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13B1 -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13B1
KR101227613B1 KR1020120126406A KR20120126406A KR101227613B1 KR 101227613 B1 KR101227613 B1 KR 101227613B1 KR 1020120126406 A KR1020120126406 A KR 1020120126406A KR 20120126406 A KR20120126406 A KR 20120126406A KR 101227613 B1 KR101227613 B1 KR 10122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map
output means
map
num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운
Original Assignee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항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하는 입출력수단; 보조출력수단;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고 작업자의 상기 입출력수단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상기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의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의 출력 위치좌표값 및 배율이 일치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연동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수치정보와 지형정보가 링크되도록 입력해서 수치지도로 제작하는 수치모듈과, 상기 수치지도DB에서 보정 대상인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와 참고이미지인 신 버전의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동일한 위치로 출력시키고 상기 입출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내에 삽입이미지를 삽입하는 편집모듈과, 상기 삽입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를 상기 간섭이 없는 보정이미지로 보정하되 상기 보정은 상기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가 위치한 본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도화이미지 내 기존 선과 간섭된 삽입이미지의 해당 변의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하면서 상기 꼭지점을 포함하도록 보정하고 상기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외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과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구비한 연산수단;으로 된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reflecting the change of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기술은 보다 정확하면서도 실사와 같은 지도를 활용하고픈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꾸준히 발전해 왔고, 항공촬영기술 및 영상이미지 편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지금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수치지도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정밀하게 촬영 편집된 촬영이미지 또는 도화된 도화이미지에 좌표정보인 수치정보와 각종 지형정보를 제 위치에 정확히 입력해 합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항공촬영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 기준점 타깃이 항공촬영이미지에 정확히 촬영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항공촬영이미지에 상기 타깃이 촬영되면 수치지도 제작과정에서 상기 타깃 이미지를 기준점으로 해서 해당 좌표정보인 수치정보가 입력되도록 해야 한다. 즉, 별도의 현장 조사를 거치지 않고도 정확한 수치정보 입력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치지도 제작 과정에서의 시간 및 비용의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하고, 수치지도의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항공촬영만으로도 지형변화 및 수치정보의 오차 등을 확인해서 기존 수치지도의 오류를 신속하게 갱신할 수 있으므로, 현장 조사 등과 같이 장시간의 시간투자로 인한 부담으로 주저하던 수치지도의 갱신(업데이트)을 정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인지하고, 종래에는 지상 기준점의 해당 위치에 항공촬영의 타깃이 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됐고, 특허 제0919870호 및 특허 제1009359호 등의 유사 기술이 공지되었다.
한편, 전술한 방식의 수치지도 갱신방법은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는 물론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는 편집한 항공촬영이미지에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를 바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 버전(version)의 지도를 신 버전의 지도로 갱신할 때 상대적으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반면,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는 변화가 발생한 지형정보 등을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새롭게 작성한 후에야 비로소 수치정보 및 지형정보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신 버전의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신 버전의 도화이미지를 작성해야 하는 선행작업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은 항공촬영이미지의 제공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고,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을 통해서만 수집되므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업데이트(갱신)은 항공촬영이 가능한 일정한 시기에 맞춰 일정 주기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형의 변화, 인공구조물 등의 변화는 상기 주기에 상관없이 시시때때로 발생하므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대한 오차율은 상기 수치지도의 제작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수치지도 이용에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지상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하는 입출력수단; 보조출력수단;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고 작업자의 상기 입출력수단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상기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의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의 출력 위치좌표값 및 배율이 일치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연동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수치정보와 지형정보가 링크되도록 입력해서 수치지도로 제작하는 수치모듈과, 상기 수치지도DB에서 보정 대상인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와 참고이미지인 신 버전의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동일한 위치로 출력시키고 상기 입출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내에 삽입이미지를 삽입하는 편집모듈과, 상기 삽입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를 상기 간섭이 없는 보정이미지로 보정하되 상기 보정은 상기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가 위치한 본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도화이미지 내 기존 선과 간섭된 삽입이미지의 해당 변의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하면서 상기 꼭지점을 포함하도록 보정하고 상기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외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과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구비한 연산수단;으로 된 수치지도 제작장치
를 포함하는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지상에 새롭게 구축된 구조물에 대응해서 기존 수치지도의 해당 지점을 정밀하게 갱신해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 버전의 수치지도 제작시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구 버전의 수치지도로도 신뢰도 높은 지도활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통해 수치지도가 제작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를 부분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의 삽입 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은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220)를 포함하는 저장장치(200);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동작하는 입출력수단(121)과, 이미지를 출력하는 보조출력수단(122)과, 저장장치(200)와 통신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작업자의 입출력수단(121)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각각 전달하는 처리모듈(111)과,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위치가 일치되도록 위치좌표값을 일치시키는 연동모듈(112)과,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각각 입력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하는 수치모듈(113)과,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해서 입출력수단(121) 또는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하고 입출력수단(12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편집하는 편집모듈(114)과,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에 삽입된 삽입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보정모듈(115)을 구비한 연산수단(110)을 포함하는 수치지도 제작장치(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출력수단(121)은 LCD 또는 PDP 등의 슬림 타입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되고, 보조출력수단(122)은 LCD 또는 PDP 등의 슬림 타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100)를 조작해서,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상기 도화이미지를 기초로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121)에 도화된 도화이미지에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일일이 입력함으로써 수치지도를 완성하며, 완성된 수치지도는 최종적으로 저장장치(200)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통해 수치지도가 제작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은 다음의 동작 과정으로 그 실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100)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이 모두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간단하게 예시한다.
작업자는 촬영이미지DB(210)에서 촬영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이를 편집하면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을 진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처리모듈(111)이 제시하는 작업 메뉴 중 수치지도 제작메뉴를 선택한다. 처리모듈(111)은 상기 수치지도 제작메뉴의 하위 메뉴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메뉴를 제시하고, 작업자는 이들 중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메뉴를 선택한다.
편집모듈(114)은 편집 대상이 되는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통상적인 검색 절차를 진행하고, 이렇게 검색되어 입출력수단(121)으로 출력되는 동일 지역에 대한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의 배율을 동일하게 조정한 후 이를 하나가 되도록 연결하는 편집을 진행해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일체화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완성한다.
수치지도 제작장치(100)에서 다양한 배율을 갖는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를 동일한 배율로 조정한 후 서로 연결해 편집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치모듈(113)은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 배경용 항공촬영이미지에 해당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를 삽입한다. 여기서, 지형정보는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각 부위의 지명이름, 건물이름 등에 관한 것이고, 수치정보는 GPS좌표정보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모듈(113)은 수치지도 배경용 항공촬영이미지 내 기준점을 기준으로 GPS좌표정보를 우선 합성하고, 상기 GPS좌표정보에 따라 지형정보를 삽입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한다.(도 3(c) 참조)
수치지도 제작장치(100)에 출력되는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에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를 삽입하는 기술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완성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는 수치지도DB(220)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앞서 제작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기초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갱신을 시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처리모듈(111)에서 제시하는 해당 메뉴('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 메뉴)를 선택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우선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에 대한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모듈(114)은 수치지도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출력할 지역의 수치정보를 입력하도록 안내하고, 작업자는 해당 안내에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입력한다.
편집모듈(114)은 상기 수치정보를 기초로 수치지도DB(220)에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각각 출력시킨다. 도 3(a)는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각각 출력되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보인 것이다. 참고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위치가 일치되도록 위치좌표값을 일치시키는 장치인 연동모듈(112)을 통해,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는 출력상태가 항상 동기화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이미지를 조작해서 출력배율을 조정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면, 연동모듈(112)은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으로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배율과 위치좌표값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해서, 작업자가 입출력수단(121)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위치 조정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위치와 출력모습이 모두 일치될 수 있도록 동기화되게 조정한다. 결국,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를 이동시키기거나 배율을 조정하면,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도 연동모듈(114)의 동작에 의해 동일한 길이로 이동하거나 배율이 조정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고 있는 해당 수치지도의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작업을 진행해서, 도 3(b)와 같은 도화이미지를 완성한다. 도화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100)의 입출력수단(121)은 현재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를 도화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유지한 채 열거나 닫을 수 있고, 상기 촬영이미지를 열거나 닫는 도중에 보조출력수단(122)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촬영이미지를 유지시켜서 작업자가 도화 작업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화이미지가 완성되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수치모듈(113)은 지형정보와 수치정보가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각각 링크되도록 저장해서, 도 3(c)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로 최종 완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를 부분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에 대한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앞서 제작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기초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갱신을 시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처리모듈(111)에서 제시하는 해당 메뉴('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 메뉴) 중,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선택한다.
작업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모듈(114)은 수치지도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출력할 지역의 수치정보를 입력하도록 안내하고, 작업자는 해당 안내에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입력한다.
편집모듈(114)은 상기 수치정보를 기초로 수치지도DB(220)에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입출력수단(121)에 출력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입출력수단(121)을 통해 도 3(c)에서 보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보조출력수단(122)에는 보정 대상 지역에 대한 참고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참고이미지는 도 4(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새로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일 수도 있고, 보정 대상 지역을 지상에서 직접 촬영한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보정 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감도 또는 설계도 등일 수도 있다. 즉, 수치지도를 제작한 이후 임의의 지상 구역에 새로운 구조물을 건축하거나 소멸할 경우 이를 갱신하기 위해서 해당 참고이미지를 참고해 기존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참고이미지는 보정 대상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신 버전의 항공촬영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보정 대상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참고이미지는 연동모듈(112)에 의해 출력상태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을 전체적으로 재작성할 필요없이 업데이트할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보정하면 되므로, 수치지도 갱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이미지와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참고이미지를 비교하면서 차이점을 확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치지도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참고이미지의 해당 지역인 A1과 B1 부분을 확인하였다. A1과 B1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건물이 건축된 지역인데,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수단(121)에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바탕으로 A1과 B1에 해당하는 위치에 건물 이미지를 도화해 삽입한다. 편집모듈(114)은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작업자가 삽입한 삽입이미지(A2, B2)를 출력하고, 수치모듈(113)은 삽입이미지(A2, B2)에 해당하는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 삽입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초1동 주민센터', '볼보'와 같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100)는 제작이 완료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대해 부분적인 변화를 원인으로 보정이 요구될 경우, 수치지도 전체에 대한 보정 없이도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검색해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의 삽입 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에 삽입된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주변 도화 내용에 따라 재보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이므로 정밀한 도화에 한계가 있고,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없다. 즉,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삽입이미지(A2, B2) 중 일부는 기존 도화이미지의 선(L1, L2)들과 간섭되면서 수치지도의 완성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기존 도화이미지와 삽입이미지(A2, B2)가 서로 간섭된 상태의 수치지도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문제가 된 삽입이미지(A2)는 실제 대상 구조물과 그 형상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해당 수치지도의 실사용자는 상기 수치지도 이용에 곤란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에 구성된 수치지도 제작장치(100)는 삽입이미지(A2, B2)에 대한 보정을 진행하는 보정모듈(115)을 더 포함한다.
보정모듈(115)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내에서 작업자가 삽입한 삽입이미지(A2, B2)를 검색하고, 삽입이미지(A2, B2) 중 기존 수치지도 내 기존 선(L1, L2)들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 B2)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정모듈(115)은 기존 선(L1, L2)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를 검색하고, 기존 선(L1, L2)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의 신규 변(T1, T2)을 확인한다.
계속해서,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가 위치하는 본 영역을 확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이미지(A2)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없이 제대로 삽입된다면 본 영역 내에 위치될 것이나, 기존 도화이미지와 간섭이 발생한다면 삽입이미지(A2)는 이웃하는 영역을 침범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자는 기존 도화이미지와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본 영역 내에 삽입이미지(A2)를 주로 삽입할 것이므로,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의 본 영역 확인을 삽입이미지(A2)의 점유 면적을 확인해서 상대적으로 넓게 차지하는 부분을 본 영역으로 간주한다.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의 본 영역을 확인하고 신규 변(T1, T2)의 꼭지점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정모듈(115)이 신규 변(T1, T2) 중 첫 번째 신규 변(T1)의 꼭지점(P)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보정모듈(115)은 본 영역에 꼭지점(P)이 위치한 신규 변(T1)은 교차된 기존 선(L1)과 나란하도록 꼭지점(P)을 시작으로 본 영역 내에 도시해서 보정 변(T1')으로 수정한다.
한편, 이웃하는 영역에 꼭지점이 위치한 신규 변(T2)은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C)에서 해당 기존 선(L2)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AX)과 일치하도록 도시해서 보정 변(T2')으로 최종 수정한다.
결국, 삽입이미지(A2)는 보정변(T1', T2')를 갖는 보정이미지(A3)로 보정되면서 보다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치지도로 업데이트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치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높은 신뢰도로 상기 수치지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치지도 제작장치 110; 연산수단 111; 처리모듈
112; 연동모듈 113; 수치모듈 114; 편집모듈
121; 입출력수단 122; 보조출력수단 200; 저장장치
210; 촬영이미지DB 220; 수치지도DB

Claims (1)

  1.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를 구비한 저장장치, 및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하는 입출력수단; 보조출력수단;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고 작업자의 상기 입출력수단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해서 상기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의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의 출력 위치좌표값 및 배율이 일치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연동모듈과, 상기 입출력수단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수치정보와 지형정보가 링크되도록 입력해서 수치지도로 제작하는 수치모듈과, 상기 수치지도DB에서 보정 대상인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와 참고이미지인 신 버전의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상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동일한 위치로 출력시키고 상기 입출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내에 삽입이미지를 삽입하는 편집모듈과, 상기 삽입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를 상기 간섭이 없는 보정이미지로 보정하되 상기 보정은 상기 간섭 확인시 상기 삽입이미지가 위치한 본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기존 도화이미지 내 기존 선과 간섭된 삽입이미지의 해당 변의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하면서 상기 꼭지점을 포함하도록 보정하고 상기 꼭지점이 상기 본 영역 외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상기 기존 선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과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구비한 연산수단;으로 된 수치지도 제작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20120126406A 2012-11-09 2012-11-09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22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06A KR101227613B1 (ko) 2012-11-09 2012-11-09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06A KR101227613B1 (ko) 2012-11-09 2012-11-09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13B1 true KR101227613B1 (ko) 2013-01-30

Family

ID=4784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406A KR101227613B1 (ko) 2012-11-09 2012-11-09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48B1 (ko) 2013-08-05 2014-01-15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469087B1 (ko)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954708B1 (ko) * 2018-10-12 2019-03-06 새한항업(주) 고도별 수집영상의 도화이미지 보정을 통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편집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20190136615A (ko) 2018-05-31 2019-1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072229B1 (ko) * 2019-10-15 2020-01-31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합성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95B1 (ko) * 2004-08-06 2004-11-09 (주)하이컴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신설도로 정보를 수치지도에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538343B1 (ko) *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1006977B1 (ko) * 2010-09-17 2011-01-12 (주)대한지적기술단 수치지도 제작 시 수치데이터를 보상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95B1 (ko) * 2004-08-06 2004-11-09 (주)하이컴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신설도로 정보를 수치지도에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538343B1 (ko) *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1006977B1 (ko) * 2010-09-17 2011-01-12 (주)대한지적기술단 수치지도 제작 시 수치데이터를 보상하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48B1 (ko) 2013-08-05 2014-01-15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469087B1 (ko)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20190136615A (ko) 2018-05-31 2019-1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067543B1 (ko) 2018-05-31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708B1 (ko) * 2018-10-12 2019-03-06 새한항업(주) 고도별 수집영상의 도화이미지 보정을 통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편집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72229B1 (ko) * 2019-10-15 2020-01-31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합성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13B1 (ko) 지형정보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101226085B1 (ko) 기존 지형정보 및 새로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312650B1 (ko)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별 합성처리를 위한 도화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1816041B1 (ko) 시스루 스마트 안경 및 그 투시 방법
JP485123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1502866B1 (ko) 3차원 입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형 영상처리시스템
KR101347248B1 (ko)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494826B1 (ko)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483955B1 (ko)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0995107B1 (ko) 항공촬영이미지의 이해도를 높인 영상이미지 편집처리시스템
KR101469080B1 (ko) 좌표정보 및 지형정보의 합성으로 오차를 확인하는 정밀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0946250B1 (ko) 수치지도 제작용 항공촬영 영상물의 편집처리를 위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식별코드 삽입용 영상처리시스템
US8704853B2 (en) Modifying graphical paths
JP2013507677A (ja) 実環境視像における仮想情報の表示方法
KR101558460B1 (ko) 지상 기준점 정보의 정밀 해석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치오차 확인방법
EP2733675A1 (en) Object display device, object display method, and object display program
CN112424837B (zh) 模型修正方法、装置、设备
CN109102563A (zh) 一种实景三维建模方法
JP201123934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110780B2 (ja) 付加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875047B1 (ko) 사진측량을 이용한 3d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425B1 (ko) 현지조사작업의 정확도 향상을 통한 수치지도 보완시스템
JP485124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623666B1 (ko) 디지털 사진측량기술과 무타켓 토탈 스테이션을 이용한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용 수치영상도면 제작방법
KR101468032B1 (ko) 지점별 좌표의 오류를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