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606B1 -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 Google Patents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606B1
KR102647606B1 KR1020170170344A KR20170170344A KR102647606B1 KR 102647606 B1 KR102647606 B1 KR 102647606B1 KR 1020170170344 A KR1020170170344 A KR 1020170170344A KR 20170170344 A KR20170170344 A KR 20170170344A KR 102647606 B1 KR102647606 B1 KR 102647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voltage
tester
speed
engin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956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6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4Testing the effects of speed or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Adjustable Speed Limitation Device: ASLD)용 시험기에 관한 발명입니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가면서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성능을 시험해야 했으나, 시험에 정해져 있는 규정을 정확히 지키기 어려웠고, 반복재현도 힘들었습니다. 본 발명은 가속 페달 센서와 엔진 제어기 사이에 설치되어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전압을 엔진 제어기에 전달하면서,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 운전자의 발목 감각을 대체해서 가속페달을 조절하는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를 제안합니다.

Description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TEST EQUIPMENT FOR ADJUSTABLE SPEED LIMIT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는 장치에 관하며, 특히 최고속도제한장치에 관련한다.
최고속도제한장치란 차량에 공급되는 연료 등을 제어하여 속도를 제한하는 장치 또는 기능을 말하며, 제한속도 고정형과 조절형으로 나뉘는데,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Adjustable Speed Limitation Device: ASLD)의 시험방법 및 요구성능에 대해, 안전기준은 2011년 국토해양부고시 시행세칙(이하, ASLD 법규)이 공포되었고, 안전도평가로는 2016년에 국토교통부에서 시험규정이 공포되었다.
ASLD 법규의 내용에 따르면 먼저 시험자동차의 가속시험을 한다. 시험자동차의 ASLD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두 가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속제어장치의 답력 또는 위치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에 시험자동차의 시험자가 선택한 임의의 조절제한속도를 결정하고, 그 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와, 그 속도보다 20% 높은 속도(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 중 더 높은 속도값에 도달할 수 있는 답력 또는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ASLD 작동에 따른 속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ASLD를 작동시키고 임의의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로 주행하면서 임의의 조절제한속도를 설정한다. 20% 높은 속도인 가속제어장치의 답력 또는 위치까지 1±0.2 초 이내에 증가시켜 차량을 가속시킨 후, 속도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리고, 안정된 후 최소 30초간 유지하면서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시험자동차의 시간, 순간속도 및 속도변화율 등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측정한 속도변화가 ASLD법규를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하는데, 측정한 값들 중 최고속도는 안정속도의 105% 이하여야 하며, 추가적으로 속도변화율 등에 대한 판정기준들과 비교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ASLD 법규의 시험은 운전자가 시험자동차를 운전하며 주행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시험 주행 중인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서 진행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절차를 지키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 여러 번 시험을 하는 경우 반복 재현도 어렵다. 사람의 발로 가속제어장치를 조작할 경우에는 사전에 측정해 둔 답력 또는 위치 두 개를 유지하는 것과, 첫 번째 답력 또는 위치에서 두 번째 답력 또는 위치까지 1±0.2 초 이내라는 시간을 맞춰서 증가시키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자동차는 가속제어장치로 가속페달을 사용하는데, 매번 시동 걸 때마다 조금씩 변경되는 가속페달의 기준위치(Full released position)를 고려하면서 가속제어장치의 답력을 결정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더욱이 주변 환경의 변화, 예를 들면 시험장의 평균 및 최대 풍속의 제한 등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데, 정확한 시험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번 되풀이하여 진행을 해야만 하는 부작용이 일어난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한 끝에 보다 효과적으로 시험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SLD가 장착된 차량을 시험할 때에 운전자가 발목의 감각으로 가속페달을 조절하는 것을 대체하는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면, 마치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것처럼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내서 ASLD 법규에 규정된 시험절차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시험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방식으로 가속페달과 엔진제어기 사이에 본 발명의 새로운 장치를 설치해서 ASLD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하더라도, 기술적인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있다. 특별한 제약조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시험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국면은 가속 페달 센서와 엔진 제어기 사이에 설치되는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Adjustable Speed Limitation Device: ASLD)용 시험기로서, 상기 시험기는: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구간에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 전압을 반복 측정하여 그 전압으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제1동작;
가속 페달인 것처럼 상기 엔진 제어기로 보낼 출력값을 상기 기준위치에 맞추는 제2동작;
임의로 선택되는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조절제한속도보다 20% 높은 속도 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2 전압으로 결정하여 기억시키는 제3동작; 및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맞춘 후, 상기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킨 후에 1±0.2 초 동안 선형적으로 증가시켜서 상기 제 2 전압에 이르도록 하여 일정 시간 유지시키면서 미리 정해진 시험 값을 측정하는 제4동작을 포함하여 실행함으로써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 운전자의 발목 감각을 대체해서 가속페달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를 이용하며, 상기 제2동작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시험기는:
각 동작을 선택하는 복수의 푸쉬 버튼과,
동작의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시험 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구간에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 전압을 측정하여 그 전압으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단계;
(b) 가속 페달인 것처럼 상기 엔진 제어기로 보낼 출력값을 상기 기준위치에 맞추는 단계;
(c) 임의로 선택되는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조절제한속도보다 20% 높은 속도 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2 전압으로 결정하여 기억시키는 단계;
(d)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맞춘 후, 상기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킨 후에 1±0.2 초 동안 선형적으로 증가시켜서 상기 제 2 전압에 이르도록 하여 일정 시간 유지시키면서 미리 정해진 시험 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 운전자의 발목 감각을 대체해서 가속페달을 조절하여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대부분 국가에서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ASLD 법규에 규정되어 있는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성능 시험을 매우 쉽고 또한 정확히 반복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둔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SLD 시험기(100)의 개략적인 구성과 시험 자동차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SLD 시험기(100) 더욱 상세한 전자적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의 ASLD 시험기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고속도제한장치(ASLD) 시험기가 차량의 어떤 위치에 설치되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개략적이고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는 시험 자동차(1) 안의 가속페달모듈(APM: 20)과 엔진 제어기(ECM: 10, 이하 엔진 제어기로 약칭한다) 사이에 설치된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엔진 제어기(10)은 엔진 룸에 있고, 그 외의 구성요소들과 시스템은 시험 자동차(1)의 승객 룸에 구성된다.
엔진 제어기(10)는 엔진 및 차량의 각종 센서들의 신호를 받아 액츄에이터들을 구동해서 엔진을 제어한다.
가속페달 모듈(20)은 일반적으로 가속페달(2)과 두 개의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가속페달 센서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가속페달모듈(20)과 가속페달(2)을 분리해서 나타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다(이것은 같은 구성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나타내도 좋다, 도 2에 대한 설명부터는 가속페달이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기재한다).
운전자의 발(3)에 의해 가속페달(2)의 위치가 변경되면 가속페달(2)의 각도가 변한다. 이 각도 변화에 따라 가속페달 센서의 저항값이 변경되며, 센서가 감지한 신호는 엔진 제어기(10)로 전달되는 구성이다. 엔진 제어기(10)와 가속페달 모듈(20)은 서로 커넥터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가속페달 모듈(20)과 엔진 제어기(10) 사이에 ASLD 시험기(100)가 위치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커넥터 연결 구조에 변형이 생긴다.
즉, 가속페달 모듈(20)의 수커넥터(21)와 엔진 제어기(10)와 연결된 와이어하네스의 암커넥터(11) 사이에 ASLD 시험기(100)의 커넥터(150)가 암커넥터(153) 및 수커넥터(151)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이들 커넥터에 표시된 숫자는 핀의 개수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가속페달 센서에는 가변저항이 두 개 들어 있고, 가변저항 1개에는 5V의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로 이루어지는 3개의 핀이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결과적으로 커넥터(11, 21, 151, 153)에는 각각 6개의 핀이 있는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에는 예컨대 스티어링에 운전자를 위한 복수의 버튼 모듈(30)이 설치되어 있다. INC 버튼은 ECM(10)에 내장된 ASLD 기능의 제한속도 설정값을 증가시키는 버튼, DEC 버튼은 설정값을 감소시키는 버튼, RES 버튼은 일시정지중인 ASLD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는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s) 커넥터(40)와 연결된다. OBD는 차량에 설치된 진단기로서 자동차 배출가스 자기진단을 위해 설치되기 시작했으나, 오늘날 차량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ECM(10)으로 전달된 다양한 정보나 고장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표준화된 방법으로 전달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16핀 암커넥터로 표준화되어 있는 OBD 커넥터(40)에 수 커넥터를 연결한 다음에 ASLD 시험기(100)를 OBD 커넥터(40)에 연결시켰다. 이렇게 해서 차량의 전원과 신호를 ASLD 시험기(100)에 전달할 수 있다.
ASLD의 시험기(100)는 엔진 제어기(10)의 커넥터(11) 및 가속페달 모듈(20)의 커넥터(21)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들(151, 153)을 갖는 커넥터(150)의 매개 커넥터(154, 156)이 설치된다.
이러한 ASLD 시험기(100)는 마이컴(110), 스위치 모듈(120), 표시부(130) 및 CAN 트랜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ASLD 시험기(100)는 엔진 제어기(10)에 가속페달 센서 신호를 흉내 내서 전달한다.
ASLD 시험기(100)의 자세한 구성과 원리는 도 2가 예시하여 나타낸다.
가속페달(20)의 가속페달 센서(25, 26)는 기준전압을 엔진 제어기(10)에서 받는다. 가속 페달(20)에 들어 있는 가속페달 센서(25, 26)는 가변저항으로 이뤄져 있으며, 안전을 위해 두 개의 가변저항을 사용한다. 운전자가 발로 밟아 가속페달을 누르면 위치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한다. 예를 들어, 눌려지는 각도의 범위를 60도로 가정하면, 가속페달 센서(25)는 1~10 사이의 변화, 가속페달 센서(26)는 1~20 사이의 변화를 센싱하도록 하고, 이 두 개의 가속페달 센서(25, 26)의 출력값의 비율이나 경향이 동일한지 엔진 제어기(10)가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도 2의 구성에서, 가속페달 센서(25, 26)는 가속페달의 각도에 따라 저항이 변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기(10) 내부의 저항과 병렬로 정해지는 저항값에 따라 분압된 전압을 출력한다. 이 전압이 엔진 제어기(10)의 ADC(1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가속페달 센서(25, 26)의 엔진 제어기(10)로 전달되는 전압(VOUT1, VOUT2)은 회로 구성처럼 마이컴(110)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가속페달 센서(25, 26)에서 나오는 전압(운전자가 발로 페달을 밟아서 생기는 전압)이 엔진 제어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마이컴(110)은 VOUT1(161)의 전압값을 ADC 포트로 피드백 받는다(170).
또한 스위치(121, 122, 123) 버튼에 의해 마이컴(110)이 만들어 내는 전압이 엔진 제어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121, 122, 123)는 시험기의 각 단계별 이동을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푸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121)은 선택버튼, 스위치(122)는 증가버튼, 스위치(123)는 감소버튼이 된다.
ASLD 시험기(100)는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값을 그대로 통과시킬 것인지, 또는 시험기 발생시키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 출력값으로 대체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릴레이들이 있으며, 마이컴(110)은 이들 릴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부(130)는 7 Segment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시험기가 어느 단계에 머물고 있는지, 그리고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값과 시험기의 DAC 출력값 중 어느 값을 출력하고 있는지를 표시해 준다.
도 2의 Reprog PC(301)는 본 발명의 시험기(100)의 내부 프로그램 로직을 Reprogramming하여 최적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Message CAN(303)은 차량 내의 각종 ECU(Electric Control Unit)들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CAN에 연결되어 수행되는 CAN 통신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CAN 트랜시버(140)는 마이컴(110)이 CAN 통신할 수 있도록 전압레벨의 변환을 도와준다.
마이컴(110)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예시되어 있는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가 도 3 및 도 4에 의해 제시되는 일련의 정해진 동작을 제어한다. 시험기(100) 내부에는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값을 그대로 통과시킬 것인지, 또는 시험기가 발생하는 DAC 출력값으로 대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릴레이들이 포함되며, 마이컴(110)은 이들 릴레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 센서(25, 26)이 구성된 가속페달(20)과 엔진 제어기(10) 사이에 설치된다. ASLD 시험기(100)의 커넥터를 OBD 커넥터(40)에 연결하며, 동시에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151, 153)로 가속페달(20)의 커넥터(21) 및 엔진 제어기(10)의 커넥터(11)에 접속한다.
ASLD 시험기(100)의 마이컴(110)은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페달 센서의 기준위치 전압을 ADC(Analog Digital Converter)로 읽어 들여 평균값을 구한다. 그런 다음에 시험기(100)의 DAC로 내보내는 출력값을 연결되어 있는 엔진 제어기(10)가 기준위치 전압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하고 조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ASLD 시험기(100)의 선택버튼을 이용해서 임의로 선택한 조절제한속도(운전자가 자동차의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자동차의 속도를 말한다)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을 결정한다. 전술한 스위치 버튼(122, 123)을 이용해서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면서 맞춘다.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하는 전압이 확인되면, 스위치 버튼(121)을 눌러서 그 특정전압을 제 1 전압으로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조절제한속도보다 20% 높은 속도(또는 조절제한속도보다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이 확인되면 선택버튼을 눌러서 그 특정전압을 제 2 전압으로 기억시킨다.
운전자는 전술한 스위치 버튼을 이용해서 상기 조절제한속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을 새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를 이용한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방법은,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 운전자의 발목 감각을 대체해서 가속페달의 전압값을 조절하여 시험하는 원리이다. 운전자가 실제로 가속페달을 밟을 때의 답력과 가속페달의 위치에 의해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ASLD 시험기(100)를 이용해서 운전자가 실제로 운전하는 것처럼 흉내 냄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시험할 수 있다.
도 3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를 이용한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시험 방법을 설명한다.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시험방법은 I 국면과 II 국면으로 나뉜다. I 국면에서는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ASLD 시험기(100)는 조절제한속도를 정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을 미리 결정한다. II 국면에서는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킨 다음에 엔진 제어기로 출력되는 전압을 증가시켜서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시험한다. 이러한 I 국면과 II 국면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조절제한속도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이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을 측정한다(1). 그 측정된 값이 제 1 전압이다. 다음으로 조절제한속도보다 20% 높은 속도 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을 측정한다(2). 측정된 값이 제 2 전압이다.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킨 후에 엔진 제어기로 전달되는 가속페달의 전압을 제 1 전압에 맞춘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고속도제한장치가 시험 차량이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로 주행하는 것처럼 판단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시험기의 가속페달 출력전압을 1±0.2 초 동안 선형적으로 증가시킨다(3).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출력 전압이 제 2 전압에 이르도록 한 다음에 30초간 해당 전압 출력을 유지한다(4).
이 상태에서 0.1초 이상의 간격으로 시험 차량의 시간, 순간속도 및 속도변화율 등을 측정해서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결과 기록표를 작성하게 된다(시험값 측정).
또한 바람직하게는 (1)~(4) 단계를 반복해서 다른 조절제한속도에 대한 시험값 측정 단계를 수행한다.
도 4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를 작동시켜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방법의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다시 한 번 정리해서 나타냈다.
본 발명의 ASLD 시험기(100)를 시험 자동차의 OBD 커넥터에 연결한다(S100). 전원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기 내부의 릴레이들은 초기 위치로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값을 그대로 엔진 제어기로 전달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시험기(100)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페달 센서의 기준위치 전압을 측정한다(S110). 그런 다음에 시험기의 릴레이를 전환시켜 DAC(Digital Analog Converter)의 출력값을 엔진 제어기로 보내서 시험기의 출력을 기준위치 전압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한다.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DAC의 출력값을 수정한다. 시험기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속페달 센서의 출력값 대신 자동차의 주행이 원활한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을 결정한다(S120). 제 1 전압은 임의로 선택한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 값이며, 제 2 전압은 조절제한속도보다 20%(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 높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전압 값이다.
시험기의 설정이 완료되면, 시험 자동차의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성능을 시험하게 된다. 최고속도제한장치의 성능을 시험하는 데 필요한 조절제한속도,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 조절제한속도보다 20%(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 높은 속도로 시험 자동차를 주행시킬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졌다. 운전자가 시험 자동차의 가속페달을 밟아서 실제로 주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시험기가 엔진 제어기로 전압을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제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온 시킨 다음에 ASLD 시험기의 출력 전압을 1±0.2 초 동안 빠르게 선형적으로 증가시킨다(S130). 그렇게 해서 제 2 전압 값에 이르게 한 다음에 30초 동안 해당 전압 출력을 유지한다(S140). 이 S140 단계에서 정해진 시험 값을 측정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Adjustable Speed Limitation Device: ASLD)용 시험기로서, 상기 시험기는:
    가속 페달의 커넥터 및 엔진 제어기의 와이어하네스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고, 차량의 OBD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과 신호를 전달받도록 설치되되, 상기 가속 페달의 커넥터 및 상기 엔진 제어기의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들(151, 153)과 이 커넥터들(151, 153)들이 연결되는 매개 커넥터(154, 156)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속 페달의 가속페달 센서는 가속 페달의 각도에 따라 변하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며, 내장된 마이컴을 통해 상기 엔진 제어기 내부의 저항과 병렬로 정해지는 저항값에 따라 분압된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며,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구간에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 전압을 측정하여 그 전압으로 가속페달의 기준위치를 정하는 제1동작;
    가속 페달인 것처럼 상기 엔진 제어기로 보낼 출력값을 상기 기준위치에 맞추는 제2동작;
    임의로 선택되는 조절제한속도보다 10km/h 낮은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조절제한속도보다 20% 높은 속도 또는 최대 20km/h를 더한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2 전압으로 결정하여 기억시키는 제3동작; 및
    상기 최고속도제한장치를 작동시킨 후에 가속페달의 출력전압을 제 1 전압으로 맞춘 후 1±0.2 초 동안 선형적으로 증가시켜서 상기 제 2 전압에 이르도록 하여 일정 시간 유지시키면서 미리 정해진 시험 값을 측정하는 제4동작을 포함하여 실행함으로써
    최고속도제한장치 시험 시 운전자의 발목 감각을 대체해서 가속페달을 조절하며,
    상기 제1동작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를 이용하며, 상기 제2동작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를 이용하는 것이며, 상기 마이컴은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 페달 센서의 기준위치 전압을 상기 ADC로 읽어 기준 위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DAC의 출력값을 상기 엔진 제어기로 보내서 상기 시험기의 출력을 기준 위치 전압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하여,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DAC의 출력값을 수정하는 것인,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0344A 2017-12-12 2017-12-12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KR102647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344A KR102647606B1 (ko) 2017-12-12 2017-12-12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344A KR102647606B1 (ko) 2017-12-12 2017-12-12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56A KR20190069956A (ko) 2019-06-20
KR102647606B1 true KR102647606B1 (ko) 2024-03-13

Family

ID=6710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344A KR102647606B1 (ko) 2017-12-12 2017-12-12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20B1 (ko) * 2020-08-13 2022-03-21 주식회사 스카이오토넷 속도제한구역에서의 차량 안전통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923A (ja) * 2006-01-26 2007-08-09 Toyota Motor Corp 試験装置
JP5270666B2 (ja) 2007-05-04 2013-08-21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車両運転を模擬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79355B1 (ko) 2016-02-29 2017-09-18 전광섭 전자식 액셀 페달을 이용한 차량의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45B1 (ko) * 2016-03-18 2024-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챠량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성능 시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923A (ja) * 2006-01-26 2007-08-09 Toyota Motor Corp 試験装置
JP5270666B2 (ja) 2007-05-04 2013-08-21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車両運転を模擬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79355B1 (ko) 2016-02-29 2017-09-18 전광섭 전자식 액셀 페달을 이용한 차량의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N Regulation No.89 Rev.1/Add.88/Amend.1(2002.1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56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6885B (zh) 一种电动汽车性能试验的自动驾驶控制方法及系统
CN102248948B (zh) 自检测系统和方法
CN105092260B (zh) 车辆测试系统、车辆部件测试装置和车辆测试方法
CN103134691B (zh) 加速踏板故障检测系统和方法
CN102333975B (zh) 动力传动控制器以及相关存储设备
JPH10507805A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887903B1 (ko) 저항성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
CN108663217A (zh) 一种基于整车模拟运行的发动机台架对标方法
WO2014118327A1 (en) Vehicle diagnostics apparatus and method
CN104417531B (zh) 车辆
KR102647606B1 (ko) 제한속도 조절형 최고속도제한장치용 시험기
JPH10115247A (ja) 機関制御における測定値検出のモニタ方法及び装置
US77834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vehicle operation
JP2007198923A (ja) 試験装置
JP4476494B2 (ja) 自動車内の計算要素のモニタ方法および装置
KR101833617B1 (ko) 차량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71223A (ko) 새시 다이나모 자동화 제어장치
US11993249B2 (en) Vehicle testing system and vehicle testing method
US10175713B1 (en) Accelerating and braking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KR20120045271A (ko) 차량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150073238A (ko)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진단기의 시뮬레이션장치
KR100715105B1 (ko) 전자식 쓰로틀 제어 시스템에서 가속 페달 센서 접촉 저항진단 방법
JP4342286B2 (ja) 制御装置の評価装置
JP2013044649A (ja) 車両評価システム
JP4357411B2 (ja) 車両の走行模擬試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