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67B1 -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67B1
KR102646767B1 KR1020230115270A KR20230115270A KR102646767B1 KR 102646767 B1 KR102646767 B1 KR 102646767B1 KR 1020230115270 A KR1020230115270 A KR 1020230115270A KR 20230115270 A KR20230115270 A KR 20230115270A KR 102646767 B1 KR102646767 B1 KR 10264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t tissue
sliding
pai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박찬민
하지광
Original Assignee
아세아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세아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세아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는, 복수의 물티슈 낱장들을 수용하기 위한 물티슈 수용함의 물티슈 배출 개구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로서,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에 일측이 부착되고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타측이 부착되는 실링 스티커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덮어 상기 물티슈 수용함 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이동된 열림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부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의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Sliding cover structure and wet tissue containment packa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에 대한 것이다.
아기들의 기저귀 교환 시 주변 피부 또는 그 외에 얼굴, 손, 발을 닦아주거나 여성들의 미용이나 세정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용품 및 사무용품의 소독 및 청소에 이르기까지 물기가 있는 수건으로 닦거나 물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물티슈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언제 어디서든 습윤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 팩 형태를 갖는 물티슈 수용함에 밀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조합되고, 또한 서로 겹쳐진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물티슈를 인출하면 이어서 연속되는 물티슈의 일부가 돌출되면서 차례로 한 장씩 인출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사용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 팩 형태를 갖는 물티슈 수용함을 개봉하게 되면, 사용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말라 버리거나 외부에 노출되면서 오염되어 다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물티슈 수용함의 상면에 타원 또는 사각 형상으로 소정 크기를 갖는 물티슈 배출 개구를 두고,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둘러싸면서 주변 테두리에 접착 및 분리되어 물티슈 배출 개구를 개폐시키는 실링 스티커를 구비하였다.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티슈 배출 개구에 접착되어 있는 실링 스티커를 떼어내 개방된 물티슈 배출 개구를 통해 필요한 만큼의 물티슈를 인출한 후 다시 붙여 물티슈 배출 개구를 밀봉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물티슈에 함유된 수분 증발 및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최근에는, 밀봉 스티커가 물티슈 배출 개구를 밀봉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 스티커를 덮도록 플라스틱 덮개가 제공된 예가 있다. 이 때, 플라스틱 덮개는 스티커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물티슈 수용함에 결합된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일 모서리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티커를 덮도록 닫히거나 스티커가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 회전에 의하여 열릴 수 있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부 블록에 대하여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블록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덮개는, 상부 블록을 하부 블록에 대하여 힌지 회전시킨 후 스티커를 다시 물티슈 배출 개구로부터 떼어 내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번거로운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상부 블록을 덮어서 플라스틱 덮개를 닫기 전에 스티커를 물티슈 배출 개구를 밀봉시키지 않고 덮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의 물티슈 수용 패키지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이 수밀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물티슈 수용함 내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물티슈가 물티슈 수용함 내부에서 말라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티커를 물티슈 배출 개구에 잘 부착시킨 후 상부 블록을 하부 블록에 결합시켜 플라스틱 덮개를 닫는다 하더라도 물티슈 배출 개구에 반복적으로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떨어지는 경우 스티커의 부착력이 약해져 수분의 증발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 수용함 내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물티슈 낱장들을 수용하기 위한 물티슈 수용함의 물티슈 배출 개구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로서,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에 일측이 부착되고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타측이 부착되는 실링 스티커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덮어 상기 물티슈 수용함 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이동된 열림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부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의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보다 넓은 면적의 상부 덮개면;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양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 하부의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내측과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가 놓여지는 하부 바닥면 개구부를 구비한 하부 바닥면; 상기 하부 바닥면의 상부 둘레에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양 측부에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하부 바닥면 상부의 상기 하부 측방 외측벽 내측과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측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수평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부 상부에는 상기 상부 블록의 상부 덮개면과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사이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의 하부면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사이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 사이에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블록의 상부 덮개면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스토퍼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 덮개면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일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 1 스토퍼 보다 먼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상기 제 1 스토퍼를 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는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사이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 사이에는, 상기 열림 위치에서 사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면 상에 상기 제 1 스토퍼와 이격 배치되도록 제 2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상기 제 2 스토퍼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스토퍼가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및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의 하부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의 상부면이 서로 경사지게 맞접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의 하부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의 상부면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 및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은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한 쌍의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 사이에는 스티커 고정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커 고정부의 하면에는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의 상면 일측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티커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하부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에 상부 전방 외측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에 상부 후방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전방 외측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전방 외측벽 및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후방 외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방 외측벽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은 중앙부가 양 측부보다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후방 외측벽의 모서리에 접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중앙부 상측 모서리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 블록을 슬라이딩이동시킬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작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블록의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양 측부 모서리부는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블록의 사기 하부 후방 외측벽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닫힘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양측부 모서리에 위치되는 하부 후방 모서리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는,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덮도록 하부 바닥면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개구 커버부 및 상기 개구 커버부의 일 모서리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부 블록에 부착되는 상부 블록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물티슈 낱장을 수용하기 위한 물티슈 수용함 및 상기 물티슈 수용함의 물티슈 배출 개구에 설치되는 전술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물티슈 낱장은 일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적층되어,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통해 물티슈 낱장이 인출되는 경우 인접한 낱장의 물티슈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블록을 채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사용자가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에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측을 접착하여 상부 블록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할 때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부가 함께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블록을 개방하는 한번의 동작으로 물티슈 배출 개구가 개방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물티슈 수용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대하여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상부 블록이 실링 스티커 부재를 가압하고 있어 실링 스티커 부재가 물티슈 배출 개구를 완벽하게 실링할 수 있어 닫힘 위치에서 수분 증발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대하여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사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내부에 상부 실링벽 및 하부 실링벽이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티슈 배출 개구에 실링 스티커 부재의 부착력이 약해진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 물티슈 수용함 내부의 수분 증발이 억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덮개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물티슈를 물티슈 수용 패키지로부터 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위치에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내부의 실링 스티커 부재 및 실링벽의 2중 구조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시킬 수 있어 물티슈 수용 패키지 내부에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보다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스티커 고정부가 배치되는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5은 도 4에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하부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II-II' 단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2에서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서 물티슈 수용함에 실링 스티커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이외의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구성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11은 도 2에서 I-I'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서 개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V-V'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가 물티슈 배출 개구에서 일부 떨어져 물티슈 배출 개구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실링 스티커 부재 이외의 구성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16은 도 2에서, IV-IV'의 단면도로서, (a)는 슬라이딩 구조체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b)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수용 패키지(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수용 패키지(1)는 복수의 물티슈 낱장(4)을 수용하는 물티슈 수용함(2)의 상부에 형성된 물티슈 배출 개구(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설치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는 물티슈 배출 개구(3) 상에 설치되는 하부 블록(200)과, 하부 블록(200)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블록(100), 상부 블록(100)에 결합된 실링 스티커 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스티커 부재(300)는 상부면 일측이 상부 블록(100)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물티슈 배출 개구(3)의 둘레부에 부착되어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 상에 덮혀있는 닫힘 위치에서는 물티슈 배출 개구(3)를 실링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하여 열림 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부 블록(100)과 함께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일측이 물티슈 배출 개구(3) 일측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부 블록(100)과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블록(100)의 이동만으로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은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을 물티슈 수용함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시 상부 블록(100)이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일측이 다시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물티슈 배출 개구(3)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블록(100)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서 볼 때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물티슈 배출 개구가 열리도록 상부 블록이 이동되는 방향을 전방, 즉 슬라이딩 방향의 전방으로 규정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스티커 고정부가 배치되는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하부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II-II' 단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2에서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상태에서 물티슈 수용함에 실링 스티커 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이외의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구성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 구성요소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도면 번호에 "a"를 붙인 구성은 도면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된 구성이며, 동일한 도면번호라도, 도면 번호에 "b"를 붙인 구성은 도면에서 볼 때 우측에 위치된 구성을 명명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는 상부 블록(100), 하부 블록(200) 및 실링 스티커 부재(300)를 포함한다.
하부 블록(200)은 물티슈 배출 개구(3) 상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며, 상부 블록(100)은 하부 블록(200)의 상부에서 하부 블록(200)의 측방향,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실링 스티커 부재(300)는 상부 블록(100)에 상부면 일측이 부착되고 물티슈 배출 개구(3)의 둘레부에 하부면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보다 상세히, 도 2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100)은 상부 덮개면(110), 복수의 상부 측벽(120), 복수의 상부 실링벽(121), 스티커 고정부(112)를 포함한다.
상부 덮개면(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덮개면(110)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면(110)의 4 모서리는 둥근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덮개면(110)의 상부측 일 모서리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부 블록(100)을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힘을 주고 가압할 수 있는 작동홈(1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작동홈(111)에 엄지 또는 검지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부 블록(100)을 밀어서 하부 블록(200)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덮개면(110) 상에 형성되는 작동홈(111)의 전방측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16)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11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의 상부 블록(100)을 밀어서 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힘을 주어야하는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의 발휘를 위해, 가이드홈(116)은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살표 형상과 같이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적용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홈(116) 내부에는 사출주입구(117)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사출된 후 금형에서 탈락하는 과정에서 사출주입구 부분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사출주입구 부분이 거칠게 처리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심미적으로도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다.
사출주입구(117)가 음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16) 내부 평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출주입구(117) 부분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의 사용 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6) 내부에 사출주입구(117)가 음각으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의도적인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어 심미성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상부 덮개면(110)의 전방, 후방 및 양 측면 모서리변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상부 측벽(120)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부 측벽(120)은 상부 블록(100)의 측면 외측을 둘러싸는 벽체를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부 측벽(120)은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 상부 전방 외측벽(132) 및 상부 후방 외측벽(134)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은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부 덮개면(110)의 좌측과 우측 모서리변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은 상부 블록(100)의 연장 방향 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 중 좌측에 배치되는 상부 측방 외측벽(122a)의 내측면이 도시되고, 상부 측방 외측벽(122a)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었으나, 대향하는 우측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b)의 내측면에도 좌측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모든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은 상부 덮개면(110)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소정 두께의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 및 복수의 지지 리브(162a,162b,164a, 164b)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는 하부 블록(200)에 형성된 슬라이딩부(240a, 240b)를 지지하여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상부 블록(100)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는 복수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슬라이딩 가이드는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및 142b, 144a 및 144b, 146a 및 146b)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및 142b, 144a 및 144b, 146a 및 146b) 각각은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으로 돌출된 수평 지지부(148)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 지지부(148)는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수평면을 포함한다. 이 때, 수평 지지부(148)를 지지하도록 수평 지지부(148) 하부에 수직 지지부(147)가 형성된다. 수직 지지부(147)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수평 지지부(148)의 하부측에서 수평 지지부(148)를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및 142b, 144a 및 144b, 146a 및 146b)는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가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상부 블록(100)을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할 때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상부 블록을 금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블록(100)은 보다 빠른 성형이 가능하여 상부 블록의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를 하나의 수평 지지부가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경우 금형으로부터 상부 블록을 종방향으로 분리시켜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반복되는 사출 작업으로 인해 금형에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위와 같은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가 상부 블록(100)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면에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딩 가이드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블록(100)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의 상부측에는 제 1 지지 리브(162a, 162b) 및 제 2 지지 리브(164a, 164b)가 형성된다.
제 1 지지 리브(162a, 162b)는 상부 덮개면(110)의 하면과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의 내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부 덮개면(110)과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 사이를 보강한다.
이때, 제 1 지지 리브(162a, 162b)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지지 리브(162a, 162b)의 하부면은 후술하는 슬라이딩부(240a, 240b)의 상부면 및 경사면과 나란하게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 지지 리브(162a, 162b)는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의 복수의 수직 지지부(147)와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상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 1 지지 리브(162a, 162b), 예를 들어, 제 1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의 전방 방향 제 1 지지 리브(162a, 162b)와 제 2 슬라이딩 가이드(144a, 144b)의 후방 방향 제 1 지지 리브(162a, 162b)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제 2 지지 리브(164a, 164b)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지지 리브(164a, 164b)는 상부 블록(100)의 상부 덮개면(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덮개면(110)의 하부 둘레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변에는 상부 전방 외측벽(132)이 형성된다. 상부 전방 외측벽(132)은 좌우 방향으로 동일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체로 형성된다.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높이는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 122b)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덮개면(110) 하부 둘레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변에는 상부 후방 외측벽(134)이 형성된다.
도 4, 도 5,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후방 외측벽(134)은 중앙부가 좌우 방향 양 측부 높이(hs3)보다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높이(hs4)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높이(hs4)는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높이(hs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중앙부 두께는 상부 전방 외측벽(132)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꺼운 두께를 갖는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중앙부 폭은 전술한 작동홈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중앙부가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작동홈(111)을 사용자가 가압하여 상부 블록(100)을 밀 때 상부 블록(100)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블록(100)의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양측부는 중앙부보다 하측 방향으로 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양 측부에 인접한 모서리부에는 벽이 형성되지 않고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부 후방 모서리홈(135a, 135b)으로 형성된다.
상부 후방 모서리홈(135a, 135b)에는 닫힘 위치에서 후술하는 하부 블록(200)의 하부 후방 모서리벽(도 7의 236a, 236b)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중앙부 및 양측부 내측 모서리부에는 걸림턱(136)이 형성된다. 걸림턱(136)은 상부 블록이 닫힘 위치에서 후술하는 하부 후방 외측벽(234)의 모서리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닫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후방 외측벽(134)과 후술하는 하부 후방 외측벽(234) 사이의 실링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덮개면(11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상부 실링벽(121)이 형성된다. 상부 덮개면(110)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실링벽(121)은 하부 블록(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실링벽(221)과 함께, 닫힘 위치에서 상부 덮개면(110) 하부의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수밀가능하게 밀봉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덮개면(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실링벽(121)은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은 상부 덮개면(110) 하부의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 내측과 물티슈 배출 개구(3) 사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은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볼 때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높이가 높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의 후방 단부의 높이는 인접한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높이(도 16의 hs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의 전방 단부의 높이는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높이(도 16의 hs1)보다 약간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의 전방 단부의 높이와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높이차는 후술하는 하부 전방 외측벽(232)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은 상부 덮개면(110)의 하부 둘레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방 모서리변에 인접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 높이의 벽체로 형성된다.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이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에 접한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은 상부 덮개면(110)의 하부 둘레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후방 모서리변에 인접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 높이의 벽체로 형성된다.
이 때, 도 9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의 돌출된 높이(hs2)는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의 돌출된 높이(hs3)보다 높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은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 측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스티커 고정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티커 고정부(112)는 상부 덮개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닥면이 직사각 형태인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티커 고정부(112)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w)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고정부(112)의 경우 5mm 이하의 두께(w)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은 별도의 홈이 없이 평평한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스티커 고정부(112)의 두께(w)가 5mm 이상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 형태의 접착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고정부(112)의 접착홈은 후술하는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상부면 일측을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수용되어 실링 스티커 부재(300)와 스티커 고정부(112)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스티커 고정부는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경우 재료가 수축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커 고정부의 하부면에 접착제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 형태의 접착홈를 형성하여 수축시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슬릿 형태의 접착홈에 접착제가 삽입될 경우 접착제가 스티커 고정부 바깥으로 흘러나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은 후술하는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티슈 수용 패키지(1)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을 물티슈 수용함(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과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 하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야 하는데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과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 하부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스티커 고정부(112)의 바닥면과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 하부면에 한번에 접착제의 도포가 가능하므로 공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스티커 고정부(112)와 하부 블록(200) 사이에는 소정 간격(d1, d2, d3) 이격된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티커 고정부(112)와 하부 블록(200)이 맞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스티커 고정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스티커 고정부(112) 주변에 위치하는 하부 블록(200) 측으로 흘러갈 수 있다.
스티커 고정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하부 블록(200) 측으로 흘러가면 상부 블록(100)을 하부 블록(20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를 개폐하는 과정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커 고정부(112)와 하부 블록(200) 사이의 이격을 위한 소정 간격(d1, d2, d3)은 스티커 고정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인접하는 하부 블록(200)에 일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스티커 고정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하부 블록(20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스티커 고정부(112)의 후방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1)이 커지면 그에 따라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슬라이딩 거리가 줄어들면 사용자가 물티슈를 물티슈 배출 개구(3)로부터 인출하기 불편해지므로 스티커 고정부(112)의 후방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1)은 이격을 위한 최소한의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고정부(112)의 후방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1)은 1mm 이상, 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커 고정부(1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2, d3) 또한 스티커 고정부(112)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인접하는 하부 블록(200)에 일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이 경우, 스티커 고정부(1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2, d3)이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스티커 고정부(112)의 면적이 줄어들어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스티커 고정부(112)에 안정적으로 접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스티커 고정부(1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2, d3)은 도포되는 접착제가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고정부(1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하부 블록(200) 간의 간격(d2, d3)은 4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블록(200)은 하부 바닥면(210), 복수의 하부 측벽(220), 복수의 하부 실링벽(221)을 포함한다.
하부 바닥면(21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덮개면(110)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하부 바닥면(210)은 상부 덮개면(110)과 유사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바닥면(210)의4 모서리는 둥근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바닥면(210)은 물티슈 배출 개구(3)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하부 바닥면(21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위치되는 하부 바닥면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바닥면(210)의 하부면 상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접착제가 하부 바닥면(210)에 도포된 하부 블록(200)은 물티슈 수용함(2)의 물티슈 배출 개구(3)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바닥면(210)의 하부면 상에는 하부 바닥면 개구부(211) 부근에 하부 바닥면 개구부(211)의 둘레를 따라 제 1 하부홈(2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210)의 테두리 인근에 하부 바닥면(210)의 테두리를 따라 제 2 하부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부홈(213) 및 제 2 하부홈(215)에는 접착제가 삽입될 수 있으며, 하부 바닥면(210)에 도포된 접착제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바닥면(210)의 전방, 후방 및 양 측면 모서리변에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하부 측벽(220)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하부 측벽(220)은 하부 블록(200)의 측면 외측을 둘러싸는 벽체를 형성한다.
복수 개의 하부 측벽(220)은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 하부 전방 외측벽(232) 및 하부 후방 외측벽(234)을 포함한다.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은 하부 바닥면(210)의 상부에서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 양 측부 변에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은 하부 블록(200)의 연장 방향 중심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은 하부 바닥면(2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소정 두께의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의 외측 방향 상단부에는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240a, 240b)가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240a, 240b)는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242)이 하부 바닥면(210)에 대하여 상측 및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242)의 하부에는 슬라이딩부 하부면(246)이 수평 지지부(148)와 대향하여 접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의 상부면(244)과 슬라이딩부(240a, 240b)의 경사면(242)은 제 1 지지 리브(162a, 162b)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부 블록(100)의 제 1 지지 리브(162a, 162b) 및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의 수평 지지부(148) 사이에서 슬라이딩부(240a, 240b)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블록(200)에 슬라이딩부(240a, 240b)가 형성되고, 상부 블록(100)에 슬라이딩 가이드부(140a, 140b)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블록(200)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부 블록(100)에 슬라이딩부(240a, 240b)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부 블록(200)의 슬라이딩부(240a, 240b)의 후방측 단부에는 닫힘 위치에서 상부 블록(100)의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양 측부 모서리에 위치되는 하부 후방 모서리벽(236a, 236b)이 형성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바닥면(210)의 상부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변에는 하부 전방 외측벽(232)이 형성된다.
하부 전방 외측벽(232)은 좌우 방향으로 동일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체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전방 외측벽(232)의 높이는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돌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하부 전방 외측벽(232)은 닫힘 위치에서 상부 전방 외측벽(132)의 하부에 맞접하도록 대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바닥면(210) 상부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 변에는 하부 후방 외측벽(234)이 형성된다. 하부 후방 외측벽(234)은 닫힘 위치에서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하부에 맞접하도록 대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후방 외측벽(234)의 중앙부에는 상부 후방 외측벽(134)의 돌출된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응홈(235)이 형성되고, 대응홈(235)이 형성된 중앙부의 높이보다 하부 후방 외측벽(234)의 양 측부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바닥면(21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하부 실링벽(221)이 형성된다. 하부 바닥면(210)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실링벽(221)은 전술한 상부 블록(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실링벽(121)과 함께, 닫힘 위치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수밀가능하게 밀봉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바닥면(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실링벽(221)은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229)을 포함한다.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은 하부 바닥면(210) 상부의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 내측과 물티슈 배출 개구(3) 사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은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볼 때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의 전방 단부의 높이는 인접한 하부 전방 외측벽(232)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의 후방 단부의 높이는 하부 후방 외측벽(23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은 하부 바닥면(21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방 모서리변에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 높이의 벽체로 형성된다.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의 양 단부는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이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226a, 226b)에 접한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229)은 하부 바닥면(2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으로 후방 모서리변에 인접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 높이의 벽체로 형성된다.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의 돌출된 높이는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229)의 돌출된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이 때,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228)은 닫힘 위치에서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128) 하부에 맞접하도록 대향 형성된다.
한편,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229)은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 측부에 한 쌍으로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과 대응되도록 이격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하부 바닥면 개구부(211)의 일측이 위치된다.
이 때,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229)은 닫힘 위치에서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의 하부에 맞접하도록 대향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이 닫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상부면의 상부 블록 접착 영역(A)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일측, 즉 상부 블록 부착부(310)가 상부 블록(100)에 고정되고,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개구 커버부(320)의 하부면 둘레의 물티슈 수용함 접착 영역(B)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물티슈 배출 개구(3)를 실링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는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이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에 스토핑부(150a, 150b)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스토핑부(150a, 150b)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도 2에서 I-I'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닫힘 위치에서 하부 블록의 하부 내측벽과 하부 외측벽 사이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6,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스토핑부(150a, 150b)는 제 1 스토퍼(252a, 252b), 제 2 스토퍼(254a, 254b) 및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부 블록(100)의 상부 덮개면(110) 하부에는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122a,122b) 및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126a. 126b) 사이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형성된다.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100)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양측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 때,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129)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는 상부 덮개면(1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하방 연장부(153)와 하방 연장부(153)보다 좁은 횡방향 단면 넓이를 갖는 하방 단부(154)를 구비한다.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의 하방 단부(154)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곡면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에 대응하여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 상에는 제 1 스토퍼(252a, 252b) 및 제 2 스토퍼(254a, 254b)가 형성된다.
하부 바닥면(210) 상에 제 1 스토퍼(252a, 252b) 및 제 2 스토퍼(254a, 254b)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바닥면(210)의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의 내측에는 하부 측방 내측벽(224a, 224b)이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하부 측방 내측벽(224a, 224b)의 높이는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방 내측벽(224a, 224b)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하부 전방 외측벽(232)으로부터 하부 후방 외측벽(234)까지 연장된 벽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측방 내측벽(224a, 224b)과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 사이에 하부 바닥면(210)으로부터 제 1 스토퍼(252a, 252b) 및 제 2 스토퍼(254a, 254b)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스토퍼(252a, 252b)는 닫힘 위치에서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 1 스토퍼(252a, 252b)는 하부 바닥면(210) 상으로부터 돌출된 상방 연장부(253)를 구비하고, 상방 연장부(253)의 상측 단부에 제 1 경사면(255) 및 제 2 경사면(256)을 구비한다. 제 1 경사면(255)은 슬라이딩 방향의 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 2 경사면(256)은 슬라이딩 방향의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스토퍼(252a, 252b)의 높이는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h1)보다 약간 높은 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2을 참조하면, 닫힘 위치에서 제 1 스토퍼(252a, 252b)는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보다 슬라이딩 방향으로 전방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제 1 스토퍼(252a, 252b)를 넘어서 이동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의 상부 블록(100)을 밀어서 열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제 1 스토퍼(252a, 252b)를 넘을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해야 하며, 그와 같은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혹은 상부 블록(100)이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스토퍼(252a, 252b)에 의하여 상부 블록(100)의 위치가 하부 블록(200) 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닫힘 위치에서 상부 블록(100)은 하부 블록(200) 상에 위치 고정되어 내부 공간이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을 참조하면, 하부 블록(200)의 하부 바닥면(210) 상부의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222a, 222b) 및 한 쌍의 하부 측방 내측벽(224a, 224b) 사이에는 슬라이딩 방향의 전방측에는 제 1 스토퍼(252a, 252b)와 이격된 위치에 제 2 스토퍼(254a, 254b)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스토퍼(254a, 254b)는 열림 위치에서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 2 스토퍼(254a, 254b)는 하부 바닥면(210) 상으로 소정의 높이(h3)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제 2 스토퍼(254a, 254b)의 높이는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하부 바닥면(210)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보다 높아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제 2 스토퍼(254a, 254b)를 넘어서 이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스토퍼(252a, 252b)와 제 2 스토퍼(254a, 254b) 사이에 보강 리브(25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상부 블록(100)에 형성되고, 제 1 스토퍼(252a, 252b) 및 제 2 스토퍼(254a, 254b)가 하부 블록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와 제 1 스토퍼(252a, 252b) 및 제 2 스토퍼(254a, 254b)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3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서 개방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V-V'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가 물티슈 배출 개구에서 일부 떨어져 물티슈 배출 개구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실링 스티커 부재 이외의 구성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상부 블록(100)이 이동될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토퍼(254a, 254b)와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열림 위치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300)가 물티슈 배출 개구(3)에서 일부 떨어져 물티슈 배출 개구(3)가 일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열림위치에서 물티슈 배출 개구(3)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링 스티커 부재(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양 단부가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방된 물티슈 배출 개구(3)를 통하여 사용자가 물티슈를 물티슈 수용함으로부터 빼내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물티슈를 물티슈 수용함으로부터 빼낸 후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상부 블록(100)을 이동시키면 스토퍼 대응 돌기부(152a, 152b)가 제 1 스토퍼(252a, 252b)를 넘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부 블록(100)이 하부 블록(200)과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면서 닫힐 수 있다.
이 때, 열림 위치에서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일부가 열렸던 상태에서 일부가 서로 포개어진 실링 스티커 부재(300)는, 상부 블록(100)이 닫힘 위치로 이동되면서 다시 펼쳐진 상태가 되어, 닫힘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 배출 개구(3)를 실링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닫힘 위치에서 물티슈 배출 개구(3)를 실링하는 실링 스티커 부재(300)의 후방 일측이 상부 블록(100)의 스티커 고정부(112)에 의하여 눌리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실링 스티커 부재(300)는 반복하여 사용되더라도 보다 견고하게 물티슈 배출 개구(3)를 실링할 수 있다.
도 16은 도 2에서, IV-IV'의 단면도로서, (a)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b)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16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부 블록(100)의 상부 실링 측벽(126a)의 하부면(127)과 하부 블록(200)의 하부 실링 측벽(226a)의 상부면(227)이 서로 맞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물티슈 배출 개구(3)가 형성된 상부 블록(100)과 하부 블록(200) 사이의 내부 공간은 수밀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부 블록(100)의 상부 실링 측벽(126a)의 하부면(127)과 하부 블록(200)의 하부 실링 측벽(226a)의 상부면(227)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물티슈 배출 개구(3)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된 공간(E)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물티슈를 물티슈 수용함(2)으로부터 빼서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수용 패키지(1)의 경우 물티슈 수용함(2)에 물티슈 배출 개구(3) 및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물티슈 수용함(2)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도 1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에 따르면, 물티슈 수용함(2)에 물티슈 배출 개구(3) 및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물티슈 수용함(2)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도 1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에서는 하부 블록(200)이 도 1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으로 배치되었으므로, 하부 블록(200)의 측방향이 도 1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방향이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는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에서는 슬라이딩 방향이 좌측 방향이 된다.
이 때,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가 물티슈 수용함(2)에 대해 결합방향이 90도 회전된 것을 제외하고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와 관련된 구조 및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물티슈 패키지 구조체의 변형례에 대해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물티슈 수용함(2) 내에 수용된 복수의 물티슈 낱장(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되, 공간 상에서 겹쳐진 부분이 없도록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물티슈 낱장(4)을 인출하더라도 인접한 물티슈의 일부가 물티슈 배출 개구(3) 측으로 끌려나오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물티슈 낱장(4)의 일부가 서로 공간 상에서 겹쳐지도록 적층되어 물티슈 낱장(4)의 인출 시 인접한 물티슈의 일부가 물티슈 배출 개구(3) 측으로 끌려나와 돌출되는 경우, 끌려나온 물티슈가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10)에 간섭하여 상부 블록(100)이 닫힘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물티슈 배출 개구(3)가 완벽하게 실링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수밀 구조가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수용함(2) 내부의 물티슈는 물티슈 배출 개구(3)를 통해 인출되더라도 인접한 물티슈가 딸려오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면, 물티슈 수용함(2) 내에서 복수의 물티슈 낱장(4)은 도 1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좌측 일부와 우측 일부가 물티슈 낱장(4)의 상면 중앙부를 향해 접힌 채로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물티슈 낱장(4)은 상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일부와 우측 일부가 상면 중앙부를 향해 접혀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중앙에서 물티슈 낱장(4)의 좌측 단부 모서리와 우측 단부 모서리가 서로 맞접하도록 접힌 채로 물티슈 수용함(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물티슈 낱장(4)이 이와 같이 수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물티슈 배출 개구(3)를 개방하는 경우, 물티슈 낱장(4)의 좌측 단부 모서리와 우측 단부 모서리가 서로 인접하게 되는 부분이 물티슈 배출 개구(3)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다.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목적에 따라 물티슈 낱장(4)의 좌측 및 우측 중 한쪽만이 적층 방향을 향해 접힌 채로 물티슈 수용함(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물티슈 낱장(4)의 접힌 전방측 단부 또는 후방측 단부의 모서리가 물티슈 배출 개구(3)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물티슈 낱장(4)의 좌우측 대신 전방측 일부 및 후방측 일부가 위와 같이 접힌 채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을 하부 블록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물티슈 수용함을 개방하므로 사용시 편리하다.
이 때,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실링 스티커 부재가 함께 이동하므로 실링 스티커 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개폐하는 느낌이 부드럽게 느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에 실링 스티커 부재를 부착하여 상부 블록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면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측이 물티슈 배출 개구로부터 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한번의 동작으로 물티슈 배출 개구가 개방되므로 사용시 편리하다.
또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이 닫힘 위치에 있는 동안 실링 스티커 부재가 부착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내부 공간이 상부 및 하부 실링 벽들에 의하여 2중으로 밀봉되므로 물티슈 수용함 내부가 오랜 기간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실링벽과 하부실링벽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의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은 닫힘 위치에서 제 1 스토퍼에 의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열림 위치에서 제 2 스토퍼에 의하여 열리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스토퍼가 하부 블록의 양 측부에 배치되므로 편심으로 인한 뒤틀림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딩 가이드(142a, 142b, 144a, 144b, 146a, 146b)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반복되는 사출 작업에도 불구하고 금형의 변형과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가 닫힘 위치에서 상부 블록의 일부가 실링 스티커 부재를 눌러주도록 형성되므로 실링 스티커 부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실링 스티커 부재의 밀봉 상태가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플라스틱 사출시 상부 블록의 하부면에 수축으로 인하여 홈이 파이거나 울퉁불퉁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블록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리브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물티슈 수용 패키지 2물티슈 수용함
3 물티슈 배출 개구 4 물티슈 낱장
10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00 상부 블록
110 상부 덮개면 111 작동홈
112 스티커 고정부 116 가이드홈
117 사출주입구 120 상부 측벽
121 상부 실링벽 140a 140b 슬라이딩 가이드부
150a 150b 스토핑부 162a 162b 제 1 지지 리브
164a 164b 제 2 지지 리브 200 하부 블록
210 하부 바닥면 211 하부 바닥면 개구부
213 제 1 하부홈 215 제 2 하부홈
220 하부 측벽 221 하부 실링벽
240a 240b 슬라이딩부 252a 252b제 1 스토퍼
254a 254b 제 2 스토퍼 256 보강 리브
300 실링 스티커 부재 310 상부 블록 부착부
320 개구 커버부

Claims (23)

  1. 복수의 물티슈 낱장들을 수용하기 위한 물티슈 수용함의 물티슈 배출 개구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로서,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결합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블록 및
    상기 상부 블록에 일측이 부착되고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상에 타측이 부착되는 실링 스티커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배치되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덮어 상기 물티슈 수용함 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 블록의 측방향으로 이동된 열림 위치에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의 일부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의 일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보다 넓은 면적의 상부 덮개면;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양 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 하부의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내측과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가 놓여지는 하부 바닥면 개구부를 구비한 하부 바닥면;
    상기 하부 바닥면의 상부 둘레에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양 측부에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하부 바닥면 상부의 상기 하부 측방 외측벽 내측과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측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지지부 및
    상기 수평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 상부에는
    상기 상부 블록의 상부 덮개면과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사이를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리브의 하부면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사이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 사이에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 상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블록의 상부 덮개면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스토퍼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 덮개면 또는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중 다른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일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 1 스토퍼 보다 먼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상기 제 1 스토퍼를 넘어 이동 가능하도록 사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는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사이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측방 외측벽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 사이에는,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이 상기 하부 블록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면 상에 상기 제 1 스토퍼와 이격 배치되도록 제 2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대응 돌기부가 상기 제 2 스토퍼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스토퍼가 소정의 돌출 높이를 갖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 및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의 하부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의 상부면이 서로 경사지게 맞접하고,
    상기 상부 블록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열림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측벽의 하부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실링 측벽의 상부면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실링 전방 단부벽 및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실링 후방 단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실링 전방 단부벽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은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한 쌍의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실링 후방 단부벽 사이에는 스티커 고정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티커 고정부의 하면에는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의 상면 일측이 부착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하부 블록의 하부 바닥면 하부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스티커 고정부와 상기 하부 블록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은
    상기 상부 덮개면의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전방 모서리변에 상부 전방 외측벽 및
    상기 상부 덮개면 하부 둘레의 상기 상부 블록의 슬라이딩 방향 후방 모서리변에 상부 후방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은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전방 외측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전방 외측벽 및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하부에 맞접하게 대향 형성되는 하부 후방 외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방 외측벽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은 중앙부가 양 측부보다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닫힘 위치에서 상기 하부 후방 외측벽의 모서리에 접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중앙부 상측 모서리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 블록을 슬라이딩이동시킬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작동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의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양 측부 모서리부는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블록의 상기 하부 후방 외측벽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닫힘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상기 상부 후방 외측벽의 양측부 모서리에 위치되는 하부 후방 모서리벽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스티커 부재는,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덮도록 하부 바닥면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개구 커버부 및
    상기 개구 커버부의 일 모서리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부 블록에 부착되는 상부 블록 부착부를 포함하는,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20. 복수의 물티슈 낱장을 수용하기 위한 물티슈 수용함 및
    상기 물티슈 수용함의 물티슈 배출 개구에 설치되는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티슈 낱장은 일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적층되어,
    상기 물티슈 배출 개구를 통해 물티슈 낱장이 인출되는 경우 인접한 낱장의 물티슈의 일부가 연속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되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티슈 낱장은 각각 일측 단부 또는 타측 단부가 적층 방향을 향해 접힌 채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티슈 낱장은 각각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모두 적층 방향을 향해 접힌 채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물티슈 수용 패키지.
KR1020230115270A 2023-08-31 2023-08-31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KR10264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270A KR102646767B1 (ko) 2023-08-31 2023-08-31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270A KR102646767B1 (ko) 2023-08-31 2023-08-31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767B1 true KR102646767B1 (ko) 2024-03-12

Family

ID=9029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270A KR102646767B1 (ko) 2023-08-31 2023-08-31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7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5903A1 (en) * 2002-08-02 2004-03-25 Kenichi Nishimura Slide open container
JP2005126115A (ja) * 2003-10-24 2005-05-19 Uni Charm Corp シート収納装置
US20060027468A1 (en) * 2004-08-05 2006-02-09 Einav Berar Sliding cover for moist wipes dispenser
KR200473610Y1 (ko) * 2014-02-10 2014-07-17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20190085300A (ko) * 2018-01-10 2019-07-18 미래생활 주식회사 위생지용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5903A1 (en) * 2002-08-02 2004-03-25 Kenichi Nishimura Slide open container
JP2005126115A (ja) * 2003-10-24 2005-05-19 Uni Charm Corp シート収納装置
US20060027468A1 (en) * 2004-08-05 2006-02-09 Einav Berar Sliding cover for moist wipes dispenser
KR200473610Y1 (ko) * 2014-02-10 2014-07-17 이해정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20190085300A (ko) * 2018-01-10 2019-07-18 미래생활 주식회사 위생지용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5996B2 (j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用蓋体及び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KR101623613B1 (ko) 개폐 가능한 용기
US6942118B2 (en)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TWI732929B (zh) 蓋機構、包裝體以及分配容器
TWI745423B (zh) 蓋機構以及分配容器
KR101280064B1 (ko) 물티슈 용 포장팩
KR102646767B1 (ko) 슬라이딩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수용 패키지
KR101467545B1 (ko) 리필식 시트 패키지, 리필 카트리지용 리드 및 리필식 시트 카트리지
RU2413442C2 (ru) Компакт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косметики
KR101845623B1 (ko) 물티슈 용기용 인출브라켓
JP3151496U (ja) ゴミ箱付ティッシュボックスケース
JP3668571B2 (ja) 密閉容器
KR0129524Y1 (ko) 물티슈 수납용기
JP7071114B2 (ja) 収容体
CN108903735A (zh) 能够提高稳定性的肥皂收纳盒
JP6002219B2 (ja) 栓部材及び当該栓部材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JP7137775B2 (ja) 風呂蓋保持構造及び浴室
JP3663260B2 (ja) 密閉容器
JP4196168B2 (ja) コンパクト容器の中皿
KR102592266B1 (ko) 클렌징 용품 보관용 분할 케이스
JPS6013Y2 (ja) コンパクト容器
CN209107125U (zh) 用于异形肥皂收纳的肥皂盒
KR20130040323A (ko)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물티슈 포장용기용 덮개
JP3856949B2 (ja) 紙葉類用容器
JP3685858B2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