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401B1 -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401B1
KR102651401B1 KR1020230189561A KR20230189561A KR102651401B1 KR 102651401 B1 KR102651401 B1 KR 102651401B1 KR 1020230189561 A KR1020230189561 A KR 1020230189561A KR 20230189561 A KR20230189561 A KR 20230189561A KR 102651401 B1 KR102651401 B1 KR 10265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device
coating material
bridge
tank
const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즈온
Priority to KR1020230189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있어, 시공 장치 프레임; 상기 시공 장치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시공 장치 조작부;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전방에 장착되어 도막재를 수용 및 배출하는 도막재 항온탱크; 및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후방에 장착되는 보강포 롤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는,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에 수용된 상기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Bridge deck surface waterproofing construction apparatus with reduced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본 발명은 교면에 도막재와 보강포를 포설하기 위한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면 상에 도막재와 보강포를 동시에 포설하되, 방수 처리 작업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저감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및 교면은 사람의 통행이나 차량의 주행을 편하게 만들기 위해 노면이나 교량의 상판 등을 아스콘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처리한 구조물을 말한다.
도로 및 교면은 하중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마모 및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짧게는 수 년, 길게는 수십 년 주기로 재포장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면의 경우는 지표와 달리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므로 파손이 발생하기 쉽고, 파손이 발생하면 사고의 위험이 대단히 높으므로, 재포장 주기가 3~5년 정도로서 매우 짧다.
교면의 포장층의 경우, 하부층(기층)으로 선 시공된 시멘트 콘크리트 층 위에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교량의 스틸 박스와 같은 하부 구조물 위에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 위에 교면포장이 시공된다.
교면의 포장층의 경우, 빗물 등이 포장층의 균열을 통해 하부층과 포장층의 공간으로 침투하여 체류수가 존재하게 되면 차량 하중으로 인해 포장층이 하부층으로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온도변화에 의한 물의 체적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이 발생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이 확대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하부층인 콘크리트 슬래브에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우수나 결로수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침투하여 균열을 촉진시키고, 철근을 부식시켜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명 단축 및 붕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 포장층을 시공하기 앞서 하부층(기층)의 상부면에 방수층이 적층되도록 선 시공한 후 포장층을 시공한다.
상기 방수층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부층의 콘크리트 면에 도막재(예를 들어, 프라이머 및 방수제)를 포설하여 도막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포(예를 들어, 펠트)를 적층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막재와 보강포를 동시에 포설할 수 있는 장치에 탑승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사용하는 종래의 시공 장치는 도막재를 포함하는 탱크가 작업자 바로 근처에 위치하고, 대기중으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도막재와 보강포를 교체해야 하는 작업간 부동 시간에도 작업자가 계속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공 장치는 탱크 내부의 가열된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대기로 유출되어 대기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간 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있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있어, 시공 장치 프레임; 상기 시공 장치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시공 장치 조작부;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전방에 장착되어 도막재를 수용 및 배출하는 도막재 항온탱크; 및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후방에 장착되는 보강포 롤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는,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에 수용된 상기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대기로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최소화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교면 포장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간 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포 롤 거치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막재 항온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시공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면 방수 시공 장치는 시공 장치 프레임 상단에 시공 장치 조작부, 도막재 항온탱크 및 보강포 롤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프레임(101) 상단 중앙부에 작업자가 방수 시공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시공 장치 조작부(106)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장치 조작부(106)는 조향장치 및 조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상기 작업자가 시공 장치 조작부(106)를 이용하여 시공 장치 프레임(101) 하부에 위치한 시공 장치 구동휠(104) 및 시공 장치 조향휠(105)의 작동을 조작하여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자는 상기 조향장치를 이용하여 시공 장치 조향휠(105)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조작 패널을 이용하여 시공 장치 구동휠(104)에 구동력을 보내는 시공 장치 구동 모터(103)의 작동을 제어하여 시공 장치 구동휠(104)의 작동 방향(전진 및 후진) 및 작동 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상기 작업자가 시공 장치 조작부(106)를 이용하여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에 포함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다른 구성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임펠러 구동모터(230)의 작동, 도포관 밸브(241)의 작동, 도막재 밀대 상하조절부(111)의 작동, 및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구동휠(104)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동휠 세척 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장치 프레임(101)에 일 단이 고정된 구동휠 세척 롤러 스윙암(141)의 타 단에 구동휠 세척 롤러(140)가 장착되어, 시공 장치 구동휠(104)과 맞닿아 시공 장치 구동휠(104)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조향휠(105)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향휠 세척 롤러 스윙암(151)에 장착된 조향휠 세척 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장치 프레임(101)에 일 단이 고정된 조향휠 세척 롤러 스윙암(151)의 타 단에 조향휠 세척 롤러(150)가 장착되어, 시공 장치 조향휠(105)과 맞닿아 시공 장치 조향휠(104)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프레임(101) 상단의 시공 장치 조작부(106) 전방에 도막재 항온탱크(2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도막재를 대량으로 가열하여 보관중인 쿠커 설비에서 가열된 상기 도막재 일부를 전달받아 수용하고, 상기 도막재가 적절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 및 보온할 수 있다.
또한,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상기 도막재를 시공 장치 프레임(101) 하부로 배출하여 교면 상부에 도포 할 수 있도록 시공 장치 프레임(101) 하부로 도출된 도포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가 전진할 때, 도포관(240)의 도포관 밸브(241)를 개방하여 도막재 항온탱크(200) 내부의 도막재를 교면 상부로 배출하고, 상기 교면 상부에 배출된 도막재를 시공 장치 프레임(101) 하부에 위치하되 도포관(240) 후방(예를 들어, 도막재 항온탱크(200) 및 시공 장치 조작부(106) 사이)에 장착된 도막재 밀대(110)에 의해 적절한 두께로 균일하게 상기 교면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도막재 밀대(110)는 상기 교면 상부에 배출된 도막재를 적절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도록 도막재 밀대 상하조절부(111)에 의해 도막재 밀대(1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포관 밸브(241)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에 따라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 정도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와 연계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을 확대하여 도막재 항온탱크(200) 내부의 도막재가 많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면,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을 축소하여 도막재 항온탱크(200) 내부의 도막재가 적게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교면 상부에 적절한 양의 도막재가 도포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포관 밸브(241)는 도막재 점도에 따라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막재의 점도가 높을 경우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을 확대하고, 도막재의 점도가 낮을 경우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을 축소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막재 밀대(110) 및 도포관 밸브(241)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 및 도막재 점도 정보에 연계되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막재 점도 정보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시공 장치 조작부(106)에서 입력한 후,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를 작동시켜 이동시키면,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이동 속도와 상기 도막재 점도 정보를 계산하여 도포관(240)으로부터 배출되는 도막재가 적절한 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포관 밸브(241)의 개방 정도와 도막재 밀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교면 상부에 상기 도막재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임펠러 구동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도막재 항온탱크(200) 상부에 임펠러 구동모터(2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임펠러 구동모터(230)를 이용하여 도막재 항온탱크(200) 내부의 도막재를 지속적으로 믹싱하여 상기 도막재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섞어 주고, 상기 도막재가 후술하는 발열코일에 의해 일부만 가열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혼합해 줄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필터가 설치된 필터 박스(21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도막재 항온탱크(200) 상부에 필터 박스(2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도막재 항온탱크(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예를 들어,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분진 등)가 필터 박스(21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되어, 상기 유해가스가 제거된 가스가 필터 박스(210) 상단에 장착된 배기구(22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상기 유해가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프레임(101) 상단의 시공 장치 조작부(106) 후방에 보강포 롤 거치대(12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포 롤 거치대(120) 상부의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거치된 보강포 롤(300)에서 보강포가 교면 상부로 풀려나와 포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포가 교면 상부로 풀려나올 때, 보강포 롤 거치대(120) 후방에 장착된 보조 롤러(130)를 통과하여 상기 보강포가 시공 장치 프레임(101)에 접촉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도 2에서와 시공 장치 조작부(106) 후방에 보강포 롤 적재대(17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포 롤 거치대(120) 상부에 복수개의 보강포 롤(300)을 적재할 수 있는 보강포 롤 적재대(170)가 장착되되, 보강포 롤 거치대(120), 보강포 롤 거치대(120)에 장착된 보강포 롤(300), 회전체(도 3 및 도 4 122) 및 회전체(도 3 및 도 4 122)에 장착된 보강포 롤(30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높이에 적재대 선반(171)이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보강포 롤 적재대(170) 및 적재대 선반(171)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여러 개의 보강포 롤을 한번에 운반할 수 있다.
보강포 롤 거치대(120)는 도 1에서와 같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보강포 롤(300)이 직접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포 롤 거치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양 말단에 보강포 롤(300a, 300b)이 장착되는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고, 중심부가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장착되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122)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122)의 일 말단의 보강포 롤 장착부에 사용중인 보강포 롤(300a)을 장착하고, 타 말단의 보강포 롤 장착부에 미사용 보강포 롤(300b)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중인 보강포 롤(300a)을 전부 사용하였을 때, 회전체(122)를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미사용 보강포 롤(300b)을 보조 롤러(130) 근처에 위치시켜 미사용 보강포 롤(300b)을 사용에 용이한 위치로 간단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포 롤의 교체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어, 작업간 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체(122)는 도 4에서와 같이 4개의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는 말단을 갖고, 중심부가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장착되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롤러(130)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중인 보강포 롤(300a) 1개와 미사용 보강포 롤(300b) 3개를 보강포 롤 거치대(120)에 장착된 4개의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는 말단을 갖는 회전체(12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여러 개의 보강포 롤을 한번에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포 롤 교체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어, 작업간 부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 개시하지 않았으나, 회전체(122)는 3개의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는 말단 또는 5개의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는 말단을 갖고, 중심부가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장착되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포 롤 간의 간섭이 없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상기 보강포가 교면 상부에 포설될 때, 교면 상부에 도포된 상기 도막재에 상기 보강포가 잘 밀착될 수 있도록, 교면 방향으로 상기 보강포를 가압하는 보강포 포설 가압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포 포설 가압롤러(160)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시공 장치 프레임(101)후단에 회전 가능한 스윙암 프레임 연결축(162)으로 고정되고 시공 장치 프레임(101)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기울어진 가압롤러 스윙암(161)의 스윙암 가압롤러 연결축(163)에 장착되어, 상기 교면 상부에 접할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160)는 시공 장치 프레임(101) 후단을 벗어나게 위치하여, 보조 롤러(130)를 통과한 상기 보강포가 시공 장치 프레임(101)에 닿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가압롤러(160)는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에 의해 상기 교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는 일 단이 시공 장치 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의 타 단이 가압롤러 스윙암(1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의 길이의 변화 또는 텐션의 변화에 따라, 가압롤러 스윙암(161)의 스윙암 프레임 연결축(162)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형성되고, 가압롤러 스윙암(161)의 스윙암 가압롤러 연결축(163)에 장착된 가압롤러(160)가 상기 교면 방향으로 상기 보강포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는 도 1에서 와 같이 유압식으로 길이 조절 및 텐션이 조절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스프링 구조에 의해 길이 조절 및 텐션이 조절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의 움직임 및 교면의 상태에 대응하여, 가압롤러(160)가 상기 보강포를 상기 교면으로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는 시공 장치 발전기(102)를 포함하여 교면 방수 시공 장치(100)에 포함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든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장치 구동 모터(103),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 시공 장치 조작부(106), 임펠러 구동모터(230), 도막재 밀대 상하조절부(111), 도포관 밸브(241) 및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164)가 작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시공 장치 발전기(102)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공 장치 발전기(102)에서 발생한 전기 및 외부에서 인가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베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포 롤 거치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포 롤 거치대(120)는 보강포 롤(300a, 300b)의 사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123)가 보강포 롤 거치대(120)의 좌측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 근처에 위치하고, 제2 감지 센서(124)가 보강포 롤 거치대(120)의 우측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켜,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 사이에 방해물이 없을 경우 서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보강포 롤(300a)이 충분한 양의 보강포가 권취되어 있을 때,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가 보강포 롤(300a)에 의해 가로막아져 서로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보강포 롤(300b)의 사용이 거의 다 완료되어 보강포가 권취량이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121)에 가까워질 만큼 감소하였을 때,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를 보강포 롤(300b)이 가로막을 수 없어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가 서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가 서로 감지할 경우 알람을 울리게 설정하면, 보강포 롤의 사용완료 시점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123) 및 제2 감지 센서(124)는 전술한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회전체(122)에도 동일한 작동 원리로 적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도막재 항온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내부 탱크(201), 외부 커버(202), 발열코일(203), 필터 박스(210) 및 배기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도막재가 수용되는 내부 탱크(20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탱크(201)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탱크(201)는 하단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도포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도막재가 도포관(240)을 통하여 내부 탱크(201)에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탱크(201) 내부의 하부는 내부 탱크(201) 측면에서 도포관(240) 방향으로 높이가 경사져 낮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 내부에 수용된 높은 점도의 도막재가 중력에 의해 도포관(240)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포관(240)은 시공 장치 프레임(101) 하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에서 배출되는 상기 도막재가 교면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포관(240)은 상기 도막재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도포관 밸브(2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의 내부 탱크(201)는 내부 탱크(201) 내부에 수용된 도막재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고무 계열의 도막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내부 탱크(201) 온도를 약 180~210℃ 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내부 탱크(201)는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쉽게 열에너지가 외부(대기)로 전달되기 때문에, 내부 탱크(201)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내부 탱크(201)의 측면을 감싸는 외부 커버(202)를 포함하고, 내부 탱크(201) 측면 및 외부 커버(202) 사이에 배치되는 발열코일(203)을 포함하여 내부 탱크(201)의 가열 및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외부 커버(202)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코일(203)은 발열코일(203)에서 발생하는 열이 내부 탱크(201)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 탱크(201)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열코일(203)은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선 히터 또는 벨트 히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발열코일(203)은 인덕션 방식의 유도 가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이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코일(203)이 배치된 내부 탱크(201) 측면 및 외부 커버(202) 사이의 단열공간(204)은 불활성 가스로 충진 되거나, 진공상태이거나, 단열재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는 단열 성능이 우수하며 쉽게 변형되지 않고, 단가가 낮은 세라믹 섬유(Ceramic Fiber) 또는 내화 단열 벽돌이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 및 발열코일(203)에서 발생한 열에너지가 외부 커버(202)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외부 커버(202)를 통하여 외부(대기)로 방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내부 탱크(201)의 하부는 시공 장치 프레임(101)과 접촉하는 면으로, 내부 탱크(201)의 열에너지가 시공 장치 프레임(101)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도 7에서와 같이 단열판(280)을 내부 탱크(201) 하단과 시공 장치 프레임(101)상단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의 하부로 유출되는 열에너지양을 줄일 수 있다.
내부 탱크(201) 상부는 내부 탱크(201) 내부로 도막재를 투입하는 내부 탱크 투입구(206)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탱크 투입구(206)는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207)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탱크(201) 상부의 고정된 부분과,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207)이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 힌지(208)로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207)이 내부 탱크 투입구에 덮이거나 제거되는 방식(예를 들어, 맨홀 뚜껑과 덮이거나 제거되는 방식 또는 고정 틀과 뚜껑이 회전 결합으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탱크(201)는 상부에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탱크(201)가 완전히 밀폐될 경우,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내부 탱크(201)에 수용된 도막재가 도포관(240)으로 배출이 잘 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탱크(201)에 수용된 상기 도막재가 도포관(240)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 탱크(201)는 상부를 관통하는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는 내부 탱크 투입구(206)와는 별개로 형성되며, 도 7에서와 같이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207)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탱크(201)에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가 형성될 경우 내부 탱크(201)에 수용된 도막재에서 발생한 유해가스가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 상단에 필터 박스(210)를 장착하였다.
필터 박스(210)는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 상단에 장착되되, 필터 박스(210) 하단이 내부 탱크 가스 통로(205) 전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필터 박스(210)와 내부 탱크(201) 상단의 접촉면으로 유해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용접되거나, 요철 구조를 형성하거나, 실링부재(예를 들어, 가스켓, O링 등)가 상기 접촉면에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 박스(210)는 내부에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터(211), 제2필터(212) 및 제3필터(213)가 적층되어 연속으로 장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는, 유리섬유 필터, 분진 차단용 헤파 필터, 세라믹 광촉매 필터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 박스(210)는 필터 박스 상단에 배기구(2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박스(210)에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가스가 배기구(2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박스(210) 상부로 배출된 상기 가스가 배기구(220) 하단에 위치한 배기구 입구(221)로 유입되고 배기구 통로(222)를 타고 이동하여 배기구(220) 상부에 위치한 배기구 출구(223)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구 출구(223)가 작업자의 호흡기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배기구 출구(223)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스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필터 박스(210) 상단과, 배기구(220) 하단의 접촉면으로 유해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요철구조 및 실링부재(예를 들어, 가스켓, O링 등)가 상기 접촉면에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 박스(210)는 배기구(220)를 제거하여 상기 필터를 교체하거나, 필터 박스(210) 측면에 형성된 필터 교체구(미도시)를 통하여 교체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기구 출구(223)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필터 박스(210)의 상기 필터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상단이 막혀있고, 측면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형 연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기구 출구(223)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메쉬망이 적용될 수 있다.
필터 박스(210)는 도막재를 수용하고, 상기 도막재를 가열하여 보관하는 구조물 예를 들어, 도막재 쿠거 설비, 도막재 저장 탱크 등에 적용 가능하며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막재 항온탱크(200)의 내부 탱크(201)는 내부 탱크(201)에 수용된 도막재를 믹싱할 수 있도록 임펠러(232)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232)는 내부 탱크(201) 상부에 장착된 임펠러 구동모터(230)와 임펠러 축(231)으로 연결되어 내부 탱크(201) 안에서 회전하여 상기 도막재를 믹싱할 수 있다.
도막재 항온탱크(200)는 작업중에 밀폐되어 있어, 내부 탱크(201)에 수용된 도막재의 양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막재 항온탱크(200)의 내부 탱크(201)안의 상기 도막재의 양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내부 탱크(201)안 상기 도막재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상기 도막재를 대량으로 가열하여 보관중인 쿠커 설비에서 상기 도막재를 추가로 보충 받아 작업의 중단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탱크(201) 내부에 상기 도막재에 의해 떠오를 수 있는 부력 부재(260)(예를 들어, 내부에 공기가 차 있는 튜브 등)를 위치시키고, 부력 부재(260) 상단에 내부 탱크(201) 상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로드(261)를 연결하여 로드(261)가 내부 탱크(201) 상부에서 튀어나온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내부 탱크(201)의 상기 도막재 수위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a)와 같이 상기 도막재가 내부 탱크(201)에 가득 차 있을 경우, 로드(261)가 내부 탱크(201) 상부로 길게 튀어나와 작업자가 육안으로 내부 탱크(201)에 상기 도막재 수위가 높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로드(261)에 별도의 수위 표기(예를 들어 눈금 또는 색깔)를 더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8 (b)와 같이 상기 도막재가 내부 탱크(201)에 거의 없을 경우, 로드(261)가 내부 탱크(201) 안으로 들어가, 상부에서 짧게 튀어나오게 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내부 탱크(201)수위가 낮아졌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로드(261)가 완전히 내부 탱크(201)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드(261) 상단에 로드 스토퍼(2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탱크(201) 내측 상부 하단에 레벨 센서(2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레벨 센서(250)는 비접촉식 센서(예를 들어, 레이저, 레이더 및 초음파 등)가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내부 탱크(201)의 상기 도막재는 임펠러에 의해 믹싱이 되고 있어 상기 도막재의 상단 표면이 불규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 센서(250)의 높이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도막재의 성질에 따라 센서의 작동이 불완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벨 센서(250)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도막재의 상단의 불규칙한 표면 효과를 억제하기 위하여 내부 탱크(201) 내부의 상기 도막재에 의해 떠오를 수 있는 상단이 평평한 부유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부유 부재(270)는 도넛 형태로 제작되어, 가운데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도막재가 내부 탱크(201) 하부로 투입될 수 있고, 임펠러 축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유 부재(270)는 내부 탱크(201)내부 구경과 유사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도막재 믹싱에 따라 부유 부재(270)가 상기 도막재 아래로 가라 앉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 센서(250)의 측정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내부 탱크(201)의 도막재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 (a)와 같이 상기 도막재가 내부 탱크(201)에 가득 차 있을 경우, 부유 부재(270)의 위치와, 레벨 센서(250)의 위치가 가까워지게 되고, 레벨 센서가 해당 수위에 해당하는 측정 값을 전자 신호로써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9 (b)와 같이 상기 도막재가 내부 탱크(201)에 거의 없을 경우, 부유 부재(270)의 위치와, 레벨 센서(250)의 위치가 멀어지게 되고, 레벨 센서가 해당 수위에 해당하는 측정 값을 전자 신호로써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통하여 개시하지 않았으나, 도막재 항온탱크(200)의 내부 탱크(201)안의 상기 도막재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뜨개(Float) 및 저항기(Resistor)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계에 적용되는 측정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모스탯 바이메탈식 연료계, 바이메탈 저항식 연료계 및 연료면 표시기식 등이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00 : 교면 방수 시공 장치
101 : 시공 장치 프레임 102 : 시공 장치 발전기
103 : 시공 장치 구동 모터 104 : 시공 장치 구동휠
105 : 시공 장치 조향휠 106 : 시공 장치 조작부
110 : 도막재 밀대 111 : 도막재 밀대 상하조절부
120 : 보강포 롤 거치대 121 :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
122 : 회전체 123 : 제1 감지 센서
124 : 제2 감지 센서 130 : 보조 롤러
140 : 구동휠 세척 롤러 141 : 구동휠 세척 롤러 스윙암
150 : 조향휠 세척 롤러 151 : 조향휠 세척 롤러 스윙암
160 : 보강포 포설 가압롤러 161 : 가압롤러 스윙암
162 : 스윙암 프레임 연결축 163 : 스윙암 가압롤러 연결축
164 : 가압롤러 텐션 제공부 170 : 보강포 롤 적재대
171 : 적재대 선반 200 : 도막재 항온탱크
201 : 내부 탱크 202 : 외부 커버
203 : 발열코일 204 : 단열공간
205 : 내부 탱크 가스 통로 206 : 내부 탱크 투입구
207 :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 208 : 내부 탱크 투입구 뚜껑 힌지
209 : 스토퍼 210 : 필터 박스
211 : 제1필터 212 : 제2필터
213 : 제3필터 220 : 배기구
221 : 배기구 입구 222 : 배기구 통로
223 : 배기구 출구 230 : 임펠러 구동모터
231 : 임펠러 축 232 : 임펠러
240 : 도포관 241 : 도포관 밸브
250 : 레벨센서 260 : 부력 부재
261 : 로드 262 : 로드 스토퍼
270 : 부유 부재 280 : 단열판
300 : 보강포 롤

Claims (6)

  1. 작업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에 있어,
    시공 장치 프레임;
    상기 시공 장치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시공 장치 조작부;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전방에 장착되어 도막재를 수용 및 배출하는 도막재 항온탱크; 및
    상기 시공 장치 조작부 후방에 장착되는 보강포 롤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는, 상기 도막재가 수용되는 내부 탱크;
    상기 내부 탱크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내부 탱크 가스 통로;
    상기 내부 탱크 가스 통로 상단에 장착되되, 상기 도막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박스; 및
    상기 필터 박스 상단에 장착되되, 상기 작업자의 호흡기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배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포 롤 거치대는,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
    상기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포 롤 거치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말단에 보강포 롤이 장착되는 보강포 롤 장착부;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막재 항온탱크는,
    상기 내부 탱크 측면을 감싸는 외부 커버; 및
    상기 내부 탱크 측면 및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발열코일을 포함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탱크 외측 및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박스는, 상기 필터 박스 내부에, 유리섬유 필터, 분진 차단용 헤파 필터, 및 세라믹 광촉매 필터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교면 방수 시공 장치.
  6. 삭제
KR1020230189561A 2023-12-22 2023-12-22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KR10265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561A KR102651401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561A KR102651401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401B1 true KR102651401B1 (ko) 2024-03-26

Family

ID=9047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561A KR102651401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4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71A (ko) * 2015-04-27 2016-11-04 한창이앤씨(주) 시트 도포장치
KR101769030B1 (ko) *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214280B1 (ko) * 2020-07-28 2021-02-15 (주)엘림환경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71A (ko) * 2015-04-27 2016-11-04 한창이앤씨(주) 시트 도포장치
KR101769030B1 (ko) *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214280B1 (ko) * 2020-07-28 2021-02-15 (주)엘림환경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27576A (zh) 防水膜的现场贴附机械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0454650Y1 (ko) 이동식 아스콘 저장장치
CN207498785U (zh) 沥青铺设装置及沥青铺设车
CN101858161B (zh) 低温双壁贮罐施工方法
KR102651401B1 (ko) 유해물질 배출이 저감된 교면 방수 시공 장치
WO1992014663A2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hazardous liquid storage tanks
CN108797903B (zh) 屋面防水结构及其施工工艺
KR20000017917A (ko) Cir상하수도 비굴착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030046485A (ko) 사전에 단열처리된 냉각액체용 저장탱크
KR101926445B1 (ko)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CN102365215A (zh) 用于浮动盖的板
CN110081267B (zh) Pccp管道破裂修复工艺
JP4822375B2 (ja) 護岸の遮水構造
JP3316017B2 (ja) 固体廃棄物の貯蔵方法および設備
Reid et al. Design, construction, and initial operation of a 3355 m2 solar pond in El Paso
CN205421648U (zh) 用于现浇砼空心楼盖的箱体空心抗浮装置
CN218540322U (zh) 一种机场柔性道面修补作业喷洒装置
JP2004060261A (ja) 法面遮水工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装置、ならびに機器搬送装置
CN208532393U (zh) 一种新型人工湿地防渗装置
KR102541920B1 (ko) 방수도막장치
GB2413587A (en) Plastics lining for a tank or pipe providing a space between the lining and the wall to be lined
CN215714675U (zh) 一种摊铺防水卷材的辅助装置
CN107842117A (zh) 一种防水保温一体化板
CN212896421U (zh) 一种基础底板封井多层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