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800B1 -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 Google Patents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800B1
KR101940800B1 KR1020180112481A KR20180112481A KR101940800B1 KR 101940800 B1 KR101940800 B1 KR 101940800B1 KR 1020180112481 A KR1020180112481 A KR 1020180112481A KR 20180112481 A KR20180112481 A KR 20180112481A KR 101940800 B1 KR101940800 B1 KR 10194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de
data
vers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형
유성종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to KR102018011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 제작의 목적에 따라 지면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역별 구간으로 분할 및 도화된 도화영상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하나의 완성된 도화영상으로 편집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값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상기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 상기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P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도화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분류하고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1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도로를 경계로 구획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2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으로 해서 제3코드로 식별하며; 상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 구간으로 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서로 이웃하는 둘 이상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남은 하나는 개방 공간으로 확정하며, 상기 구성요소는 개방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코드를 보정하는 형태식별모듈,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해당 코드의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 확인된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파트정의모듈, 상기 영상정보DB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기준범위에 따라 해당 코드의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 여부는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동일 구역 내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에 따라 처리하는 파트비교모듈, 상기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데이터를 유지하고;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편집하고;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상기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에 저장시키는 영상도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EDITING SYSTEM FOR DRAWING IMAGE BY SYNTHESIZE PART OF IMAGE}
본 발명은 지도 제작의 목적에 따라 지면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역별 구간으로 분할 및 도화된 도화영상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하나의 완성된 도화영상으로 편집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이미지는 항공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다. 즉, 다수의 촬영이미지 레이어(이하 '촬영이미지')를 동일한 축척으로 맞춰 연결하고,
이렇게 완성된 일체의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영상이미지를 도화 및 편집해서 하나의 수치지도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되는 도화영상 편집은 파트별로 색상과 명도 및 축척 등을 일치시키는 편집 작업이 요구되고, 특히 특정 구간에 대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업데이트해야 할 경우에는 해당 파트의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상기 편집 작업에 따라 해당 도화영상의 규격에 맞춰야 하므로, 파트별 영상이미지는 합성을 위해 반드시 규격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도화영상 편집 기술은 서로 이웃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끼리 서로 중첩하는 방식으로 합성해서 도화영상 편집을 진행하므로, 영상이미지 합성 과정에서 형성된 영상이미지의 중첩 구간을 편집해서 정리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불가피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106567호(2012.01.19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영상 도화 과정에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규격화해서 영상이미지의 합성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첩 구간을 최소화하고, 통일된 규격으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값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상기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
상기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P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도화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분류하고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1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도로를 경계로 구획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2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으로 해서 제3코드로 식별하며; 상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 구간으로 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상기 2 개의 폐쇄 공간 중 상대적으로 좁은 폐쇄 공간은 개방 공간으로 확정하며,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구성요소는 개방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코드를 보정하는 형태식별모듈,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 확인된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파트정의모듈,
상기 영상정보DB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차이 정도가 동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유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차이 정도는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동일 구역 내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이고, 상기 면적 비율에 따라 차이 여부를 판단하는 파트비교모듈,
상기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하고;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 및 연계 데이터를 편집하고;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상기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 및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에 저장시키는 영상도화모듈,
을 포함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영상 도화 과정에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규격화해서 영상이미지의 합성 과정 중에 발생하는 중첩 구간을 최소화하고, 통일된 규격으로 파트별 영상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의 실행을 통해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해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 및 구역의 해당 데이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텝이 데이터 비교를 통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중 수정 대상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서로 링크된 중심점 및 꼭지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상기 이미지가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 영상이미지에 최신 버전 영상이미지의 합성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을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으로 수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촬영이미지DB(11)와 영상정보DB(12)와 영상이미지DB(13)와 도화정보DB(14)와 형태식별모듈(15)와 파트정의모듈(16)와 파트비교모듈(17)와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와 영상도화모듈(19)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검토하고 수작업 처리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입출력 처리 시스템(20)과 통신한다.
촬영이미지DB(11)는 GPS값이 링크된 도 1의 촬영이미지를 저장한다. 항공촬영을 통해 최초 수집된 촬영이미지는 해당 촬영 지점의 GPS값이 링크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촬영이미지의 GPS값을 확인해서 사전에 링크하고, 이렇게 수정된 촬영이미지는 촬영이미지DB(11)에 저장된다.
영상정보DB(12)는,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상기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참고로, 영상정보는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데이터에 해당하며, 상기 데이터는 GPS값과,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및 중심점 좌표값과, 상기 꼭지점 및 중심점 간에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좌표값은 해당 촬영이미지를 입출력 처리 시스템(20)의 모니터에 픽셀 좌표계를 바탕으로 지정위치에 출력할 때의 픽셀값일 수 있다. 또한 해당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GPS값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촬영이미지는 구역과 구성요소를 GPS값에 맞춰 1차 보정한 것이며, 이에 맞춰 상기 촬영이미지에는 GPS좌표계가 적용된다. 상기 좌표값에 대한 실시 예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으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영상이미지DB(13)는, 상기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P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이미지는 해당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이미지이며, 해당 영상이미지는 영상정보와의 연계를 위해 GPS값이 링크된다.
도화정보DB(14)는 상기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도화영상 이미지는 해당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별로 독립하게 도화 생성되며,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된 영상이미지와의 연계를 위해 해당 GPS값이 링크된다.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DB(11)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제1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도로를 경계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제2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 단위의 제3코드로 식별하며; 상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의 경계에 따라 생성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하나의 외곽라인을 경계로 서로 이웃하는 둘 이상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남은 하나의 폐쇄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정한다.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 내에 구성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구분해서 각각의 데이터로 분류하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데이터화 해서 해당 데이터를 상기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 아울러 서로 다른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또는 중심점 중 둘 이상을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
형태식별모듈(15)에서 식별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기초 정보를 데이터화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파트비교모듈(17)은, 영상정보DB(12)에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기준범위에 따라 해당 데이터의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 여부는 구역의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에 따라 처리한다. 영상정보DB(12)에 저장된 데이터는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의 좌표값을 포함하므로, 해당 좌표값을 기초로 각각의 면적이 연산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파트비교모듈(17)의 비교결과, 유사로 판단된 데이터는 이전 버전의 데이터와 동일하게 편집하고; 불일치로 판단된 데이터는 최신 버전의 데이터로 변경하게 편집하되; 해당 데이터의 일치 프로세스와 보정 프로세스에서의 영상이미지 편집은 서로 링크된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기초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이미지를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한다. 참고로, 동일과 유사와 불일치에 대한 기준범위는 영상이미지에 상관없이 획일적으로 지정될 수 있고, 영상이미지에 따라 가변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영상도화모듈(19)은, 상기 편집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 10과 같은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14)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의 실행을 통해 도화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해서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 및 구역의 해당 데이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텝이 데이터 비교를 통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중 수정 대상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서로 링크된 중심점 및 꼭지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 각각의 이미지를 도시하고, 상기 이미지가 수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 영상이미지에 최신 버전 영상이미지의 합성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이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을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으로 수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S11; 촬영이미지 분석 단계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DB(11)에서 도 1의 (b)도면을 검색하고, 해당 촬영이미지 내에 도로 이미지와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를 분석한다. 여기서 도 1의 (a)도면은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이고, 도 1의 (b)도면은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인데, 이전 버전의 촬영이미지 내에 도로 이미지와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와 기타 관련 데이터는 영상정보DB(12)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으므로, 본 단계(S11)에서는 최신 버전의 촬영이미지만을 분석한다.
형태식별모듈(15)은 촬영이미지에 대한 분석은 채도와 명도 등의 색깔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S12; 파트별 형태 식별 단계
형태식별모듈(15)에 의해 상기 도로는 회색 계열의 지정된 색깔로 우선 식별되고, 상기 식별된 범위를 연속성 여부와 폭의 균일성 여부 등에 따라 분류해서 최종적으로 도로 이미지를 파악하며, 이렇게 파악된 상기 도로 이미지는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경계 위치를 설정한다. 이렇게 구분된 도로 이미지는 제1코드로 식별된다.
한편, 상기 파트는 상기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하는 블록 형태로 식별된다. 도심지는 일반적으로 도로를 경계로 해서 구간이 분리 및 관리되므로, 형태식별모듈(15)은 이를 응용해서 파트를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된 파트는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되고 제2코드로 식별된다.
한편, 상기 구역은 파트의 전체 형태와 범위로 해서 지정되고, 형태식별모듈(15)은 이렇게 지정된 구역은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되고 제3코드로 식별된다. 상기 파트와 구역은 사실상 동일한 범위이나, 상기 구역은 구성요소의 점유 범위를 필요에 따라 제외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는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로 생성된 경계에 따른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이고, 형태식별모듈(15)은 이렇게 확인된 구성요소를 외곽라인 형성을 통해 구분하고 제4코드로 식별한다. 여기서 폐쇄 공간이란, 도 4와 같이 서로 연속된 다수의 외곽라인이 둘러싼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파트 및 구역과 같이 다수의 외곽라인에 의해서 다른 범위와는 구분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요소는 건축물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구조물이므로, 항공촬영 시 기울어진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건축물이라도 도 4에 표시된 'A' 및 'B'와 같이 하나의 외곽라인이 둘 이상의 폐쇄 공간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의 형태식별모듈(15)은 해당 외곽라인을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인 'A'의 외곽라인으로 지정되고, 'B'는 폐쇄 공간이 아닌 개방 공간으로 확정된다.
계속해서, 형태식별모듈(15)은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범위를 구성요소로 해서 제4코드로 구분하고, 상기 구성요소를 남은 하나의 폐쇄 공간(B), 즉 개방 공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4코드의 위치정보를 보정한다.
S13; 파트 정의 단계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확인해서 코드 데이터로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에 대한 좌표값은 촬영이미지가 입출력 처리 시스템(20)의 모니터에 출력될 때 해당 지점이 출력되는 픽셀의 위치이거나, 해당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에 대한 실제 지리적 좌표인 GPS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좌표값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속하는 중심점 또는 꼭지점의 픽셀 위치이거나 GPS값이다. 이를 통해 형태가 4각형인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는 4개 꼭지점의 좌표값들과 1개 중심점의 좌표값을 각각 포함하고, 도로는 중심점을 제외하고 다수 꼭지점의 좌표값들만을 포함한다.
이렇게 확인된 좌표값들은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정보로 정의된다.
계속해서,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 별로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꼭지점 또는 중심점 중 둘 이상을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
파트정의모듈(16)은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정의를 위해 적어도 꼭지점의 좌표값을 데이터화 하므로, 해당 좌표값들을 기초로 도로와 파트와 구역 및 구성요소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미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화영상 편집시스템(10)은 광대한 촬영이미지 내에서 구성요소 등의 변화가 있는 파트만을 전체적으로 교체하므로, 해당 파트의 형태와 면적 등이 이전 버전과 일치해야 하고, 상기 파트 내에 구성요소 또한 수정된 구성요소만을 제외하고 이전 버전의 형태와 범위와 면적 등과 일치해야 한다.
참고로, 파트 단위의 교체 편집 방식으로 영상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서, 파트정의모듈(16)은 도 6의 파트1 내지 파트4와 같이 각각의 파트 영상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위해 해당 정보를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
더욱이 촬영이미지는 촬영 환경에 따라 구성요소의 모습이 달라지므로, 구성요소 등에 변화가 없는 파트라 하더라도 촬영 시 마다 해당 파트의 구성요소 이미지는 그 형태와 범위와 면적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파트정의모듈(16)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영상 이미지에서 버전에 상관없이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가 항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는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끼리 연계해 저장한다.
이를 위해 파트정의모듈(16)은 도 7과 같이 제1구성요소(T1)의 중심점(C1)은 최인접한 제1파트(T1)의 제1꼭지점(PP1)과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1꼭지점(CP1)은 최인접한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 및 제6꼭지점(CP6)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2꼭지점(CP2)은 제1파트(T1)의 제1꼭지점(PP1)과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3꼭지점(CP3)은 제3구성요소(CP3)의 제7꼭지점(CP7)과 제1파트(T1)의 제2꼭지점(PP2)에 각각 링크되고, 제1구성요소(CP1)의 제4꼭지점(CP4)은 제2구성요소(T2)의 제5꼭지점(CP5) 및 제6꼭지점(CP6)에 각각 링크되는 방시으로,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이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외곽라인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서 해당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생성한다.
전술한 데이터화가 완료되면, 파트정의모듈(16)은 해당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12)에 저장한다.
S15; 1차 영상도화 단계
영상도화모듈(19)은 파트정의모듈(16)이 정의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따라 촬영이미지의 모습을 도화해서 도 8과 같이 도화영상 이미지를 1차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도화영상 이미지는 도화정보DB(14)에 저장되고, 도 8의 (b)도면과 같이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참고 자료로서 활용된다.
S16 내지 S18; 구역 및 구성요소 넓이 확인 단계
파트비교모듈(17)은, 영상정보DB(12)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기준범위에 따라 해당 코드 데이터의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차이 여부는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에 따라 처리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정보DB(12)는 파트정의모듈(16)이 앞서 정의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따라 영상이미지에서 각각의 도로와 파트와 구역과 구성요소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각각의 꼭지점을 기초로 파트비교모듈(17)은 구역의 면적과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을 각각 연산한다. 즉, 파트비교모듈(17)은 도 8의 (a)도면과 같이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의 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과, 제1파트(P1)의 구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T4 내지 T8)의 모든 면적을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파트비교모듈(17)은 도 8의 (b)도면과 같이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의 구역에 대한 전체 면적과, 제1파트(P1)의 구역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NT1 내지 NT4)의 모든 면적을 연산한다.
이렇게 연산된 구역 및 구성요소의 면적을 활용해서, 파트비교모듈(17)은 구역의 전체 면적 대비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을 연산한다.
상기 면적 비율 연산 결과,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이 동일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는 구역과 구성요소의 배치와 범위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의 차가 기준범위 내에 속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상기 '유사'는 해당 구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의 대상과 범위가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영상이미지의 제작 과정에서 일어난 오차로 인해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전 버전 내에 임의 구역 대비 해당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의 차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파트비교모듈(17)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표시 범위가 불일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일 예로, 동일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가 철거 또는 신축 등을 이유로 변화가 발생하면, 해당 구역의 구성요소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면적 비율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참고로, 도 8의 (a)도면은 이전 버전의 구역(P1)과, 해당 구역(P1)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T4 내지 T8)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8의 (b)도면은 최신 버전의 구역(P1)과, 해당 구역(P1) 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NT1 내지 NT4)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와 같이, 이전 버전에 있던 공사공간(Z1)에 신규 구성요소(NT1, NT2)가 신축되고, 이전 버전에 존재했던 구성요소(T4 내지 T8)는 철거를 통해 소멸됐다. 물론, 해당 위치에는 새로운 공사공간(Z2)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전 버전에 있던 구성요소(T8)은 철거되고, 해당 위치에 새로운 구성요소(NT3, NT4)가 신축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구성공간 이미지의 면적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따라서 해당 구역(P1) 대비 구성공간에 대한 면적 비율에 큰 차이를 일으킨다.
S20; 연계성 검증 단계
이전 버전의 상기 면적 비율과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소한의 오차 방지를 위해서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 각각의 객체 이미지의 해당 중심점과 꼭지점에 각각 링크된 둘 이상의 다른 중심점과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길이가 일치하면 해당 구역 이미지는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최신 버전의 파트 이미지를 도 6과 같이 개별 관리한다. 또한, 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 이미지에서 해당 파트 이미지는 갱신 없이 이전 버전의 파트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한다.
S23; 파트 이미지 편집 단계
파트비교모듈(17)의 면적 비율 확인 결과,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한다. 여기서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 확인은 연계성 검증 단계(S20)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이전 버전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편집한다. 상기 면적 비율이 유사라는 것은 구성요소와 파트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 간에 연계 데이터에 오차가 있을 뿐, 구역 내에 존재하는 구성요소가 신축 또는 철거 없이 유지됨을 의미하므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 편집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전 버전 코드인 구성요소에서 해당 꼭지점과 다른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가 '3'으로 정의된 반면, 최신 버전 코드의 꼭지점과 다른 꼭지점 간에 길이인 연계 데이터는 오차로 인해 '4'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를 '4'에서 '3'으로 편집하고, 이에 따른 해당 코드의 관련 코드 데이터인 꼭지점의 좌표값과 중심점의 좌표값과 구성요소 이미지의 배치 형태 등을 일괄해 편집한다.
이러한 편집 절차에 따라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는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와 일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상기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도면에 도시된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에 위치하는 구성요소(T4 내지 T8)는 도 8의 (b)도면에 도시된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최신 버전의 제1파트(P1)에 위치하는 구성요소(NT1 내지 NT4)가 이전 버전의 제1파트(P1)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대로 최신 버전의 면적 비율과 이전 버전 간의 면적 비율을 불일치한다. 그러나 해당 구성요소(T4 내지 T8, NT1 내지 NT4)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T)는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에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 모두에 존재하는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 편집한다. 즉, 해당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우선 편집하는 것이다. 이때 편집되는 데이터는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편집이 완료되면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은, 최신 버전에만 존재하며 앞의 편집 대상인 구성요소와의 연계 데이터를 갖는 구성요소(코드)를 해당 연계 데이터에 맞춰 배치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에 모두 존재하는 기존 구성요소와의 연계 데이터를 갖는 새로운 구성요소를, 상기 기존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연계 데이터에 맞춰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각각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이 영상정보DB(12)에 저장시키고, 상기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시킨다.
S24; 2차 영상 도화 단계
영상도화모듈(19)은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 8의 (b)도면과 같이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1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와 2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는, 도 8의 (b)도면과 같이 T 구성요소 이미지(2차 도화영상 이미지)와 T' 구성요소 이미지(1차 도화영상이미지)에 위치적 차이가 발생하는데,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 절차로 인해 T' 구성요소 이미지는 T 구성요소 이미지로 편집된다.
S25; 도화영상 갱신 단계
영상도화모듈(19)은 2차 영상 도화된 도화영상 이미지를 도화정보DB(14)에 저장해서,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를 최신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로 갱신한다. 이때 영상도화모듈(19)은 파트 단위로 도화영상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이전 버전의 도화영상 이미지 전체 중에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구성요소에 변화가 있는 파트1 내지 파트4만을 교체하여 갱신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이미지 편집모듈(18) 역시 도 9의 (a)도면에서 보인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 전체 중에서 도 9의 (b)도면과 같이 구성요소에 변화가 있는 파트3만을 교체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렇게 갱신한 최신 버전의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13)에 저장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GPS값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도로 이미지를 경계로 구획된 파트 이미지 내에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 각각의 이전 버전 및 최신 버전과, 상기 이미지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정보DB,
    상기 파트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와 구성요소 이미지가 GPS값에 따라 조합 편집된 영상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
    상기 영상이미지에 따라 도화, 편집 및 갱신된 도화영상 이미지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을 저장하는 도화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DB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에서 색깔과 연속성과 폭을 기준으로 도로를 분류하고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1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도로를 경계로 구획된 블록 형태의 파트를 외곽라인 생성을 통해 구분해서 제2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파트의 형태와 범위를 구역으로 해서 제3코드로 식별하며; 상기 파트 내에서 색깔 변화 구간으로 된 외곽라인이 폐쇄 공간을 이루는 블록 형태의 구성요소를 제4코드로 식별하되,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폐쇄 공간이 공유한 해당 외곽라인은 상대적으로 넓은 폐쇄 공간의 외곽라인으로 지정하며 해당 폐쇄 공간을 구성요소로 확정하고, 상기 2 개의 폐쇄 공간 중 상대적으로 좁은 폐쇄 공간은 개방 공간으로 확정하며, 폐쇄 공간으로 확정된 구성요소는 개방 공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4코드를 보정하는 형태식별모듈,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에 각각 구성된 외곽라인이 이루는 꼭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2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중심점의 좌표값과,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미지 색깔 정보를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꼭지점 또는 중심점을 서로 다른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내에 둘 이상의 꼭지점 또는 중심점과 서로 링크해 확인된 길이를 연계 데이터로 설정하며, 이렇게 설정된 상기 제1코드 내지 제4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영상정보DB에 저장하는 파트정의모듈,
    상기 영상정보DB에서 제1코드 내지 제4코드 각각의 이전 버전과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 단위로 상기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차이 정도가 동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유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 불일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된 기준범위 내에 속하는지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차이 정도는 이전 버전의 코드 데이터와 최신 버전의 코드 데이터 각각의 해당 구역의 면적 대비 동일 구역 내 구성요소의 면적 비율 간에 차이고, 상기 면적 비율 간 차에 따라 동일, 유사, 불일치를 판단하는 파트비교모듈,
    상기 파트비교모듈의 비교결과, 면적 비율이 동일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와 최신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일치 여부를 확인해서, 일치로 확인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유지하고; 면적 비율이 유사로 판단되면 이전 버전 코드의 연계 데이터에 맞춰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 및 연계 데이터를 편집하고; 면적 비율이 불일치로 판단되면 철거 또는 신축 없이 유지 중인 구성요소의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에 맞춰서 우선 편집하고, 상기 우선 편집된 해당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신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편집해서 이전 버전 코드의 코드 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코드별 이미지와 코드 데이터는 영상정보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코드별 이미지가 조합된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에 저장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 및
    상기 유지와 편집과 갱신이 완료된 영상이미지 및 외곽라인에 따라 도화영상 이미지를 생성해서 도화정보DB에 저장시키는 영상도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KR1020180112481A 2018-09-19 2018-09-19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KR10194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81A KR101940800B1 (ko) 2018-09-19 2018-09-19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81A KR101940800B1 (ko) 2018-09-19 2018-09-19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800B1 true KR101940800B1 (ko) 2019-01-22

Family

ID=6528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81A KR101940800B1 (ko) 2018-09-19 2018-09-19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334B1 (ko) * 2021-05-1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도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46923B1 (ko) * 2023-10-17 2024-03-13 웨이즈원 주식회사 시계열 공간영상의 화면분할을 통해 정밀 도로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구간별 도화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영상도화 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799A (ko) * 1998-09-15 2001-09-07 이흥수 시변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사용자 장치
KR20090009453A (ko) * 2007-07-20 2009-01-23 팅크웨어(주) 3d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지리정보 시스템
KR100946250B1 (ko) * 2009-10-29 2010-03-10 (주)새한지오텍 수치지도 제작용 항공촬영 영상물의 편집처리를 위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코드 삽입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0967448B1 (ko) * 2009-10-28 2010-07-01 새한항업(주)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20100112314A (ko) * 2009-04-09 2010-10-19 팅크웨어(주) 도로명에 연계된 poi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995107B1 (ko) * 2009-10-29 2010-11-18 (주)새한지오텍 항공촬영이미지의 이해도를 높인 영상이미지 편집처리시스템
KR101106567B1 (ko) 2011-09-29 2012-01-19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20120054289A (ko) * 2010-11-19 2012-05-30 새한항업(주) 항공삼각측량을 위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101502871B1 (ko) *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20150104857A (ko) * 2014-03-06 2015-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식별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41098A (ko) * 2018-04-03 2018-04-2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정보의 영상정보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20180058452A (ko) * 2016-11-24 2018-06-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799A (ko) * 1998-09-15 2001-09-07 이흥수 시변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사용자 장치
KR20090009453A (ko) * 2007-07-20 2009-01-23 팅크웨어(주) 3d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지리정보 시스템
KR20100112314A (ko) * 2009-04-09 2010-10-19 팅크웨어(주) 도로명에 연계된 poi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967448B1 (ko) * 2009-10-28 2010-07-01 새한항업(주)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0946250B1 (ko) * 2009-10-29 2010-03-10 (주)새한지오텍 수치지도 제작용 항공촬영 영상물의 편집처리를 위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코드 삽입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0995107B1 (ko) * 2009-10-29 2010-11-18 (주)새한지오텍 항공촬영이미지의 이해도를 높인 영상이미지 편집처리시스템
KR20120054289A (ko) * 2010-11-19 2012-05-30 새한항업(주) 항공삼각측량을 위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101106567B1 (ko) 2011-09-29 2012-01-19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20150104857A (ko) * 2014-03-06 2015-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식별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02871B1 (ko) *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20180058452A (ko) * 2016-11-24 2018-06-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41098A (ko) * 2018-04-03 2018-04-2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정보의 영상정보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334B1 (ko) * 2021-05-14 2021-10-01 한국공간정보(주)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도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46923B1 (ko) * 2023-10-17 2024-03-13 웨이즈원 주식회사 시계열 공간영상의 화면분할을 통해 정밀 도로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구간별 도화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영상도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654B1 (ko) 수치지도 내 위치정보와 링크정보의 정밀 검색을 위한 수치지도 합성용 gps좌표의 변형처리 시스템
KR101496317B1 (ko)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1558460B1 (ko) 지상 기준점 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치오차 확인방법
US10346971B2 (en) Optimized method for analyzing the conformity of the surface of a tire
KR101578819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영상 이미지 내의 보안영역 자동화 편집방법
US6970593B2 (en) Ster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stereo image
KR101940800B1 (ko)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방식의 도화영상 편집시스템
KR101494826B1 (ko)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507393B1 (ko)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1946548B1 (ko) 지형이미지와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469080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의 합성으로 오차를 확인하는 정밀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559896B1 (ko) 영상이미지의 음영기복 확인을 통한 기복영상 처리시스템
KR102307334B1 (ko) 파트별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해 도화 영상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502866B1 (ko) 3차원 입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형 영상처리시스템
JP2002031525A (ja) 半導体ウエハのパターン形状評価方法及び装置
KR101227613B1 (ko)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2204043B1 (ko) 실시간 지물이미지 위치 보정을 통한 영상 정밀도 향상 기능의 자동영상처리 시스템
US2005001205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orresponding points i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KR101940804B1 (ko) 수치지도 기반이 되는 정밀 영상도화를 위한 위치별 객체 삽입시스템
KR101940799B1 (ko) 지형정보 변화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 장치
GB2281799A (en) Correcting directional data and/or pitch data of streaked patterns, for example fingerprints
JP2015228164A (ja) 物体検出システムおよび物体検出方法
KR101578822B1 (ko) Gis 기반의 항공영상 정합을 통한 2차원 영상이미지의 3차원 텍스처 복원장치
KR101998363B1 (ko) 자동 위치 검색 및 경로 파악이 가능한 수치지도 생성시스템
KR101468032B1 (ko) 지점별 좌표의 오류를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