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924B1 -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924B1
KR102646924B1 KR1020230138812A KR20230138812A KR102646924B1 KR 102646924 B1 KR102646924 B1 KR 102646924B1 KR 1020230138812 A KR1020230138812 A KR 1020230138812A KR 20230138812 A KR20230138812 A KR 20230138812A KR 102646924 B1 KR102646924 B1 KR 10264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zone
new
inpu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호
김동수
조준래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웨이즈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즈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웨이즈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화 작업을 통해 완성된 도화이미지(M)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절대좌표 기반에 지정된 구역 단위로 도화이미지(M)가 분할되어서 구역이미지(MZ)를 이루고, 도화이미지(M)와 구역이미지(MZ)에 각각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도화이미지DB(11); 도화이미지(M)에 대응한 촬영영상(P)을 버전별로 저장하되, 도화이미지(M)에 구성된 구역이미지(MZ)에 대응하는 구역 단위로 촬영영상(P)이 분할되어서 구역영상(PZ)을 이루고,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에 각각 촬영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촬영영상DB(12);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도화 작업을 실행해서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고,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구역이미지(MZ)를 조합해서 도화이미지(M)를 완성하며, 편집모듈(15)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면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 도화 작업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는 도화모듈(13); 도화모듈(13)을 통해 새로 제작된 신규 도화이미지(M) 또는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기준으로 각각 이전 도화이미지 또는 이전 구역이미지와 비교해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하는 이미지 비교모듈(14); 도화이미지DB(11)에 저장된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된 신규 구역영상(PZ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터치스크린(17)에 병합해 출력하고, 신규 도화이미지(M)를 출력하며, 터치스크린(17)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입출력모듈(16); 딥러닝 기술을 통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서 도로구역파트(R)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하는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 이미지 비교모듈(14)을 제어해서 동일한 도화코드의 신규 도화이미지(M)와 이전 도화이미지를 비교하고, 오차구간으로 확인된 오차지점(A)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우선 출력시키고,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오차지점(A)에 해당하는 오차구간의 이미지파트(21, 22, 23, 34)가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키고, 오차확인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와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가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커플 또는 솔로를 이루며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대응하는 신규 구역영상(PZ1)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병합되어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을 편집하고, 이미지 확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오차구간에서 색상이 미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변환하고, 도로이미지 검수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을 활성화하여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이 편집되거나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이후,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색상이 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오차구간을 실측구간으로 지정해서 저장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만 시각적으로 잔존하도록 편집하며,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되면 도화모듈(13)을 활성화하는 편집모듈(15);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Precision spatial imagery production system by correcting unclear sections on road maps generated by changing viewpoints}
본 발명은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도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 도화 작업은 수집된 촬영영상와 현장 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진행했다. 따라서 작업 과정 중에 도화이미지의 오기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화장치에 이전 버전의 도화이미지(이하 '이전 도화이미지')를 신규 도화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해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비교했다. 그러나 이러한 육안 비교 방식은 오차 검증 시간을 연장하고 검증 품질은 오히려 낮추므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였다.
또한, 신규 도화이미지에서 특정 구간이 오차로 확인된 경우에도 해당 오차구간의 보정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수정 과정에서 추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오차 발생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작업자가 누구냐에 따라 도화이미지의 업그레이드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도화이미지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지점은 현장 검증이 요구되므로, 도화작업 이후 현장 검증 횟수가 증가하여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었다.
따라서 작업자에 상관없이 도로이미지가 포함된 도로지도용 도화이미지의 도화 정밀도를 높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영상도화 기술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166508호(2012.07.2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도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신규 도화이미지의 도화 오차를 자동으로 검출해서 작업자에게 제시하고 정당한 도화이미지를 선별해서 자동 보정을 통해 고품질의 도로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화 작업을 통해 완성된 도화이미지(M)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절대좌표 기반에 지정된 구역 단위로 도화이미지(M)가 분할되어서 구역이미지(MZ)를 이루고, 도화이미지(M)와 구역이미지(MZ)에 각각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도화이미지DB(11);
도화이미지(M)에 대응한 촬영영상(P)을 버전별로 저장하되, 도화이미지(M)에 구성된 구역이미지(MZ)에 대응하는 구역 단위로 촬영영상(P)이 분할되어서 구역영상(PZ)을 이루고,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에 각각 촬영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촬영영상DB(12);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도화 작업을 실행해서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고,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구역이미지(MZ)를 조합해서 도화이미지(M)를 완성하며, 편집모듈(15)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면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 도화 작업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는 도화모듈(13);
도화모듈(13)을 통해 새로 제작된 신규 도화이미지(M) 또는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기준으로 각각 이전 도화이미지 또는 이전 구역이미지와 비교해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하는 이미지 비교모듈(14);
도화이미지DB(11)에 저장된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된 신규 구역영상(PZ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터치스크린(17)에 병합해 출력하고, 신규 도화이미지(M)를 출력하며, 터치스크린(17)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입출력모듈(16);
딥러닝 기술을 통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서 도로구역파트(R)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하는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
이미지 비교모듈(14)을 제어해서 동일한 도화코드의 신규 도화이미지(M)와 이전 도화이미지를 비교하고, 오차구간으로 확인된 오차지점(A)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우선 출력시키고,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오차지점(A)에 해당하는 오차구간의 이미지파트(21, 22, 23, 34)가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키고, 오차확인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와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가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커플 또는 솔로를 이루며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대응하는 신규 구역영상(PZ1)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병합되어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을 편집하고, 이미지 확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오차구간에서 색상이 미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변환하고, 도로이미지 검수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을 활성화하여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이 편집되거나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이후,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색상이 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오차구간을 실측구간으로 지정해서 저장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만 시각적으로 잔존하도록 편집하며,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되면 도화모듈(13)을 활성화하는 편집모듈(15);
을 포함하는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신규 도화이미지를 구역 단위로 분할해서 고해상도의 구역이미지별로 관리하므로 고품질의 도로지도 제작용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신규 구역이미지와 이전 구역이미지를 비교해서 이미지 불일치 여부를 자동 검출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도화 오차 지점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도화 오차 지점이 확인되면 정당한 도화선으로 자동 편집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장조사의 필요성 여부를 손쉽게 판단해서 추후 공정을 신속히 결정할 수 있어서 현장 검증 횟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업무 노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촬영영상 및 도화이미지를 구역 단위로 분할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검출하는 도로이미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동작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신규 도화이미지의 오차를 자동 체크하고 완성된 도화이미지를 확정하는 과정에 대한 터치스크린 상에 실행페이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촬영영상 및 도화이미지를 구역 단위로 분할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검출하는 도로이미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은 공간영상 도화이미지가 시계열적으로 표현되도록 도화이미지 및 촬영영상를 버전별로 관리하며 구역 단위로 화면을 분할해서 정밀한 도로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은 도화이미지DB(11)와 촬영영상DB(12)와 도화모듈(13)과 이미지 비교모듈(14)과 입출력모듈(16)과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과 편집모듈(15)로 구성된다.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도화이미지DB(11)는, 도화 작업을 통해 완성된 도화이미지(M)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절대좌표 기반에 지정된 구역 단위로 도화이미지(M)가 분할되어서 구역이미지(MZ)를 이루고, 도화이미지(M)와 구역이미지(MZ)에 각각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한다. 도화이미지(M)는 동일한 절대좌표 지역의 촬영영상(P)를 기반으로 영상도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도화된다. 촬영영상(P)를 바탕으로 한 영상도화 프로세스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광역의 도화이미지(M)는 지정된 범위의 구역 단위로 개별 제작된 구역이미지(MZ)가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구역이미지(MZ)별 업그레이드를 통해 도화이미지(M)가 업그레이드된다.
촬영영상DB(12)는, 도화이미지(M)에 대응한 촬영영상(P)을 버전별로 저장하되, 도화이미지(M)에 구성된 구역이미지(MZ)에 대응하는 구역 단위로 촬영영상(P)이 분할되어서 구역영상(PZ)을 이루고,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에 각각 촬영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한다. 구역이미지(MZ)는 다른 구역이미지(MZ)와의 식별을 위해 고유의 구역코드가 설정되므로, 구역이미지(MZ)와 동일한 구역에 대한 구역영상(PZ) 또한 구역이미지(MZ)의 구역코드에 상응하는 구역코드가 설정된다.
도화모듈(13)은,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도화 작업을 실행해서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고,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구역이미지(MZ)를 조합해서 도화이미지(M)를 완성하며, 편집모듈(15)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면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 도화 작업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한다.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해서 도화이미지(M)의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구역영상(PZ)에 대응한 구역이미지(MZ)가 완성되면, 구역이미지(MZ)에는 구역영상(PZ)의 구역코드에 상응하는 구역코드가 설정된다. 도화이미지(M)가 완성되면 도화모듈(13)의 실행은 정지된다. 그러나 편집모듈(15)의 제어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고, 작업자는 도화모듈(13)의 프로세스를 통해 도로구역파트(R)의 오차구간을 수정할 수 있다.
이미지 비교모듈(14)은, 도화모듈(13)을 통해 새로 제작된 신규 도화이미지(M) 또는 신규 구역이미지(MZ1; 도 5)를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기준으로 각각 이전 도화이미지 또는 이전 구역이미지(MZ2; 도 6 참조)와 비교해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한다. 이전 구역이미지와 동일한 구역코드의 신규 구역이미지(MZ1) 제작은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는 도로이미지와 지물이미지 등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구간에 대해서만 오차구간으로 검출하고, 기준치 미만의 차이가 확인된 구간은 무시한다.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은 딥러닝 기술을 통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서 도로구역파트(R)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한다. 도로구역파트(R)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M) 전 구간에서 끊김이 없는 라인 형태를 이루므로, 딥러닝 기술을 통해 도화이미지(M)에서 손쉽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화이미지(M)의 특성상 도로구역파트(R)를 도시하는 선이 폐구된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즉, 도 3과 같이 도로구역파트(R1, R2) 도화 시 선이 끊긴 개방지점(S1, S2)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은 도로구역파트(R)를 도시한 선의 끊김 여부를 검출해서 개방지점(S1, S2)의 존재를 파악하고, 개방지점(S1, S2)의 존재가 확인되면 그 위치를 확인한다. 참고로, 개방시점(S1, S2)은 도로구역파트(R)의 도화 과정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누락하여 생성되거나, 촬영 시점의 변화로 인해 도화 작업의 기준영상인 촬영이미지 내에 지물영상이 도로영상을 가림으로써 도화가 불가능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입출력모듈(16)은, 도화이미지DB(11)에 저장된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된 신규 구역영상(PZ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터치스크린(17)에 병합해 출력하고, 신규 도화이미지(M)를 출력하며, 터치스크린(17)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을 생성한다.
편집모듈(15)은, 이미지 비교모듈(14)을 제어해서 동일한 도화코드의 신규 도화이미지(M)와 이전 도화이미지를 비교하고, 오차구간으로 확인된 오차지점(A)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우선 출력시키고,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오차지점(A)에 해당하는 오차구간의 이미지파트(21, 22, 23, 34)가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키고, 오차확인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와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가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커플 또는 솔로를 이루며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대응하는 신규 구역영상(PZ1)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병합되어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을 편집하고, 이미지 확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오차구간에서 색상이 미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변환하고, 도로이미지 검수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을 활성화하여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이 편집되거나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이후,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색상이 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오차구간을 실측구간으로 지정해서 저장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만 시각적으로 잔존하도록 편집하며,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되면 도화모듈(13)을 활성화한다.
편집모듈(15)과 본 발명의 동작 프로세스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의 동작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이 신규 도화이미지의 오차를 자동 체크하고 완성된 도화이미지를 확정하는 과정에 대한 터치스크린 상에 실행페이지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은 하기 동작 프로세스에 따라 실행된다.
S11; 공간영상 도화 단계
도화모듈(13)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된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도화 작업을 실행해서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고,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구역이미지(MZ)를 조합해서 도화이미지(M)를 완성한다.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되고, 특히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은 각각 촬영코드와 구역코드가 설정된다. 또한, 도화이미지(M)와 구역이미지(MZ)는 도화이미지DB(11)에 저장되고, 구역이미지(MZ)는 해당하는 구역영상(PZ)에 대응한 구역코드가 설정된다.
구역이미지(MZ)는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조합되어 도화이미지(M)를 이루고, 도화이미지(M)는 구역이미지(MZ)별로 업그레이드 되며 관리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도화모듈(13)에 의해 새롭게 제작된 구역이미지(MZ)는 신규 구역이미지(MZ1)로 명하고, 도화이미지DB(11)에 이전 버전으로 저장되어 있던 구역이미지(MZ)는 이전 구역이미지로 명한다. 또한,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도화하기 위한 정보인 구역영상(PZ)은 신규 구역영상(PZ1)으로 명한다.
S12; 신규 도화이미지(M) 출력 단계
편집모듈(15)이 이미지 비교모듈(14)을 제어해서, 동일한 도화코드의 신규 도화이미지(M)와 이전 도화이미지를 비교하고, 오차구간으로 확인된 오차지점(A)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도 2와 같이 터치스크린(17)에 우선 출력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오차지점(A)이 밀집된 신규 구역이미지(MZ)를 확인해서 수정 대상을 시각적으로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이전 구역이미지와 신규 구역이미지(MZ1)는 이미지 비교모듈(14)이 딥러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기술을 활용해 비교해서 형태와 도화 위치 등이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구역이미지(MZ1) 간에 비교 대상은 도로이미지와 지물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미지 비교모듈(14)이 동일한 구역코드의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를 비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하면, 도 2의 (b)도면과 같이 편집모듈(15)이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오차지점(A)을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한다.
S13; 도화된 신규 구역이미지 출력 단계
편집모듈(15)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차지점(A)에 해당하는 오차구간의 이미지파트(21, 22, 23)가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도 5와 같이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킨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터치스크린(17)을 조작해서 특정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클릭하면, 해당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구역코드가 입력되고, 편집모듈(15)은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도 5와 같이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편집모듈(15)은 신규 구역이미지(MZ1) 출력과 함께 오차확인 메뉴키와 이미지 확정 메뉴키와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를 터치스크린(17) 상에 출력시킨다.
S14; 오차구간 출력 단계
작업자가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된 오차확인 메뉴키를 조작하면 이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어서 이미지 비교모듈(14)이 활성화된다. 이미지 비교모듈(14)은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동일한 구역코드의 이전 구역이미지를 도화이미지DB(11)에서 검색한다.
오차확인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편집모듈(15)은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와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가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커플 또는 솔로를 이루며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한다. 또한,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대응하는 신규 구역영상(PZ1)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병합되어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한다. 신규 구역영상(PZ1)은 오차구간이 표시된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되어서 작업자가 오기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시각적으로 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신규 구역영상(PZ1)을 오버랩하지 않고 나란히 배치해서 작업자가 오기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레이어 형식의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시각적으로 확인해서 터치스크린(17)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편집모듈(15)은 '21'과 '31'의 이미지파트, '22'와 '32'의 이미지파트, '23'과 '33'의 이미지파트가 커플로 처리되고, '34'의 이미지파트는 솔로로 처리된다.
본 실시 예에서 편집모듈(15)은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의 표현 색상과,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의 표현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오차구간에서 새로 도화한 파트와 이전에 도화한 파트를 바로 파악해서 식별할 수 있다.
S15; 정당한 이미지파트 구분 단계
편집모듈(15)은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도 8과 같이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을 편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차구간으로 분류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 중 작업자가 신규 구역영상(PZ1)과 기타 부가 정보 등을 활용해서 정당한 이미지파트를 확인하면, 작업자는 해당하는 이미지파트를 클릭해서 선택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업자는 도면부호 '21', '22', '34'의 이미지파트를 정당한 이미지파트로 선택하고, 편집모듈(15)은 선택된 정당한 이미지파트(21, 22,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색상을 편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차구간으로 분류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레이어 형식으로 출력되므로, 작업자는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클릭해서 선택할 수 있다.
S16; 편집 구역이미지 생성 단계
편집모듈(15)은 이미지 확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 9와 같이 오차구간에서 색상이 미편집된 이미지파트(31, 32)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변환한다.
커플을 이루는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는 동일한 대상을 서로 다르게 도화한 오차구간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당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클릭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집모듈(15)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색상을 편집한다. 결국, 편집모듈(15)은 정당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로 분류되지 않은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완성하고, 편집 구역이미지(MZ2)의 구역코드를 변경한다.
솔로로 처리된 이미지파트(34)의 경우, 정당한 이미지파트로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 확정 메뉴키가 조작되면, 해당 이미지파트(34)는 미편집된 이미지파트(34)이므로 편집모듈(15)에 의해 삭제된다.
S17; 도로이미지 검수 단계
편집모듈(15)은 도 10과 같이 도로이미지 검수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을 활성화하여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되도록 한다. 개방지점(S) 표시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크를 부가할 수 있고, 위치는 절대좌표값일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개방지점(S)의 형태를 확인해서 보정가능 여부(S171)를 판단하고, 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보정메뉴키(미도시함)를 조작한다. 편집모듈(15)은 보정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화모듈(13)을 활성화한다.
도화모듈(13)은 편집모듈(15)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면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 도화 작업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한다(S172).
S18; 확정 구역이미지 생성 단계
한편,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이 편집되거나,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이후 도화모듈(13)에 의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색상이 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오차구간과, 개방지점(S)이 표시된 구간을 실측구간으로 지정해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이후, 편집모듈(15)은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만 시각적으로 잔존하도록 편집해서 확정 구역이미지(MZ3)로 완성하고, 확정 구역이미지(MZ3)의 구역코드를 변경한다.
한편, 실측구간이 지정되면, 실측구간의 위치(절대좌표값)와 대상물에 대한 속성정보 등이 자동 검색되어서 확정 구역이미지(MZ3)에 정보레이어(L)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현장 실측을 위해 확정 구역이미지(MZ3)를 출력하고, 실측구간 표시를 위한 메뉴키(미도시함)를 조작하면, 편집모듈(15)은 확정 구역이미지(MZ3)에서 대상구간을 디스플레이해서 작업자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정당한 이미지파트를 선정하기 위한 이미지 확정 메뉴키와, 실측구간을 지정하기 위한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를 작업자가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클릭한 이후에 조작하는 것으로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외에도 오차구간에서 정당한 이미지파트 선정 이전에 이미지 확정 메뉴키를 우선 조작하고 정당한 이미지파트를 선정한 이후에 이미지 확정 메뉴키를 조작하면 앞서 선정한 이미지파트가 정당한 이미지로 확정될 수 있다. 또한, 오차구간에서 실측구간 지정 이전에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를 우선 조작하고 이미지파트를 선정한 이후에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를 조작하면 앞서 선정한 이미지파트의 오차구간이 실측구간 대상으로 확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 22, 23, 31, 32, 33, 34; 이미지파트
L; 실측대상 정보 M; 도화이미지 MZ; 구역이미지
MZ1; 신규 구역이미지 MZ2; 편집 구역이미지 MZ3; 확정 구역이미지
PZ; 구역영상 PZ1; 신규 구역영상 W; 이미지창

Claims (1)

  1. 도화 작업을 통해 완성된 도화이미지(M)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절대좌표 기반에 지정된 구역 단위로 도화이미지(M)가 분할되어서 구역이미지(MZ)를 이루고, 도화이미지(M)와 구역이미지(MZ)에 각각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도화이미지DB(11);
    도화이미지(M)에 대응한 촬영영상(P)을 버전별로 저장하되, 도화이미지(M)에 구성된 구역이미지(MZ)에 대응하는 구역 단위로 촬영영상(P)이 분할되어서 구역영상(PZ)을 이루고, 촬영영상(P)과 구역영상(PZ)에 각각 촬영코드와 구역코드를 설정해서 관리하는 촬영영상DB(12);
    구역영상(PZ)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도화 작업을 실행해서 구역이미지(MZ)를 제작하고, 절대좌표값을 기준으로 구역이미지(MZ)를 조합해서 도화이미지(M)를 완성하며, 편집모듈(15)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면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부분에 대한 수정 도화 작업을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하는 도화모듈(13);
    도화모듈(13)을 통해 새로 제작된 신규 도화이미지(M) 또는 신규 구역이미지(MZ1)를 도화코드와 구역코드를 기준으로 각각 이전 도화이미지 또는 이전 구역이미지와 비교해서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확인된 오차구간을 검출하는 이미지 비교모듈(14);
    도화이미지DB(11)에 저장된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이전 구역이미지, 촬영영상DB(12)에 저장된 신규 구역영상(PZ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터치스크린(17)에 병합해 출력하고, 신규 도화이미지(M)를 출력하며, 터치스크린(17)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을 생성하는 입출력모듈(16);
    딥러닝 기술을 통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서 도로구역파트(R)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하는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
    이미지 비교모듈(14)을 제어해서 동일한 도화코드의 신규 도화이미지(M)와 이전 도화이미지를 비교하고, 오차구간으로 확인된 오차지점(A)이 신규 도화이미지(M)에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우선 출력시키고, 신규 도화이미지(M)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와 오차지점(A)에 해당하는 오차구간의 이미지파트(21, 22, 23, 34)가 표시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해서 터치스크린(17)에 출력시키고, 오차확인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력되면 오차구간에 해당하는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와 이전 구역이미지의 이미지파트(31, 32, 33, 34)가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커플 또는 솔로를 이루며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대응하는 신규 구역영상(PZ1)이 신규 구역이미지(MZ1)에 오버랩된 레이어 형식으로 병합되어 터치스크린(17)에 출력되도록 입출력모듈(16)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을 편집하고, 이미지 확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오차구간에서 색상이 미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를 삭제해서 편집 구역이미지(MZ2)로 변환하고, 도로이미지 검수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도로이미지 검수모듈(18)을 활성화하여 편집 구역이미지(MZ2) 내에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과 위치를 파악해 표시되도록 하고, 터치스크린(17) 조작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색상이 편집되거나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된 이후, 실측구간 지정 메뉴키 조작에 대응한 입력값이 입출력모듈(16)에 입력되면 색상이 편집된 이미지파트(21, 22, 23, 31, 32, 33, 34)의 오차구간을 실측구간으로 지정해서 저장하고 신규 구역이미지(MZ1)의 이미지파트(21, 22, 23)만 시각적으로 잔존하도록 편집하며, 도로구역파트(R)에서 개방지점(S)이 표시되면 도화모듈(13)을 활성화하는 편집모듈(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KR1020230138812A 2023-10-17 2023-10-17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KR10264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812A KR102646924B1 (ko) 2023-10-17 2023-10-17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812A KR102646924B1 (ko) 2023-10-17 2023-10-17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924B1 true KR102646924B1 (ko) 2024-03-13

Family

ID=9029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812A KR102646924B1 (ko) 2023-10-17 2023-10-17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9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508B1 (ko) 2012-01-26 2012-07-20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도화이미지 및 지피에스정보 합성을 통해 수정정보를 반영하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13332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동일지역의 유사촬영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시스템
KR102067459B1 (ko) * 2019-08-26 2020-01-20 동아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의 기준위치 편집을 통한 생성 오류의 자동 보정시스템
KR20210085181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항공영상 기반 도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307334B1 (ko) * 2021-05-1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도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508B1 (ko) 2012-01-26 2012-07-20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도화이미지 및 지피에스정보 합성을 통해 수정정보를 반영하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13332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동일지역의 유사촬영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시스템
KR102067459B1 (ko) * 2019-08-26 2020-01-20 동아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의 기준위치 편집을 통한 생성 오류의 자동 보정시스템
KR20210085181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항공영상 기반 도로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307334B1 (ko) * 2021-05-1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도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573B1 (ko)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JP5965859B2 (ja) 溶接線情報設定装置、プログラム、自動教示システム、および溶接線情報設定方法
CN114792309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101558460B1 (ko) 지상 기준점 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치오차 확인방법
KR100946250B1 (ko) 수치지도 제작용 항공촬영 영상물의 편집처리를 위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코드 삽입용 영상처리시스템
US10295987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 apparatus
JP2002031525A (ja) 半導体ウエハのパターン形状評価方法及び装置
CN110737244A (zh) 数值控制装置和数据编辑方法
WO2013118179A1 (ja) 工具軌跡表示方法および工具軌跡表示装置
US5293321A (en) Curve extracting apparatus and NC programming system for forming NC program based on curves extracted by the apparatus
KR102646924B1 (ko) 시점변화에 따라 생성된 도로지도 상에 불분명 구간의 보정을 통한 공간 영상도화 정밀 제작시스템
EP268278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rten von Laserscans
JP5060677B2 (ja) 画像処理コントローラ及び検査支援システム
KR102646923B1 (ko) 시계열 공간영상의 화면분할을 통해 정밀 도로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구간별 도화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영상도화 장치
KR101940800B1 (ko)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KR101558465B1 (ko)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수정방법
CN116342745A (zh) 车道线数据的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07311612A (ja) 数値制御装置における加工プログラム編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10828A (ja) ソリッドモデル上に数値制御ツールパスを生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0476139B1 (en) Interactive automatic programming method
JP6220514B2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
JPH1058363A (ja) ロボットのオフライン教示装置
KR101940804B1 (ko) 수치지도 기반이 되는 정밀 영상도화를 위한 위치별 객체 삽입시스템
JP4791569B2 (ja) 作図支援方法及びcadプログラムを記憶してなる媒体
JP2006089860A (ja) 自動柄合わせ装置および自動柄合わせ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