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54B1 -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54B1
KR102646254B1 KR1020230033099A KR20230033099A KR102646254B1 KR 102646254 B1 KR102646254 B1 KR 102646254B1 KR 1020230033099 A KR1020230033099 A KR 1020230033099A KR 20230033099 A KR20230033099 A KR 20230033099A KR 102646254 B1 KR102646254 B1 KR 10264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ensor
indicator light
wiring duc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완
김상용
선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23003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4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of traffic, e.g. cars on the road, trains or bo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관체 및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여부 센서가 경사각으로 설치됨으로써 센서가 일체로 결합된 배선 관체와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배선 덕트와, 배선 덕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선 덕트로부터 전원을 분배 받으며,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와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함께 설치된 주차 센서 표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 덕트는 주차장의 차량 통로에 근접 설치되어 차량 통로를 주행중인 차량에서 상기 표시등의 색상이 인식 가능함으로써, 주차 여부 센서가 해당 구역의 상부가 아니라 주차 표시등이 설치되는 차량 통로에 설치되더라도 해당 구역의 주차 여부의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주차 센서등과 주차 식별 센서가 일체화 되어 설치비용은 절감되고 구조적 안정성은 더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전력과 통신선을 포함하는 배선 덕트와 실내 조명이 일체화된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에 결합됨으로써, 시공성과 시각적 유려함이 모두 달성될 수 있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Parking indication sensor integrated wiring tube fixture and integrated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용 조명과 각종 통신 장비를 위한 배선 관체 및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장의 각 구역 마다 주차가 되어 있는지 빈자리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주차 센서가 경사각으로 설치됨으로써 주차 센서가 일체로 결합된 배선 관체와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점차 주차 시설에는 각 주차 자리마다 현재 주차가 되어 있는지 또는 비어있는 상태인지를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하는 표시 등과, 주차장 입구에 진입할 때 현재 주차 가능한 잔여 자리가 얼마나 있는지를 표시하는 현황판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때 어떤 임의의 주차 영역에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의 식별은 초음파 센서나 기타 각종 센서로 판별되고, 주차장의 차량 통로를 지나다니는 차량에서 주차가 되어 있는지 비어있는지를 멀리서도 볼 수 있도록 공간표시등이 도 1의 종래 기술과 같이 설치된다.
그런데 주차가 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센서는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차량이 주차하는 영역의 수직 상부에 설치되지만, 차량 통로를 지나다니는 차량이 비어있는 자리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공간 표시등은 알아보기 편하도록 차량 통로의 양 측에 설치된다.
이처럼 센서와 공간표시등의 설치 위치가 서로 이격되면 도 1의 종래 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센서와 공간표시등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고, 특히 센서와 공간표시등을 서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구조물도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도 상당할 뿐만 아니라 천정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넓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조명은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길게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종래에는 조명이 나란하게 길게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 챔버가 설치되어 조명이 케이블 챔버에 브라켓 등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었다.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05-0093460 배선용 덕트, 출원번호 10-2005-0093461 덕트 연결 장치, 출원번호 10-2004-0086297 조명용 반사 갓 일체형 배선 덕트 모듈 등을 포함한 다수의 출원을 통해 연접설치용 배선덕트 일체형 배선 관체를 제안하여, 배선 챔버와 조명기구가 별도의 연결 부재 없이 바로 일체화 되고 모듈 간에는 전기적으로는 커넥터를, 기계적으로는 커플링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현장절단가공이나 별도의 독립된 배선 관체 설치 공정이 필요 없으며, 상부가 수밀하게 되어 시공과정의 우천 누수 문제가 해결되며, 배선 관체 일체화로 부피를 최소화 하였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주차 센서등의 상술한 구조적인 문제를 본 출원인이 제안한 연접설치용 배선덕트 일체형 배선 관체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다년간 연구한 결과 본 출원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4180호(공고일자: 2014. 10. 28)
이에 본 발명은 주차장의 각 구역 마다 설치되는 주차 여부 센서가 해당 구역의 상부가 아니라 주차 표시등이 설치되는 차량 통로에 설치되더라도 해당 구역의 주차 여부의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주차 센서등과 주차 식별 센서가 일체화 되어 설치비용은 절감되고 구조적 안정성은 더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전력과 통신선을 포함하는 배선 덕트와 실내 조명이 일체화된 배선 관체와 결합됨으로써, 시공성과 시각적 유려함이 모두 달성될 수 있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는 주차장의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선 덕트로부터 전원을 분배 받으며,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와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함께 설치된 주차 센서 표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 덕트는 상기 주차장의 차량 통로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차량 통로를 주행중인 차량에서 상기 표시등의 색상이 인식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어 상기 통로 측면 내측의 주차 공간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향하는 방향은 상기 차량 통로의 근접 위치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상을 향하는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 소자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케이스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소자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창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 창이 설치된 정면은 상기 통로를 향하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선 덕트는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선과 통신선 또는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챔버와, 광원 소자와 전원 안정기와 전원 분배 단자가 설치되는 챔버가 서로 격실로 구획되는 배선 덕트가 몸체를 이루는 배선 회로가 내장된 일체형 연접설치 배선 관체이고,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분배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되어 관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배선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 측에는 상기 레일 홈에 고정 볼트로 결합 되도록 체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홈은 배선 덕트 표면의 입구의 폭 보다 내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블록으로서 상기 면적에서 최대 폭이 상기 레일 홈 내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면적에서 최소 폭은 상기 레일 홈 내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레일 홈에 슬라이딩 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볼트를 상기 케이스의 체결 홈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관통 홀에 모두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 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레일 홈의 입구 배면의 내측 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이 상기 배선 덕트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는 잔여 구역 수 표시 현황을 알리는 입구 종합 안내판과, 입구 차단기와, 입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를 포함하는 입차 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차량 통로의 양 측 상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는 상기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는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와, 차량을 안내하는 유도 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조명 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차단기와, 출구 측 차량 번호 인식기와, 요금 정산기를 포함하는 출차 모듈과, 상기 입구 측 및 출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상기 입구 및 출구 차단기와 연동하여 제어하면서,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으로부터 주차 현황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입구 종합 안내판을 제어하는 데이터 집중장치 및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는 관제 모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주차장은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주차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마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각 구역마다 설치된 데이터 집중장치들은 상기 중앙 제어기에 연결되어 각 구역별 주차 현황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중앙 제어기에는 와이파이 라우터가 설치되어, 건물 입주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주차 현황 데이터가 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의 각 구역 마다 설치되는 주차 여부 센서가 해당 구역의 상부가 아니라 주차 표시등이 설치되는 차량 통로에 설치되더라도 해당 구역의 주차 여부의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주차 센서등과 주차 식별 센서가 일체화 되어 설치비용은 절감되고 구조적 안정성은 더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전력과 통신선을 포함하는 배선 덕트와 실내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에 결합됨으로써, 시공성과 시각적 유려함이 모두 달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장 센서등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동일한 구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읠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도 7에서 고정 볼트와 슬라이드 블록의 결합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의 전원 공급 계통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순서로서 먼저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에 대해 먼저 설명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관체와, 주차 센서 표시등(22)을 포함한다.
배선 관체는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사용되는 조명이 설치되는 배선 관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넓은 주차장일수록 배선 관체는 전원선이 내장되는 천정 구조물이 길게 병렬 또는 직각으로 설치된 다음, 천정 구조물을 따라 조명 또한 길게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실내조명 배선 관체는 일명 ‘레이스 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배선 관체는 레이스 웨이 뿐만 아니라 특히 후술하게 될 배선 덕트(211)와 조명용 광원이 일체로 모듈 형태로 제작된 일명 ‘라이트 웨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는 등기구(21) 일체형 배선 덕트(211)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주차 센서 표시등(22)은 어떤 특정 지점에 주차가 되어 있는지 또는 비어있는 자리인지를 식별하는 센서(223)와 그 지점에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에게 표시하는 조명이 일체화 된 장치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센서와 표시등은 서로 분리 설치된다. 왜냐하면 차량이 특정 지역에 주차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센서가 그 특정 지역의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였다.
또한 그 특정 지역 상부는 주차장의 차량 통로를 통과하는 차량에게 눈에 쉽게 띄는 장소가 아니므로 표시등은 그 특정 지역으로부터 차량 주행 통로로 이어지는 길목인 차량 주행 통로 바로 측면에 설치되어야 했다.
이 경우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를 상부로부터 지지하는 구조물과 표시등을 지지하는 구조물 및 센서와 표시등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물과 센서와 표시등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선 등이 모두 별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에서는 센서와 표시등이 하나의 장치로 결합되어 일체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이때 센서(223)와 엘이디 소자(224)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등이 일체화 되면서 센서(223)가 주차 위치에서 벗어나 차량 통로 쪽으로 설치 위치가 변경됨으로 인해 주차 위치의 차량에 대한 주차 여부 식별이 어려워 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센서(223)는 배선 덕트(211)에 결합되어 차량 통로의 측면에 위치하면서도 센서(223)가 향하는 방향은 안쪽의 주차 공간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센서(223)가 향하는 방향은 차량 통로의 근접 위치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주차 위치의 지면을 향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센서 표시등(22)은 배선 덕트(211)의 측면에 설치되되, 주차 센서 표시등(22)은 케이스(221)와, 케이스(221)에 설치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 소자(224)와, 케이스(221)에 설치되는 센서(223)와, 케이스(221) 정면에 설치되어 엘이디 소자(224)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창(222)을 포함한다.
특히 케이스(221)는, 확산 창(222)이 설치된 정면은 통로를 향하고, 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에 센서(223)가 설치됨으로써, 센서(223)는 센서(223)가 감시하는 주차 지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구성하는 엘이디 소자(22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등은 엘이디 소자(224)일 수 있다. 특히 엘이디 소자(224)로 표시등이 제작되면 셋 이상의 색상을 띨 수 있어, 단순하게 종래 표시등처럼 주차중일 때는 붉은색이고 빈공간일 때는 초록색인 두 개의 신호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전용구역, 여성전용 구역, 외부 특수 차량용 구역 등 여러 가지 표시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의 선택은 초기 설정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후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배선 관체는 본 발명에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차 센서 표시등(22)과 결합될 때는 특히 앞서 배경기술 란에서 설명된 본 출원인이 과거에 제안한 일명 ‘라이트 웨이’라고도 불리는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일 수 있다.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선과 통신선 또는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챔버와, 광원 소자와 전원 안정기(213)와 전원 분배 단자(212)가 설치되는 챔버가 서로 격실로 구획되는 배선 덕트(211)가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의 단부는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 끼리 서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 마지막에 설치되는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의 자유단에는 엔드 캡(215)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차 센서 표시등(2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2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원 분배 단자(212)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되어 관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배선 덕트(211)가 모듈 방식으로 나란하게 결합 가능한 연접 설치용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일 경우, 배선 덕트(211)의 측면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2111)이 길게 형성되고, 주차 센서 표시등(22)의 케이스(221)의 양 측에는 레일 홈(2111)에 고정 볼트(2112)로 결합 되도록 체결 홈(2213)이 형성된다.
이때 레일 홈(21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211) 표면의 입구의 폭 보다 내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레일 홈(211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 볼트(2112)가 나사 결합되도록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블록으로서, 최대 폭이 레일 홈(2111) 내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최소 폭은 레일 홈(2111) 내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록(2113)이 레일 홈(2111)에 슬라이딩 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블록(2113)은 최대 폭이 레일 홈(2111) 내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최소 폭은 레일 홈(2111) 내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고정 볼트(2112)를 삽입하여 조일 때 고정 볼트(2112)가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드 블록(2113)의 최대 폭이 레일 홈(2111) 내부 폭 보다 크므로 슬라이드 블록(2113)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정 볼트(2112)로 케이스(221)가 레일 홈(2111)에 결합될 때 고정 볼트(2112)를 케이스(221)의 체결 홈(2213)과 슬라이드 블록(2113)의 관통 홀에 모두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설치할 때, 고정 볼트(2112)가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드 블록(211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홈(2111)의 입구 배면의 내측 면에 밀착됨으로써 주차 센서 표시등(22)이 배선 덕트(211)에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로써, 특별히 연접설치용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에 주차 센서 표시등(22)이 결합될 때는 배선 관체의 케이스에 해당되는 배선 덕트(211)에 별도의 현장 천공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차 모듈(10)과, 센서 조명 모듈(20)과, 출차 모듈(30)과, 관제 모듈(40)로 이루어진다.
입차 모듈(10)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는 잔여 구역 수 표시 현황을 알리는 입구 종합 안내판(11)과, 입구 차단기(12)와, 입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13)는 입차 하는 차량의 정면과 배면 모두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양 방향 인식이 가능한 것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센서 조명 모듈(20)은 앞서 상술한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가 복수개로 설치되고, 각 구역 마다 설치되는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에 복수 개의 주차 센서 표시등(22)이 설치된다.
출차 모듈(30)은 주차장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차단기(31)와, 출구 측 차량 번호 인식기(32)와, 요금 정산기(33)를 포함한다.
관제 모듈(40)은 입구 측 및 출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13,32)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상기 입구 및 출구 차단기(12,31)와 연동하여 제어하면서, 주차 센서 표시등(22)으로부터 주차 현황 데이터를 수신 받아 입구 종합 안내판(11)을 제어하는 데이터 집중장치(41) 및 중앙 제어기(42)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차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마다 데이터 집중장치(DCU)(41)가 설치되고, 각 구역마다 설치된 데이터 집중장치(41)들은 중앙 제어기(42)에 연결되어 각 구역별 주차 현황 데이터를 송신하며, 중앙 제어기(42)에는 와이파이 라우터 또는 PLC 모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건물 입주자의 스마트폰에 주차 현황 데이터가 현출되도록 전송 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제어기(42)가 데이터 집중장치(41)(DUU)에 대한 상위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에서 중앙 제어기(42)에는 디밍 동작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디밍 동작 알고리즘은 차량과 같은 동체의 움직임이 없는 평상시에는 에너지 절약과 보안을 위하여 최소 조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다가, 사람이나 차량 등의 동체가 인식되면 동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움직임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센서 조명 모듈(20)을 연동시켜 동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적정 밝기가 유지되게 하며, 밝은 구역이 동체와 함께 이동되게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사용자의 편의가 조화될 수 있다.
이때 평소 조도는 에너지 절약 수준에 따라 최대 조도의 20~30%로 유지되다가 동체가 감지되면 동체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들이 동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80~100%의 조도로 유지된다.
이때 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된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2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모듈 또는 세 개의 모듈이 그룹화 되어 동체 이동 경로 방향으로 순차 작동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입차 모듈 11 : 입구 종합 안내판
12 : 입구 차단기 13 : 입구 측 차량번호인식기
20 : 센서 조명 모듈 21 : 조명 일체형 배선 관체
22 : 주차 센서 표시등 23 : 유도 안내판
30 : 출차 모듈 31 : 출구 차단기
32 : 출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 33 : 요금 정산기
40 : 관제 모듈 41 : 데이터 집중 장치
42 : 중앙 제어기 211 : 배선 덕트
212 : 분배 단자 213 : 전원 안정기
214 : 확산 판 215 : 엔드 캡
221 : 케이스 222 : 확산 창
223 : 센서 224 : 엘이디 소자
2111 : 레일 홈 2112 : 고정 볼트
2113 : 슬라이드 블록 2213 : 체결 홈

Claims (8)

  1. 주차장의 상부에 길게 설치되는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어 상기 배선 덕트로부터 전원을 분배 받으며,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와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함께 설치된 주차 센서 표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등은 상기 주차장의 차량 통로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차량 통로를 주행중인 차량에서 상기 표시등의 색상이 인식 가능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어 상기 통로 측면 내측의 주차 공간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향하는 방향은 상기 차량 통로의 근접 위치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주차 공간의 지상을 향하는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 소자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케이스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소자의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창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확산 창이 설치된 정면은 상기 통로를 향하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배선 덕트는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선과 통신선 또는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챔버와, 광원 소자와 전원 안정기와 전원 분배 단자가 설치되는 챔버가 서로 격실로 구획되는 배선 덕트 케이스가 몸체를 이루는 배선 회로 일체형 연접설치 배선 관체이고,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은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분배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되어 관제 정보를 송수신 하며,
    상기 배선 덕트의 측면에는 배선 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 측에는 상기 레일 홈에 고정 볼트로 결합 되도록 체결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홈은 배선 덕트 표면의 입구의 폭 보다 내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 홈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는 블록으로서 상기 면적에서 최대 폭이 상기 레일 홈 내부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면적에서 최소 폭은 상기 레일 홈 내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레일 홈에 슬라이딩 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 볼트를 상기 케이스의 체결 홈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관통 홀에 모두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설치한 다음 상기 고정 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레일 홈의 입구 배면의 내측 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이 상기 배선 덕트에 견고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는 잔여 구역 수 표시 현황을 알리는 입구 종합 안내판과, 입구 차단기와, 입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를 포함하는 입차 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차량 통로의 양 측 상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는 상기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에 결합되는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와, 차량을 안내하는 유도 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조명 모듈과;
    상기 주차장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차단기와, 출구 측 차량 번호 인식기와, 요금 정산기를 포함하는 출차 모듈과;
    상기 입구 측 및 출구 측 차량번호 인식기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상기 입구 및 출구 차단기와 연동하여 제어하면서, 상기 주차 센서 표시등으로부터 주차 현황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입구 종합 안내판을 제어하는 데이터 집중장치 및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는 관제 모듈;을 포함하는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은 복수 개의 주차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마다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각 구역마다 설치된 데이터 집중장치들은 상기 중앙 제어기에 연결되어 각 구역별 주차 현황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중앙 제어기에는 와이파이 라우터가 설치되어, 건물 입주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주차 현황 데이터가 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0230033099A 2023-03-14 2023-03-14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64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099A KR102646254B1 (ko) 2023-03-14 2023-03-14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099A KR102646254B1 (ko) 2023-03-14 2023-03-14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54B1 true KR102646254B1 (ko) 2024-03-12

Family

ID=9029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099A KR102646254B1 (ko) 2023-03-14 2023-03-14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364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20130006059U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101454180B1 (ko) 2013-10-16 2014-10-28 박철형 개선된 구조의 레이스 웨이용 주차장 조명등
KR20180041504A (ko) * 2016-10-14 2018-04-2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KR20200008807A (ko) * 2018-07-17 2020-01-29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30027678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안전주차를 위한 차량 유도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364A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20130006059U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101454180B1 (ko) 2013-10-16 2014-10-28 박철형 개선된 구조의 레이스 웨이용 주차장 조명등
KR20180041504A (ko) * 2016-10-14 2018-04-2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KR20200008807A (ko) * 2018-07-17 2020-01-29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30027678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안전주차를 위한 차량 유도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2651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lighting
KR101454104B1 (ko) 투영방식 주차안내 조명장치, 이를 이용한 주차안내 조명시스템 및 조명 제어 방법
CN105264582B (zh) 疏散辅助设备
US20120025718A1 (en) Lighting apparatus
US9615422B2 (en) Auto commissioning and energy saving lighting system
KR101502483B1 (ko) 피난구 유도등
KR102646254B1 (ko) 주차 센서 표시등 일체형 배선 관체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주차 유도 시스템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KR101442750B1 (ko) 주차관리시스템
JP3181944U (ja) 避難誘導照明装置
CN210319593U (zh) 一种隧道照明系统
KR20140122507A (ko) 인접 그룹별로 점등하는 독립형 조명 제어장치
JP2005115794A (ja) ガイドライト装置
CN205191336U (zh) 具备多种工作模式的可调角度隧道灯及隧道口照明系统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KR20160084134A (ko) 레이저광원과 반사경을 이용한 주차안내 장치
KR20120006383A (ko) 조명등기구 및 그를 포함하는 주차장 조명시스템
KR101728008B1 (ko) 주차유도 통합관제 엘이디 등기구와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및 상기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관제 방법
CN200959196Y (zh) 一种公用卫生间坑位占用状态指示系统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JP7246168B2 (ja) 車両検知誘導システム
CN201078083Y (zh) 发光踢脚板
KR20170006714A (ko) 조명등을 이용한 터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