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27B1 -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27B1
KR102652127B1 KR1020230089217A KR20230089217A KR102652127B1 KR 102652127 B1 KR102652127 B1 KR 102652127B1 KR 1020230089217 A KR1020230089217 A KR 1020230089217A KR 20230089217 A KR20230089217 A KR 20230089217A KR 102652127 B1 KR102652127 B1 KR 10265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over plate
vertical reinforcement
fix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테크
Priority to KR102023008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시공성이 우수함은 물론 내구성 및 내하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a) 복수의 H빔이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H빔들의 상부플랜지들과 하부플랜지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H빔 구조체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의 웹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부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수직 보강부의 후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걸림고정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복공판을 준비하는 복공판 준비단계와; b) 상기 복공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복공판이 거더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공판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of a lining plate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load resistance}
본 발명은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시공성이 우수함은 물론 내구성 및 내하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도시에서의 지하철 공사 또는 가스, 전기의 배관공사 시에 노면에 까는 건설재로서, 제법은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나 채널형강을 받침으로 해서 상하 양면에 줄무늬 강판을 용접한 것, H형강의 플랜지 양면에 격자 모양을 열간 압연해서 일정 길이로 절단한 것을 3~5개 용접한 것, 각형강관의 상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를 준 것을 5개 용접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복공판은 전부 표면에 돌기모양이 있어서 자동차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며 강도에 비해 경량이므로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해서 도시의 지하철 공사 시의 노면 등에는 예외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빔의 단부를 절취 및 보강함으로서, 다수 개의 빔을 복공판으로 제작할 수 있는 복공판 설치 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00070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00070호 등으로 제안된 복공판은 설치 및 철거가 여의치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 하중 등의 하중을 직접 받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점차 저하되면서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 및 내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3000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시공성이 우수함은 물론 내구성 및 내하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복수의 H빔이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H빔들의 상부플랜지들과 하부플랜지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H빔 구조체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의 웹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상기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부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수직 보강부의 후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걸림고정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복수의 복공판을 준비하는 복공판 준비단계와; b)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거더의 상부에 상기 거더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의 웹에 관통슬릿이 상기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부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1보강재와; 상기 제 1보강재의 전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보강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를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a)단계에서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의 웹의 일측부, 중간부 및 타측부에 제 1관통슬릿 및 제 2관통슬릿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부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제 1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1보강재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제 2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2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2보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전측을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의 복공판은 상기 H빔 구조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 및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로 구성되는 보조 수직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부 연결구와, 상기 상부 연결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 연결구의 하부에 형성 및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 연결구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하부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상하방향 및 상기 고정클립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를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1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수평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a)단계에서의 복공판은 상기 H빔 구조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 및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로 구성되는 보조 수직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부 연결구와, 상기 상부 연결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 연결구의 하부에 형성 및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 연결구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하부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상하방향 및 상기 고정클립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전측을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수평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는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전후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전후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연결구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부위가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연결구의 하부 연결구에 수용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하부 연결구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어 인접한 다른 상기 복공판의 H빔 구조체에 설치된 상기 보조 수직 보강부의 하부 연결구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후측에 상기 고정클립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 전후설치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과 인접한 다른 상기 복공판의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고정슬릿에 걸림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의 고정클립은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 보강부의 일측면 후측에 접하고, 다른 하나의 고정클립은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보강부의 타측면 후측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핀의 상부방향의 상기 H빔 구조체의 상부 부위에 복수의 삽입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은 복수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H빔의 웹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부를 통해 하중을 직접 받는 H빔 구조체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어 상기 H빔 구조체의 내구성 및 내하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시공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고정핀과 고정클립을 통해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H빔에 형성된 일예의 관통슬릿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복수의 H빔 구조체의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H빔 구조체가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고정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복수의 H빔 구조체의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H빔 구조체가 병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일예의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B - B선에 따른 일부분리종단면도이다.
도 11은 고정클립과 일예의 수직 보강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예의 수직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3은 H빔에 형성된 다른예의 관통슬릿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고정클립과 다른예의 수직보강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복수의 복공판이 거더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복공판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와 b) 복공판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H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더의 상부에 안착될 복수의 복공판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복수의 복공판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H빔 구조체(10), 수직 보강부(20), 고정핀(30) 및 고정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H빔(11)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H빔(11)의 전후방향으로 병렬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H빔(11)들의 상부플랜지(111)들과 하부플랜지(112)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상기 H빔 구조체(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부(20)는 상기 복수의 H빔(11)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웹(11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차량 하중 등 다양한 종류의 하중을 직접 받는 상기 H빔 구조체(10)의 형상이 상기 H빔 구조체(10)의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변형되거나 비틀림 변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의 웹(11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부(20)로 인해 상기 H빔 구조체(10)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 및 내하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은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 보강부(2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클립(40)은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후측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일예로,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40)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인접한 다른 상기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상기 고정핀(30)이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H빔에 형성된 일예의 관통슬릿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a)단계에서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의 웹(113)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관통슬릿(114)이 상기 웹(11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관통슬릿(11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웹(11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일예의 상기 관통슬릿(114)의 형상이 '' 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상기 관통슬릿(114)의 중간부가 상기 웹(11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 및 상기 관통슬릿(114)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웹(113)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보강부(20)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상기 관통슬릿(114)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2보강재(210, 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재(210)는 상기 H빔 구조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에 형성된 일예의 상기 관통슬릿(114)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일예의 상기 관통슬릿(114)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재(210)의 전측 중간부와 후측 중간부에는 상기 H빔(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재(220)는 상기 웹(113)의 전면과 상기 상부플랜지(111)의 전단부 사이의 전후길이만큼 전후연장되어 상기 제 1보강재(210)의 전측 사이의 상기 H빔 구조체(10)의 내측부위에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재(220)의 중간부에도 상기 H빔(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은 일예로, 핀부재(310)와 고정헤드(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310)는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제 1보강재(2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11)과 상기 제 2보강재(220)의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21)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재(310)는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제 1보강재(210)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11)과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제 1보강재(210)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40)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320)는 상기 제 1보강재(2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핀부재(310)의 전측 및 상기 제 2보강재(2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핀부재(310)의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 또는 용접고정되는 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H빔 구조체(10)의 변형방지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수직 보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직 보강부(50)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와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와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는 각각 상기 H빔 구조체(10)의 일측과 타측에 용접에 의해 수직접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고정핀(30)이 연결되는 연결구(5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530)는 일예로, 상부 연결구(531)와 하부 연결구(5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구(531)는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구(532)는 상기 상부 연결구(531)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 연결구(531)의 하부방향의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구(532)의 내경 크기는 상기 상부 연결구(531)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 중 상기 H빔 구조체(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연결구(530)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일단부 부위는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상부 연결구(531)를 통과한 후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하부 연결구(532)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하부 연결구(53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 중 상기 H빔 구조체(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연결구(530)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타단부 부위는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상부 연결구(531)를 통과한 후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하부 연결구(532)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하부 연결구(53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530) 사이의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중간 부위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중간 부위에 하나의 관통구(511, 521) 또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511, 521)가 상기 H빔 구조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511)를 통해 상기 H빔 구조체(10)의 내측의 원활한 공기소통 및 배수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H빔 구조체의 좌우방향으로 복수의 H빔 구조체가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거더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크게,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와 복공판 전후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공판 좌우설치단계는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즉, 상기 거더의 좌우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직렬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연결구(530)의 하부 연결구(53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하부 연결구(532)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노출된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일단부 부위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의 일측 방향에 인접한 다른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하부 연결구(532)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고정헤드(320)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 또는 용접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연결구(530)의 하부 연결구(53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520)의 하부 연결구(53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노출된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타단부 부위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의 타측 방향에 인접한 다른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510)의 하부 연결구(532)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고정헤드(320)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 또는 용접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고정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한편,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40)의 전측에는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가 상기 고정클립(4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관통하는 슬릿(430)이 상기 고정클립(4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40)의 후측에 가이드슬릿(410)과 걸림고정슬릿(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410)은 상기 고정클립(40)의 후측 중간부에서 상기 고정클립(4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슬릿(420)은 상기 가이드슬릿(4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410)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클립(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H빔 구조체의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H빔 구조체가 병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상기 복공판 전후설치단계는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전후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전후방향으로 병렬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의 후측 방향에 인접한 다른 복공판의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는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40)의 가이드슬릿(410)을 통과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에 설치된 상기 고정클립(40)의 걸림고정슬릿(420)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핀(30)과 상기 고정클립(40)을 통해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에서 상기 복공판 전후설치단계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공판 전후설치단계에서 상기 복공판 좌우설치단계 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일예의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B - B선에 따른 일부분리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상부를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고정핀(30)이 상기 연결구(530)의 하부 연결구(532)에서 상부 연결구(53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 연결구(532)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상부방향의 상기 H빔 구조체(10)의 전측 상부 부위에는 복수의 삽입구(115)가 상기 H빔 구조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는 일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헤드부재(121)와 가압몸체(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재(121)는 상기 H빔 구조체(10)의 삽입구(115)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몸체(122)는 상기 제 1보강재(210)와 상기 제 2보강재(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부재(121)의 하부면에서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를 상기 H빔 구조체(10)의 하부방향으로 누름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H빔 구조체(10)의 상부를 주행하는 차량 등에 의해 상기 가압부(12)에 가해지는 하중 등에 의해 상기 가압부(12)가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를 누름가압할 수 있다.
도 11은 고정클립과 일예의 수직 보강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의 후측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가 어느 하나의 상기 H빔 구조체(10)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4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클립(40)은 일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어느 하나의 제 1보강재(210)의 일측면 후측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고정클립(40)은 일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다른 하나의 제 1보강재(210)의 타측면 후측에 접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예의 수직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H빔에 형성된 다른예의 관통슬릿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수직 보강부(2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보강재(210, 220)로 구성되되, 상기 제 2보강재(220)는 상기 제 1보강재(2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릿(114)은 한쌍을 이룰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관통슬릿(114)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의 웹(113)의 일측부, 중간부 및 타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 1관통슬릿(114a) 및 제 2관통슬릿(1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재(20)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에 형성된 제 1관통슬릿(114a)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관통슬릿(114a)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재(20)는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11)에 형성된 제 2관통슬릿(114b)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2관통슬릿(114b)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재(20)의 전측 중간부와 후측 중간부에 상기 상기 H빔(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0)의 핀부재(310)는 다른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제 1보강재(21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11)과 상기 제 2보강재(220)의 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21)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310)의 핀부재(310)는 다른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제 1보강재(210)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11)과 상기 제 2보강재(210)의 후측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221) 및 상기 제 1, 2보강재(210, 220)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40)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도 14는 고정클립과 다른예의 수직보강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4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클립(40)은 다른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어느 하나의 제 2보강재(220)의 일측면 후측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고정클립(40)은 다른예의 상기 수직 보강부(20)의 다른 하나의 제 1보강재(210)의 타측면 후측에 접할 수 있다.
도 15는 복수의 복공판이 거더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H빔 구조체(10), 상기 수직 보강부(20), 상기 고정핀(30) 및 상기 고정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상기 복공판은 상기 b)단계를 통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의 상부에 상기 거더(3)의 좌우방향 및 상기 거더(3)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3; 거더, 10; H빔 구조체,
20; 수직 보강부, 30; 고정핀,
40; 고정클립.

Claims (10)

  1. a)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H빔이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H빔들의 상부플랜지들과 하부플랜지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H빔 구조체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1보강재 및 상기 제 1보강재의 전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 2보강재로 구성되어 상기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부와, 상기 수직 보강부의 후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를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인접한 다른 상기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상기 고정클립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복공판을 준비하는 복공판 준비단계와;
    b)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거더의 상부에 상기 거더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2. a) 웹의 일측부, 중간부 및 타측부에 제 1관통슬릿 및 제 2관통슬릿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관통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H빔이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H빔들의 상부플랜지들과 하부플랜지들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H빔 구조체와,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제 1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1보강재 및 병렬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H빔에 형성된 제 2관통슬릿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2관통슬릿들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제 2보강재로 구성되어 상기 웹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직 보강부와, 상기 수직 보강부의 후측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전측을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인접한 다른 상기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상기 고정클립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복공판을 준비하는 복공판 준비단계와;
    b)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거더의 상부에 상기 거더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복공판은 상기 H빔 구조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 및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로 구성되는 보조 수직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부 연결구와, 상기 상부 연결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 연결구의 하부에 형성 및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 연결구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하부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상하방향 및 상기 고정클립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를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1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수평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복공판은 상기 H빔 구조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 및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로 구성되는 보조 수직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타측 보조 수직 보강부의 전측과 후측에 상부 연결구와, 상기 상부 연결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 연결구의 하부에 형성 및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 연결구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하부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수직 보강부의 상하방향 및 상기 고정클립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전측을 수평관통 및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상기 수직 보강부의 제 1보강재의 후측과 상기 제 2보강재의 후측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클립을 수평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상기 복수의 복공판을 상기 거더의 전후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복공판 전후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 좌우설치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복공판의 연결구와 대향되는 상기 고정핀의 단부부위가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연결구의 하부 연결구에 수용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하부 연결구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어 인접한 다른 상기 복공판의 H빔 구조체에 설치된 상기 보조 수직 보강부의 하부 연결구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후측에 상기 고정클립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클립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 전후설치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과 인접한 다른 상기 복공판의 H빔 구조체에 설치된 고정핀이 어느 하나의 상기 복공판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고정슬릿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의 고정클립은 어느 하나의 상기 수직 보강부의 일측면 후측에 접하고,
    다른 하나의 고정클립은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보강부의 타측면 후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고정핀의 상부방향의 상기 H빔 구조체의 상부 부위에 복수의 삽입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공판은 복수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230089217A 2023-07-10 2023-07-10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65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217A KR102652127B1 (ko) 2023-07-10 2023-07-10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217A KR102652127B1 (ko) 2023-07-10 2023-07-10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127B1 true KR102652127B1 (ko) 2024-03-29

Family

ID=904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217A KR102652127B1 (ko) 2023-07-10 2023-07-10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05A (ja) * 2001-08-07 2003-02-26 Nikko Co Ltd 仮設路マットの踏み板
KR100555252B1 (ko) * 2004-11-02 2006-03-03 노윤근 보차도 일체형 복공판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2225094A (ja) * 2011-04-21 2012-11-15 Sangyo Shinko Kk 覆工板
KR20180035123A (ko) * 2016-09-28 2018-04-05 에이치디복공체 주식회사 모듈식 뼈대 복공체 및 이를 이용한 가설물의 제작 방법
KR102300070B1 (ko) 2020-12-28 2021-09-08 (주)세한테크 복공판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05A (ja) * 2001-08-07 2003-02-26 Nikko Co Ltd 仮設路マットの踏み板
KR100555252B1 (ko) * 2004-11-02 2006-03-03 노윤근 보차도 일체형 복공판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2225094A (ja) * 2011-04-21 2012-11-15 Sangyo Shinko Kk 覆工板
KR20180035123A (ko) * 2016-09-28 2018-04-05 에이치디복공체 주식회사 모듈식 뼈대 복공체 및 이를 이용한 가설물의 제작 방법
KR102300070B1 (ko) 2020-12-28 2021-09-08 (주)세한테크 복공판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1167B1 (en) Trailer load securement system
US20060071506A1 (en) Trailer
KR101118608B1 (ko) 파이 트러스 구조
KR102652127B1 (ko)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의 제조 및 시공방법
CN213473291U (zh) 纵梁装置和具有其的车辆
CN206070760U (zh) 钢结构连接结构
CN210976073U (zh) 钢管束组合剪力墙与钢梁连接节点
KR102560310B1 (ko) 시공성 및 내하력이 향상된 복공판
CN110565802A (zh) 钢管束组合剪力墙与钢梁连接节点
CN110904816A (zh) 一种采用波形钢板传力的钢-混凝土混合梁结合段
CN211922243U (zh) 一种预拼装钢箱梁
KR20120002133A (ko) 강재거더 세그먼트 연결 구조
CN220486223U (zh) 一种桥梁支撑结构及桥梁
CN219690291U (zh) 引导梁与主梁的连接结构
CN215167183U (zh) 墙体结构及其导梁
CN218861777U (zh) 梁柱节点安装组件
CN217600153U (zh) 一种补强式电梯复合轿底板
CN213539297U (zh) 桁架和具有其的楼板
CN220895755U (zh) 横梁组件、电池包及其箱体
CN219450406U (zh) 一种钢结构组合梁及组合桥梁
CN219054802U (zh) 一种预制构件生产用预应力张拉组件及预制构件生产设备
CN211228875U (zh) 消能梁段与支撑连接处的暗置侧向支撑结构
CN216766227U (zh) 一种工字钢
KR102511717B1 (ko) H 빔 조립체를 이용한 고강도 h 빔 체결방법
CN220767683U (zh) 贝雷片结构以及贝雷桥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