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990B1 - 차량용 컵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6990B1 KR102646990B1 KR1020170005565A KR20170005565A KR102646990B1 KR 102646990 B1 KR102646990 B1 KR 102646990B1 KR 1020170005565 A KR1020170005565 A KR 1020170005565A KR 20170005565 A KR20170005565 A KR 20170005565A KR 102646990 B1 KR102646990 B1 KR 102646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p
- cup
- folded
- lower housing
- folded pie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컵홀더장치는: 컵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와 연통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과, 홀부를 관통하여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컵을 수용부에 고정하는 플랩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플랩부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플랩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시간이 줄어드는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컵홀더가 설치된다. 그러나, 컵홀더에는 컵을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이 장착되며,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컵홀더의 구조가 복잡해져 부품비용이 증감되고,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4440호(발명의 명칭:자동차용 컵홀더, 등록일:2015.11.2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과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시간이 줄어드는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는: 컵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컵을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는 플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플랩부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로워하우징부; 및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플랩부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는 어퍼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하우징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부는,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러버계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컵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컵을 고정하는 플랩부몸체; 및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혀지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랩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플랩부몸체를 받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가 구비되는 제1접힘편; 및 상기 제1접힘편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와 상기 제1접힘편을 연결하는 제2접힘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힘편과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지며, 상기 제2접힘편은 상기 제1접힘편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힘편에는 상기 로워하우징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에 맞닿는 제1스토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하우징부에는 상기 제1접힘편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스토퍼부와 맞닿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하우징부는,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하우징몸체; 및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플랩부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플랩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어퍼하우징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플랩부몸체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플랩부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 및 상기 어퍼하우징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접힘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컵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플랩부를 통해 간단한 구조로 컵을 수용부에 고정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과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가 구비된 제1접힘편이 러버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1접힘편이 접혀질 때, 힌지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워하우징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통해 플랩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 접촉되어 플랩부몸체를 받치는 받침부를 통해 플랩부몸체가 로워하우징부와 어퍼하우징부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워하우징부을 향해 돌출되어 로워하우징부에 맞닿는 제1스토퍼부를 통해 제1접힘편은 설정범위 이상 접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플랩부의 상태를 유지되도록 플랩부를 지지하면서 플랩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통해 플랩부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수용부에 수용된 컵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플랩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로워하우징부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랩부를 밀어 플랩부가 회동되어 접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로워하우징부의 홀부에 플랩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서 플랩부가 압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 플랩부의 탄성력에 의해 컵이 수용부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컵이 분리되면 플랩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플랩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로워하우징부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랩부를 밀어 플랩부가 회동되어 접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로워하우징부의 홀부에 플랩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서 플랩부가 압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 플랩부의 탄성력에 의해 컵이 수용부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컵이 분리되면 플랩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플랩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로워하우징부를 향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어퍼하우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랩부를 밀어 플랩부가 회동되어 접혀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로워하우징부의 홀부에 플랩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서 플랩부가 압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에 컵이 수용되면 플랩부의 탄성력에 의해 컵이 수용부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의 수용부로부터 컵이 분리되면 플랩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1)는 하우징부(100,300) 및 플랩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300)는 컵(10)이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수용부(110)와 연통되는 홀부(120)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00,300)는 플랩부(200)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플랩부(200)를 지지한다.
플랩부(200)는 홀부(120)에 관통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컵(10)을 수용부(110)에 고정한다. 즉, 플랩부(200)는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되면, 탄성력에 의해 컵(10)을 가압하여 수용부(110)로부터 컵(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부(110)에 컵(10)을 고정한다.
하우징부(100,300)는 로워하우징부(100)와 어퍼하우징부(300)를 포함한다. 로워하우징부(100)에는 컵(10)이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수용부(110)와 연통되는 홀부(120)가 구비된다. 도 1과 같이, 로워하우징부(100)에는 내부에 컵(10)이 수용되는 홈 형태의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측부에 수용부(110)와 연통되는 홀부(120)가 복수개 형성된다.
플랩부(200)는 홀부(120)에 관통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컵(10)을 수용부(110)에 고정한다. 즉, 플랩부(200)는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되면, 탄성력에 의해 컵(10)을 가압하여 수용부(110)로부터 컵(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부(110)에 컵(10)을 고정한다.
어퍼하우징부(300)는 로워하우징부(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플랩부(200)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플랩부(200)를 지지한다. 도 3과 같이, 어퍼하우징부(300)는 로워하우징부(100)의 상측에 끼움결합되며, 플랩부(200)의 측부를 지지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플랩부(20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지지부(400)는 로워하우징부(100)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플랩부(20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로워하우징부(100)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플랩부(2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로써, 플랩부(200)는 지지부(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00)는 판 형태로 도시되지만, 용기 형태 등 플랩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플랩부(200)는 플랩부몸체(210)와 접힘부(220)를 포함한다. 플랩부몸체(210)는 홀부(120)를 관통하여 로워하우징부(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러버계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컵(10)을 가압하여 수용부(110)에 컵(10)을 고정한다. 또한, 플랩부(200)는 플랩부몸체(210)와 접힘부(220)가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사출성형될 수 있다. 즉, 플랩부몸체(210)는 플랩홀부(211)가 상하방향을 바라보도록 사출성형이 될 수 있다(도 3(a) 참조). 이와 같이, 플랩부몸체(210)와 접힘부(220)가 동일선 상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사출성형되므로, 사출성형할 때 사용되는 금형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로써, 금형공정과정이 간소화되고, 금형공정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접힘부(220)는 플랩부몸체(210)에서 연장형성되어 로워하우징부(100)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부(221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혀진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퍼하우징부(300)가 로워하우징부(100)에 결합되기 위해 하측으로(도 5 기준) 이동되면서 접힘부(220)를 밀면, 접힘부(220)는 힌지부(221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도 5 기준) 회전되면서 접혀진다. 이때, 플랩부몸체(210)는 접힘부(2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도 5 기준) 회전되면서 홀부(120)를 관통한다. 즉, 플랩부몸체(210)는 접힘부(220)에 의해 홀부(120)를 관통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에 돌출된다(도 6 참조).
플랩부(200)는 받침부(230)를 더 포함한다. 받침부(230)는 플랩부몸체(210)에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며, 지지부(400)에 접촉되어 플랩부몸체(210)를 받친다. 구체적으로, 받침부(230)는 플랩부몸체(210)에서 'ㄴ' 자 형태로 구부러지게 연장되며, 제1접힘편(221)이 힌지부(221a)에 의해 접혀지면 지지부(40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230)는 지지부(400)에 접촉되어 홀부(120)를 관통하여 수용부(110)의 내측에 돌출된 플랩부몸체(210)를 받침에 따라 플랩부몸체(210)가 로워하우징부(100)와 어퍼하우징부(3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접힘부(220)는 제1접힘편(221)과 제2접힘편(222)을 포함한다. 제1접힘편(221)은 플랩부몸체(210)에서 연장형성되며, 힌지부(221a)가 구비된다.
제2접힘편(222)은 제1접힘편(221)에서 연장형성되며, 로워하우징부(100)와 제1접힘편(221)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2접힘편(222)은 'ㅡ'자 형태로 제1접힘편(221)과 로워하우징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접힘편(221)과 로워하우징부(100)를 연결한다.
제1접힘편(221)과 받침부(230)는 플랩부몸체(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진다. 제2접힘편(222)은 제1접힘편(221)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1접힘편(221)과 받침부(230)는 러버계 재질인 러버(rubb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2접힘편(222)은 로워하우징부(100)와 동일한 재질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221a)가 구비된 제1접힘편(221)이 러버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부(221a)를 중심으로 제1접힘편(221)이 접혀질 때, 힌지부(221a)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접힘편(221)과 제2접힘편(222)의 접합점(A)은 힌지부(221a)보다 상측(도 2 기준)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접힘편(221)을 좌측방향으로(도 3(a) 기준) 비틀어 플랩홀부(211)가 좌우방향(도 3(b) 기준)을 바라보도록 조립할 때 힌지부(221a)가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접힘편(221)에는 로워하우징부(100)를 향해 돌출되어 로워하우징부(100)에 맞닿는 제1스토퍼부(221b)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접힘편(221)이 힌지부(221a)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혀지면 제1스토퍼부(221b)가 제1접힘편(221)을 따라 회동되면서 로워하우징부(100)에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접힘편(221)이 제1스토퍼부(221b)가 로워하우징부(100)와 맞닿게 되면, 제1접힘편(221)이 제1스토퍼부(221b)로 인해 더 이상 접혀지지 않는다. 이로써, 제1접힘편(221)이 설정범위 이상 접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워하우징부(100)에는 제1접힘편(221)을 향해 돌출되어 제1스토퍼부(221b)와 맞닿는 제2스토퍼부(222a)를 구비한다. 즉, 제2스토퍼부(222a)는 제1스토퍼부(221b)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1접힘편(221)이 접혀지면, 제1접힘편(221)의 상측면과 접촉된다. 이로 인해, 플랩부몸체(210)가 정위치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될 때 플랩부몸체(21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부(300)는 어퍼하우징몸체(310)와 유동방지부(320)를 포함한다.어퍼하우징몸체(310)는 로워하우징부(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유동방지부(320)는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플랩부(200)의 상태를 유지되도록 플랩부(200)를 지지하면서 플랩부(2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즉, 플랩부(200)에 밀착되어 플랩부(200)를 지지함으로써,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될 때 플랩부(20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유동방지부(320)는 어퍼하우징몸체(310)가 로워하우징부(100)에 결합될 때에는 플랩부(200)를 밀어 플랩부(200)가 정위치에 정방향으로 조립되어 홀부(12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플랩부(2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동방지부(320)는 제1유동방지부(321)와 제2유동방지부(322)를 포함한다. 제1유동방지부(321)는 어퍼하우징몸체(310)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플랩부몸체(210)를 지지하면서 플랩부몸체(210)의 유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유동방지부(321)는 플랩부몸체(210)에 밀착되어 지지함으로써,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될 때 플랩부몸체(21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유동방지부(322)는 어퍼하우징몸체(310)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접힘부(220)를 지지하면서 접힘부(220)의 유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유동방지부(321)는 제1접힘편(221)에 밀착되어 지지함으로써,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될 때 제1접힘편(221)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부(320)를 통해 플랩부(20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수용부(110)에 컵이 수용되거나 분리될 때 플랩부(200)가 정위치에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가 로워하우징부(100)의 수용부(110)에 컵(10)을 삽입하면, 컵(10)은 수용부(110)에 수용되면서 플랩부몸체(210)에 외력을 가한다. 이때, 플랩부몸체(210)는 컵(10)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변형된다(도 7 참조).
수용부(110)에 컵(10)이 수용되면, 플랩부몸체(210)는 탄성변형된 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면서 컵(10)을 가압한다(도 8 참조). 즉, 플랩부몸체(210)가 컵(10)을 가압함으로써, 컵(10)은 수용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컵(10)을 수용부(110)로부터 분리하면, 플랩부(200)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차량용 컵홀더장치(1)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컵(10)을 수용부(110)에 고정하는 플랩부(200)를 통해 간단한 구조로 컵(10)을 수용부(110)에 고정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과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컵홀더장치 10 : 컵
100 : 로워하우징부 110 : 수용부
120 : 홀부 130 : 제2스토퍼부
200 : 플랩부 210 : 플랩부몸체
211 : 플랩홀부 220 : 접힘부
221 : 제1접힘편 221a : 힌지부
221b : 제1스토퍼부 222 : 제2접힘편
230 : 받침부 300 : 어퍼하우징부
310 : 어퍼하우징몸체 320 : 유동방지부
321 : 제1유동방지부 322 : 제2유동방지부
400 : 지지부
100 : 로워하우징부 110 : 수용부
120 : 홀부 130 : 제2스토퍼부
200 : 플랩부 210 : 플랩부몸체
211 : 플랩홀부 220 : 접힘부
221 : 제1접힘편 221a : 힌지부
221b : 제1스토퍼부 222 : 제2접힘편
230 : 받침부 300 : 어퍼하우징부
310 : 어퍼하우징몸체 320 : 유동방지부
321 : 제1유동방지부 322 : 제2유동방지부
400 : 지지부
Claims (11)
- 컵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컵을 상기 수용부에 고정하는 플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플랩부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홀부가 구비되는 로워하우징부; 및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플랩부의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는 어퍼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부는,
상기 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컵을 고정하는 플랩부몸체; 및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혀지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힌지부가 구비되는 제1접힘편; 및
상기 제1접힘편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와 상기 제1접힘편을 연결하는 제2접힘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힘편과 상기 제2접힘편의 접합점은 상기 힌지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하우징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몸체는 러버계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컵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컵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에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플랩부몸체를 받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삭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편과 상기 받침부는 상기 플랩부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접힘편은 상기 제1접힘편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편에는 상기 로워하우징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로워하우징부에 맞닿는 제1스토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하우징부에는 상기 제1접힘편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스토퍼부와 맞닿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하우징부는,
상기 로워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하우징몸체; 및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플랩부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랩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플랩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어퍼하우징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플랩부몸체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플랩부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 및
상기 어퍼하우징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접힘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565A KR102646990B1 (ko) | 2017-01-12 | 2017-01-12 | 차량용 컵홀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565A KR102646990B1 (ko) | 2017-01-12 | 2017-01-12 | 차량용 컵홀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216A KR20180083216A (ko) | 2018-07-20 |
KR102646990B1 true KR102646990B1 (ko) | 2024-03-13 |
Family
ID=6310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565A KR102646990B1 (ko) | 2017-01-12 | 2017-01-12 | 차량용 컵홀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69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080Y1 (ko) | 2017-11-23 | 2018-12-12 |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 자동차용 컵홀더 |
KR20210052001A (ko) | 2019-10-31 | 2021-05-10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컵홀더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5038A (ja) * | 2007-07-31 | 2009-02-19 | Daikyo Nishikawa Kk | 容器ホルダ |
JP2015232349A (ja) * | 2014-06-09 | 2015-12-24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爪保持構造 |
-
2017
- 2017-01-12 KR KR1020170005565A patent/KR1026469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5038A (ja) * | 2007-07-31 | 2009-02-19 | Daikyo Nishikawa Kk | 容器ホルダ |
JP2015232349A (ja) * | 2014-06-09 | 2015-12-24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爪保持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216A (ko) | 2018-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6990B1 (ko) | 차량용 컵홀더장치 | |
US7740432B2 (en) | Article installation device | |
US9129458B2 (en) | Mobile device | |
JP7201680B2 (ja) | カードタイプスマートキー | |
US10850593B2 (en) | Flap-retaining clip for a pressure relief assembly | |
RU2705607C2 (ru) | Фиксатор держателя для чашки,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выполненный за одно целое зажим фиксатора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натягом | |
US20180186314A1 (en) | Wire housing protector | |
US10578138B2 (en) | Clip mounting seat | |
US10214161B2 (en) | Wire housing protector | |
CN112105527A (zh) | 用于车辆的搁放装置 | |
CN109555763B (zh) | 夹具安装座 | |
US10788341B2 (en) | Spring clip for sensor mounting | |
KR102456980B1 (ko) | 헤드램프용 마운트 클립 | |
KR102696506B1 (ko) |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
US20050082151A1 (en) | Steering wheel horn contact unit and assembly | |
CN114503234A (zh) | 开关装置及制造方法 | |
JP4414019B2 (ja) | 配線ダクトカバーの外れ止め装置 | |
KR102565815B1 (ko) | 그로멧 장치 | |
JP6485184B2 (ja) | 部品固定構造 | |
KR200468479Y1 (ko) | 차량용 핸즈프리 마이크 유니트 | |
CN109555762B (zh) | 夹具安装座 | |
KR102036016B1 (ko) | 사출에 의한 수지 주입을 이용한 맵포켓이 장착된 도어트림의 긁힘 방지 구조 | |
JP7070301B2 (ja) | コネクタ及び基板ユニット | |
JP2015184682A (ja) | ペダル装置 | |
JP2016193675A (ja) | 車両のフィラーリッド部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