, 커넥터 바디(110)의 반대쪽 타측 부분에 다른 튜브나 부품이 조립되며, 커넥터 바디(110)의 내부 통로(112)가, 상기와 같이 양쪽에 접속 및 연결된 튜브(1)와 튜브 사이 또는 튜브(1)와 부품 사이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통로가 된다.
또한, 튜브(1)와 커넥터(100) 간의 조립을 위해 커넥터 바디(110)의 일측 부분에는 튜브(1)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인 튜브 삽입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 삽입부(111)는 커넥터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일부가 되는 것으로서, 가이드(120), 클램프(130), O-링(140)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 바디(110)의 튜브 삽입부(111)는 튜브(1), 가이드(120), 클램프(130), O-링(14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삽입부(111)에 가이드(120)가 삽입되어 조립되는데, 가이드(120)는 관의 형상, 예를 들어 원통형 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튜브 삽입부(111)에서 튜브(1)가 조립되기 전 상태에서 가이드(120)의 바깥쪽으로 실링부재(140)가 위치된다.
상기 튜브(1)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원형 단면의 튜브(1)라면, 상기 실링부재(140)로는 고무 재질의 O-링이 될 수 있다.
또한, 튜브 삽입부(111)에서 튜브(1)가 조립되기 전의 가이드(120) 바깥쪽으로 원통 형상의 클램프(130)가 위치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관 형상부(132), 후크부(131) 및 플랜지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관 형상부(132)가 커넥터 바디(110)의 튜브 삽입부(111) 내에 삽입됨으로써 클램프(13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관 형상부(132)가 튜브 삽입부(111)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관 형상부(132)의 외주면은 커넥터 바디(110)의 튜브 삽입부 내주면(111a)에 밀착되고, 그 내측으로 튜브(1)가 조립된 상태일 때 관 형상부(132)의 내주면이 튜브(1)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상기 클램프(130)에서 후크부(131)는 상기 관 형상부(132)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튜브 삽입부(111) 내에 삽입된 튜브(1)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133)는 관 형상부(132)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넥터 바디(110)의 외부에 위치되며, 클램프(130)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클램프(130)의 후크부(133) 및 관 형상부(132)가 커넥터 바디(110)의 튜브 삽입부(111)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면, 플랜지부(133)의 한쪽 표면(133a)과 커넥터 바디(110)의 단부 끝면(113)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커넥터(100)에 조립되는 튜브(1)의 단부가 커넥터 바디(110)의 튜브 삽입부(111) 내측으로 밀어 넣어지면, 상기 튜브(1)의 단부는 가이드(120)를 따라 안내되고, 이때 튜브(1)의 단부가 가이드(120)의 외주면과 클램프(130)의 관 형상부(132)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조립시 튜브(1)의 단부를 튜브 삽입부(111) 내에 완전히 밀어 넣어주면, 튜브(1)의 단부는 가이드(120)의 외주면과 클램프(130)의 후크부(133) 사이를 통과한 뒤, 가이드(120)의 외주면과 O-링(14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1)의 단부를 커넥터 바디(140)의 내부로 가이드(120)를 따라 완전히 삽입하면, 삽입된 튜브(1)에 의해 O-링(140)은 압축 상태가 되고, 압축된 상태의 O-링(140)이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과 튜브(1)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튜브(1)의 단부를 커넥터 바디(110) 내에 완전히 밀어 넣은 뒤 다시 튜브(1)를 당겨 주면, 클램프(130)의 후크부(131)에 튜브(1)가 물리면서 튜브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고, 결국 튜브가 커넥터 바디로부터 빠지지 않게 커넥터 바디에 완전히 고정된다.
이때, 튜브(1) 외주면과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에 O-링(140)이 압착된 상태로 튜브와 커넥터 바디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11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는 공기 통과 구멍(11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바디(110)의 내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튜브 삽입부 내주면(111a)과 상기 외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113) 사이에 공기 통과 구멍(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과 구멍(114)은 튜브(1)의 오조립시 공기가 커넥터(100) 내부에서 샐 때 알림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튜브의 오조립시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새는 공기가 내부를 통과할 때 휘파람 소리와 같은 에지 톤(edge tone)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공기 통과 구멍(114)이 커넥터 바디(110)에서 원주방향으로의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길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공기 통과 구멍(114)이 커넥터 바디(11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었을 때, 커넥터 바디(110)의 내주면, 즉 튜브 삽입부 내주면(111a)에 공기 통과 구멍(114)의 입구(11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됨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바디(110)의 단부 끝면(113)에 원주방향을 따라 공기 통과 구멍(114)의 출구(114b)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됨을 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110)에서 각 공기 통과 구멍(114)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의 내주면, 특히 튜브 삽입부 내주면(111a)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통과 구멍(114)이 상기 커넥터 바디(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바디(110)의 단부 끝면(113)인 커넥터 바디의 상단면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공기 통과 구명(114)이 커넥터 바디(110)에 경사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에 따라 공기 통과 구멍(114)의 입구 부분 쪽으로 커넥터 바디(110)에는 날카로운 에지(edge) 부위(115)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튜브 오조립시 공기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가 커넥터 바디(110)에 잘못 조립된 상태일 때,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 나오는 공기는 상기 공기 통과 구멍(114)을 통과하게 된다.
특히, 공기가 튜브(1)의 외주면과 커넥터 바디(110)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새어 나온 뒤, 공기 통과 구멍(114)의 입구 부분에 위치한 에지 부위(115)를 지나면서 진동하여 휘파람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후, 커넥터 바디(110)의 공기 통과 구멍(114)을 통과한 공기는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113)과 클램프(130)의 플랜지 표면(133a)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튜브의 오조립으로 인해 공기가 새어 나오는 누기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와 같이 휘파람 소리와 같은 알림음이 발생하는 것은, 공기가 날카로운 에지 부위를 지나면서 진동하여 에지 톤을 발생시키는 원리에 의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에서 새어 나오는 공기가 공기 통과 구멍(114)의 시작 부분인 에지 부위(115)를 지나면서 진동하여 에지 톤의 휘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휘파람 소리가 튜브의 오조립 및 누기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음이 된다.
결국, 튜브(1)가 O-링(140)을 압축하지 못하고 압축 위치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불완전한 조립 상태이거나 튜브(1) 또는 커넥터(100)의 열화(실링부재 노화 등)로 인한 고장 상태일 때, 공기가 미세하게 새면서 공기 통과 구멍(114)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와 같이 알림음이 발생하고, 작업자는 그때의 알림음을 듣고 누기가 발생하고 있는 커넥터를 확인하여 누기 발생 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 회로용 커넥터에서 소리 발생 원리가 되는 에지 톤(edge tone)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지 톤 현상에 따르면,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가진 공기가 가늘고 긴 통로인 슬릿(slit)(2) 내부를 통과한 뒤 하류측에 위치한 에지(3)에 부딪히면, 공기의 흐름은 와류 형태가 되고, 이때 형성된 와류가 관(4) 내로 진입한 뒤 주기적으로 진동하여 관 내의 공기를 공진시키면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레코더(recorder)나 플롯(flute), 단소, 대금과 같은 관 악기나 호루라기 등도 관 내의 공진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에지 톤 원리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고 있으며, 플롯 같은 경우 입김이 통과하는 연주자의 입술이 슬릿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서는 튜브(1)와 커넥터 바디(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새어나올 때 튜브(1) 외주면과 커넥터 바디(110) 내주면 사이의 미세한 간극 및 통로가 도 9의 슬릿(2)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 공기 통과 구멍(114)의 시작 부분에 형성된 에지 부위(115)가 도 9의 에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불완전한 조립 상태나 튜브(1) 또는 커넥터(100)의 열화로 인한 고장 상태일 때 커넥터 내 틈새를 통해 새어 나온 공기가 공기 통과 구멍(114)을 통과하면서 휘파람 소리와 같은 알림음이 발생하고, 작업자가 차량 내 커넥터 중 알림음이 발생하고 있는 커넥터를 쉽게 찾아내 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 튜브 및 커넥터의 불량 조립 상태가 방지될 수 있고,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튜브 2 : 슬릿
3 : 에지 4 : 관
100 : 커넥터 110 : 커넥터 바디
111 : 튜브 삽입부 111a : 삽입부 내주면
112 : 내부 통로 113 : 단부 끝면
114 : 공기 통과 구멍 114a : 입구
114b : 출구 115 : 에지 부위
120 : 가이드 130 : 클램프
131 : 후크부 132 : 관 형상부
133 : 플랜지부 133a : 플랜지 표면
140 : 실링부재(O-링)

Claims (9)

  1.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튜브의 단부와 커넥터 바디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그 내부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새어 나오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으로 유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에지 톤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바디의 상단면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서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의 내부 공간인 튜브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에서 원주방향으로의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기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입구들이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출구들이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이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커넥터 바디를 경사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입구 부분 쪽 커넥터 바디에 에지 부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이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에서부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커넥터 바디를 경사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의 입구 부분 쪽 커넥터 바디에 에지 부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삽입되는 튜브의 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9.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튜브의 단부와 커넥터 바디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 사이에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그 내부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새어 나오는 공기가 상기 공기 통과 구멍으로 유입되어 통과함에 따라 에지 톤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통과 구멍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내측면으로서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의 내부 공간인 튜브 삽입부의 내주면과,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면으로서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커넥터 바디 내에 삽입된 튜브의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의 단부 끝면은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회로용 커넥터.
KR1020180116927A 2018-10-01 2018-10-01 공압 회로용 커넥터 KR10265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27A KR102654568B1 (ko) 2018-10-01 2018-10-01 공압 회로용 커넥터
US16/197,695 US10969041B2 (en) 2018-10-01 2018-11-21 Connector for pneumatic circuit
DE102018220252.4A DE102018220252A1 (de) 2018-10-01 2018-11-26 Verbinder für pneumatischen Schaltkreis
CN201811464826.8A CN110966476B (zh) 2018-10-01 2018-12-03 用于气动回路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27A KR102654568B1 (ko) 2018-10-01 2018-10-01 공압 회로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63A KR20200037563A (ko) 2020-04-09
KR102654568B1 true KR102654568B1 (ko) 2024-04-03

Family

ID=6978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927A KR102654568B1 (ko) 2018-10-01 2018-10-01 공압 회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9041B2 (ko)
KR (1) KR102654568B1 (ko)
CN (1) CN110966476B (ko)
DE (1) DE102018220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1963B (zh) * 2020-11-25 2022-04-08 歌尔科技有限公司 耳机边缘音检测方法、装置及气流模拟装置
AT523941B1 (de) * 2021-01-20 2022-01-15 Ke Kelit Gmbh Vor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Kunststoffroh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572A1 (en) * 2007-11-28 2010-12-09 Egil Pedersen Tube coupling system for a pressurised flu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8147A1 (fr) * 1975-01-17 1976-08-13 Ucc Union Chimique Cont Appareil donnant l'alarme en cas de debranchement d'un tuyau, en particulier d'un respirateur
DE19523830A1 (de) * 1995-06-30 1997-01-02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systeme
DE19621535A1 (de) * 1996-05-29 1997-12-04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systeme
DE29719247U1 (de) * 1997-10-29 1999-02-25 Voss Armaturen Steckkupplung für Druckmittelsysteme
DE20205833U1 (de) * 2002-04-15 2002-07-04 Voss Automotive Gmbh Steckkupplung für fluidische Systeme
DE20319959U1 (de) * 2003-12-23 2005-05-04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US20110025045A1 (en) * 2009-07-29 2011-02-03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Fitting with audible misassembly indicator
ES2717924T3 (es) * 2014-07-29 2019-06-26 Sakura Rubber Accesorio de acoplamiento con función de válvula de seguridad
CN205534699U (zh) * 2016-01-29 2016-08-31 富阳市中荷电子有限公司 一种外接式卡扣结构
NL1041958B1 (en) * 2016-06-29 2018-01-05 Wavin Bv Press f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572A1 (en) * 2007-11-28 2010-12-09 Egil Pedersen Tube coupling system for a pressurised flui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66476B (zh) 2021-12-07
CN110966476A (zh) 2020-04-07
US20200103061A1 (en) 2020-04-02
KR20200037563A (ko) 2020-04-09
DE102018220252A1 (de) 2020-04-02
US10969041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568B1 (ko) 공압 회로용 커넥터
EP3479000B1 (en) Press fitting device
US20160097315A1 (en) Silencer
SK17193A3 (en) Check valve
JP6207389B2 (ja) ドレンホース
US20090208275A1 (en) Structure for exhaust pipe connection section of muffler
JP5521802B2 (ja) グロメット
JP2013234614A (ja) 吸気ダクト
US11125194B2 (en) Silencer for the reduction of gas noise in an intake system of a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ilencer
JP2008049824A (ja) 車載用エアコンにおけるドレインホースの組付け手段
US10337992B2 (en) Optical assurance cap
US11428358B2 (en) Fluid interaction device, fluid interac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783413B1 (en) Tuned shunt tubes for climate control air-handling systems
US9435472B2 (en) Coupler including clamp for connection to a corrugated tube
JP2010275916A (ja) 吸気ダクト
JP2010179680A (ja) 車両用スピーカ装置
US11299008B2 (en) Fluid line system for guiding fluid,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HVAC device
JP2008297970A (ja) 内燃機関の吸気音制御装置
JP7496573B2 (ja) ダクト構造体
JP2008240693A (ja) 消音器付き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105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635678B2 (ja) コネクタ部材による管路ブロックの管路接続構造
KR20200001173U (ko) 차량의 케이블 고정 및 흡음차단용 에이필러 그로메트
JP2021109612A (ja) ダクト構造体
KR100879957B1 (ko) 자동차 그로멧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