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10B1 -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10B1
KR102647710B1 KR1020220069454A KR20220069454A KR102647710B1 KR 102647710 B1 KR102647710 B1 KR 102647710B1 KR 1020220069454 A KR1020220069454 A KR 1020220069454A KR 20220069454 A KR20220069454 A KR 20220069454A KR 102647710 B1 KR102647710 B1 KR 10264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oor
fixing bracket
adhesive pla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8771A (ko
Inventor
이상춘
Original Assignee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102022006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710B1/ko
Priority to PCT/KR2022/016419 priority patent/WO2023238994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1a)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지지바(1b)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도어스토퍼(1)를 무볼팅방식으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은 탄성편과 사각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이 간격유지편이 가조립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완충패드가 간격유지편에 의해 고정브라켓 가장자리부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도어스토퍼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접착플레이트(10), 간격유지편(20), 이너격실(30), 체결관(40), 가조립모듈(50), 완충패드(6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Adhesive door stopper installation system}
본 발명은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편과 사각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이 간격유지편이 가조립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완충패드가 간격유지편에 의해 고정브라켓 가장자리부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도어스토퍼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어스토퍼는 현관 도어 내측면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지지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도어 하단에 나사로 고정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지지바가 설치되며, 지지바 단부에 고무 재질의 패드가 설치되어 바닥에 접촉 지지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경우 지지바를 통하여 전달되는 도어 닫힘 방향 하중이 베이스와 도어를 고정하는 나사에 집중되어 나사가 탈락되거나 베이스에 유격이 발생되어 도어스토퍼 기능이 상실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641584호에서, 도어와 맞닿는 결합면을 형성하고 있는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면의 내측면 좌, 우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함몰부와 상기 한쌍의 함몰부 내측에 형성되며 볼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되, 상, 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위치는 볼트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위치로 연장될수록 볼트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1, 2 위치 조정홈을 형성한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과 상기 결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하측에 형성되는 패드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스토퍼의 사용시 패드지지부에 탄성력 부가시 패드지지부의 하측면과 바닥면과의 밀착력 향상 및 도어 스토퍼의 작동시 결합 브라켓과 페달 간의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에 소음 저감 및 훼손을 방지하려는 것이나, 구조가 복잡하면서 부품의 다분화로 제조단가 높아 가격 경쟁력이 없고, 결합 플레이트를 도어에 나사못으로 체결해야 하므로 도어가 손상됨과 더불어 드릴을 포함하는 전용 공구가 없는 일반 가정에서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탄성편과 사각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이 간격유지편이 가조립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완충패드가 간격유지편에 의해 고정브라켓 가장자리부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도어스토퍼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브라켓(1a)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지지바(1b)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도어스토퍼(1)를 무볼팅방식으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도어에 부착되도록 일면에 접착면(12)이 형성되는 접착플레이트(10); 상기 접착플레이트(10) 다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a)의 가장자리부 영역을 국부적으로 받침 지지하고,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를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편(20); 상기 간격유지편(20)에 의해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에 격리구획을 형성되는 이너격실(30);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돌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a)의 장착홀(H)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42)와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관(40); 상기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을 끼움 결합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조립모듈(50); 및 상기 고정브라켓(1a) 일면에 설치되어,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에 접지되도록 구비되는 완충패드(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너격실(30) 내부는 격판(32)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격판(32)은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조립모듈(50)은, 상기 고정브라켓(1a)에 형성되는 사각홀(52)과, 사각홀(52)에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사각홀(52)에 양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54)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사각홀(52) 세로방향 폭 대비 축소된 사이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걸림편(56)이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편(54)을 사각홀(52)에 끼움 결합한 상태로 고정브라켓(1a)을 하향 이동하면, 걸림편(56)이 고정브라켓(1a) 이면에 걸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54)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편(54)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걸림편(57)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57)은 사각홀(52)에 삽입되어 고정브라켓(1a) 이면에 걸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위치결정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홈(14)은 접착플레이트(10) 두께 기준 80~95% 깊이로 형성되어 나사못 체결위치를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팅부재(70)는, 일단이 접착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는 받침편(71)과, 접착플레이트(10)와 받침편(71)이 연결되는 경계부에 음각홈으로 형성되는 커팅라인(72)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편(71)이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한 후, 커팅라인(72)을 경계로 받침편(71)을 꺽어서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팅부재(70)는, 접착면(12)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75)와, 이형지(75)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3~10mm 위치에 횡방형으로 형성되는 파단선(76)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75)는 파단선(76)을 경계로 상, 하부시트(75a)(75b)로 구분되고, 상기 이형지(75)의 상부시트(75a)를 접착면(12)에서 분리한 후, 파단선(76)을 경계로 180°하향 절곡한 상태로 상부시트(75a) 하단부를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하고, 이형지 상부 영역을 하방향으로 당겨서 이형지 하부영역을 접착면에서 분리하도록 구비되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탄성편과 사각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이 간격유지편이 가조립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완충패드가 간격유지편에 의해 고정브라켓 가장자리부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도어스토퍼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접착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가조립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세팅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접착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가조립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의 세팅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1a)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지지바(1b)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도어스토퍼(1)를 무볼팅방식으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은 탄성편과 사각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과 간격유지편이 가조립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완충패드가 간격유지편에 의해 고정브라켓 가장자리부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도어스토퍼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접착플레이트(10), 간격유지편(20), 이너격실(30), 체결관(40), 가조립모듈(50), 완충패드(6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플레이트(10)는 도어에 부착되도록 일면에 접착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생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플레이트(10) 일면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되고, 접착테이프는 이형지에 의해 마감되어, 현장 설치시 이형지를 제거하면 접착면(12)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편(20)은 상기 접착플레이트(10) 다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a)의 가장자리부 영역을 국부적으로 받침 지지하고,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를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편(20)은 도 1과 같이 도어스토퍼(1)의 고정브라켓(1a)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편(20)에 의해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가 이격되고, 이격된 거리만큼 후술하는 체결관(40)이 돌출되어 볼트(42) 체결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너격실(30)은 상기 간격유지편(20)에 의해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에 격리구획을 형성된다.
상기 이너격실(30)은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이 비접촉 상태로 이격된 공간부로서, 간격유지편(20)과 함께 격리된 구획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완충패드(60)와 함께 도어스토퍼(1)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이너격실(30)에 의해 고정브라켓(1a) 가장자리부 영역이 간격유지편(20)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완충패드(60)를 국부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완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관(40)은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돌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a)의 장착홀(H)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42)와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결관(40)은 고정브라켓(1a)의 장착홀(H)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어 볼트(42)가 진입하면서 암나사부를 형성하며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조립모듈(50)은 상기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을 끼움 결합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조립모듈(50)은, 상기 고정브라켓(1a)에 형성되는 사각홀(52)과, 사각홀(52)에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사각홀(52)에 양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54)을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54) 폭은 사각홀(52) 폭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시 탄성편(54)이 탄성 변형되면서 사각홀(52)에 억지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편(54)과 사각홀(52)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브라켓(1a)이 간격유지편(20)과 일치하도록 가조립되어, 누구나 손쉽게 도어스토퍼(1)를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54)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사각홀(52) 세로방향 폭 대비 축소된 사이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걸림편(56)이 세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도 3과 같이 상기 탄성편(54)을 사각홀(52)에 끼움 결합한 상태로 고정브라켓(1a)을 하향 이동하면, 걸림편(56)이 고정브라켓(1a) 이면에 걸림 결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고정브라켓(1a)과 접착플레이트(10) 간에 체결력이 보강되어, 도어스토퍼(1)에 고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고정브라켓(1a)의 유동 및 탈락현상이 방지된다.
도 4에서, 상기 탄성편(54)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탄성편(54)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걸림편(57)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57)은 사각홀(52)에 삽입되어 고정브라켓(1a) 이면에 걸림 결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조립모듈(50)에 의해 고정브라켓(1a)과 접착플레이트(10)가 가조립된 상태로 걸림편(57)에 의해 결속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에 상기 도어스토퍼(1)를 도어에 설치하는 중에 고정브라켓(1a)의 유동이 방지되어 누구나 손쉽게 정위치에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패드(60)는 상기 고정브라켓(1a) 일면에 설치되어,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에 접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완충패드(6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패드(60)는 고정브라켓(1a)과 간격유지편(20)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스토퍼(1)를 접철 작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반복적인 충격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볼트(42) 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이너격실(30) 내부는 격판(32)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격판(32)은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격판(32)에 의해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이 상호 의존적으로 보강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기 완충패드(60)가 격판(32)에 의해 받침 지지면적이 확장되어 도어스토퍼(1) 접철 작동에 따른 충격 흡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위치결정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홈(14)은 접착플레이트(10) 두께 기준 80~95% 깊이로 형성되어 나사못 체결위치를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접착플레이트(10)의 접착면(12)에 의해 접착력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 위치결정홈(14)을 통하여 나사못을 추가로 체결하여 결속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팅부재(70)는, 일단이 접착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는 받침편(71)과, 접착플레이트(10)와 받침편(71)이 연결되는 경계부에 음각홈으로 형성되는 커팅라인(7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받침편(71)은 접착플레이트(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받침편(71)이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한 후, 커팅라인(72)을 경계로 받침편(71)을 꺽어서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받침편(71)에 의해 접착플레이트(10)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됨에 따라 가정에서 누구나 손쉽게 자가 설치 가능한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6에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팅부재(70)는, 접착면(12)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75)와, 이형지(75)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3~10mm 위치에 횡방형으로 형성되는 파단선(76)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지(75)는 파단선(76)을 경계로 상, 하부시트(75a)(75b)로 구분되고, 접착면(12)에서 상부시트(75a)가 국부적으로 분리되어 파단선(76)을 경계로 하방향으로 접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단선(76)은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부와 연결부를 반복 배치하여 이형지(75)의 상부시트(75a)를 정확하게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도 6 (a)처럼 상기 이형지(75)의 상부시트(75a)를 접착면(12)에서 분리한 후, 파단선(76)을 경계로 180° 하향 절곡하고, 도 6 (b)와 같이 상부시트(75a) 하단부를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하고, 이형지 상부 영역을 하방향으로 당겨서 이형지 하부영역을 접착면에서 분리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이형지(75)를 이용하여 접착플레이트(10) 설치 높이 및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됨에 따라 가정에서 누구나 손쉽게 자가 설치 가능한 편의성이 제공된다.
10: 접착플레이트 20: 간격유지편
30: 이너격실 40: 체결관
50: 가조립모듈 60: 완충패드
70: 세팅부재

Claims (8)

  1. 고정브라켓(1a)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지지바(1b)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를 지지하는 도어스토퍼(1)를 무볼팅방식으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도어에 부착되도록 일면에 접착면(12)이 형성되는 접착플레이트(10);
    상기 접착플레이트(10) 다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a)의 가장자리부 영역을 국부적으로 받침 지지하고,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를 이격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간격유지편(20);
    상기 간격유지편(20)에 의해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 사이에 격리구획을 형성되는 이너격실(30);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돌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1a)의 장착홀(H)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42)와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관(40);
    상기 접착플레이트(10)와 고정브라켓(1a)을 끼움 결합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조립모듈(50); 및
    상기 고정브라켓(1a) 일면에 설치되어,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에 접지되도록 구비되는 완충패드(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조립모듈(50)은,
    상기 고정브라켓(1a)에 형성되는 사각홀(52)과,
    사각홀(52)에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사각홀(52)에 양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54)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54)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사각홀(52) 세로방향 폭 대비 축소된 사이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걸림편(56)이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편(54)을 사각홀(52)에 끼움 결합한 상태로 고정브라켓(1a)을 하향 이동하면, 걸림편(56)이 고정브라켓(1a) 이면에 걸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격실(30) 내부는 격판(32)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격판(32)은 간격유지편(20)과 체결관(4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격실(30)과 대응하는 접착플레이트(10)에 위치결정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홈(14)은 접착플레이트(10) 두께 기준 80~95% 깊이로 형성되어 나사못 체결위치를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팅부재(70)는,
    일단이 접착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는 받침편(71)과,
    접착플레이트(10)와 받침편(71)이 연결되는 경계부에 음각홈으로 형성되는 커팅라인(72)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편(71)이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한 후, 커팅라인(72)을 경계로 받침편(71)을 꺽어서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플레이트(10)는 세팅부재(70)에 의해 도어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팅부재(70)는,
    접착면(12)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75)와,
    이형지(75)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3~10mm 위치에 횡방형으로 형성되는 파단선(76)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지(75)는 파단선(76)을 경계로 상, 하부시트(75a)(75b)로 구분되고,
    상기 이형지(75)의 상부시트(75a)를 접착면(12)에서 분리한 후, 파단선(76)을 경계로 180°하향 절곡한 상태로 상부시트(75a) 하단부를 도어 개폐 반경과 대응하는 바닥면(G)에 접지되도록 접착플레이트(10)를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접착면(12)을 도어에 부착하고, 이형지 상부 영역을 하방향으로 당겨서 이형지 하부영역을 접착면에서 분리하도록 구비되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KR1020220069454A 2022-06-08 2022-06-08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KR10264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54A KR102647710B1 (ko) 2022-06-08 2022-06-08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PCT/KR2022/016419 WO2023238994A1 (ko) 2022-06-08 2022-10-26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54A KR102647710B1 (ko) 2022-06-08 2022-06-08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71A KR20230168771A (ko) 2023-12-15
KR102647710B1 true KR102647710B1 (ko) 2024-03-13

Family

ID=8911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454A KR102647710B1 (ko) 2022-06-08 2022-06-08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7710B1 (ko)
WO (1) WO202323899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84B1 (ko) * 2016-02-02 2016-07-29 하용환 도어용 지지장치
KR102128605B1 (ko) * 2019-02-20 2020-07-08 이상춘 방진 도어스토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896Y1 (ko) * 1985-03-22 1988-03-16 오소영 출입문용 멈춤구
US5771533A (en) * 1997-03-19 1998-06-30 Kuang-Pin; Wang Door stopping device
JPH11190163A (ja) * 1997-12-26 1999-07-13 Ikeda Bussan Kk ドアホールダー
JP2000160909A (ja) * 1998-12-02 2000-06-13 Mitsugi Nakae スイングドアの開放保持具
KR20110075590A (ko) * 2009-12-28 2011-07-06 진재진 측방향 회전식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84B1 (ko) * 2016-02-02 2016-07-29 하용환 도어용 지지장치
KR102128605B1 (ko) * 2019-02-20 2020-07-08 이상춘 방진 도어스토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71A (ko) 2023-12-15
WO2023238994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4301C (en) Alignment device
US20060125253A1 (en) Interlocking bumper mounting system
US5169127A (en) Guard rail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CN102256865B (zh) 车辆前端组件和方法
KR101289316B1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200490219Y1 (ko)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102647710B1 (ko) 접착식 도어스토퍼 설치시스템
KR100892666B1 (ko) 철도차량용 시트의 부착구조
JP2007510576A (ja) 車両用ドアのための、一体式ロック固定装置を有するユニットキャリア
KR102593735B1 (ko) 도어스토퍼 설치용 무타공 접착식 어뎁터
CN216921134U (zh) 一种扣合连接结构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KR20210094406A (ko) 새시용 호차
CN213807353U (zh) 一种角码组件和框体
CN210680381U (zh) 一种冷却模块用安装支架
CN212002691U (zh) 一种便于安装装饰盖板的锁具及连体锁
CN205498853U (zh) 用于前保险杠的侧安装支架
KR20150106785A (ko) 엘리베이터용 의장 패널 및 그의 고정 방법
JPH0578774U (ja) 壁パネル取付装置
KR101916072B1 (ko) 차량용 도어 구조
CN217630713U (zh) 一种环保型隐框玻璃幕墙龙骨的安装结构
CN219749957U (zh) 翼子板安装结构总成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