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31B1 -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31B1
KR102650631B1 KR1020230166465A KR20230166465A KR102650631B1 KR 102650631 B1 KR102650631 B1 KR 102650631B1 KR 1020230166465 A KR1020230166465 A KR 1020230166465A KR 20230166465 A KR20230166465 A KR 20230166465A KR 102650631 B1 KR102650631 B1 KR 10265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uction
main body
mod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수
황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16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 중에서 정해진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인덕션 모듈과 환풍팬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인덕션 상판 부재가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 본체부 상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지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모드 감지부;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조리모드를 기초로 상기 인덕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덕션 제어부; 및 본체부 상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안착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조리용기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 가압부가 구비되는 어댑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Variable Induction Cooker}
본 개시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조리모드에 따라 구비되는 어댑터 하우징이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 상부면에 안착되면 해당 조리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인덕션 모듈의 동작이 제어되는 인덕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인덕션 방식이 적용된 인덕션 조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인덕션 조리장치는 철성분이 함유된 조리용기가 인덕션 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면, 인덕션 모듈이 전기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하여 조리용기의 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가스렌지 등과 같은 전통적인 가열수단에 비하여 환경오염이 적고 연료비가 적게 소요되며, 높은 열효율로 인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시간 및 온도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인덕션 조리기기의 상술한 장점으로 인하여, 대량의 음식을 조리하여야 하는 대량급식 현장에서 이용되는 대량급식용 조리장치에 인덕션 방식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대형 식당이나, 군부대, 학교, 공장 등의 구내식당 등과 같은 대량급식 현장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대량급식용 인덕션 조리장치는 그 조리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밥을 대량으로 짓기 위한 취반용기, 대량의 국을 조리하기 위한 국솥, 구이요리를 대량으로 조리하기 위한 구이판 등은 그 목적과 기능에 따라 용기의 형태와 그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구조가 달라져야 하므로, 대용량 다단 취반기, 대용량 국솥 및 대용량 그리들 등과 같은 대형 조리설비가 조리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량급식 현장에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인덕션 조리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각각의 인덕션 조리장치는 대체로 대형화된 설비이므로 많은 조리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리목적에 따른 조리를 하나의 인덕션 조리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가변 인덕션 조리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에 따라 구비되는 어댑터 하우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어댑터 하우징이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 상부면에 안착되면 해당 조리모드가 감지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인덕션 모듈의 동작온도 및 동작시간을 제어하여 조리가 해당 조리모드에 적합한 유도가열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 중에서 정해진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인덕션 모듈과 환풍팬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인덕션 상판 부재가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지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모드 감지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조리모드를 기초로 상기 인덕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덕션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상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안착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조리용기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 가압부가 구비되는 어댑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인덕션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모드에 대한 조리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대량급식 현장에서의 조리기기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리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모드의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의 조리모드 감지부와 스위치 가압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 모드의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의 조리모드 감지부와 스위치 가압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어댑터 하우징(adapter housing, 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댑터 하우징(130)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 각각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어댑터 하우징(130)의 상부 중앙에는 복수의 조리모드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 형태의 조리용기 안착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100)의 조리모드는 취반용기를 이용하여 밥을 짓기 위한 취반기 모드 및 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조리하기 위한 구이기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취반기 모드에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130)에는 취반용기가 관통 안착될 수 있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구이기 모드에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130)은 구이판이 안착될 수 있는 원형 또는 정방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상부면 중앙에는 조리용기 안착부에 안착된 조리용기의 저면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온도센서(114)가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 하우징(130)의 양 측면에는 손잡이(131)가 각각 결합되고,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이용하여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어댑터 하우징(130)을 안착시키거나,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130)을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어댑터 하우징(130)의 내측면에는 둘 이상의 안착지지부(132)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안착지지부(132)는 어댑터 하우징(130)의 좌우 내측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지지부(132)의 하단은 본체부(110) 상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접촉되고, 어댑터 하우징(130)이 본체부(110) 상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체부(110) 상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지점에는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모드 감지부(112)가 구비되며, 조리모드 감지부(112) 상단의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130) 내측면에는 스위치 가압부(133)가 구비된다.
스위치 가압부(133)의 하부에는 조리모드 감지부(112)의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누름 스위치와 동일한 개수의 누름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 상부면에 어댑터 하우징(130)을 안착시키면, 스위치 가압부(133)의 저면이 본체부(110) 상부면 상에 접촉되어 어댑터 하우징(130)에 고정지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조리모드 감지부(112)의 누름 스위치는 각각 스위치 가압부(133)의 누름홈 내부로 도입 수용된다. 이때, 누름홈의 깊이에 따라 누름 스위치가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홈이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깊이 또는 그 이상의 깊이로 형성되는 경우, 해당 누름홈에 도입되는 누름 스위치는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누름홈 내부에 수용된다. 반면에, 누름홈이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해당 누름홈에 도입되는 누름 스위치는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누름홈 내부에 수용된다.
스위치 가압부(133)의 누름홈은 어댑터 하우징(130)의 조리모드에 따라 각기 다른 조합으로 형성되며, 조리모드 감지부(112)의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스위치 가압부(133)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누름 스위치의 조합은 해당 조리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정해진 특정 조리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한 누름 스위치가 가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누름 스위치만이 가압되면 조리모드 감지부(112)는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130)의 조리모드가 상기 특정 조리모드임을 감지한다.
즉, 조리모드 감지부(112)는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가압된 스위치의 조합에 따라 어댑터 하우징(130)의 조리모드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조리모드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의 인덕션 모듈의 동작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에 구비된 인덕션 제어부(120)는 감지된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인덕션 모듈의 인가전류 또는 동작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댑터 하우징(130)의 조리모드가 취반기 모드로 감지된 경우, 인덕션 제어부(120)는 비등 단계 및 뜸들이 단계를 거쳐 자동가열되도록 미리 설정 및 저장된 가열 스케쥴을 기초로 인가전류 또는 동작시간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며 인덕션 모듈을 제어하게 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110)는 정방형의 상부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부면은 정방형의 평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인덕션 상판 부재(111)가 결합프레임 등을 매개로 마감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인덕션 상판 부재(111)는 세라믹 글라스와 같은 내열성의 소재로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인덕션 상판 부재(111)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14)가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인덕션 상판 부재(111)의 외측, 즉, 본체부(110) 상부면의 후방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모드 감지부(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본체부(110) 내측면의 접속 스위치부(113)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조리모드 감지부(112)의 누름 스위치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누름 스위치의 누름봉 하단이 전자기판상의 누름 스위치로 구현된 접속 스위치부(113)의 접속부를 누름으로써 해당 누름 스위치가 가압되었음이 감지되는 것이다.
본체부(110)의 내부 중앙, 즉, 인덕션 상판 부재(111)의 저면 하단에는 나선형으로 권선된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교류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코일을 포함하는 원판 형태의 인덕션 모듈(115)이 설치된다. 여기서, 인덕션 모듈(115)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을 지지하는 지지로드(117)에 의하여 본체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인덕션 모듈(115)의 유도가열코일에 교류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위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교류전류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전되므로, 이에 따라, 코일 주위의 자기장의 자속 방향도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하는 자속이 철과 같이 자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러한 전자유도현상에 의하여 조리용기 내부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흐르게 되며, 와전류와 조리용기 내부의 저항에 의하여 인덕션 상판 부재(111) 상단에 위치한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것이다. 조리기구의 유도가열방법은 이미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체부(110)의 외벽 또는 저면에는 내외부의 연통을 위해 다수 개의 관통홀이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저면과 인덕션 모듈(115) 사이의 본체부(110) 내부 공간에는 인덕션 모듈(115)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6), 환풍팬(118)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환풍팬(118)은 전방이 인덕션 모듈(115)을 향하도록 본체부(110)의 저면과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환풍팬(118)의 후방에는 본체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열기배출구로 열기를 가이드하는 열기유로벽(119)이 상기 환풍팬과 상기 열기배출구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인덕션 모듈(115)을 향하도록 설치된 환풍팬(118)이 동작하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동작과정에서 인덕션 모듈(115)에서 발생하는 열기 및 인덕션 상판 부재(111)를 통하여 본체부(110) 내부로 전달된 열기가 후방의 열기유로벽(119)을 거쳐 본체부(110) 저면의 열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본체부(110)의 외벽 또는 저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어 본체부(110) 내부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는 미리 설정된 취반기 모드 및 구이기 모드에 각각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이 선택적으로 안착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조리모드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모드의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서의 조리모드 감지부와 스위치 가압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110) 상부면에는 취반기 모드에 대응되는 제1 어댑터 하우징(130)이 안착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어댑터 하우징(130)의 상부 중앙에는 취반용기(10)가 안착되는 제1 조리용기 안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리용기 안착부는 취반용기(10)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의 개구부 형태를 갖는다. 취반용기(10)는 원형의 개구부에 관통 안착되며, 이때, 취반용기(10)의 외주부 상단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 안착되며, 취반용기(10)의 저면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으로 연장되어 인덕션 상판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유도가열될 수 있다.
본체부(110) 상부면에 제1 어댑터 하우징(130)이 안착됨에 따라서, 본체부(110) 상부면에 구비된 조리모드 감지부의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 스위치는 취반기 모드에 대한 누름홈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 제1 스위치 가압부(133)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모드 감지부는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 중에서 제2 누름 스위치(112b)만이 가압되는 경우에, 본체부(110) 상부면에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이 취반기 모드에 대한 제1 어댑터 하우징(130)임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 가압부(133)의 저면에는 제2 누름 스위치(112b)만이 가압되도록 형성된 누름홈 조합이 형성된다.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 각각에 대한 누름봉이 본체부(110) 상부면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누름봉 저면에는 스위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누름봉은 스프링에 의해 접속 스위치부(113)로부터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는 가압되기 전에는 누름봉 저면의 스위치 접촉부와 그에 대응되는 접속 스위치부(113)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스위치 가압부(133)의 저면에는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에 대응되는 3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누름홈은 본체부(11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와 동일 또는 더 긴 깊이로 형성된 제1 누름홈, 및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누름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1 스위치 가압부(133)의 저면에는 제2 누름 스위치(112b)만이 가압되도록 형성된 제1 누름홈 및 제2 누름홈의 조합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누름 스위치(112a)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가 도입되는 누름홈은 각각 제1 누름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2 누름 스위치(112b)가 도입되는 누름홈은 그 내부에 수용된 제2 누름 스위치(112b)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제2 누름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체부(110) 상부면에 제1 어댑터 하우징(130)이 완전 안착되면, 제2 누름 스위치(112b)만이 하방으로 가압되고, 제2 누름 스위치(112b)의 누름봉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누름봉 저면의 스위치 접촉부와 접속 스위치부(113)가 접촉된다. 따라서, 조리모드 감지부는 제2 누름 스위치(112b)만이 가압되었음을 감지하고 본체부(110) 상부면에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이 취반기 모드에 대한 제1 어댑터 하우징(130)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조리모드 감지부는 취반기 모드에 대한 조리모드 감지정보를 인덕션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인덕션 제어부(120)는 취반용기(10)를 비등 단계 및 뜸들이 단계를 거쳐 자동가열하도록 미리 설정된 가열 스케쥴을 기초로 인덕션 모듈의 인가전류 및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밥을 짓는 과정은 취반용기(10) 내부의 물과 쌀이 끓어오르도록 취반용기(10)를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게 되는 비등 단계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취반용기(10) 내부의 쌀이 충분히 익도록 남은 잔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뜸들이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단계에서의 가열을 위하여 인덕션 모듈에 인가하여야 하는 교류전류량 및 가열시간은 취반용기(10)의 용량에 따라 미리 스케쥴링될 수 있으며, 인덕션 제어부(120)는 이러한 스케쥴에 따른 동작 제어를 사용자의 추가 조작을 기다림이 없이 곧바로 개시하여 취사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 모드의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의 조리모드 감지부와 스위치 가압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본체부(110) 상부면에는 구이기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어댑터 하우징(230)이 안착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어댑터 하우징(230)의 상부 중앙에는 구이판(20)이 안착되는 제2 조리용기 안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조리용기 안착부는 구이판(20)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의 개구부 형태를 가지되, 개구부 둘레에는 조리과정에서 구이판(20) 상에 발생하는 기름이나 물 등이 모이도록 기름받이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리용기 안착부의 개구부 및 기름받이부(234)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이판(20)은 정방형의 외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이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조리용기 안착부는 정방형의 개구부 및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기름받이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이판(20)은 기름받이부(234) 내주 테두리에 걸림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판(20)의 저면에는 인덕션 상판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이판(20)의 높이는 기름받이부(234) 내주의 상단 테두리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인덕션 상판 부재와 구이판은 일정한 높이로 상하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판(20)은 상하 이격된 상태로도 유도가열 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덕션 상판 부재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가 구이판(20)과 일체를 이루며 구이판(20)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0) 상부면에 제2 어댑터 하우징(230)이 안착됨에 따라서, 본체부(110) 상부면에 구비된 조리모드 감지부의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 스위치는 구이기 모드에 대한 누름홈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 제2 스위치 가압부(233)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리모드 감지부는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 중에서 제1 누름 스위치(112a)와 제3 누름 스위치(112c)만이 가압되는 경우에, 본체부(110) 상부면에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이 구이기 모드에 대한 제2 어댑터 하우징(230)임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 가압부(233)의 저면에는 제2 누름 스위치(112b)를 제외한 나머지 두 누름 스위치가 가압되도록 형성된 누름홈 조합이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스위치 가압부(233)의 저면에는 제1 누름 스위치(112a), 제2 누름 스위치(112b)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에 대응되는 3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누름 스위치(112a)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가 도입되는 두 누름홈은 그 내부에 수용된 누름 스위치들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제2 누름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누름 스위치(112b)가 도입되는 누름홈은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와 동일 또는 더 긴 깊이로 형성된 제1 누름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체부(110) 상부면에 제2 어댑터 하우징(230)이 완전 안착되면, 제1 누름 스위치(112a)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만이 하방으로 가압되고, 제1 누름 스위치(112a)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의 누름봉이 각각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저면의 스위치 접촉부와 접속 스위치부(113)가 접촉된다. 따라서, 조리모드 감지부는 제1 누름 스위치(112a) 및 제3 누름 스위치(112c)만이 가압되었음을 감지하고 본체부(110) 상부면에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이 구이기 모드에 대한 제1 어댑터 하우징(130)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조리모드 감지부는 구이기 모드에 대한 조리모드 감지정보를 인덕션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인덕션 제어부(120)는 구이판(20)의 안착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가열온도별 인가전류를 인덕션 모듈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동일 가열온도에 대하여 구이판(20)의 안착위치에 따라 구이판 내부에서의 유도가열을 유도하기 위한 전류량은 달라질 수 있다. 인덕션 제어부(120)는 제2 어댑터 하우징(230)의 구조에 따라 정의되는 구이판(20)의 안착위치에 따라 결정된 가열온도별 인가전류량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가열온도에 대응되는 인가전류가 인덕션 모듈에 인가되도록 인덕션 모듈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부(110) 상부면에 별도의 어댑터 하우징을 결합시키지 않은 채로 통상의 인덕션 렌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누름 스위치(112a)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12c) 중에서 어느 하나의 누름 스위치도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인덕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가열동작 명령은 통상의 인덕션 렌지로서의 이용을 전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일반적인 인덕션 렌지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의 조리모드별 동작을 위하여 정해진 조리모드에 대한 어댑터 하우징을 본체부 상부면에 안착한다(S510).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는 취반기 모드 및 구이기 모드 각각에 대하여 구비된 어댑터 하우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해진 조리모드에 대한 어댑터 하우징을 본체부의 상부면상에 안착 결합하여, 해당 조리모드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취반기 모드에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의 중앙에는 취반용기가 관통 안착될 수 있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구이기 모드에 대응되는 어댑터 하우징 중앙에는 구이판이 안착될 수 있는 원형 또는 정방형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를 취반기로 이용할 것인지, 또는 구이기로 이용할것인지에 따라서 해당 어댑터 하우징을 본체부에 결합하게 된다.
어댑터 하우징은 그 측면부가 본체부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되는 형태로 본체부의 상부면에 안착하게 된다. 여기서, 어댑터 하우징의 후방 내측면에는 해당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누름홈이 형성되는 스위치 가압부가 구비되고, 본체부 상부면의 후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누름 스위치를 가압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어댑터 하우징의 누름부는 조리모드 감지부의 복수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누름 스위치를 가압한다(S520).
조리모드 감지부의 복수의 누름 스위치로부터 상단에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스위치 가압부의 하단에는 누름 스위치와 동일한 개수의 누름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누름홈은 각각 해당 조리모드에 따라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해당 조리모드에 대한 고유한 깊이 조합을 갖는다. 예를 들면, 취반기 모드에 대한 3 개의 누름홈의 깊이 조합은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와 동일 또는 더 긴 깊이로 형성된 첫번째 및 세번째 누름홈과,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두번째 누름홈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 상부면에 어댑터 하우징을 안착시키면, 조리모드 감지부의 누름 스위치는 각각 스위치 가압부의 누름홈 내부로 도입 수용되되, 누름홈의 깊이에 따라 어느 누름 스위치는 하방으로 가압되거나,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반기 모드에 대한 3 개의 누름홈에 각각 도입되는 3 개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두번째 누름홈에 도입되는 누름 스위치만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하방으로 가압된 누름 스위치는 누름 스위치의 누름봉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접속 스위치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리모드 감지부는 복수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가압된 누름 스위치를 감지 식별하고, 본체부 상부면에 안착된 어댑터 하우징이 어떤 조리모드에 대한 어댑터 하우징인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조리모드 감지부가 인덕션 제어부로 조리모드 감지정보를 전송한다(S530). 조리모드 감지부는 가압된 누름 스위치에 대한 식별결과를 기초로 감지된 어댑터 하우징에 대한 조리모드 감지정보를 인덕션 제어부에 전송하게 된다.
인덕션 제어부가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인덕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S540).
인덕션 제어부는 전송된 감지정보가 취반기 모드인 경우에는, 취반용기를 비등 단계 및 뜸들이 단계를 거쳐 자동가열하도록 미리 설정된 가열 스케쥴을 기초로 인덕션 모듈의 인가전류 및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서, 각 단계에서의 가열을 위하여 인덕션 모듈에 인가하여야 하는 교류전류량 및 가열시간은 취반용기의 용량에 따라 미리 스케쥴링될 수 있으며, 인덕션 제어부는 이러한 스케쥴에 따른 동작 제어를 자동으로 개시하여 취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인덕션 제어부는 전송된 감지정보가 구이기 모드인 경우에는 구이판의 안착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가열온도별 인가전류를 인덕션 모듈에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인덕션 제어부는 어댑터 하우징의 구조에 따라 정의되는 구이판의 안착위치에 따라 결정된 가열온도별 인가전류량을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가열온도에 대응되는 인가전류가 인덕션 모듈에 인가되도록 인덕션 모듈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취반용기 20: 구이판
100: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110: 본체부
111: 인덕션 상판 부재 112: 조리모드 감지부
113: 접속 스위치부 114: 온도센서
115: 인덕션 모듈 116: 전원부
117: 지지로드 118: 환풍팬
119: 열기유로벽 120: 인덕션 제어부
130: 어댑터 하우징 131: 손잡이
132: 인덕터 제어부 133: 스위치 가압부

Claims (11)

  1.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 중에서 정해진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인덕션 모듈과 환풍팬이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인덕션 상판 부재가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면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지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모드 감지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조리모드를 기초로 상기 인덕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덕션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 상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안착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조리용기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 가압부가 구비되는 어댑터 하우징
    을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팬은,
    전방이 상기 인덕션 모듈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저면과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며,
    상기 환풍팬의 후방에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형성된 열기배출구로 열기를 가이드하는 열기유로벽이 상기 환풍팬과 상기 열기배출구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는,
    상기 어댑터 하우징이 상기 본체부 상부면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 중에서 상기 스위치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된 누름 스위치의 조합을 기초로 상기 어댑터 하우징에 대응되는 조리모드를 감지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압부는,
    상기 조리모드 감지부의 상기 복수 개의 누름 스위치가 각각 수용되도록 상기 누름 스위치의 위치와 마주보는 지점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상기 누름 스위치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인 복수 개의 누름홈을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누름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누름 스위치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누름홈; 및
    해당 누름홈에 수용된 누름 스위치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누름홈
    을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리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리모드는,
    취반기 모드 및 구이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인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기 모드에 대응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는,
    상기 취반기 모드에 대응되는 제1 조리용기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제1 어댑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용기 안착부는,
    취반용기가 관통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취반용기의 외주부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안착 지지되며, 상기 취반용기의 저면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 연장되어 인덕션 상판 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 하우징은,
    상기 취반기 모드에 대한 상기 제1 누름홈 및 상기 제2 누름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 제1 스위치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모드에 대응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는,
    상기 구이기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조리용기 안착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제2 어댑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리용기 안착부는,
    구이판이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기름받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저면에 상기 인덕션 상판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 하우징은,
    상기 구이기 모드에 대한 상기 제1 누름홈 및 상기 제2 누름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누름홈이 형성된 제2 스위치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KR1020230166465A 2023-11-27 2023-11-27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KR10265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465A KR102650631B1 (ko) 2023-11-27 2023-11-27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465A KR102650631B1 (ko) 2023-11-27 2023-11-27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631B1 true KR102650631B1 (ko) 2024-03-25

Family

ID=9047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6465A KR102650631B1 (ko) 2023-11-27 2023-11-27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06A (ko) * 1993-06-15 1995-01-03 김광호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그 용기감지방법
EP2549830A1 (en) * 2010-03-19 2013-0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06A (ko) * 1993-06-15 1995-01-03 김광호 복합조리기의 용기감지장치 및 그 용기감지방법
EP2549830A1 (en) * 2010-03-19 2013-01-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4333A1 (en) Cooking Appliance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KR101235163B1 (ko) 전자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회전형 국솥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US20100116820A1 (en) Induction electrical appliance
JPH0532612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US20200163171A1 (en) Induction cooktop
CN203195483U (zh) 电磁煎烤装置
KR102650631B1 (ko) 가변형 인덕션 조리장치
KR101592139B1 (ko) 업소용 전기 밥솥 장치
JP57959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105108B1 (ko) 자동 이동식 전열기 조리장치
KR20130000651U (ko)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US20190306930A1 (en) Induction heating and cooking
JP496935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KR20140131757A (ko) 조리용기 가열부가 별도로 구성된 전기그릴
JP2010167109A (ja) 被加熱調理容器
KR101564345B1 (ko) 직화 조리기
CN214048568U (zh) 烹饪器具
CN212912934U (zh) 一种电磁煎烤炉
CN213371393U (zh) 电加热锅和电加热锅体
CN213746899U (zh) 一种多用电磁灶
CN209360361U (zh) 组合式锅具
CN110351916A (zh) 感应加热和烹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