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03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035B1
KR102647035B1 KR1020230022738A KR20230022738A KR102647035B1 KR 102647035 B1 KR102647035 B1 KR 102647035B1 KR 1020230022738 A KR1020230022738 A KR 1020230022738A KR 20230022738 A KR20230022738 A KR 20230022738A KR 102647035 B1 KR102647035 B1 KR 10264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evice
touch screen
clothing processing
ic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859A (ko
Inventor
이진아
홍경아
안수진
고소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0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859A/ko
Priority to KR1020240030549A priority patent/KR2024003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기능을 수행하는 제1의류처리장치, 제2기능을 수행하는 제2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기능과 연계된 제1아이콘 및 상기 제2기능과 연계된 제2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제1그래픽 객체와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통상적으로 본체에 구비되었으며, 기 결정된 행정만을 온/오프 방식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나 노브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도어와 컨트롤 유닛의 이분화는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에 저해가 되었으며,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가 저차원 방식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도어에 컨트롤 유닛을 위치시키고, 컨트롤 유닛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어와 터치스크린에 대한 일체화된 심미감 및 저비용으로 고급화된 감성을 불러올 수 있는 도어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아울러, 의류처리장치에서 구현되는 세탁 기능이 다양해 짐에 따라, 세탁물을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분리 세탁의 욕구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물을 속옷과 양말로 분리하거나, 색깔별로 분리하여 따로 세탁하고자 하는 사용자 욕구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부가 하나이기 때문에, 상기 욕구가 해결되려면 따로따로 여러 번 세탁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복수의 세탁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연구는 아직 미지한 실정이다. 세탁조마다 별도의 콘트롤 유닛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콘트롤 유닛을 일일이 확인하고 제어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세탁조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편의성 증대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나아가, 비용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의류처리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분리 세탁을 가능케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의류처리장치에 새로운 의류처리장치를 추가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이 포함된 의류처리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마다 별도의 콘트롤 유닛이 존재하기 때문에,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어에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윈도우와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때,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탁조 또는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탁조 또는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의 대상이 되는 상기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정확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세탁조(또는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사용자 행동에 근거하여 인공지능적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아도 해당 세탁조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에 기설정된 세탁기능뿐만 아니라,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된 새로운 세탁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제1 세탁조; 상기 제1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소정거리 이내에서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세탁조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그래픽 객체와 상기 제2 세탁조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거나 상기 연결이 해제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사라지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조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탁조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세탁조가 선택되면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세탁명령을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세탁명령에 대한 세탁 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기능이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에서 수행될 수 없음을 경고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알리는 진행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진행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1 세탁조를 이용한 세탁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영역에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제1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상기 세탁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제2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능이 완료되면, 상기 세탁기능이 완료되었음이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내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세탁기능의 완료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능이 완료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중지된 상기 제1 안내정보의 출력을 재개하며, 상기 제1 안내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기능의 완료정보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에서 상기 기능 종료에 따른 알림이 상기 소정시간이 지난 후 출력되도록, 출력 제한 명령을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 된 아이콘들을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탁조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세탁조는 상기 제1 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각각은 상기 제1 세탁조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되고,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각각은 상기 제2 세탁조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꺼져있던 디스플레이가 켜지면,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한 외부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세탁조에 대하여 차일드 락 기능(child lock function)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한 외부장치에서도 상기 차일드 락 기능이 실행되도록, 잠금 명령을 상기 제2 세탁조를 구비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커버에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된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투광 영역에 각각 윈도우부와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가 구성되어,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도어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제2투광 영역이 장방형의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의 제2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중 제2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시각정보의 출력을 제어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 다른 의류처리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예를 보인 예시도들.
도 7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행정이 실행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0a 및 도 10b는 각 의류처리장치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1a 및 도 11b는 사용자 행동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2는 차일드 락 기능(child lock function)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기설정된 세탁기능뿐만 아니라,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된 새로운 세탁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도어(12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16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는 본체(110) 및 도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16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16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16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의류 수용부는 '세탁조'로 호칭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드럼(15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15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112)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전원 버튼(170)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2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170)이 미구비되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어(120)는 힌지 유닛(140)에 의해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투입구(160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16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16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20)는 도어 수용부(160b)에 수용되고, 도어(12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11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120)가 도어 수용부(16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20)의 개방시 도어(120)가 본체(11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14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20)가 도어 수용부(16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2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0)의 일측에 힌지 유닛(14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20)의 타측에는 도어(120)를 본체(11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2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2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2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20)에는 윈도우(121) 및 디스플레이(122)가 구비된다.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121)는 의류 투입구(160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12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는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2)는 의류처리장치(100)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도어(120)의 분해 사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120)는 도어 프레임(130), 도어 윈도우(136), 디스플레이 모듈(128) 및 도어 커버(19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20)에는 본체(11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 유닛(140)이 장착되나, 본 도면에서는 힌지 유닛(140)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20)가 원형(정원형, 타원형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2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3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140)이 도어 프레임(130)과 본체(11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30)은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성들이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30)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 아우터 프레임(131)은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고, 이너 프레임(132)은 본체(110)의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 없이, 아우터 프레임(131)과 이너 프레임(132)은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각각 지칭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30)은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60a)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130a)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131b)를 구비한다. 제1개구부(130a)에 도어 윈도우(136)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개구부(130a)는 도어 윈도우홀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31b)에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2개구부(131b)는 디스플레이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개구부(131b)는 제1개구부(13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부(130a)는 아우터 프레임(13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31a)와 이너 프레임(13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3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131b)는 아우터 프레임(131)에 형성된다. 이너 프레임(132)의 후방측 개구(132a) 상에는 연통부(13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32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도어 프레임(13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36)는 제1개구부(13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36)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6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3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28)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8)은 제2개구부(131b)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22)에서는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130)에는 도어(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9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9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90)는 불투광 영역(193)과, 불투광 영역(193) 내에서 제1개구부(130a)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191) 및 제2개구부(131b)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19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91, 192)은 불투광 영역(19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2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과 도어 커버(19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191, 192)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커버에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된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투광 영역에 각각 윈도우와 디스플레이(또는 터치스크린)가 구성되어,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도어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어 커버(19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진 벤딩부에 의해 벤딩부 양측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커버(19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0)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광 영역(191)이 제1커버부와 벤딩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92)이 제2커버부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2투광 영역(192)은 제2개구부(131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90)가 도어 프레임(130)에 결합시 제2개구부(13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부(131b)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92)은 제2개구부(13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형의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122)가 제공될 수 있다.
원형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그 형태상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워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비용을 가지며,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형으로 보이는 터치스크린(122)이 제공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92)은 불투광 영역(193)에 의해 감싸지므로,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스크린(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외곽 이미지는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122)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28) 중 제2투광 영역(19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뿐만 아니라 외곽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12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12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12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어 커버(19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22)는 터치 센서(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12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2)은, 의류처리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은 디스플레이(12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또는 터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22)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12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122)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스크린(122)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스크린(122)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12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12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제어부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제어부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스크린(122)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touch), 스와이프 터치(swype touch),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2)은 제2투광 영역(192)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22)이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제2투광 영역(192)과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치스크린(122)의 터치 센싱 영역은 제2투광 영역(19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까지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9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93)의 일부를 이용한 다양한 UI 또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터치 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터치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90)와 디스플레이 모듈(1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필름으로 기 공지된 ITO 필름(Indium-Tin Oxide film), CNT 필름(Carbon Nano Tube fil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필름이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FF(Glass-Film-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28)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필름이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1F(Glass-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 커버(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별도의 터치필름 없이 메탈 와이어가 도어 커버(190)의 후면에 직접 패터닝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28)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on-cell),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cell).
한편,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22)이 도어(120)에 구비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120)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22)은 본체(110)의 일 면에 구비되고, 상기 일 면은 본체(110)에서 전원 버튼(170)이 배치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22)이 도어(120)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차원을 넘어서, 세탁조를 구비하는 다른 의류처리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세탁, 탈수, 건조 등의 행정을 연동하여 수행하는 의류처리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하, 의류처리시스템 상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 다른 의류처리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의류처리시스템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을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시스템에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포함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들을 포함한 의류처리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도 1a 내지 도 2의 의류처리장치(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본체(210), 상기 제1 본체 내에 구비되는 제1 세탁조(260), 상기 제1 세탁조를 개폐하는 제1 도어(220), 상기 제1 도어(220)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222) 그리고 윈도우(221), 제1 출력부(240), 제1 통신부(250), 전원 버튼(270) 및 제1 제어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기준으로 '외부장치'에 해당하며, 상기 제1 세탁조(260)와 다른 제2 세탁조(36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200)는 탑로딩 형태의 세탁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제1 세탁조(26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세탁장치라면,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제2 세탁조(360)가 상기 제1 회전축과 교차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장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옷, 속옷 등과 같이 따로 구분하여 세탁이 필요하거나, 소량의 세탁물들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그 이외의 세탁물을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세탁할 수 있다.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 본체(310), 상기 제2 본체(310) 내로 인입되거나 제2 본체(3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 하우징(330), 드로워 하우징(330)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세탁조(360)를 구비한다.
드로워 하우징(330)은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전방향을 향하여 제2 본체(310)에 형성된 개구부(312)를 통하여 제2 본체(310)로 인입되거나 제2 본체(3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2 세탁조(360)는 드로워 하우징(330) 내에서 제2 세탁조(360)의 외측에 구비된 제2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 하우징(330)의 전방에는 커버 패널(33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패널(331)은 드로워 하우징(3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패널(331)에는 드로워 하우징(330)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3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패널(331)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7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로워 하우징(330)의 상부에는 제2 세탁조(36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홀(365) 및 제2 세탁조(360) 내로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는 제2 도어(36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어(363)의 일측에는 제2 도어(363)를 당겨서 열기 위한 손잡이(36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에 포함된 각각의 출력부(240,3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서 제1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1 행정의 종료를 알리는 알림음이 제1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제2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2 행정의 종료를 알리는 알림음이 제2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신부(250,350)는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를 상호 유/무선으로 연결시키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부(280,380)는 각각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와 소정 거리 이내에서 위치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상호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며, 통신 방법에 따라 상기 소정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설치 위치를 상향시켜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 상태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아서 상기 컨트롤 패널(370)을 조작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222)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구비된 제1 제어부(280)는 세탁조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10).
상기 외부장치는 도 3에서 상술한 '제2 세탁조(360)를 구비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일 수 있으며, 세탁조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제2 의류처리장치(3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케이블을 통해 제1 의류처리장치(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하여 제1 의류처리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제1 통신부(250)를 구비하고,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제2 통신부(350)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통신부(250,35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는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제어부(280,380) 각각은 상호 연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80)는 시각정보가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하는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가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연결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1 제어부(280)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여부는 터치스크린(222)이 켜져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이 해제되어 있다가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의류처리장치(200)가 대기상태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전원이 꺼져있다가 켜지는 경우와 같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연결 여부는 비정기적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연결 여부에 따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되는 서로 다른 정보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 사이의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다.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또는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출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서 구동되는 세탁, 탈수, 건조 등의 행정에 연계된 아이콘들(또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제1 제어부(280)는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을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한다(S430). 터치스크린(222)이 켜져있는 동안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되게 된다.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중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을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한편,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연결된 경우,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사용자 사이의 입출력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구동되는 세탁, 탈수, 건조 등의 행정에 연계된 아이콘들(또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제1 제어부(28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22)의 크기가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두 표시되기에는 제한적이며,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모두 표시된다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많은 아이콘 중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찾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된 경우, 제1 제어부(280)는 제1 세탁조(260)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그래픽 객체와 제2 세탁조(360)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한다(S450).
다음으로, 제1 제어부(280)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고(S470), 감지된 터치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세탁조(260,360) 중 어느 하나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을 출력할 수 있다(S49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80)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및 제2 세탁조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탁조가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소화면의 터치스크린 효율적으로 사용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고, 제2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된다. 감지된 터치에 근거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 또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중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을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이와 달리,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중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실행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제2 세탁조(360)를 구비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세탁명령을 제2 의류처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제2 세탁조(360)를 이용하여 전송된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다가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제어부(280)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사라지고,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본 예시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정 의류처리장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컨트롤 유닛을 일일이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구체화된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5,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4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예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이러한 제어의 일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22)의 디스플레이가 꺼져있다가 켜지는 경우,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가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된다.
일 예로,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22)의 디스플레이가 켜지는 경우,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표시된다.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은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에 연계된 아이콘들로써,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제1 그룹에 포함된 각 아이콘들은 세탁, 탈수, 건조 등의 행정을 제1 세탁조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기능에 연계된다.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512)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아이콘들과 구별되도록, 선택된 아이콘은 하이라이트 처리된다.
본 도면은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22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터치스크린(222)의 중심에는 선택된 아이콘(512)에 연계된 기능을 설명하는 정보(514)가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터치스크린(222)의 중앙 영역에은 제1 아이콘과 관련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2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아이콘과 관련된 설명은 제2 아이콘과 관련된 설명으로 전환되게 된다.
본 예시에 의하면, 원형 디스플레이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는 아이콘들에 의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아이콘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들의 표시는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터치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콘의 설명이 터치스크린(222)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가 크게 바뀌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에는, 선택된 아이콘(512)에 연계된 기능으로 제1 세탁조(260)가 동작하게 하는 가상 동작 버튼(516)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터치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가상 동작 버튼(516)에 제2 터치가 가해지면, 선택된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소정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은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이루어지며, 각 페이지들에는 서로 다른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가 출력되는 중에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다른 하나의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터치입력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다른 하나의 페이지는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된 출력을 확인하고, 제1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22)의 디스플레이가 켜지는 경우,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그래픽 객체(520)와 제2 그래픽 객체(522)가 표시된다.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520,522)의 표시 위치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의 배치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의류처리장치(300)가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그래픽 객체(520)는 제2 그래픽 객체(522) 보다 상대적으로 위에서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그래픽 객체들이 어느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제어의 예로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520,522) 중 어느 하나에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그룹의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객체(520)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표시되며, 그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1 그룹에 포함된 각 아이콘들은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구비된 제1 세탁조(260)에 의하여 실행되는 기능에 연계된다.
제1 세탁조(260)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콘들이 제1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의 크기, 세탁조의 회전축, 세탁조에 투입되는 물을 일정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의 유무 등에 따라 제1 세탁조에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달라지므로, 그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도 달라지게 된다. 즉,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달라진다.
이와 달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래픽 객체(522)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터치스크린(222)에는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표시되며, 그에 따라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2 그룹에 포함된 각 아이콘들은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구비된 제2 세탁조(360)에 의하여 실행되는 기능에 연계된다.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 역시 제2 세탁조의 특성(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만약,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동일한 제품이면, 제1 및 제2 그룹은 동일한 아이콘들을 포함하게 된다.
제1 제어부(280)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로부터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그룹들 중에서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그룹을 제2 그룹으로 결정하거나, 기설정된 서버로부터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운로드 받은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제2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 또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출력이 제한된다.
한편,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과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에는 공통적으로 동일한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상 동작 버튼(516)이 공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에 포함된 가상 버튼은 제1 세탁조(260)를 동작하게 하거나 동작을 일시정지하게 하고,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에 포함된 가상 버튼은 제2 세탁조(360)를 동작하게 하거나 동작을 일시정지하게 한다. 즉, 동일한 모양의 아이콘이라고 할지라도 그에 연계된 기능은 서로 다른 세탁조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가상 설정 버튼(630)이 공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표시되든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표시되든, 가상 설정 버튼(630)이 함께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가상 설정 버튼(630)에 터치가 가해지면 설정 화면(미도시)이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경우,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제1 배경 이미지 상에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이와 달리,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는 경우, 터치스크린(222)에는 상기 제1 배경 이미지와 다른 제2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배경 이미지 상에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상기 제2 배경 이미지는 상기 제1 배경 이미지와 형상,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배경 이미지는 흑색으로 채워진 이미지이고, 제2 배경 이미지는 백색으로 채워진 이미지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그래픽 객체(520)의 배경은 흑색으로 채워진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제2 그래픽 객체(522)의 배경은 백색으로 채워진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픽 객체와 제어화면의 배경 이미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떤 그룹의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되고 있는지 또는 어느 세탁조가 선택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선택된 세탁조를 보다 분명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배경 이미지는 각각의 세탁조에 대응하는 텍스트, 동영상, 부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에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명칭이 포함되고, 제2 이미지에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명칭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그래픽 객체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또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으로 정의되고, 제2 그래픽 객체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또는,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정의를 만족하면 형태에 상관없이 제1 그래픽 객체 또는 제2 그래픽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출력되는 경우, 제2 그래픽 객체(62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은 제2 그래픽 객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그래픽 객체(62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이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임을 안내하며, 제1 제어부는 제2 그래픽 객체(620)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을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으로 전환한다. 즉,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사라지고,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은 제1 그래픽 객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객체(622)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이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임을 안내하며, 제1 그래픽 객체(622)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으로 전환된다.
한편, 제1 및 제2 그래팩 객체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1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와 관계없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기만 하면,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222)의 소정 영역에서 시작되어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22)의 12시 지점에서 시작되어 6시 지점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입력됨에 따라, 기존에 출력되는 화면을 덮는 커튼창(710)이 터치스크린(222)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내려오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커튼창(710)에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720,722)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720,722)은 투명한 이미지로 이루어져 기존에 출력되는 화면과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720,722)가 오버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존에 출력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가 보여지더라도, 상기 커튼창(710)에 대한 터치입력은 상기 커튼창(710)에 대한 제어명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커튼창(710)에 포함된 X 표시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커튼창(710)은 사라지고 기존에 출력되던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720,722)를 표시하게 하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어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720,722)가 항상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커튼창(710)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태정보에는 무선통신 온/오프 정보, 소리 온/오프 정보, 차일드 락 온/오프 정보, 설정된 기능에 대한 정보, 원격제어 온/오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설정과 관련된 기능의 온/오프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오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간단하게 온/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입력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켜져있는 터치스크린에서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지 않은 빈 공간을 연속적으로 복수 번 두드리는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꺼져있는 터치스크린의 소정영역을 연속적으로 복수 번 두드리는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터처스크린이 켜지면서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는 꺼져있는 중에도 터치스크린의 터치센서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켜져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 각각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이다.
의류처리시스템은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를 포함한다.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터치스크린(222)을 통해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마스터(master) 장치로 동작하고,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마스터 장치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슬레이브(slave)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제1 제어부(280)에 의하여 동작하고, 제2 의류처리장치(300)는 제2 제어부(380)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을 전제한다.
먼저,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S810).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고(S820),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에 대응하는 세탁명령을 제2 의류처리장치(300)로 전송한다(S830). 예를 들어, 제1 기능에 연계된 제1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기능에 대응하는 세탁명령이 전송되고, 제2 기능에 연계된 제2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 기능에 대응하는 세탁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즉, 세탁명령은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라도 상기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명령은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전원을 키게 하는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명령에 의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부(380)는 전송된 세탁명령에 응답하여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84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380)는 의류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의류투입구가 제2 도어(363)에 의하여 닫혀 있지 않은 경우, 세탁 불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행정이 이미 실행되고 있어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없는 경우,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제2 의류처리장치(300)의 특성에 맞지 않아 실행될 수 없는 기능인 경우,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이 요구하는 만큼의 의류가 제2 세탁조(360)에 들어있지 않은 경우 등이 세탁 불가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세탁 불가 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2 제어부(380)는 세탁 불가 메시지를 제1 의류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S850). 세탁 불가 메시지에는 세탁 불가 상태로 판단된 이유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80)는 세탁 불가 메시지에 응답하여 세탁 불가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S852).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가 가해진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수행될 수 없음을 경고하는 알림 정보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에는 세탁 불가 상태로 판단된 이유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도어(363)가 열려있어 세탁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알림 정보에 "제2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닫아 주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세탁 가능 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2 제어부(380)는 세탁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진행과정을 알리는 진행 메시지를 제1 의류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S860).
일 예로, 복수의 공정들로 이루어진 제1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공정들 중 어느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지, 수행되고 있는 공정의 진행률이 어떻게 되는지, 에너지, 물, 세제 등의 사용량은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정보가 상기 진행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80)는 상기 진행 메시지에 응답하여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S862).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알리는 진행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진행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안내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제어부(28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그룹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그에 연계된 기능을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세탁조(260)의 세탁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제1 안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세탁조(260)의 세탁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정보를 '제1 안내정보'로 호칭하고, 제2 세탁조(360)의 세탁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정보를 '제2 안내정보'로 호칭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상기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행정이 실행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제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개념도이고, 도 9b는 제2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개념도이며, 도 9c 및 도 9d는 제1 및 제2 안내정보가 동시에 출력되는 개념도이다.
제1 제어부(280)는 상기 제1 및 제2 세탁조(260,3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기능(또는, 행정)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한다.
일 예로, 제1 세탁조(260)에서 기능이 실행되고 있고 제2 세탁조(360)에서 기능이 실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 제1 안내정보가 출력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28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을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출력하는 중에 제1 아이콘(900)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을 선택하고, 가상 동작 버튼(516)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을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상기 제1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안내정보(910)가 표시된다.
제1 안내정보(910)는 제1 세탁조(260)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행되고 있는 동작을 일시 중지하게 하는 가상 일시정지 버튼(914)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세탁조(260,36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기능의 완료 예정 시간을 카운팅 하고, 카운팅 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222)의 가장자리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프로그레스 이미지(912)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내정보(910)는, 완료 예정 시간이 가변됨에 따라, 터치스크린(222)의 일지점에서 외주면을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프로그레스 이미지(9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지점은 터치스크린(222)의 12시 지점에 해당하고, 상기 프로그레스 이미지(91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점차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형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는 새로운 형태로 사용자에게 남은 시간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이 진행됨에 따라, 제1 안내정보(910)에 포함된 정보가 가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능이 진행되는 중에 제1 안내정보(910)는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지만, 기능이 종료되면 제1 안내정보(910)는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능이 종료되면, 제1 안내정보(910)는 에너지, 물, 세제 등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정보(910)의 아래에는 도 6a에서 상술한 제1 배경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색으로 채워진 이미지가 상기 제1 안내정보(910)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제1 안내정보(910)가 제1 세탁조(260)에 대한 것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세탁조(260)에서 기능이 실행되고 있지 않고 제2 세탁조(360)에서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제2 안내정보가 출력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을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출력하는 중에 제2 아이콘(902)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상기 제2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을 선택한다. 이후, 가상 동작 버튼(516)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상기 제2 아이콘에 연계된 기능이 제2 외부처리장치(300)에서 실행되도록, 세탁명령을 제2 의류처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1 제어부(280)는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알리는 진행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진행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의 진행과정을 안내하는 제2 안내 정보(920)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한다.
제1 안내정보(910)처럼, 제2 안내정보(920)는 제2 세탁조(260)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정에 대한 정보와, 기능이 종료될 때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행되고 있는 동작을 일시 중지하게 하는 가상 일시정지 버튼(914)과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프로그레스 이미지(922)가 포함될 수 있다.
기능이 진행됨에 따라, 제2 안내정보(910)에 포함된 정보도 가변되게 된다.
상기 제2 안내정보(920)의 아래에는 도 6a에서 상술한 제2 배경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으로 채워진 이미지가 상기 제2 안내정보(920)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세탁조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에서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세탁조에 대응하는 안내정보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세탁조를 선택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세탁조에 대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세탁조에 대한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1 안내정보(910)에는 제2 그래픽 객체(620)가 포함되고, 제2 안내정보(920)에는 제1 그래픽 객체(6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세탁조에서 기능이 실행되다가 각 세탁조들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내정보(920)가 표시되는 중에 제1 그래픽 객체(622)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안내정보(920)를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으로 전환한다. 즉, 제1 그래픽 객체(622)에 터치가 인가됨에 따라, 제2 안내정보(920)는 사라지고,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나타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에 인가되는 터치에 의하여 제1 세탁조에 대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세탁조에 대한 기능과 제2 세탁조에 대한 기능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세탁조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제1 기능'으로 호칭하고, 제2 세탁조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제2 기능'으로 호칭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1 제어부(280)는 터치스크린(222)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기능에 대한 제1 안내정보(930)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222)의 제2 영역에 상기 제2 기능에 대한 제2 안내정보(930)를 표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위치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의 배치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의류처리장치(300)가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위에서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안내정보가 어느 의류처리장치와 관련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 영역에는 도 6a에서 상술한 제1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제2 배경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안내정보(930)는 제1 배경 이미지 위에서 표시되고, 제2 안내정보(940)는 제2 배경 이미지 위에 표시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안내정보(930,940)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제1 안내정보(930)에는 상기 제1 기능을 일시중지시키나 재개시키는 제1 가상 동작/일시정지 버튼(932)이 포함되고, 제2 안내정보(940)에는 상기 제2 기능을 일시중지시키나 재개시키는 제2 가상 동작/일시정지 버튼(942)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및 제2 가상 동작/일시정지 버튼(940,942)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기능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먼저 종료되게 된다.
제1 제어부(280)는 제1 및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상기 어느 하나가 종료되었음이 안내되도록, 제1 및 제2 안내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완료정보를 터치스크린(222)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완료정보는 완료된 기능의 명칭, 기능이 시작된 시작시간, 종료된 종료시간, 기능이 실행된 총 시간, 에너지, 물, 세제 등의 사용량, 기능을 실행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완료정보는 소정시간 동안 출력되며,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면, 다른 하나의 안내정보가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된다. 상기 어느 하나가 종료되었기 때문에, 상기 어느 하나의 안내정보에 대한 출력도 종료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안내정보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어 표시되게 된다.
일 예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에 대한 제1 안내정보(932)는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제2 기능에 대한 제2 안내정보(942)는 제2 영역에 표시되는데, 완료 예정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른 제2 기능이 제1 기능에 비해 먼저 종료되게 된다.
제2 기능이 종료되면, 제1 및 제2 안내정보(930,940)는 터치스크린(222)에서 사라지고 제2 기능의 완료정보(950)가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2 기능의 완료정보(950)가 터치스크린(222)의 전체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소정시간이 지나면, 제2 기능의 완료정보(950)가 터치스크린(222)에서 사라지고 제1 안내정보(930')가 표시된다. 제2 기능의 종료에 따라 제2 안내정보(940)의 표시가 종료되므로, 제1 및 제2 영역은 통합되어지고, 제1 안내정보(930')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표시되게 된다.
이후, 제1 기능이 종료되면, 제1 안내정보(930')는 사라지고 제1 기능의 완료정보(960)가 터치스크린(222)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된다. 소정시간이 지나면, 터치스크린(222)은 꺼지거나, 켜진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520,52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 의류처리장치의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의류처리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시각적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방식과 청각적 방식이 혼합된 방법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는 각각 별개의 출력부(240,340)를 가지기 때문에, 출력이 중첩될 우려가 있다. 특히, 청각적 방식의 출력이 중첩될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이 종료됨에 따라 제1 완료정보가 제1 출력부(240)를 통해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되는 중에 제2 기능이 종료되어 제2 완료정보가 제2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완료정보가 서로 다른 출력부에서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중첩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터 장치에 해당하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의 제1 제어부(280)는, 슬레이브 장치에 해당하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가 연결되는 경우, 제2 출력부(340)에서 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제어부(380) 및/또는 제2 출력부(340)를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80)는 제2 제어부(38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2 출력부(380)에서 출력이 발생해야 하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제어부(280)는 제2 출력부(340)에서 출력되어야 할 정보를 제1 출력부(240)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출력부(340)는 제1 제어부(280) 및/또는 제2 제어부(380)에 의하여 해당 정보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한편, 제1 제어부(280)는 제1 세탁조(260)와 관련된 출력은 제1 출력부(240)를 이용하여 출력하고, 제2 세탁조(360)와 관련된 출력은 제2 출력부(340)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객체(520)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1 세탁조(260)가 선택되면서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되는데, 제1 세탁조(260)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음이 제1 출력부(24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에 가해지는 터치에 의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청각정보가 제1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그래픽 객체(522)에 터치가 가해지면 제2 세탁조(360)가 선택되면서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되는데, 제2 세탁조(360)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음이 제2 출력부(34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청각정보가 제2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제1 출력부(240)에 제1 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제2 출력부(340)에 제2 정보를 출력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제어부(280)는 제1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고 난 후 제2 정보가 출력되도록 출력 제한 명령을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전송한다. 출력 제한 명령에 따라 제2 출력부(340)은 제1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고 난 후에 제2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완료정보가 제1 출력부(240)를 통해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되는 중에 제2 기능이 종료되면, 제1 완료정보의 출력이 종료되고 난 후 제2 완료정보가 출력되도록 제2 제어부(380) 및/또는 제2 출력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출력부(340)에 제2 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제1 출력부(240)에 제1 정보를 출력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제어부(280)는 제2 정보의 출력이 종료될 때까지 제1 출력부(240)의 출력을 제한하고, 제2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고 난 후 제1 출력부(240)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제1 및 제2 기능은 개별적으로 진행되지만, 동시에 종료되거나 어느 하나의 완료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다른 하나가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완료정보가 중첩되서 출력될 수 있어 문제된다.
제1 및 제2 기능이 동시에 종료되는 경우, 제1 제어부(280)는 먼저 시작된 어느 하나의 완료정보를 우선으로 소정시간 동안 출력하고,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하나의 완료정보를 소정시간 동안 출력한다. 이로써,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되는 정보를 중복되지 않게 된다.
서로 다른 정보가 각 출력부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들이 포함된 의류처리시스템을 혼란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터치가 없어도,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가 인공지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행동에 근거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a 및 도 11b는 사용자 행동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제어부(280)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구비된 제1 도어(220)의 상태가 외력에 의하여 달라지는 경우,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220)가 외력에 의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터치스크린(222)에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상태는 제1 도어(220)가 의류투입구에서 열려 있는 열림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제1 도어(220)가 의류투입구를 닫고 있는 닫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도어(220)를 닫힘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은, 제1 세탁조(260)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출력되고 있는 정보의 종류와 관계없이, 제1 도어(220)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제1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510)이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22)이 꺼져있는 중에 기설정된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1 제어부(280)는 터치스크린(222)을 켜고,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드로워 하우징(330)이 제2 본체(31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제2 본체(310) 내로 인입되는 경우,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터치스크린(222)이 꺼져있었다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되도록 꺼져있는 터치스크린(222)을 켠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2 세탁조(360)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구비된 제2 도어(363)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도어(63)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터치스크린(222)에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제2 제어부(380)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구비된 구성요소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변화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태 변화 메시지를 제1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280)는 수신된 상태 변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 제어화면(610)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22)을 제어한다.
도 12는 차일드 락 기능(child lock function)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1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차일드 락 기능(child lock fun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일드 락 기능은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이 작동하지 않게 제어하여 어린이에 의한 오작동 및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차일드 락 기능이 실행되면,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인가되어도 터치에 의한 기능 실행이 제한된다. 차일드 락 기능을 해제하는 터치입력만 유효하며, 그 외의 다른 터치입력은 무시된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차일드 락 기능이 실행되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도 차일드 락 기능이 실행되도록, 잠금 명령을 제2 의류처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제2 제어부(380)는 수신된 잠금 명령에 응답하여 차일드 락 기능을 실행한다.
사용자는 제1 의류처리장치(2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222)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에 차일드 락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에서 차일드 락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잠겨있음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121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가 모두 잠겨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제2 의류처리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에 의하면, 제1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을 수행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1 통신부(350)룰 제어한다.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 제어부(280)는 터치스크린(222)에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의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연결 상태 정보(13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상태 정보(1310)는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 관련된 정보로 명칭, 제조사, 제품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의 배치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배치 상태 정보(1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의류처리장치(300)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해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면, 제1 제어부(280)는 상기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터치스크린(222)에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표시가 제한되고, 제1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이 표시되게 된다.
본 예시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 스타일에 따라 의류처리시스템을 제1 의류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거나, 의류처리시스템이 아닌 개별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기설정된 세탁기능뿐만 아니라,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된 새로운 세탁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1 의류처리장치(200)는 메모리에 기설정된 세탁기능뿐만 아니라,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된 새로운 세탁기능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80)는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제1 및 제2 의류처리장치(200,3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기설정된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기설정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부(280)는 다운로드 된 아이콘들을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로 설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서버로부터 제2 의류처리장치(300)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운로드 받은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제2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의 종류, 출력되는 순서, 출력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설정하거나 기존의 설정을 다른 설정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G 통돌이'라는 제2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A 기능 내지 F 기능이 제2 그룹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 A 기능 내지 F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이 기설정된 출력 위치에서 표시된다.
'LG 통돌이'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제1 제어부(280)는 기설정된 서버로부터 'LG 통돌이'에서 실행될 수 있는 새로운 기능들인 G 기능 내지 M 기능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도 14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22)에는 기저장되어 있는 A 기능 내지 F 기능과, 새로이 다운로드 받은 G 기능 내지 M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이 터치스크린(222)에 표시된다.
이후, 제1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제2 그룹에 새로운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기설정된 아이콘을 삭제하거나, 기설정된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기능에 대응하는 L 아이콘을 C 기능에 대응하는 C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 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제어부(280)는 제2 그룹에서 C 아이콘을 삭제하고, L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다. L 아이콘은 C 아이콘이 출력되던 위치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스스로 구축할 수 있으며,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된 새로운 기능을 자신의 의류처리장치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1기능을 수행하는 제1의류처리장치;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2기능을 수행하는 제2의류처리장치;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능과 연계된 제1아이콘 및 상기 제2기능과 연계된 제2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1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되는 제1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2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선택되는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그래픽 객체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장치선택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장치선택화면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의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어화면에 상기 제2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어화면의 상기 제2그래픽 객체가 제거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아이콘 및 상기 제2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비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아이콘을 제외하고 상기 제1아이콘만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비연결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2아이콘이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소정거리 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켜진 상태에서 정기적으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가 대기상태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꺼져있다가 켜지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투입되는 제1의류투입구 및 상기 제1의류투입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아이콘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의 개폐 상태가 변화되면 상기 제1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 및 상기 제2아이콘은 각각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제어화면 및 상기 복수의 제2아이콘이 표시되는 제2제어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화면 및 상기 제2제어화면은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아이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단일개의 가상 동작 버튼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아이콘이 표시되는 제1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1제어화면에는 상기 제1아이콘에 대해 기설정된 명칭과 함께 상기 제1아이콘에 대해 기설정된 설명 문구가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제어화면에서 상기 설명 문구는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해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설명 문구는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둘레를 따라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콘 및 상기 제2아이콘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아이콘이 표시되는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아이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아이콘이 소정 개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화면이 단일 페이지로 출력되고, 상기 소정 개수보다 많으면 상기 제어화면이 서로 다른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로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그래픽 객체와 상기 제2그래픽 객체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2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그래픽 객체와 상기 제2그래픽 객체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그래픽 객체에 대한 상기 제2그래픽 객체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제1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상기 제2의류처리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22738A 2016-01-05 2023-02-21 의류처리장치 KR10264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38A KR102647035B1 (ko) 2016-01-05 2023-02-21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30549A KR20240032799A (ko) 2016-01-05 2024-03-0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21A KR10250394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22738A KR102647035B1 (ko) 2016-01-05 2023-02-21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21A Division KR10250394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549A Division KR20240032799A (ko) 2016-01-05 2024-03-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859A KR20230031859A (ko) 2023-03-07
KR102647035B1 true KR102647035B1 (ko) 2024-03-13

Family

ID=592743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21A KR10250394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22738A KR102647035B1 (ko) 2016-01-05 2023-02-21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30549A KR20240032799A (ko) 2016-01-05 2024-03-0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21A KR102503947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549A KR20240032799A (ko) 2016-01-05 2024-03-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04975B2 (ko)
KR (3) KR102503947B1 (ko)
AU (1) AU2016384539B2 (ko)
RU (1) RU2697036C1 (ko)
WO (1) WO2017119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4095B2 (en) 2017-01-13 2019-08-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CN110244866B (zh) * 2018-03-07 2024-04-09 合肥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震动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CN112430976B (zh) * 2019-08-09 2024-01-30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12860158A (zh) * 2019-11-26 2021-05-2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和装置
CN111876962B (zh) * 2020-07-17 2021-07-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KR20230172891A (ko) * 2022-06-16 2023-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43571A (ko) * 2022-09-27 202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43887A (ko) * 2022-09-27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3284A1 (en) * 2006-04-03 2007-10-04 Miele & Cie. Kg Operating and display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2308B1 (de) * 1995-05-11 1999-08-11 Miele & Cie. GmbH & Co. Haushaltgerä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JPH1033885A (ja) * 1996-07-22 1998-02-10 Sharp Corp 洗濯機
KR100480728B1 (ko) * 2002-11-26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패널
KR101075227B1 (ko) * 2006-07-25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100120049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10005991A (ko) * 2009-07-13 2011-01-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19510B1 (ko) * 2011-08-22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555757B1 (ko) * 2013-11-21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3284A1 (en) * 2006-04-03 2007-10-04 Miele & Cie. Kg Operating and display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859A (ko) 2023-03-07
KR20170082061A (ko) 2017-07-13
JP2019504728A (ja) 2019-02-21
WO2017119674A1 (ko) 2017-07-13
RU2697036C1 (ru) 2019-08-08
AU2016384539A1 (en) 2018-07-26
JP6904975B2 (ja) 2021-07-21
AU2016384539B2 (en) 2019-05-16
KR20240032799A (ko) 2024-03-12
KR102503947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0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335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4297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AU2018349213B2 (en)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EP316566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639676B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913430B1 (en) Operating device
RU2701104C1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манипу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в виде внешнего или внутреннего сенсорного экрана
CN104885047A (zh) 终端和终端操控方法
KR101352329B1 (ko)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245282A (zh) 全自动洗衣机
US10324584B2 (en) Touch screen display having an external physical element for association with screen icons
CN102707869B (zh)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JPWO2020013092A1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180091756A1 (en) Remote controller, drawing method and drawing system
WO2015074259A1 (zh) 终端和摄像头的控制方法
KR20170082059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