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272A -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272A
KR20170026272A KR1020160109791A KR20160109791A KR20170026272A KR 20170026272 A KR20170026272 A KR 20170026272A KR 1020160109791 A KR1020160109791 A KR 1020160109791A KR 20160109791 A KR20160109791 A KR 20160109791A KR 20170026272 A KR20170026272 A KR 2017002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content
lay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영
권지용
Original Assignee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95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9257A1/ko
Publication of KR2017002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텍스트 특정부,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편집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콘텐츠의 텍스트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휴대폰, PMP, PDA 등의 이동 단말 및 데스크탑 등의 고정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termial)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단말은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된 또는 자신에게 기 저장된 콘텐츠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재생하거나, 실행시키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말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005153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은 단순히 제공되거나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하기만 할 뿐, 이것을 수정 및 변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텍스트 특정부,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편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텍스트 특정부,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모션을 상기 특정된 텍스트와 매핑시켜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다른 모션을 갖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가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은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 편집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콘텐츠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이며,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콘텐츠 편집 장치 및 콘텐츠 편집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 레이어를 추가하여 표시시키고, 표시된 레이어에 편집된 텍스트를 표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이 구현된 것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은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20)와 일군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관련하여 '콘텐츠'는 디지털방식으로 제작되어 유통/편집되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포함)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적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형태의 변화되지 않는 고정된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고, 동적 이미지는 이미지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거나, 이미지 내 객체 중 적어도 일부가 변화하는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채팅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SNS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와 인터렉션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비접촉식 제어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유무선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터치 센서 및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가 및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모션, 즉 동작에 따라 탭(tap), 드래그(drag), 플리킹(flicking), 슬라이드(slide),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아웃(pinch out), 및 핀치 인(pinch 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들은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설명된 터치 입력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터치 입력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탭은 터치 스크린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은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는 터치 스크린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은 슬라이드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슬라이드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방향을 토대로 근접해 있는 메뉴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 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서버(20)는 편집된 콘텐츠를 타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다른 서버 각각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서버 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 서버이거나, 채팅 서비스 제공 서버 등 다양한 웹 콘텐츠 프로바이더의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과 함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현하여 콘텐츠의 편집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서버(20)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로드밸런싱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일군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10)을 콘텐츠 편집 장치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 중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텍스트를 이동시키거나, 텍스트의 스타일(글자체, 글자크기, 및 글자색 입체감 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먼저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텍스트의 이동, 또는 텍스트의 스타일 변경을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전체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에 대해 명령을 처리하거나, 전체 텍스트를 1개의 그룹으로써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에 대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텍스트 그 자체의 이동,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텍스트 전체의 스타일을 변경하거나,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의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텍스트 입력부(210), 텍스트 특정부(220), 이미지 특정부(230), 레이어 표시부(240),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 편집부(260), 콘텐츠 전송 수행부(270) 및 확인 입력 수신부(28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한다. 텍스트 입력부(210)는 마우스, 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특정부(220)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한다. 텍스트 특정부(22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특정부(230)는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한다. 이미지 특정부(23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표시부(240)는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 즉 디스플레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는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는 레이어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 상에서, 레이어가 표시된 부분에 수행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260)는 텍스트 특정부(220)에 의해 특정된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한다. 또한 편집부(260)는 편집된 텍스트를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편집부(260)는 레이어의 크기에 따라 특정된 텍스트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텍스트를 표시할 수 도 있다.
그리고, 편집부(260)는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모션을 텍스트와 매핑시켜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편집한다. 이때, 텍스트 이미지 생성을 위해 편집부(260)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에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할 수 있지만,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편집부(260)에서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및 동영상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편집부(260)는 텍스트 이미지가 생성된 후에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에서 다른 모션에 대응되는 다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편집부(260)는 이미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다른 모션과 매핑시켜 변경된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 이미지는 다른 모션을 갖는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편집부(260)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적용된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집부(260)는 텍스트 이미지 내에서 텍스트의 배경 부분에 다양한 배경을 삽입할 수 있다. 편집부(260)는 텍스트의 스타일을 변경하거나, 텍스트 효과(그림자를 갖는 텍스트 등)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편집부(260)는 텍스트 이미지와 사운드(음악, 효과음, 음성)를 합성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 및 편집부(260)의 텍스트 편집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레이어에 횡방향의 플리킹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플리킹 입력의 방향에 따라, 특정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특정된 텍스트가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중, 상기 레이어에 슬라이드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슬라이드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특정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레이어에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레이어를 확대시키고, 특정된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의 범위에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편집부(260)는 특정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 각각을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최하단에 도달한 문자 각각을 소정의 범위만큼 반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편집부(260)는 특정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 각각을 앞에 문자부터 순차적으로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무작위로 문자 각각을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레이어에 소정의 시간 이상의 프레스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프레스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레이어와 특정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레이어에 멀티 터치로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레이어를 확대시키고, 특정된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에 입체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확대된 레이어에 특정된 텍스트를 입체화시켜 표시하는 중, 레이어에 플리킹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입체화된 텍스트를 플리킹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가 추가되고,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텍스트 입력부(210)를 통해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가 콘텐츠와 함께 제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 이외의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일 수도 있다. 이때 텍스트 특정부(220)에 의해 추가된 텍스트가 된 특정되고,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경우, 편집부(260)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된 텍스트를 편집하여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특정부(230)를 통해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가 특정되고, 텍스트 입력부(210)를 통해 텍스트가 추가된 경우, 편집부(260)는 특정된 이미지를 추가된 텍스트를 레이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사용자 입력 감지부(250)가 레이어에 핀치 아웃 입력을 감지하면, 편집부(260)는 추가된 텍스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송 수행부(270)는 편집부(260)에 의해 편집된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의 전송을 수행한다. 콘텐츠 전송 수행부(270)는 별도의 서버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서버에게 별도의 단말로 편집된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일 수도 있으며, 통신을 위해 구비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 입력 수신부(280)는 전송이 수행된 콘텐츠의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 수행부(270)가 특정 단말에 대해 콘텐츠 전송을 수행한 경우, 확인 입력 수신부(280)는 특정 단말에서 전송된 콘텐츠의 확인에 기초하여 발생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전송 수행부(270)에서 전송한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는 수신된 콘텐츠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확인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확인 입력 신호는 서버를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확인 입력 수신부(280)에 수신될 수도 있다. 이때 서버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일 수도 있으며, 통신을 위해 구비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도 4 내지 도 12 각각에서의 각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0)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를 통해 나타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콘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각 실시예를 위주로 서술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가 채팅을 위한 콘텐츠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종류의 콘텐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 텍스트의 추가 여부를 판단한다(S301).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마우스, 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 이미 포함된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가된 텍스트까지 편집에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가 추가된 경우 추가된 텍스트를 콘텐츠에 포함시켜 표시한다(S303).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서 텍스트를 특정한다(S305).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한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한다(S307).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는 반 투명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레이어가 표시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S3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레이어에 수행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된 텍스트를 편집하여 레이어에 표시한다(S311).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특정된 텍스트를 편집하여 표시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텍스트 특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콘텐츠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한다. 도 4의 (a)에는 사용자가 표시된 콘텐츠에서 특정 텍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는 콘텐츠에 레이어가 추가되어 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텍스트 특정 및 레이어 추가 표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텍스트 특정 및 레이어 추가 표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이어에 횡방향의 플리킹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텍스트의 이동방향은 플리킹 입력의 방향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동 중 사용자가 레이어에 슬라이드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슬라이드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이동 중인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아래 이동하는 슬라이드 명령을 입력하면,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은 상기 위아래 이동 명령에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5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텍스트를 특정하고, 도 5의 (b)와 같이 텍스트의 이동영역을 설정하면, 도 5의 (c) 및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동영역 이내에서 텍스트를 구성하는 글자 각각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b)와 같이,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레이어에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따른 모션을 감지하면,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레이어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5의 (c) 및 (d)와 같이,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의 범위에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 각각을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에 도달한 문자 각각을 소정의 범위만큼 반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도 있다. 이때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특정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 각각을 앞에 문자부터 순차적으로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무작위로 문자 각각을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텍스트를 특정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에 소정의 시간 이상의 프레스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레이어와 레이어에 표시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텍스트를 특정하고, 사용자가 레이어에 멀티 터치로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레이어를 확대시키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에 입체화, 즉 3차원의 텍스트로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의 크기에 따라 확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확대된 레이어에 특정 방향의 플리킹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입체화된 텍스트를 플리킹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도 7의 (d)에는 입체화된 텍스트가 레이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특히 채팅 콘텐츠의 경우, 별도로 텍스트 입력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형태로 텍스트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입력(채팅에서 전송 버튼 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가 콘텐츠와 함께 제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 이외의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된 제공 텍스트는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일 수도 있다.
한편 추가된 텍스트는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가 특정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가된 텍스트를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시킬 수도 있으며,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화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에서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텐츠 상에서 이미지를 특정하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에 대한 추가 입력을 수신한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이미지와 추가된 텍스트를 함께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이어에 핀치 아웃 입력을 수행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 텍스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핀치 인 입력에 의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추가된 텍스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레이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편집된 텍스트가 화면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특정 단말을 통해 수신된 확인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된 텍스트를 화면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 편집된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별도의 서버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서버에게 별도의 단말로 편집된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는 콘텐츠를 제공한 서버일 수도 있으며, 통신을 위해 구비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전송한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화면에는 도 11의 (a)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편집 장치(10)에서 편집한 텍스트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전송이 수행된 콘텐츠의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가 특정 단말에 대해 콘텐츠 전송을 수행한 경우,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특정 단말에서 전송된 콘텐츠의 확인에 기초하여 발생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텍스트를 포함한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사용자가 편집된 텍스트에 대하여 터치 입력 등의 선택 입력을 하는 경우,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이 편집된 텍스트를 읽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은 확인 입력을 발생시키거나, 콘텐츠를 발송한 서버에게 확인 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확인 입력이 콘텐츠 편집 장치(10)에 수신되면, 콘텐츠 편집 장치(10) 편집된 텍스트가 화면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도 11의 (b)의 상단과 같이 일정시간 경과 후 편집된 텍스트가 흐려지면서 사라지거나, 도 11의 (b)의 하단과 같이 상기 변형된 텍스트가 변형 이전의 텍스트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텍스트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 장치(10)는 편집된 텍스트를 콘텐츠 편집 장치(10)의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텐츠를 수신한 단말의 화면에서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편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편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편집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텐츠 편집 시스템
10: 콘텐츠 편집 장치 20: 서버
210: 텍스트 입력부 220: 텍스트 특정부
230: 이미지 특정부 240: 레이어 표시부
250: 사용자 입력 감지부 260: 편집부
270: 콘텐츠 전송 수행부 280: 확인 입력 수신부

Claims (20)

  1.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텍스트 특정부;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2.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텍스트 특정부;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편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모션을 상기 특정된 텍스트와 매핑시켜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를 표시하는 편집부를 포함하고,
  3. 상기 텍스트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다른 모션을 갖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 가능한, 콘텐츠 편집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레이어에 횡방향의 플리킹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플리킹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특정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특정된 텍스트가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중, 상기 레이어에 슬라이드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슬라이드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상기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레이어에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레이어를 확대시키고, 상기 특정된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의 범위에서 이동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특정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 각각을 레이어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최하단에 도달한 문자 각각을 소정의 범위만큼 반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레이어에 소정의 시간 이상의 프레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프레스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어와 상기 특정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레이어에 멀티 터치로 종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레이어를 확대시키고, 상기 특정된 텍스트를 확대된 레이어에 입체화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확대된 레이어에 상기 특정된 텍스트를 입체화시켜 표시하는 중, 상기 레이어에 플리킹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입체화된 텍스트를 상기 플리킹 입력이 수행된 방향에 따라 점진적으로 움직이며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텍스트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부를 통해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장치는,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특정하는 이미지 특정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텍스트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특정된 이미지를 추가된 텍스트를 상기 레이어에 함께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레이어에 핀치 아웃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편집부는,
    상기 추가된 텍스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및 동영상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콘텐츠 편집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장치는,
    단말로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의 전송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송 수행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전송 수행부가 전송한 콘텐츠의 확인 입력을 수신하는, 확인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확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편집된 텍스트를 점진적으로 사라지게 하거나, 편집 이전의 텍스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확인 입력은,
    상기 단말에 표시된 상기 편집된 텍스트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는, 콘텐츠 편집 장치.
  16. 콘텐츠 편집 장치가 콘텐츠를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레이어를 추가시켜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레이어에 수행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특정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하여 상기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단계;
    기 제공된 제공 텍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추가된 텍스트의 스타일을 선택된 제공 텍스트의 스타일과 일치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편집 방법은,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이미지를 추가된 텍스트를 상기 레이어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
  19. 제16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콘텐츠 편집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6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09791A 2015-08-28 2016-08-29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KR20170026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583 WO2017039257A1 (ko) 2015-08-28 2016-08-29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1667 2015-08-28
KR1020150121667 2015-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272A true KR20170026272A (ko) 2017-03-08

Family

ID=584040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92A KR101852901B1 (ko) 2015-08-28 2016-08-29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KR1020160109791A KR20170026272A (ko) 2015-08-28 2016-08-29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KR1020160109793A KR20170026274A (ko) 2015-08-28 2016-08-29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92A KR101852901B1 (ko) 2015-08-28 2016-08-29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93A KR20170026274A (ko) 2015-08-28 2016-08-29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852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44A1 (en) 2018-03-12 2019-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21295B1 (ko) 2018-04-13 2019-09-16 김치곤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생분해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080274B1 (ko) 2018-08-27 2020-04-23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126082B1 (ko) 2018-08-29 2020-06-23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한 pet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식품 포장용기
KR102102303B1 (ko) 2018-11-16 2020-05-29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내열성과 투명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6794B1 (ko) * 2019-05-07 2020-12-04 임주은 커스텀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22552B1 (ko) * 2019-05-29 2024-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은닉 정보 임베딩 방법 및 장치
KR102112584B1 (ko) * 2019-09-09 2020-05-19 김영재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20485B1 (ko) * 2019-12-20 2021-11-02 주식회사 카카오 동적 이모지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단말
KR102482689B1 (ko) * 2020-09-17 2022-12-29 주식회사 비밀리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55395B1 (ko) 2020-11-24 2021-05-2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시트
KR102264102B1 (ko) 2020-11-27 2021-06-14 주식회사 그린케미칼 고내열성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5059B2 (ja) * 1999-12-16 2005-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スタイル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901B1 (ko) 2018-04-27
KR20170026274A (ko) 2017-03-08
KR20170026273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6272A (ko) 콘텐츠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
US1091522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94872A1 (en) Navigating through documents in a document viewing application
US1097677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5211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91426B1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8545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03830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EP2741190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27166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13239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20014258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on said display device
USRE49272E1 (en) Adaptive determination of information display
US10353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US10558344B2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EP2775385A2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US2018034892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3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3

Effective date: 2019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