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057B1 -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057B1
KR102653057B1 KR1020230167754A KR20230167754A KR102653057B1 KR 102653057 B1 KR102653057 B1 KR 102653057B1 KR 1020230167754 A KR1020230167754 A KR 1020230167754A KR 20230167754 A KR20230167754 A KR 20230167754A KR 102653057 B1 KR102653057 B1 KR 10265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ytokine
extract
breast cancer
ce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준
문현종
이상헌
김서영
임선기
이영관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3016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5Cells of the myeloid line, e.g. granulocytes, basophils, eosinophils, neutrophils, leucocytes, monocytes, macrophages or mast cells; Myeloid precursor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e.g. 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12N5/0638Cytotoxic T lymphocytes [CTL] or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L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종래에는 옻나무 추출물이 면역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관절염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옻나무 추출물로 처리하게 되면 면역세포의 면역 감수성이 오히려 증가하게 되어 향상된 암세포 사멸능을 보인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은 향상된 암세포 사멸능에 의해 폐암 또는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를 제조하게 되면 폐암 및 유방암환자에게 투여하여 폐암과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Immuno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Rhus Veniciflua Strokes Extract And Cytokine Induced Killer Cells}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옻나무(Toxicodendron Vernicifluum 또는 Rhus Veniciflua Stroke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및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옻나무의 수액을 옻이라 하며,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건칠(乾漆)이 어혈(瘀血)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 복통, 위산과다, 진해, 폐결핵, 통경, 변비, 당뇨, 학질, 방부, 건위, 여인경맥 불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옻나무는 다량의 항산화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알려진 결과에 따르며 옻나무 수피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쥐 뇌세포에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이며 혈액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한다는 결과가 보고된바 있다.
또한 한국출원특허 10-1997-0013163호, 한국출원특허 10-1997-0004193호 및 한국등록특허 10-0251526호에는 옻추출물의 우루시올 성분이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10-0257448호에는 옻나무 추출물을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한 조성물에 푸스틴, 피세틴, 설푸레틴, 및 부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다.
한편으로는 한국등록특허 10-0807169호에 옻나무 추출물이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된 것이 보고된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옻나무 추출물이 면역억제 효과, 활막세포 활성억제 효과, 소염 효과 및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약리학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고된바 있다.
상기 결과들은 옻나무 추출물을 암동물 모델에 섭취시키는 방법 또는 세포주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으로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며 옻나무 추출물이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소염 효과 및 관절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옻나무 추출물은 항암효과에 있어서 면역반응 보다는 직접적으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거나 면역반응의 활성화가 아닌 다른 기작을 통해 항암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출원특허 10-1997-0013163호 한국출원특허 10-1997-0004193호 한국등록특허 10-0251526호 한국등록특허 10-0257448호 한국등록특허 10-0807169호
Namba, T. et al., Colored Illusteations of Wakan Yaku., p215,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1980.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 855-63(1999)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48-54(1997) Korean J. plant.Res. 14(3), 220-8(2001) Food Sci.Biotechnol. 9(3), 139-45(2000)
본 발명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옻나무 추출물로 처리하면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암사멸능이 향상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옻나무 추출물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사멸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암세포는 폐암 또는 유방암의 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세포(cells/㎖)에 대하여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ells/㎖)를 5 내지 10배로 처리하되 상기 옻나무 추출물을 10 내지 100㎍/㎖로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3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세포는 폐암 또는 유방암의 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5x105 cells/㎖와 옻나무 추출물 10㎍/㎖을 폐암세포 5x104 cells/㎖에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20 내지 3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2.5x105 cells/㎖와 옻나무 추출물 10 내지 100㎍/㎖을 유방암세포 5x104 cells/㎖에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2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옻나무 추출물이 면역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관절염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옻나무 추출물로 처리하게 되면 면역세포의 면역 감수성이 오히려 증가하게 되어 향상된 암세포 사멸능을 보인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은 향상된 암세포 사멸능에 의해 폐암 또는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를 제조하게 되면 폐암 및 유방암환자에게 투여하여 폐암과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RVS 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폐암 세포주(H441)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RVS 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유방암 세포주(MCF7)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유방암 세포주(MDA-MB231)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옻나무 추출물은 옻나무의 껍질 등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옻나무의 껍질을 세절하여 건조한 이후 물에 95℃에서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냉각시킨 후 이 상청액을 직경 0.2㎛의 필터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수득하였다.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는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인식하고 그에 부착되어 해당 세포의 외막을 파손하는 효소등을 분비하는 사멸시키는 면역세포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사멸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암세포는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에 의해 감시되어 사멸되는 암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폐암 또는 유방암의 암세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암세포(cells/㎖)에 대하여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ells/㎖)를 5 내지 10배로 처리하되 상기 옻나무 추출물을 10 내지 100㎍/㎖로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3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5x105 cells/㎖와 옻나무 추출물 10㎍/㎖을 폐암세포 5x104 cells/㎖에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20 내지 3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2.5x105 cells/㎖와 옻나무 추출물 10 내지 100㎍/㎖을 유방암세포 5x104 cells/㎖에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2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항암 조성물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5x105cells/㎖와 옻추출물 10 내지 100㎍/㎖의 비율로 제조 될 수 있으며 상시 비율이 유지된다면 세포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완충용액이 적절한 담체가 더 사용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면역항암 조성물은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와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암세포 사멸능을 향상시키는 옻나무 추출물이 포함되며 상기 면역항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는 옻나무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는 말초혈액으로부터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말초혈액단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분리한 후 옻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상기 활성화는 상기 분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에 옻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수행하며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5x105 cells/㎖에 옻나무 추출물 10 내지 100㎍/㎖을 투여하여 배양하는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항암 조성물은 암은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가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진 암이라면 제한이 없으나 폐암 또는 유방암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세포 동결용 용액에 현탁 또는 완충용액에 현탁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도 투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투여 시간 및 투여 경로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하기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옻나무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매개 폐암 세포주 사멸효과
옻나무 (Toxicodendron Vernicifluum 또는 Rhus Veniciflua Strokes)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IK, Cytokine-induced killer cell)의 폐암 세포주(H441)사멸 효과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옻나무 추출물(RVS 추출물)은 열수 추출이후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의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CIK는 human PBMC에 CD3 항체와 IL-2를 T-세포 배양배지에 처리하여 2주간 배양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폐암 세포주(H441)는 RPMI 1604 배지에 10% FBS를 추가하여 배양하고 CIK 공동배양 하루 전 96 well plate에 5x104 cells/㎖ 농도로 seeding하였다.
폐암세포의 활성도는 RFP killing assay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RFP killing assay는 H441, MCF7 및 MDA-MB-231를 이용하여 RFP stable cell line을 제조한 후 CIK와 공배양시 killing 효과로 인해 감소되는 RFP positive cell을 측정함으로써 면역세포를 통한 세포 살해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옻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폐암 세포주(H441)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RVS 추출물 10㎍/㎖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것과 RVS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한 폐암 세포주(H441, 5x104cell/㎖)를 비교한 결과 세포활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의 n.s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RVS 추출물을 폐암 세포주(H441)에 처리하는 것만으로는 폐암 세포주(H441)의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만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에 대비하여 폐암 세포주 활성(H441, RFP count)이 13%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와 RVS 1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만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폐암 세포주 활성(H441, RFP count)이 21%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의 ** 참조).
또한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5 cells/㎖)와 RVS 추출물 1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폐암 세포주(H44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5 cells/㎖)만을 처리(폐암 세포주: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1:10)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폐암 세포주 활성(H441, RFP count)이 25%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의 *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RVS 추출물은 폐암 세포주(H441)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사멸능이 없으나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와 함께 사용되면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에 의한 폐암 세포주(H441)의 사멸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옻나무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매개 유방암 세포주 사멸효과
본 발명의 RVS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IK, Cytokine-induced killer cell)의 유방암 세포주(MCF7)사멸 효과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RVS 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유방암 세포주(MCF7)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에 RVS 추출물 10㎍/㎖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것과 RVS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한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를 비교한 결과 세포활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RVS 추출물을 상기 유방암 세포주(MCF7)에 처리하는 것만으로는 유방암 세포(MCF7)의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만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에 대비하여 유방암 세포주 활성(MCF7, RFP count)이 62%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와 RVS 추출물 1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CF7,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유방암 세포주 활성(MCF7, RFP count)이 5%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의 *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옻추출물로 처리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유방암 세포주(MDA-MB231) 사멸효과의 변화를 보여준다.
상기 유방암 세포주(MDA-MB231)는 상기 유방암 세포주(MCF7)와 유래 및 수용체 발현정도가 상이하다. 상기 유방암 세포주(MDA-MB231)는 유방선암(adenocarcinoma)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 HER2(CD340)가 발현되지 않으며 P53 돌연변이가 확인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유방암 세포주(MCF7)은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으로부터 유래하며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는 발현되나 HER2(CD340)가 발현되지 않으며 P53 돌연변이가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실험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RVS 추출물 100㎍/㎖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것과 RVS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48시간 배양한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를 비교한 결과 세포활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와 RVS 추출물 0㎍/㎖, RVS 추출물 10㎍/㎖ 또는 RVS 추출물 100㎍/㎖을 동시에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하여 세포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만을 처리한 경우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만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또는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와 RVS 추출물 100㎍/㎖을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에 대비하여 유방암 세포주(MDA-MB231, RFP count)의 활성이 35%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와 RVS 1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만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유방암 세포주 활성(MDA-MB231, RFP count)이 5%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와 RVS 추출물 10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5x104 cells/㎖)만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유방암 세포주 활성(MDA-MB231, RFP count)이 15%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와 RVS 추출물 0㎍/㎖, RVS 추출물 10㎍/㎖ 또는 RVS 추출물 100㎍/㎖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하여 세포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만을 처리한 경우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만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에 대비하여 유방암 세포주(MDA-MB231, RFP count)의 활성이 62%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와 RVS 추출물 1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만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유방암 세포주 활성(MDA-MB231, RFP count)이 13%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와 RVS 추출물 100㎍/㎖를 동시에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주(MDA-MB231, 5x104 cells/㎖)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2.5x105 cells/㎖)만을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보다 유방암 세포주 활성(MDA-MB231, RFP count)이 17%가량 더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RVS 추출물은 유방암 세포주(MCF7 또는 MDA-MB231)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사멸능이 없으나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와 함께 사용되면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MCF7 또는 MDA-MB231)의 사멸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RVS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MCF7 또는 MDA-MB231)의 사멸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3)

  1.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로서,
    상기 옻나무 추출물은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의 유방암세포에 대한 사멸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세포(cells/㎖)에 대하여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ells/㎖)를 5 내지 10배로 처리하되 상기 옻나무 추출물을 10 내지 100㎍/㎖로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유방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3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 5x104 내지 2.5x105 cells/㎖와 옻나무 추출물 10 내지 100㎍/㎖을 유방암세포 5x104 cells/㎖에 동시에 처리하면 상기 옻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유방암세포의 활성이 5 내지 20% 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KR1020230167754A 2023-01-06 2023-11-28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KR10265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7754A KR102653057B1 (ko) 2023-01-06 2023-11-28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207A KR102644398B1 (ko) 2023-01-06 2023-01-06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KR1020230167754A KR102653057B1 (ko) 2023-01-06 2023-11-28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207A Division KR102644398B1 (ko) 2023-01-06 2023-01-06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057B1 true KR102653057B1 (ko) 2024-03-29

Family

ID=902714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207A KR102644398B1 (ko) 2023-01-06 2023-01-06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KR1020230167754A KR102653057B1 (ko) 2023-01-06 2023-11-28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207A KR102644398B1 (ko) 2023-01-06 2023-01-06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43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93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70013163A (ko) 1995-08-04 1997-03-29 알베르트 발도르프. 롤프 옴케 집적 회로
KR100251526B1 (ko) 1997-02-13 2000-03-15 박호군 우루시올계화합물의항산화활성을포함한항암제로서의새로운용도및그의제조방법
KR100257448B1 (ko)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07169B1 (ko) 2006-09-20 2008-02-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20159507A (ko) * 2021-05-25 2022-12-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ErbB3 특이적인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 치료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93A (ko) 1995-06-30 1997-01-29 김주용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70013163A (ko) 1995-08-04 1997-03-29 알베르트 발도르프. 롤프 옴케 집적 회로
KR100251526B1 (ko) 1997-02-13 2000-03-15 박호군 우루시올계화합물의항산화활성을포함한항암제로서의새로운용도및그의제조방법
KR100257448B1 (ko)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07169B1 (ko) 2006-09-20 2008-02-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20159507A (ko) * 2021-05-25 2022-12-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ErbB3 특이적인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를 발현하는 면역세포 치료제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Sci.Biotechnol. 9(3), 139-45(2000)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48-54(1997)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 855-63(1999)
Korean J. plant.Res. 14(3), 220-8(2001)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2016, Vol.12, No.4, pp.399-407. *
Namba, T. et al., Colored Illusteations of Wakan Yaku., p215,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19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398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ntitumor activity of the sporoderm-broken germinating spores of Ganoderma lucidum
Chen et al. Effectiveness of a novel herbal agent MB-6 as a potential adjunct to 5-fluoracil–based chemotherapy in colorectal cancer
EP2596798A1 (en) Plectranthus amboinicus fraction having anti-arthritis activity
Liu et al. Anti-tumor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Hirsutella sinensis o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nude mice through intrinsic mitochondrial pathway
Geng et 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f Ganoderma lucidum on kidney injuries and diseases
Arawwawala et al. Alpinia calcarata Roscoe: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CN102697035A (zh) 虫草褔寿丹
KR20100057535A (ko) 항암제에 의한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경감제
KR20180048416A (ko)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huwayeb et al. Molecular and chemical therapeutic features of Urtica species
TWI679985B (zh) 含有橄欖果實萃取物的Tie2活化劑
KR101793379B1 (ko) 조각자 가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WO2015192758A1 (zh) 瓦草五环三萜皂苷类化合物抗肿瘤的药物用途
KR102653057B1 (ko) 옻나무 추출물과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면역항암 조성물
US20210100860A1 (en) Use of compositions of water/alcohol extracts of antrodia cinnamomea cut-log wood cultivated fruiting body and solid-state cultivated mycelium as auxiliaries for anti-cancer agents
KR20110133381A (ko)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Peng et al. Syzygium aromaticum enhances innate immunity by triggering macrophage M1 polarization and alleviates Helicobacter pylori-induced inflammation
KR102031569B1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10183014A1 (en) Product containing extract from zanthoxylum avicennae (lam.) dc., and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WO2013115534A1 (ko)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malingam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Ipomoea carnea on Ehrlich ascites carcinoma bearing mice
CN102580065A (zh) 虎眼万年青皂甙osw-i口服抗癌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4859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Rg3 항암 조성물
KR101667873B1 (ko) 한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üzün et al.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in some neurological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