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30B1 -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30B1
KR102650630B1 KR1020160160815A KR20160160815A KR102650630B1 KR 102650630 B1 KR102650630 B1 KR 102650630B1 KR 1020160160815 A KR1020160160815 A KR 1020160160815A KR 20160160815 A KR20160160815 A KR 20160160815A KR 102650630 B1 KR102650630 B1 KR 10265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ans
input
touch
virtual
virtu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843A (ko
Inventor
김동건
윤성문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6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CONTROLLER}
본 발명은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 가상의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급이 늘어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기존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입력수단을 대체하는 입력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게 가상의 입력수단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고, 터치스크린에 제공된 가상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입력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은, 물리적인 입력수단인 조이스틱과 버튼 각각을 형상화한 가상의 입력수단을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표시된 가상의 입력수단에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게임이 제어되도록 한다.
한편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입력수단은 물리적인 입력수단과 달리 그 위치를 시각을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어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를 정밀하게 반복적으로 터치하기가 어렵다.
이에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추적하여 가상의 입력수단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가상 입력수단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파지하여 가상의 입력수단을 조작하는 손가락의 구조상, 터치입력이 반복됨에 따라 가상의 입력수단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중앙으로 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1-0027311 호에서는 당구게임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제 당구의 큐대를 컨트롤하는 것과 같은 손모양으로 가상큐대를 컨트롤할 수 있으나 여전히 상술된 바와 같이 가상의 입력수단의 위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위치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가상 입력수단이 위치하는 곳으로 교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입력수단표시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터치입력획득부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입력수단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중심으로 가상 입력수단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분석하여 적합한 위치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가상 입력수단이 위치하는 곳으로 교정할 수 있는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가상 입력수단’은 입력영역을 가지며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의 일영역에 표시되는 조이스틱 또는 버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터치입력이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영역으로, 입력영역을 벗어난 터치입력은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단말기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클릭, 터치, 탭 등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입력이벤트에는 사용자의 입력 지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상 입력수단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가상 입력수단에 발생되는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서 획득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 게임 공간 정보, 게임 시나리오 정보, 게임 퀘스트 정보든 게임 진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게임의 시계열적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입력수단표시부(110), 터치입력획득부(120) 및 위치변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내부구성요소, 즉, 입력수단표시부(110), 터치입력획득부(120) 및 위치변경부(13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외부구성요소와의 통신을 하게 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입력수단표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입력수단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양의 가상 입력수단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입력을 획득할 수 있는 입력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의 왼쪽 하단에 조이스틱 모양의 원을 표시할 수 있고, 조이스틱을 나타내는 원이 가동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의 오른쪽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입력수단이 표시되는 위치는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애플리케이션에 기본으로 설정된 위치에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슈팅게임에서 조이스틱을 형상화한 가상 입력수단을 터치패널의 왼쪽 하단에 배치하고 버튼을 형상화한 가상 입력수단을 터치패널의 오른쪽 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입력수단의 표시위치를 설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최초로 실행되었을 때, 가상 입력수단인 조이스틱과 버튼의 위치를 배치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받은 위치에 조이스틱과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표시부(110)는 후술할 위치변경부(120)에 의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위치로 가상 입력수단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가 변경 표시되는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왼쪽 하단에 위치한 조이스틱을 터치스크린의 중앙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때, 조이스틱의 투명도를 40% 에서 90%로 높여 조이스틱을 거의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왼쪽 하단에 위치한 조이스틱을 터치스크린의 중앙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때, 중앙에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조이스틱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앙으로부터 떨어질수록 조이스틱의 투명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수단표시부(110)는 왼쪽 하단에 위치한 조이스틱을 터치스크린의 중앙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때, 최초 조이스틱이 있던 위치와 이동해간 위치간의 이격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따라 조이스틱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계산된 거리가 커질수록 조이스틱의 투명도를 높힐 수 있다.
한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입력획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여 입력수단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된 가상 입력수단의 입력영역내인지 판단하여 발생된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입력수단인 조이스틱은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키와 방향키의 가동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조이스틱이 표시된 영역인 입력영역 내에 터치입력이 발생된 경우,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입력이 발생된 위치를 조이스틱을 조작한 사용자입력으로서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터치입력을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할 수 있다.
이때, 터치입력획득부(120)는 입력영역 내가 아닌 위치에 터치입력이 발생된 경우, 해당 터치입력을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조이스틱의 가동영역 외에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입력을 획득하되 사용자입력으로서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고, 해당 터치입력이 발생되었음을 후술할 위치변경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입력영역 내의 터치로 의도된 입력이나 해당 터치입력이 터치입력이 입력영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영역 경계에 터치입력이 발생된 경우와 같이, 입력영역 내의 터치로 의도된 입력이나 입력영역 내로 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입력이 입력영역 경계에서만 발생된 경우 입력영역외의 위치로서 상기 터치입력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위치를 후술할 위치변경부(130)로 전달하면서, 입력영역내의 위치로서 상기 터치입력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위치에 터치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사용자입력이 발생하였음을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획득부(120)는 터치입력이 입력영역의 경계에서 걸쳐 발생됨에 따라 터치입력 중 입력영역 내에 발생된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서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할 수 있고, 터치입력 중 입력영역에서 벗어난 터치입력의 위치를 후술할 위치변경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입력영역과 근접한 위치에 터치입력이 발생된 경우와 같이, 입력영역 내의 터치로 의도된 입력이나 입력영역 내로 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입력영역 외의 터치입력으로서 입력영역과 소정거리 이내에 발생된 터치입력인 경우, 터치입력획득부(120)는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를 후술할 위치변경부(130)로 전달하면서, 입력영역내의 위치로서 상기 터치입력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위치에 터치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사용자입력이 발생하였음을 애플리케이션에 반영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입력수단에 대해 터치입력을 의도하였으나 터치입력이 입력영역 내가 아닌 경우,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위치변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경부(130)는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위치변경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위치가 입력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위치로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변경부(130)는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와 터치입력이 발생한 위치간의 이격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의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변경부(130)는 터치스크린의 X축과 Y축 거리차이를 이용하여 기존 가상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입력이 발생된 위치까지 거리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변경부(130)는 계산된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될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변경의 정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터치입력의 위치가 가상 입력수단을 기준으로 터치스크린의 중앙 방향에 발생하면, 위치변경부(130)는 가중치를 1 미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터치입력의 위치가 가상 입력수단을 기준으로 터치스크린의 모서리 방향에 발생하면, 위치변경부(130)는 가중치를 1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중치를 결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하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입력의 위치가 가상 입력수단을 기준으로 터치스크린의 중앙방향에 위치하고 이격거리가 0.5cm인 경우, 위치변경부(130)는 가중치를 0.8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격거리가 1cm인 경우, 위치변경부(130)는 가중치를 0.5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력수단제공부(1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되, 가중치를 통해 가상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의 중앙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가능한 제한하고, 터치스크린의 모서리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반영함으로써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서 터치스크린의 중앙쪽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가중치를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변경부(130)는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입력의 위치의 변화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변화패턴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달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변경부(130)는 복수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를 군집화하여 변화패턴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변화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주로 터치스크린의 중앙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의 이격거리에 반영되는 가중치를 1 미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위치를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가상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 중앙으로 쏠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일정한 위치 내에서 사용자에게 가상 입력수단의 이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가중치를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변경부(130)는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구성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달리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변경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위치에 맞추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때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구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게임화면의 캐릭터가 화면의 하단에서만 움직이는 경우,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중앙을 향하고 이격거리가 1cm이어도 가중치를 0.5 대신 0.9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위치변경부(13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가중치를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와 터치입력의 위치 사이의 이격거리에 반영하여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가상 입력수단이 제공되는 위치를 변경하되, 터치스크린의 중앙으로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게임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게임화면을 보면서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되는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입력수단표시부(110)로 하여금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높여 투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변경부(130)는 가상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입력수단표시부(110)로 하여금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낮추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상 입력수단을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입력수단제공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입력수단제공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내지 도 6은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입력수단제공장치(100)가 구현되는 전자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나타나는 게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우선,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S2001).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의 좌측 하단에 방향키와 방향키의 가동영역으로 구성되는 조이스틱을 표시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의 우측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S2002).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스크린에 발생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X축, Y축 각각에 해당하는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S2003).
이를 위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S2001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의 일영역에 표시된 가상 입력장치의 위치와 S2002단계에서 획득된 터치입역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좌측하단에 표시된 조이스틱의 입력영역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입력영역 외이거나 입력영역 경계인 경우, 표시된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의 가동영역을 벗어난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입력이 발생된 위치로 조이스틱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수단제공장치(100)가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제공장치(100)가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로부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우선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S3001).
이때,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가상 입력수단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입력수단이 표시될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 는 입력수단제공장치(100)가 가상입력수단을 제공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스크린(401)에 방향키(402)와 방향키(402)의 가동영역(403)으로 구성된 조이스틱(404)과 입력버튼(405)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입력영역내에 터치입력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03),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입력영역 내에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별도의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406)이 가동영역(403)내에서 방향키(402)를 터치하면, 별도의 조이스틱(404)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발생된 터치입력이 가상 입력수단의 입력영역 내에 발생되지 않으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S3004).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입력영역 외에 터치입력이 발생하면, 가상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최단 직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로의 방향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S3005).
즉,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의 중앙을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달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중앙에 근접하여 위치하면 가중치를 1 미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모서리에 더 근접하면 가중치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중치의 크기를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달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으로부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른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 가중치의 크기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 위치를 일정한 거리 이내로 변경함으로써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위치를 일정한 영역 내로 한정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터치입력을 일정한 영역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결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터치입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S3006).
도 5 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터치스크린의 중앙 방향으로 이루어져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손가락(502)에 의한 터치입력이 터치스크린(503)의 중앙 방향으로 발생되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제 1 위치(501)로부터 손가락(502)에 의한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506)에 S3005 단계를 통해 결정된 1 미만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입력수단의 위치를 제 1 위치(501)에서 제 2 위치(504)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이 제 1 위치(501)로부터 제 2 위치(504)로 변동된 거리(505)가, 손가락(502)에 의한 터치입력의 위치와 제 1 위치(501) 사이의 이격거리(506)보다 짧을 수 있다.
도 6 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터치스크린의 중앙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져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손가락(602)에 의한 터치입력이 터치스크린(603)의 모서리 방향으로 발생되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제 1 위치(604)로부터 손가락(602)에 의한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606)에 S3005 단계를 통해 결정된 1 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입력수단의 위치를 제 1 위치(604)에서 제 2 위치(601)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이 제 1 위치(604)로부터 제 2 위치(601)로의 변동 거리(605)는 손가락(602)에 의한 터치입력의 위치와 제 1 위치(604)사이의 이격거리(606)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수단제공장치(100)는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터치스크린의 화면중앙으로 이동할수록 투명도를 높일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투명도를 낮추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입력수단제공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입력수단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입력수단제공장치
110: 입력수단표시부
120: 터치입력획득부
130: 위치변경부

Claims (16)

  1. 터치스크린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입력수단표시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터치입력획득부;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경부는,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변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입력영역 내가 아닌 위치에서 터치입력이 획득되면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와 상기 변동되는 거리를 달리 결정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이격거리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위치를 계산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치를 달리 결정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 변화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변화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치를 달리 결정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화면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치를 달리 결정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표시부는,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입력수단은,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키 및 상기 방향키의 가동영역으로 구성되는, 입력수단제공장치.
  10. 터치스크린에 가상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영역내의 터치입력을 사용자입력으로 획득하는 입력영역을 갖는 가상 입력수단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입력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가 변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까지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와 상기 변동되는 거리를 달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되는 거리를 달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가상 입력수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획득된 터치입력의 위치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가중치를 상기 이격거리에 반영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제공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제공방법은,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입력수단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수단제공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제공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입력수단이 표시되는 위치를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수단제공방법.
  15.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6. 입력수단제공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0815A 2016-11-29 2016-11-29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5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5A KR102650630B1 (ko) 2016-11-29 2016-11-29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815A KR102650630B1 (ko) 2016-11-29 2016-11-29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43A KR20180060843A (ko) 2018-06-07
KR102650630B1 true KR102650630B1 (ko) 2024-03-21

Family

ID=6262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815A KR102650630B1 (ko) 2016-11-29 2016-11-29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388B1 (ko) * 2011-06-10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140011B2 (en) * 2011-08-12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intelligent targeting
KR20150090698A (ko) * 2014-01-29 2015-08-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탕화면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JP5711409B1 (ja) * 2014-06-26 2015-04-30 ガンホー・オンライン・エンターテイメント株式会社 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43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729B2 (en) Wearable device
KR102462364B1 (ko) 스크롤바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I610218B (zh) 裝置中控制螢幕的設備及其方法
US10579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y using scroll bar
EP3002664B1 (en) Text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device
KR1016084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상의 풀 3d 상호작용
KR20150023702A (ko) 투명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KR20170026272A (ko)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US10095384B2 (en)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US20140225829A1 (en) Setting a display position of a pointer
WO2018054125A1 (zh) 一种移动终端的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1427505A (zh) 页面操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9141198B2 (en) Control of a control parameter by gesture recognition
KR102122339B1 (ko) Hmd 제어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650630B1 (ko)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39840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9190B1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07179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1984305B1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58817B1 (ko) 시점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기준점이 변하는 가상 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8291B1 (ko) 캐릭터 조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게임 제공 장치
KR20180023864A (ko) 이미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519373B1 (ko) 셀 크기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230069889A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02089B1 (ko) 마우스 포인터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