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658B1 -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658B1
KR102645658B1 KR1020230081678A KR20230081678A KR102645658B1 KR 102645658 B1 KR102645658 B1 KR 102645658B1 KR 1020230081678 A KR1020230081678 A KR 1020230081678A KR 20230081678 A KR20230081678 A KR 20230081678A KR 102645658 B1 KR102645658 B1 KR 10264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isk
degree
distribution devic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우
윤창호
김병건
Original Assignee
(주)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창 filed Critical (주)민창
Priority to KR102023008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18Sorting the articles during free f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는 디스크의 상부면에 폐기물을 투입하여 그 회전력에 의해 폐기물이 흩뿌려지면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기계적 진동도 유발하지 않도록 한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판으로 되면서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한 쌍의 디스크로 구성되고, 측방향 일부분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겹쳐진 방향으로 서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Rotary disk type Wastes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폐기물로부터 가연성 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집상을 통해 수집하거나 또는 산업 및 건설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나무토막, 비닐,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폐기물과, 철, 비철금속, 흙, 유리조각 등의 비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함으로써 가연성 폐기물은 연소원료로 사용하고, 비가연성 폐기물은 재생용도 사용 또는 매립하게 된다.
이러한 선별작업은 수작업 및 여러 종류의 선별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 그리고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선별 정확도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에는 소각로 및 소성로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SRF와 같은 대체 고형연료로 생산하고 있다.
폐기물을 선별하는 장치의 일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95517호(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에서는,
외부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메인 컨베이어의 소정의 위치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재활용 폐기물에 진동을 가하여 메인 컨베이어의 소정의 위치로 고르게 펴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스크린을 포함하는 투입 유닛;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 유닛으로부터 재활용 폐기물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를 갖는 메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고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재질 및 크기를 검출하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중에서 배치되는 광학 분석기;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광학 분석기보다 하류에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하되,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위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의 바깥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실려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 선택된 것을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 및
상기 광학 분석기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학 분석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는 상기 에어 분사 유닛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재활용 폐기물을 상기 서브 컨베이어에서 튕겨나가지 못하게 막는 차단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에어 분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베이어 중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경로 상 상기 에어 분사 유닛보다 하류에 배치되는 서브 컨베이어로 재활용 폐기물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해당 서브 컨베이어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상기 광학 분석기에 의해 검출된 재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선별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각각 제어하되,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된 에어 노즐 중에서 상기 에어 분사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에어 노즐을 구동하여 선별된 재활용 폐기물을 서브 컨베이어로 운반하도록 복수의 에어 분사 유닛을 제어하며,
상기 무한궤도형 이송부재는 중간에 상기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벨트 구조의 이송부재 바디와 상기 이송부재바디 위에 놓이는 재활용 폐기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상기 이송부재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송부재 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은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보다 위쪽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투입 유닛에서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 바디를 향해 늘어져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정렬 스트랩을 구비하는 폐기물 정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 정렬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정렬 스트랩이 상기 이송부재 바디 위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에 접하여 폭보다 길이가 긴 재활용 폐기물을 그 길이 방향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재활용 폐기물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면서 상기 복수의 이송부재 핀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부재핀 열 사이로 들어가도록 정렬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광학선별을 위하여 메인 컨베이어 상에 폐기물을 고르게 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진동 스크린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진동 스크린은 기계적 진동이 의해 폐기물을 분산시켜 메인 스크린에 고르게 위치시킬 수 있지만, 기계적 진동에 따른 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에 의해 내구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다른 기계 구조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잦은 고장 유발에 의한 공정 중단의 문제점도 가지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 등록실용신안 제20-0495517호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된 목적은, 회전하는 디스크의 상부면에 폐기물을 투입하여 그 회전력에 의해 폐기물이 흩뿌려지면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기계적 진동도 유발하지 않도록 한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는,
투입되는 폐기물을 디스크에 의해 흩뿌려서 고르게 분배시키는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로서,
원판으로 되면서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한 쌍의 디스크로 구성되고, 측방향 일부분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겹쳐진 방향으로 서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그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디스크의 회전시 그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전면 부위가 상기 디스크로부터 수직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에 의해 분배되는 폐기물의 분포를 감지하는 광학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광학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상기 모터와 액츄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크의 회전속도,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고르게 분배시킴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진동에 의한 기계적 고장 및 내구성 저하로 인한 공정중단의 경우가 현저히 감소되어 생산량의 증대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물을 파쇄 또는 분쇄하는 파쇄기 또는 분쇄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투입되는 폐기물을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파쇄기 또는 분쇄기 커터의 편마모 방지 및 커터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학선별기에 투입시 겹쳐진 원료를 이송장치 즉 컨베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분배시킴으로써 광학선별기의 선별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비철금속 선별시에는 겹쳐진 원료를 컨베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배시킴으로써 비철금속의 선별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력선별기에 투입되는 원료를 고르게 분배시켜 줌으로써 풍력에 의한 비중 선별시에 선별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가 폐기물로부터 고형연료를 선별하는 장치에 적용된 상태의 일예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폐기물 분배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한 쌍의 디스크 및 디스크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모터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한 쌍의 디스크의 좌우위치 이동, 겹침정도, 경사정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디스크의 경사방향을 보인 도.
도6 및 도7은 디스크에 돌기부가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
도8은 이송 디스크 상에 폐기물의 분포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크의 좌우위치 이동, 겹침정도, 경사정도를 조절하는 회로 블럭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가 폐기물로부터 고형연료를 선별하는 장치에 적용된 상태의 일예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폐기물 분배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이다.
먼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기물로부터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하는 장치를 보인 도로서, 본 발명의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800)가 풍력선별기(400)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800)는 풍력선별기(400) 뿐만 아니라 파쇄기(100)의 전단, 광학선별기, 비철금속 선별기, 자력선별기(200,500) 등의 폐기물 선별 설비의 전단, 분쇄기(600)의 전단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폐기물로부터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하는 장치는, 크게 파쇄기(100), 1차 자력선별기(200), 원통형 회전 스크린(300), 풍력선별기(400), 2차 자력선별기(500), 분쇄기(600)로 구성된다.
상기 파쇄기(100)는 호퍼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파쇄하는 것으로서, 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파쇄하게 된다.
상기 파쇄기(100)로부터 파쇄된 폐기물을 1차 자력선별기(200) 쪽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1차 자력선별기(200)는 상기 파쇄기(100)로부터 파쇄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폐기물로부터 고철만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1차 자력선별기(200)는 벨트 마그네틱(Belt Magnetic)으로 구성되어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파쇄된 고철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통형 회전 스크린(Trommel)(300)은 상기 1차 자력선별기(200)로부터 컨베이어에 의해 투입되는 고철이 분리된 가연성 폐기물로부터 협잡물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물질은 유리가루, 흙 등의 비가연성 물질로서, 이물질이 폐기물에 유착되거나 또는 엉켜진 것을 털어내는 것이다.
상기 원통형 회전 스크린(3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가연성 폐기물은 컨베이어를 통하여 풍력선별기(400)로 투입되는데, 이러한 풍력선별기(400)는 비닐 등과 같은 비중이 낮은 폐기물과 나무토막 등과 같은 비중인 높은 폐기물을 풍력에 의해 분리함은 물론 잔여 이물질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2차 자력선별기(500)는 상기 원통형 회전 스크린(300)과 풍력선별기(400)에 의해 미처 제거하지 못한 비가연성 재질인 고철을 다시 한번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가연성 폐기물만을 선별하게 된다.
상기 분쇄기(600)는 2차로 비가연성 재질인 고철이 분리된 가연성 폐기물을 다시 한번 잘게 분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순수한 가연성 폐기물만이 선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통형 회전 스크린(300)에 의해 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이 털어 내었다하더라도 폐기물에 엉켜있거나 유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거나 또는 폐기물이 겹쳐지거나 뭉쳐진 상태를 풀어헤치면서 풍력선별기(40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컨베이어(410)에 폐기물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풍력선별기(400)에서 비닐 등과 같은 비중이 낮은 폐기물과 나무토막 등과 같은 비중인 높은 폐기물을 풍력에 의해 분리함은 물론 잔여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통형 회전 스크린(300)으로부터 배출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폐기물이 풍력선별기(400)의 투입구(401)로 투입되면, 투입구(401)의 하측에 위치한 본 발명의 폐기물 분배장치(800)가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면에 고르게 펼쳐지도록 분포시키게 된다.
상기 폐기물 분배장치(8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풍력선별기(400)의 투입구(401) 하측에 위치하면서 이송컨베이어(41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투입받은 폐기물을 흩뿌리면서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놓이도록 한다.
이러한 폐기물의 균일한 분산을 위하여 상기 폐기물 분배장치(800)는 한 쌍의 디스크(810,820)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는 원판의 형태로서, 중심부위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1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는 측방향 일부분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겹쳐진 방향으로 서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는 제1모터(830)와 제2모터(840)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게 되며, 이때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3은 이러한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가 제1모터(830)와 제2모터(840)로부터 벨트에 의해 각각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구조를 보인 도이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가 회전축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즉, 선별되는 폐기물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를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를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체결구(811,821)를 분리하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와 연결된 액츄에이터(850,860)의 제어에 의해 도4에서와 같이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를 이송컨베이어(410)의 폭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되고, 또한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간격 즉, 겹침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이 고르게 분포하는지를 감지하여 고르게 분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겹침정도, 경사정도, 이송컨베이어(410) 상에서의 좌우위치를 액츄에이터(850,860)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을 고르게 분포시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410) 상에서 이송되는 폐기물이 고르게 분포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면에는 광학센서(9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광학센서(910)는 이송컨베이어(4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어레이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에 의해 흘뿌려지는 폐기물이 가이드(411)에 부딪히면서 이송컨베이어(410)에 고르게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가이드(411)는 이송컨베이어(410)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흘뿌려지는 폐기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는 이송컨베이어(410)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폐기물의 고른 분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는 폐기물이 가이드(411) 방향으로 흩뿌려지도록 하는 회전방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폐기물 분배장치(8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풍력선별기(400)의 투입구(401)로 투입되어 낙하되는 낙하되는 폐기물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로 겹쳐진 부위로 낙하되고,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회전력에 의해 흩뿌려지면서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면에 고르게 분포하여 이송된다.
즉, 폐기물이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에 의해 방사형으로 흩뿌려짐으로써 이송컨베이어(410)에 고르게 분포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이송컨베이어(410)를 이송하는 폐기물은 광학센서(910)에 의해 그 분포상태가 감지되는데, 상기 광학센서는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에 의해 폐기물의 분포를 감지하게 된다.
즉,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의 광반사정도에 의해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페기물이 없은 경우에는 그 광반사정도가 클 것이고, 폐기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폐기물에 의해 광의 반사정도가 작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모듈(920)은 상기 광학센서(9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그 분석결과 즉, 폐기물의 분포 상태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인공지능모듈은 광반사정도에 따른 폐기물의 분포 상태 및 그 분포상태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결과에 따라 폐기물의 균일한 분포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회전속도,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에 대한 출력값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인공지능모듈(920)의 출력값에 의해 제어부(900)는 모터(830,8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아울러 액츄에이터(850,860)을 제어하여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410)의 상부면에 항상 균일하게 폐기물이 분포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6 및 도7은 폐기물이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에 강하게 흩뿌려지면서 흙 등의 이물질이 털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좀더 고르게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부(812,822)가 형성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돌기부(812,822)는 상기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의 상부면에서 반구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디스크(810)와 제2디스크(820)가 회전할 때 그 회전하는 방향의 전면부위가 상기 디스크(810,820)로부터 수직한 면을 가지거나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812,822)는 상기 디스크(810,820)의 중심부위로부터 동심원 위치와 방사 위치에서 각각 복수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폐기물이 돌기부(812,822)의 전면부위에 걸려서 강하게 흩뿌려지며, 또한 전면부위가 수직하거나 후방으로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써 폐기물이 돌기부(812,822)에 걸리지 않고 흩뿌려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폐기물 분배장치(800)는 풍력선별기(400)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선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위치에 적용이 가능한데, 그 예로서 광학센서(910) 전방부위, 파쇄기(100) 또는 분쇄기(600)의 전방부위, 자력선별기(200,500)의 전방부위 등에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폐기물을 파쇄 또는 분쇄하는 파쇄기(100) 또는 분쇄기(600)의 전방부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투입되는 폐기물을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파쇄기(100) 또는 분쇄기(600) 커터의 편마모 방지 및 커터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광학센서(910)의 전방부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겹쳐진 원료를 이송장치 즉 컨베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분배시킴으로써 광학선별기의 선별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자력선별기(200,500)에 적용되어 비철금속 선별시에는 겹쳐진 원료를 컨베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배시킴으로써 비철금속의 선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1차 파쇄기
200 : 1차 자력선별기
300 : 원통형 회전 스크린
400 : 풍력선별기
401 : 투입구
410 : 이송컨베이어
411 : 가이드
500 : 2차 자력선별기
600 : 분쇄기
800 : 폐기물 분배장치
810,820 : 디스크
811,821 : 체결구
812,822 : 돌기부
830,840 : 모터
850,860 : 액츄에이터
900 : 제어부
910 : 광학센서

Claims (3)

  1. 투입되는 폐기물을 디스크에 의해 흩뿌려서 고르게 분배시키는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로서,
    원판으로 되면서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한 쌍의 디스크로 구성되고, 측방향 일부분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겹쳐진 방향으로 서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의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크는 그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부위로부터 동심원과 방사 위치에서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며, 디스크의 회전시 그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전면 부위가 상기 디스크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의해 분배되는 폐기물의 분포를 감지하는 광학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광학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상기 모터와 액츄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크의 회전속도, 겹침정도, 경사정도, 좌우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KR1020230081678A 2023-06-26 2023-06-26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KR10264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678A KR102645658B1 (ko) 2023-06-26 2023-06-26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678A KR102645658B1 (ko) 2023-06-26 2023-06-26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658B1 true KR102645658B1 (ko) 2024-03-11

Family

ID=9024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678A KR102645658B1 (ko) 2023-06-26 2023-06-26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6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21A (ko) * 1990-06-15 1992-01-29 알퐁스 아아르 노에 클로로말레이트 또는 클로로푸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부터 치환 및 비치환 -2,3-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JPH09506321A (ja) * 1993-12-08 1997-06-24 スタメット インク 粒状および粉末状材料用入口延長部
KR2006007326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회전식 광석분산장치
JP2012240777A (ja) * 2011-05-18 2012-12-10 Yutaka Akaboshi 圧送装置
KR200495517Y1 (ko) * 2019-01-07 2022-06-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21A (ko) * 1990-06-15 1992-01-29 알퐁스 아아르 노에 클로로말레이트 또는 클로로푸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부터 치환 및 비치환 -2,3-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피리딘디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JPH09506321A (ja) * 1993-12-08 1997-06-24 スタメット インク 粒状および粉末状材料用入口延長部
KR2006007326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다중회전식 광석분산장치
JP2012240777A (ja) * 2011-05-18 2012-12-10 Yutaka Akaboshi 圧送装置
KR200495517Y1 (ko) * 2019-01-07 2022-06-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4474C (zh) 垃圾风选分类系统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KR102148276B1 (ko) 다중 파봉 및 선별 과정을 포함하는 생활계 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JP2003251218A (ja) 石炭と廃タイヤの混焼後の燃え殻選別装置
KR101678685B1 (ko) 이물질을 거르는 목재칩 또는 톱밥의 이송 장치
CA1069084A (en) Inclined, fluid suspendingly swept rotating drum refuse separator
KR20080081875A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WO1991017876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the economic components of scrap rubber tires
US4778116A (en) Municipal waste processing apparatus
US3878995A (en) Refuse shredder and classifier
KR101533288B1 (ko) 고형연료제품 제조를 위한 매립 또는 생활 폐기물의 선별 방법
KR102645658B1 (ko) 회전 디스크 타입 폐기물 분배장치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JPS62247843A (ja) ハンマ−破砕器
US4867866A (en) Municipal waste processing apparatus
KR100189690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JP7086498B2 (ja) 廃棄物を用いた燃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プラント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1205280B1 (ko) 풍량 선별기 및 그를 이용한 선별방법
KR102417994B1 (ko) 에어를 이용한 이물질 선별장치
KR20240002042A (ko) 클리닝모듈이 구비되는 매립장 폐기물 처리용 토사 선별시스템
KR20240002034A (ko) 선별디스크를 이용한 매립장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074634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