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50B1 -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50B1
KR101036950B1 KR1020090009927A KR20090009927A KR101036950B1 KR 101036950 B1 KR101036950 B1 KR 101036950B1 KR 1020090009927 A KR1020090009927 A KR 1020090009927A KR 20090009927 A KR20090009927 A KR 20090009927A KR 101036950 B1 KR101036950 B1 KR 10103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densing
condensed
condensing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577A (ko
Inventor
박충열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Priority to KR102009000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C10L3/10Working-up natural gas or synthetic natural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46Compressors o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7Filtration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Abstract

본 발명은 비응축가스를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분해 방식에 의한 오일 회수 장치에서 비응축 가스를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응축 가스의 재활용 장치는, 열분해 방식에 의한 오일 회수 설비의 오일 응축 시스템을 거치고도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 가스를 버너로 보내 재활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응축 시스템에서 배출된 비응축 가스가 모이는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모아서 저장하는 비응축 가스 홀더;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수집된 비응축 가스를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에 모아진 비응축 가스가 설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버너로 보내 연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 회수 장치, 열분해 방식 오일 회수 장치, 비응축 가스 재활용,

Description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NON CONDENSABLE GAS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응축가스를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분해 방식에 의한 오일 회수 장치에서 비응축 가스를 재활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원의 부족이 심화되면서 사용이 끝난 제품에서 에너지원을 회수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에너지원 회수 가능 제품으로 폐타이어가 있다.
폐타이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 이용 기술로서는 건류 소각방식과 열분해 방식이 있으나, 건류 소각방식은 대량처리가 어렵고 초기 시설비의 부담과 함께 소각에 의해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폐타이어는 열분해시 그 무게비로 오일 50%, 가스 10%, 카본 30%, 철심 10%의 생성물이 발생되어, 에너지원 및 재생자원으로서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다.
한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열분해 방식 또한 개선할 사항이 매우 많이 있 다. 이러한 개선 노력의 하나로, 본 출원인의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에 대한 출원이 있다.
도 2는 본 출원인의 종래 출원에 나타나는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이다. 이러한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100)는 반응기(110)를 통과한 폐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오일증기를 오일 응축 시스템(120)을 이용하여 응축시킨 뒤, 오일 저장 탱크(130)에 저장한다. 이때, 오일 응축 시스템(120)에서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 가스를 가스 홀더(140)에 모아두었다가 버너(150)로 보내 연료로 사용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설비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오일 응축 시스템(120)의 발전으로 비응축 가스의 발생이 감소하면서 버너(150)에 공급되는 비응축 가스의 양이 적어져 재활용 장치를 안정적으로 운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비응축 가스에 포함된 황화수소(H2S) 등으로 인하여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비응축 가스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응축 가스의 재활용 장치는, 열분해 방식에 의한 오일 회수 설비의 오일 응축 시스템을 거치고도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 가스를 버너로 보내 재활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응축 시스템에서 배출된 비응축 가스가 모이는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모아서 저장하는 비응축 가스 홀더;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수집된 비응축 가스를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에 모아진 비응축 가스가 설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버너로 보내 연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펌프는 진공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비응축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비응축 가스 홀더의 비응축 가스가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응축 가스 홀더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버너로 보내기 전에 오염원인물질을 제거하는 탈황장비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이 탈황장비는 습식 탈황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응축 가스를 재활용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비응축 가스를 버너에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어 재활용 장치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비응축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너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10)는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 비응축 가스 홀더(30), 펌프(40), 및 감압밸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10)는 오일 응축 시스템(120), 오일 저장 탱크(130), 및 버너(150)를 포함하는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10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며,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100)는 종래에 사용되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는 냉각기와 응축기 등을 포함하는 오일 응축 시스템(120)에서 응축되지 않은 오일 증기를 포함하는 비응축 가스가 1차적으로 모이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100)에서 오일 응축 시스템(120)은 복수 개가 설치되며, 각각의 오일 응축 시스템(120)마다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비응축 가스가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에 저 장되는 동안에 응축되어 생성된 오일은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오일 저장 탱크(130)로 보내진다.
비응축 가스 홀더(30)는 비응축 가스를 버너(150)로 보내기 위해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에서 비응축 가스를 모아서 저장하는 곳이다. 비응축 가스가 비응축 가스 홀더(30)에 저장되는 동안에 응축되어 생성된 오일은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오일 저장 탱크(130)로 보내진다.
펌프(40)는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비응축 가스 홀더(30)로 강제로 보내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와 비응축 가스 홀더(3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40)는 비응축 가스의 양이 적은 것을 감안하여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한편, 비응축 가스는 오일 증기 외에 비산먼지 및 미량의 오일 슬러지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불순물은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10)의 곳곳에 쌓여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진공펌프에 코킹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비응축 가스가 펌프(40)에 도달하기 전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6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순물이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10)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여, 오일 응축 시스템(120)과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의 사이에 필터(60)를 설치함으로써 불순물이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펌프(40)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경우 비응축 가스 홀더(3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지고, 그에 따라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의 압력이 상대적 으로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응축 가스 홀더(30)의 비응축 가스가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라인(70)을 설치한다. 바이-패스 라인(70)을 통해서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20)와 비응축 가스 홀더(30) 사이의 압력이 조절된다.
감압밸브(50)는 비응축 가스 홀더(30)에 모인 비응축 가스가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에만 버너(150)로 보내도록 하는 압력 감응식 밸브이며, 이를 위하여 비응축 가스 홀더(30)와 버너(150) 사이에 설치된다. 감압밸브(50)로 인하여 버너(150)에 한 번에 일정량 이상의 비응축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버너(150)의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 진다.
한편, 비응축 가스에는 황화수소 등의 오염원인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비응축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150)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응축 가스 홀더(30)에서 감압밸브(50)로 이동하는 비응축 가스에 포함된 오염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탈황장비(80)를 설치한다. 탈황장비(80)는 비응축 가스를 알칼리 약품으로 세정하여 황화수소를 NaOH 등의 알칼리 성분과 반응시켜 제거하는 습식 탈황탑을 사용한다. 탈황장비(80)를 통하여 황화수소 등의 오염원인 물질이 제거된 청정 비응축 가스를 버너(150)로 보내어 사용함으로써, 버너(150)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응축 가스 홀더(30)에서 나온 비응축 가스가 탈황장비(80)를 통과하거나 바로 버너(150)로 보내질 수 있도록 관로를 구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이다.
도 2는 종래의 열분해 방식의 오일 회수 설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20: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
30: 비응축 가스 홀더 40: 펌프
50: 감압밸브 60: 필터
70: 바이-패스 라인 80: 탈황장비
100: 오일 회수 설비 110: 반응기
120: 오일 응축 시스템 130: 오일 저장 탱크
140: 가스 홀더 150: 버너

Claims (6)

  1. 열분해 방식에 의한 오일 회수 설비의 오일 응축 시스템에서 응축되지 않은 비응축 가스를 버너로 보내 재활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응축 시스템에서 배출된 비응축 가스가 모이는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모아서 저장하는 비응축 가스 홀더;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 탱크에 수집된 비응축 가스를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에 모아진 비응축 가스가 설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버너로 보내 연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비응축 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의 비응축 가스가 상기 비응축 가스 수집탱크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응축 가스 홀더에 모인 비응축 가스를 상기 버너로 보내기 전에 오염원인물질을 제거하는 탈황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장비가 습식 탈황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KR1020090009927A 2009-02-06 2009-02-06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KR10103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27A KR101036950B1 (ko) 2009-02-06 2009-02-06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27A KR101036950B1 (ko) 2009-02-06 2009-02-06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77A KR20100090577A (ko) 2010-08-16
KR101036950B1 true KR101036950B1 (ko) 2011-05-25

Family

ID=4275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27A KR101036950B1 (ko) 2009-02-06 2009-02-06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04B1 (ko) * 2021-03-15 2022-02-08 이정율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시설의 과가스 생성시 안전장치
KR20220134920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1905B (zh) * 2011-03-11 2013-07-31 南京都乐制冷设备有限公司 油气回收系统
KR102206036B1 (ko) * 2020-08-14 2021-01-22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잉여 비응축가스 제어를 위한 열분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30A (ko) * 1997-06-18 1999-01-15 성재갑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처리장치
KR20040025046A (ko) * 2002-09-18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형 이지알밸브
KR200425046Y1 (ko) 2006-06-20 2006-08-28 김영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오일화 장치
KR20070010867A (ko) * 2005-07-20 2007-01-24 (주)기경아이이앤드씨 폐타이어 오일화 및 열회수 발전 장치
JP2008057943A (ja) 2006-09-04 2008-03-13 Hitachi Ltd 復水器の非凝縮性ガス排出装置及び復水器の非凝縮性ガス排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30A (ko) * 1997-06-18 1999-01-15 성재갑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처리장치
KR20040025046A (ko) * 2002-09-18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형 이지알밸브
KR20070010867A (ko) * 2005-07-20 2007-01-24 (주)기경아이이앤드씨 폐타이어 오일화 및 열회수 발전 장치
KR200425046Y1 (ko) 2006-06-20 2006-08-28 김영민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오일화 장치
JP2008057943A (ja) 2006-09-04 2008-03-13 Hitachi Ltd 復水器の非凝縮性ガス排出装置及び復水器の非凝縮性ガス排出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04B1 (ko) * 2021-03-15 2022-02-08 이정율 폐합성수지의 열분해 시설의 과가스 생성시 안전장치
KR20220134920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KR102646242B1 (ko) 2021-03-29 2024-03-11 주식회사 정도하이텍 바이패스라인이 구비된 폐합성수지 유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77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nold Reduction and monitoring of biogas trace compounds
KR101036950B1 (ko) 비응축 가스 재활용 장치
Stewart et al. Reduce amine plant solvent losses; Part 1
CN101837223A (zh) 用溶剂收集co2的系统、方法和装置
CN108147633B (zh) 一种油墨污泥无害化资源化处理工艺及系统
CN104815514A (zh) 一种冷凝法废气处理系统
CN100363268C (zh) 冷焦污水处理方法及装置
CN100540103C (zh) 冷焦水中废气处理方法及装置
CN102010733B (zh) 油页岩干馏系统集合管段页岩油冷凝回收方法及装置
CN102010732B (zh) 油页岩干馏系统瓦斯塔段页岩油冷凝回收方法及装置
CN204981455U (zh) 一种碎煤加压气化高浓废水酚氨回收的清洁生产处理系统
CN205152129U (zh) 一种抽提溶剂回收再利用系统
EA021586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горючего газа из топлива
CN212387913U (zh) 一种长周期运行的酚氨回收装置
CN102070260B (zh) 油页岩干馏系统集合管段废水循环利用方法及装置
CN102092867B (zh) 油页岩干馏系统瓦斯塔段废水循环利用方法及装置
CN105237511A (zh) 抽提溶剂回收再利用系统
Chen et al. Integrated vacuum absorption steam cycle gas separation
CN204710043U (zh) 一种工业废气处理装置
CN204768143U (zh) 一种甲苯尾气回收装置
CN216639407U (zh) 利用解析气进行脱碳液再生的焦炉煤气制备氢气的系统
CN213853768U (zh) 一种用于高浓度油气处理的预处理装置
CN203842413U (zh) 分级降压式脱油脱硫除尘设备
Rey et al. Wet Cleaning Technologies for Biomass-Derived Syngas: A Review
CN201492963U (zh) 新型制程废气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