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42B1 -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42B1
KR102646242B1 KR1020210040198A KR20210040198A KR102646242B1 KR 102646242 B1 KR102646242 B1 KR 102646242B1 KR 1020210040198 A KR1020210040198 A KR 1020210040198A KR 20210040198 A KR20210040198 A KR 20210040198A KR 102646242 B1 KR102646242 B1 KR 10264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storage tank
oil
pyrolysis
pyrolysis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920A (ko
Inventor
황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4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10B27/06Conduit details, e.g.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008Controlling or regulating of liquefac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유의 가동 중단 후 냉각을 위하여 대기 중(냉각모드)에도 응축기내 생성된 열분해유를 저장조로 유동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A pyrolysis petrolizing system having by-pass line}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의 폐합성수지을 열분해하여 열분해유를 생산하기 위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분해유의 가동 중단 후 냉각을 위하여 대기 중(냉각모드)에도 응축기내 생성된 열분해유를 저장조로 유동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화장치는 폐기물을 열분해로에 투입시킨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열시켜 용융시키는 배치식과, 폐기물을 열분해로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외부에서 가열하는 연속식 등이 있다.
종래기술의 유화시스템은 폐기물을 투입하고 회전시키면서 가열하는 회전식 열분해로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응축기 구비되어 있었다. 응축기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열분해유는 별도 마련된 저장조로 저장시킨다.
응축기의 형상으로 인하여 내부에 잔여 열분해유를 모두 제거한 후 다시 폐기물을 투입 후 재가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열분해로 및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는 열분해유로 생성되거나, 유증기 등으로 배출되므로 내부에서는 음압이 형성될 수 밖에 없었다. 음압이 형성된 상태에서 열분해로에 구비된 투입구를 개방할 경우 공기의 빠른 유입으로 인하여 폭발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는, 가동이 멈춘 상태에서는 내부 음압으로 인하여 유증기가 배출되는 배관측에서 공기 등이 역류되어 응축기 및 열분해로 등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071339호(2020122 등록;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가스 및 슬러지의 안정적 배출을 위한 연속식 열분해 유화장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열분해로의 냉각이 시작될 때, 응축기 내부에 생성된 잔여 열분해유를 효율적으로 저장조 측으로 저장시키고자 한다. 또한 열분해로의 냉각시 열분해로 및 응축기의 음압 발생에 따른 외부 공기 등이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가열시켜 유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분해로(100);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유증기를 응축시키며, 상기 유증기의 응축에 의하여 생성된 열분해유가 배출되는 메인배출관(210); 및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를 별도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장착된 보조배출관(220);이 구비된 응축기(200); 및 상기 메인배출관(210) 및 보조배출관(220)으로 유동하는 상기 열분해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수가 저장된 진공수저장조(400); 및 상기 진공수저장조(400)의 냉각수를 흡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응축기(200) 내부에 포함된 유증기를 포함하는 기체가 흡입되어 상기 진공수저장조(400)로 토출시키는 펌프(5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진공수저장조(400)의 일측에는 상기 진공수저장조(400) 내부의 냉각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칠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펌프(500)를 연통시키며, 내부에서 상기 기체의 유동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메인밸브(MV)를 포함하는 메인파이프(MP); 및 상기 저장조(300)와 상기 펌프(5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저장조(300) 내부 기체가 상기 펌프(500)측으로의 유동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바이패스밸브(BV)를 포함하는 바이패스파이프(B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열분해로(100)가 가열모드일 경우, 상기 열분해로 내의 유증기가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한 후 상기 펌프(500)에 의하여 상기 진공수저장조(400)로 유입되도록 상기 메인벨브(MV)가 개방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BV)가 차단되며, 상기 열분해로(100)가 냉각모드일 경우, 상기 보조배출관(220)으로 잔여 재생유가 상기 저장조(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밸브(BV)가 개방되고, 상기 메인밸브(MV)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펌프(500)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200)에서 유출되는 유증기를 임시저장시켜 열분해유를 발생시키기 위한 서브탱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분해로의 냉각이 시작될 때, 응축기 내부에 생성된 잔여 열분해유를 효율적으로 저장조 측으로 저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분해로의 냉각시 열분해로 및 응축기의 음압 발생에 따른 외부 공기 등이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중 응축기의 내부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서 각종 유체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서 초기 가열시 발생되는 수증기 배출을 위한 유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서 가열모드일 경우의 유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서 냉각모드일 경우의 유체 흐름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다.
도 1 내지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 및 2 등을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볼 발명은 열분해로(100), 응축기(200), 열분해유가 저장되는 저장조(300), 진공수저장조(400), 펌프(500), 서브탱크(600), 냉각탑(7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고하여 폐합성수지 유화에 따라 발생되는 유증기, 열분해유 등을 포함한는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분해로(100)의 드럼(120)에 폐합성수지가 투입된다. 드럼(120)의 하부에서 버너(110)를 통하여 드럼(120) 내부를 가열한다. 투입된 폐합성수지가 녹으면서 유증기가 발생된다. 발생된 유증기는 열분해로(100)에 연결된 응축기(200) 측으로 유동된다. 응축기(200) 내부에서 유증기는 열교환된다. 열교환되면서, 유증기 중 일부는 열분해유로 액체화된다. 열분해유는 응축기(200)와 연통된 저장조(300)로 흘러 저장된다. 응축기(200) 내부의 액화되지 못한 유증기는 냉각탑(700)측으로 흘러들어간다. 냉각탑(700)로 유입된 유증기는 다시 열교환된다. 열교환을 통하여 액화된 열분해유는 저장조(3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액화되지 못한 유증기는 서브탱크(600)측으로 유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탱크(600)의 바닥측으로 유입된다. 서브탱크(600)에 유입된 유증기끼리 서로 응집되어 액화되어 열분해유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열분해유는 저장조(3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잔여 유증기는 펌프(500)에 의하여 흡입되어 진공수저장조(400)로 유입된다. 진공수저장조(400)로 유입된 유증기는 다시 버너(110) 측으로 공급되어 열분해로의 주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소된 가스는 별도 마련된 탈황, 탈염 장치를 통화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을 참고하여 폐합성수지 유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와 열교환 등을 위한 냉각수 등의 흐름을 설명한다.
냉각수저장조(800)가 본 발명에 따른 유화시스템에 마련된다. 냉각수저장조(800)의 냉각수는 응축기(200)의 내부를 유동한다. 유동된 후 다시 냉각수저장조(8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냉각수는 냉각탑(700)의 내부를 유동한 후 다시 흘러들어온다.
한편, 진공수저장조(400)에는 펌프(500)의 가동에 필요한 진공수가 저장되어 있다. 펌프(500)의 원활한 운전을 위하여 진공수의 적정온도 유지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칠러(410)가 구비된다. 칠러(410)는 냉매(R-22일 수 있음)가 유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R-22)는 진공수 저장조(400) 내부를 별도 마련된 배관을 따라 유동한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열분해로(100)의 드럼(120)과 응축기(200)는 동일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스프라켓,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하여 모터(M)의 회전력이 드럼(120) 및 응축기(200) 측으로 전달되어 회전될 수 있다. 폐합성수지가 보다 빠르게 유화될 수 있도록 골고루 전열됨과 동시에, 응축기 내부의 열교환을 원활케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열분해로(100)는 버너(110) 및 드럼(120) 등으로 구성된다. 버너(110)는 드럼(120)의 외부면을 가열시켜, 드럼(120) 내부의 폐합성수지를 녹이기 위함이다. 앞서 약술한 바와 같이 버너(110) 측에는 진공수저장조(400)에서 배출되는 잔여 유증기가 공급되어 함께 연소된다. 잔여 유증기에는 에탄, 부탄, 프로판 등의 가스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주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드럼(120)이 회전됨에 따라, 내부에 있는 폐합성수지가 제대로 녹지 않은 상태에서 응축기(20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120)과 응축기(200)를 연결하는 배관 내부에 역스크류(130)를 구비하였다. 역스크류(130)는 드럼(12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대로 녹지 않은 폐합성수지가 응축기(200) 내부로 넘어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응축기(200)는 원통형의 드럼 형상일 수 있다.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기(200)는 가상의 회전축상에 배치되는 메인배출관(210), 둘레면 하부측에 형성된 보조배출관(220) 및 내부에 구비된 디스크(230)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20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디스크(230)가 다수개 고정된다. 디스크(23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빈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드럼(120) 내부에서 발생된 유증기가 메인배출관(2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채널(231)이 형성된다. 각 디스크(230) 마다 유동채널(231)은 인접한 디스크(230)의 유동채널(2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방향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디스크의 유동채널이 상부면에 배치되면, 인접한 다른 하나의 디스크의 유동채널은 하부면측에 배치되돌록 하는 것이다. 냉각수는 외부 냉각수저장조(800)에서 출발하여 냉각수유입파이프(240)를 따라 열분해로(100)와 제일 가까운 측의 디스크(230)에 도달된다. 디스크(230)를 유동한 냉각수는 인접한 디스크(230)와 연결된 유동파이프(232)를 따라 인접한 디스크(230)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크(230)마다 유동한 후 냉각수유출파이프(250)를 따라 냉각수저장조(800)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200) 내부에는 열분해유가 쌓인다. 쌓인 열분해유는 메인배출관(210)를 따라 유출되지만, 유출되지 못한 잔여 열분해유는 응축기(200) 측에 남아 있을 수 밖에 없다. 이를 제거한 후 다시 열분해로(100)를 가동시킬 필요가 있다.
확실한 제거를 위하여 응축기의 하부측에 보조배출관(220)을 다수의 디스크 사이사이마다 구비하였다. 밸브는 보조배출관(220)마다 구비될 수 있거나, 다수의 보조배출관(220)이 모아지는 배출관측에 한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200)를 통과한 유증기는 냉각탑(70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냉각탑(700)는 유증기가 유동되는 유증기배관(710)과 유증기배관(710)을 감싸 열교환시키기 위한 하우징배관(720)으로 구비된다. 하우징배관(720) 측에는 냉각수저장조(800)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721) 및 출구(722)가 구비된다. 냉각탑(200)를 지나면서 응축되어 발생된 열분해유는 저장조(300)로 유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탑(700)를 지나면서 응축되지 못한 유증기는 서브탱크(600)로 유입된다. 서브탱크(600)는 유증기를 탱크 바닥까지 유도시키기 위한 유입관(610), 유입관의 외주면을 따라,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고깔형상의 다수의 정체막(620)을 포함한다. 잔여 유증기 내부에는 미스트와 유사하게 열분해유가 미립화되어 기체중에 부유 또는 유동할 수도 있다. 열분해유를 서브탱크(600) 내부에서 정체시키기 위하여 유입관(610)을 바닥면에 근접하게 끌어 내렸다. 더하여 유입관(610)에서 배출되는 잔여 유증기가 천천히 상승될수 있도록 고깔 형상의 정체막(620)을 유입관(610)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배치하였다. 잔여 유증기의 체류시간 증가로 인하여 미립화되었던 열분해유끼리 응집되어 액화될 수 있다. 액화된 열분해유는 전술한 저장조(300)에 저장시킨다. 잔여 유증기 내부에 미립화된 열분해유가 후술되는 펌프에 직접 유입될 경우 펌프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브탱크(600)를 배치하였다. 미립화된 열분해유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펌프(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유증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펌프(500)를 서브탱크(600)의 후단에 배치시킨다. 펌프(500)에 의하여 열분해로(100), 응축기(200), 냉각탑(700) 및 서브탱크(600)에 흐르는 일련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펌프(500)는 수봉식진공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봉식진공펌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펌프(500) 옆에 진공수저장조(400)를 배치하였다. 내부 진공수는 펌프(500)에 의하여 흡입 회전되면서, 유증기를 함께 흡입 한 후 진공수저장조(40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진공수는 소정의 온도 즉, 30도씨 이상이 될 경우 진공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진공수의 냉각은 필수적이다. 유입된 잔여 유증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측으로 공급되어 열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을 도 3에 도시하였다. 실선은 열분해유 유동라인이며, 점선은 수증기 유동라인이고, 파선은 유증기 유동라인, 일점쇄선은 냉각수 유동라인, 이점쇄선은 냉매(R-22) 유동라인이다. 각각의 라인마다 필요에 따라 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초기 가열모드 즉, 버너(110)에 의하여 드럼(120)이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발생되는 시점이다. 초기 가열시 최초 폐합성수지와 함께 있던 수분이 증발되면서 수증기가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V1 밸브는 개방되며, 열분해로(100)의 전면에 배치된 도어측에 연결되어, 드럼(120)의 외주면을 감싸 드럼(120) 내부에 열 공급을 위한 부분측으로 수증기가 공급된다. 공급된 수증기와 함께 열에 의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 등은 연소되면서 탈취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응축기(700)의 전단에 V2 밸브, 저장조(300) 전단에 V3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초기 발생된 수증기만을 포집, 효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보조응축기(700) 및 저장조(300) 등으로 유입될 수도 있는 수증기를 차단시켰다. 열분해로(100)와 응축기(200) 사이에 밸브를 배치하여, 응축기(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열분해로(100)의 고열로 인하여 밸브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도 5는 가열모드 즉, 버너(110)에 의하여 드럼(120)이 가열되면서 유증기가 적극적으로 발생될 때, 각종 유체 즉, 유증기, 열분해유, 냉각수 및 냉매 등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냉각모드 즉, 버너(110)의 가동이 정지되고, 드럼(120) 등 열분해로(100) 및 응축기(200) 등의 온도가 하강할 때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분해로 및 응축기 내부의 온도가 상온 상태로 될 경우 내부에 남아 있던 폐합성수지 등이 굳어져 내부 유체의 흐름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 이보다는 버너(110)의 가동이 정지된 후 폐합성수지가 녹아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갖을 때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응축기(200)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흐름을 의미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열분해로(100)의 유증기는 응축기(200)를 지나면서 응축되어 일부의 열분해유는 저장조(300)로, 나머지 유증기는 냉각탑(700), 서브탱크(600) 및 진공수저장조(400)를 지나 열분해로 측으로 재유입된다. 냉각수는 응축기 내부, 냉각탑(700) 및 필요에 따라 진공수저장조(40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파이프(MP) 상에 구비된 메인밸브(MV)는 개방되며, 바이패스파이프(BP)상에 구비된 바이패스밸브(BV)는 차단된다. 보조배출관(220) 측에 구비된 밸브 역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바이패스라인은 응축기(200) 하부에 구비된 보조배출관(220) 및 저장조(300)에서 진공수저장조(40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파이프(BP)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버너(110)의 가동이 중지된 상태로, 응축기(200)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흐름이다. 먼저 보조배출관(220)과 저장조(300)에 구비된 연결관(310)을 상호 조인시킨다. 보조배출관(220) 상의 밸브 역시 개방한다. 반면, 메인파이프(MP) 상의 메인 밸브(MV) 등은 차단시킨다. 펌프(500)의 작동에 의하여 바이패스파이프(BP) 측으로 흡입력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응축기(200)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 등은 저장조(300) 측으로 유입된다. 효율적으로 응축기(200)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냉각모드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 등에 따른 열분해로 또는 응축기 내부에서의 화재 또는 폭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100 : 열분해로 200 : 응축기
300 : 저장조 400 : 진공수저장조
500 : 펌프 600 : 서브탱크
700 : 냉각탑 800 : 냉각수저장조

Claims (6)

  1. 폐합성수지를 가열시켜 유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분해로(100);
    원통형의 드럼 형상으로 상기 열분해로(100)와 연결되며,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유증기를 응축시키며, 상기 유증기의 응축에 의하여 생성된 열분해유를 배출시키는 응축기(200);와
    상기 응축기(200)에서 배출되는 열분해유를 저정하기 위한 저장조(300);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해로(100)와 응축기(200)는 동일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모터(M)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응축기(200)는 상기 가상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열분해유가 배출되는 메인배출관(210);
    상기 응축기(200) 둘레면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200) 내부의 잔여 열분해유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응축기(200) 둘레면 하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배출관(220);
    상기 응축기(200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로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증기가 상기 메인배출관(2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유동채널(231)이 형성되는 다수의 디스크(230);
    상기 다수의 디스크(230) 중 상기 열분해로(100)와 가까운 측의 디스크(230)에 냉각수를 전달하는 냉각수유입파이프(240);
    상기 냉각수를 전달받은 상기 디스크(230)에서 이웃한 다른 디스크(230)로 연결되어 냉각수를 전달하는 유동파이프(232);
    상기 이웃한 다른 디스크(230)로 이동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유출파이프(250);를 더 포함하며,
    냉각수가 저장된 진공수저장조(400); 및
    상기 진공수저장조(400)의 냉각수를 흡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응축기(200) 내부에 포함된 유증기를 포함하는 기체가 흡입되어 상기 진공수저장조(400)로 토출시키는 펌프(500);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펌프(500)를 연통시키며, 내부에서 상기 기체의 유동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메인밸브(MV)를 포함하는 메인파이프(MP); 및
    상기 저장조(300)와 상기 펌프(500)를 연통시키며, 상기 저장조(300) 내부 기체가 상기 펌프(500)측으로의 유동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바이패스밸브(BV)를 포함하는 바이패스파이프(BP);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열분해로(100)가 가열모드일 경우, 상기 열분해로 내의 유증기가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한 후 상기 펌프(500)에 의하여 상기 진공수저장조(400)로 유입되도록 상기 메인벨브(MV)가 개방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BV)가 차단되며,
    상기 열분해로(100)가 냉각모드일 경우, 상기 보조배출관(220)으로 잔여 재생유가 상기 저장조(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밸브(BV)가 개방되고, 상기 메인밸브(MV)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저장조(400)의 일측에는 상기 진공수저장조(400) 내부의 냉각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칠러(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펌프(500)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200)에서 유출되는 유증기를 임시저장시켜 열분해유를 발생시키기 위한 서브탱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KR1020210040198A 2021-03-29 2021-03-29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KR10264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98A KR102646242B1 (ko) 2021-03-29 2021-03-29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98A KR102646242B1 (ko) 2021-03-29 2021-03-29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920A KR20220134920A (ko) 2022-10-06
KR102646242B1 true KR102646242B1 (ko) 2024-03-11

Family

ID=8359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98A KR102646242B1 (ko) 2021-03-29 2021-03-29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25B1 (ko) 2005-12-05 2006-06-30 (주)에티스 폐타이어의 열분해 및 유화 시스템
KR100955425B1 (ko) 2010-01-05 2010-05-04 김형태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
KR100962480B1 (ko) 2010-01-05 2010-06-14 김형태 유기폐기물 열분해 장치
KR101036950B1 (ko) 2009-02-06 2011-05-25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KR101890415B1 (ko) * 2017-07-24 2018-08-21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장치 및 유화방법
KR101910750B1 (ko) * 2017-11-14 2018-10-22 정숙진 플라스틱의 열분해유화시스템
KR102262779B1 (ko)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9976B2 (ja) * 1996-09-17 2003-05-26 株式会社東芝 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方法及び熱分解装置
KR100611564B1 (ko) * 2004-05-03 2006-08-10 박연기 요 또는 노를 이용한 열분해유 재생장치
KR102071339B1 (ko) 2019-06-27 2020-01-30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가스 및 슬러지의 안정적 배출을 위한 연속식 열분해 유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25B1 (ko) 2005-12-05 2006-06-30 (주)에티스 폐타이어의 열분해 및 유화 시스템
KR101036950B1 (ko) 2009-02-06 2011-05-25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KR100955425B1 (ko) 2010-01-05 2010-05-04 김형태 유기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연료유를 추출하는 시스템
KR100962480B1 (ko) 2010-01-05 2010-06-14 김형태 유기폐기물 열분해 장치
KR101890415B1 (ko) * 2017-07-24 2018-08-21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장치 및 유화방법
KR101910750B1 (ko) * 2017-11-14 2018-10-22 정숙진 플라스틱의 열분해유화시스템
KR102262779B1 (ko)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920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5930B (zh) 油化裝置
TWI356110B (en) Distillation device for dry cleaner
KR100854089B1 (ko) 폐수용 진공 증발농축 재생장치
KR102646242B1 (ko)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KR20090129932A (ko) 온수 생성장치
KR101047508B1 (ko) 원심 박막 증발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WO1997033031A1 (en) A super-cooled fluid temperature controlled cleaning system
EP1974781A2 (en) Vacuum distillation method and vacuum distillation apparatus
KR20100019258A (ko) 소각보일러
KR102464456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회전 디스크 타입의 크리스탈라이저 시스템
EP2853840B1 (en) Condensate removal unit in a boiler
US20070107748A1 (en) Vacuum cavitational streaming
EP0210888A1 (fr) Procédé de distillation avec récupération d'énergie par recompression de vapeur à l'aide d'un éjecteur
RU2531105C1 (ru) Нагреватель морской воды
KR102335758B1 (ko) 고효율 유화시스템
JP6686512B2 (ja) ボイラシステム
KR101047506B1 (ko) 폐유 정화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US20070204962A1 (en) Accelerated flameless evaporation system
EA028837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газов
KR101836729B1 (ko) 윤활유 재생장치 및 윤활유 재생방법
KR100421172B1 (ko) 폐수처리장치
CN110671236B (zh) 一种燃油蒸汽发生器
CN1527749A (zh) 洗净装置及洗净方法
JPH06502584A (ja) 流体精製装置と汚染流体からのクロロフルオロカーボンの除去方法
KR20080051885A (ko) 디젤 엔진의 연료와 수분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