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581B1 -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581B1
KR102645581B1 KR1020220145011A KR20220145011A KR102645581B1 KR 102645581 B1 KR102645581 B1 KR 102645581B1 KR 1020220145011 A KR1020220145011 A KR 1020220145011A KR 20220145011 A KR20220145011 A KR 20220145011A KR 102645581 B1 KR102645581 B1 KR 10264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structure
aviation
indicator
upper hemisphere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이병선
Original Assignee
(주)이맥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맥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이맥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14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된다.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고,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Self-illuminating aviation obstacle indicator with energy harvesting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출원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를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항공장애표시구는 항공기 조종사가 고층 건물과 송전탑 등을 장애물로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도록 높은 구조물에 설치하는 표지물이다.
항공기 안전 운항을 위해 항공법 제83조(항공장애 표시등의 설치 등)에 따라 60m ∼ 150m 높이 이상의 건축물과 구축물은 항공장애 표시등과 항공장애주간표지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높이가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150m 이상인 건축물이나 구조물, 90m 이상의 강, 계곡 또는 고속도로를 횡단하는 가공선, 케이블 또는 가공선, 케이블 등에 표지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불가능 할 때에 그 가공선과 케이블을 지지하는 탑이 있다.
항공장애 표시등은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소유자가 설치 및 유지 및 관리의 의무가 있으며, 설치는 건축물 신축(개축)시 설치대상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 후 신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903803에는 단일의 하우징 내에 항공장애등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항공장애등 장치의 제작, 설치가 간편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항공장애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473501에는 구조물에 올려 놓음에 의해 구조물에 설치되므로 설치 작업이 쉽고 간단하고, 작업자가 높은 구조물의 상부에 올라가 설치 작업을 할 때 설치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항공장애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고시 2020-828호의 항공장애 표시등과 항공장애 주간표지의 설치 및 관리기준의 제17조 표지물의 설치에 따르면, 물체 위 또는 물체 주변에 표지하는 장애표지물은 그 물체의 위치를 식별하기 쉬운 위치에 다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수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하베스팅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광도(예를 들어, 시간 당 소비전력 0.3W, 광도 32 cd 이상의 연속 구동, 적색), 중광도(예를 들어, 시간 당 소비전력 5W, 광도 2만 cd, 백색), 및 고광도(예를 들어, 시간당 소비전력 10W, 광도 10만 cd, 백색)를 구현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효율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신뢰성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항공장애 표시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고,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 공급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또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는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상반구 구조체와 결합되고, 상기 선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반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 상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국 구조체 상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에 각각 제공된 홀(ho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에너지 변환부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CCTV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의 내부 공간, 상기 상반구 구조체의 외면,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감시를 수행하고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는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되며,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고,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너지 없이,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통해 자체 발광 가능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가 송전탑의 선로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반구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하반구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태양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의 결합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의 결합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에너지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에 포함된 발광 모듈의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에 포함된 발광 모듈의 설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의 검사 시스템을 제조 및 판매를 실시하는 주체와 본 출원 명세서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 검사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가 다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시계열적으로 기재된 방법 청구항에서, 각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단순히 기재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내포된 기술적 의미에 따라서 순서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며, 내포된 기술적 의미에 따라서 순서가 한정되지 않는 단계들은 각 단계들의 수행 순서에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가 송전탑의 선로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반구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하반구 구조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송전탑(10) 사이의 선로(20)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로(20)는 가공지선일 수 있다.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상기 송전탑(10) 사이의 상기 선로(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베이스 바디(110, 120), 발광 모듈(150), 및 제어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110, 120)는, 상반구 구조체(110) 및 하반구 구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는 상기 선로(2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와 결합되고, 상기 선로(2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어 있는 반구(half of a sphere) 형상일 수 있고,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형상은 반구형이 아닌 다른 형상(예를 들어, 육면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각각 한쌍의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결합부(130)는, 각각,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한쌍의 상기 결합부(13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결합부(130)가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상기 결합부(130)가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상기 결합부(130) 사이에 상기 선로(20)가 제공되고, 상기 선로(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반기 구조체(110)의 상기 결합부(130) 및 상기 하반기 구조체(120)의 상기 결합부(130)가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10)가 상기 선로(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50)은 LED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50)은 에너지 공급부를 갖는 상기 제어 시스템(170)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외부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5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5개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5개의 상기 발광 모듈(150)중 하나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4개는 외주 곡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4개 이하, 또는 6개 이상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5개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5개의 상기 발광 모듈(150)중 하나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외주 곡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4개는 외주 곡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4개 이하, 또는 6개 이상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각각, 한쌍의 체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일 수 있고,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한쌍의 상기 체결부(14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한쌍의 상기 체결부(140)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한쌍의 상기 결합부(130)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한쌍의 상기 체결부(140)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가장자리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상기 체결부(14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상기 체결부(140)가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10)가 상기 선로(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각각,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112)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 및 상기 하반기 구조체(120)의 외주 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112)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의 중심 영역에 인접한 위치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외주 곡면의 중심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 형성된 상기 홀(112)에 의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내면에 조도 센서(16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160)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조도 센서(160)의 조도 센싱부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조도 센서(160)의 바디부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조도 센서(160)는 상기 제어 시스템(170)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조도 센서(160)의 상기 조도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이 상기 제어 시스템(17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이 상기 조도 센싱부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 시스템(170)으로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70)은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발광 모듈(150)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 시스템(170)은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발광 모듈(150)이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70)은 상기 발광 모듈(150)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에너지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70)은 상기 에너지 공급부 외,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70)의 상기 에너지 공급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여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내면에 상기 제어 시스템(170)이 부착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발광 모듈(150)은 전선을 통해 상기 제어 시스템(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시스템(170)의 상기 에너지 공급부 및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내면, 또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외부에 CCTV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CCTV는 항공장애표시구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CCTV는 항공장애등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바다, 산, 또는 송전선을 촬영하여 산불의 조기예방 송전선의 이상 유무 검사 등을 위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태양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태양광 패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태양광 패널(200)을 통해 태양광으로부터 생성된 전력은 상기 제어 시스템(170)의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력의 공급 없이, 자체 발광이 가능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 상에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에서, 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와 별도로 제공되고, 시공 단계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특정 위치(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남향)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직선으로 연장하고 고정된 상기 선로(20)의 연장방향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에 이미 설치된 형태로 시공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태양광을 흡수하기 용이하지 않은 위치에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태양광 패널(200)의한 발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시공자는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의 위치에 상기 태양광 패널(2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태양광 패널(200)에 의한 상기 태양광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패널(20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외주 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설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설치 홀은 시공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막음 부재(예를 들어, 고분자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시공자는 상기 선로(20)의 연장 방향을 고려하여, 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어, 남향)에 인접한 상기 설치 홀을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설치 홀을 채우는 상기 막음 부재를 제거한 이후, 지정된 상기 설치 홀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200)을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의 결합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결합부의 결합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상기 결합부(130)는 결합 바디(132) 및 결합 패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132)는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와 일체(one body)를 이루며,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로부터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132)는 상기 선로(20)가 제공되는 제1 그루브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영역 양측의 제1 날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134)는 상기 결합 바디(13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134)는, 상기 결합 바디(132)의 상기 제1 그루브 영역과 중첩되는 제2 그루브 영역, 및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바디(132)의 상기 제1 날개 영역과 중첩되는 제2 날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134)는 상기 결합 바디(132) 내에 제공된 상태에서, 볼트 및 나사 등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134)의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은 상기 결합 바디(132)의 상기 제1 그루브 영역과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패드(134)의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은 상기 선로(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선로(20)에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이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에 제공되는 요철 구조는, 상기 선로(20)의 연장 방향 및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연장 방향과 사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의 요철 구조에 의해 상기 선로(20)에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로(20)는 가공지선일 수 있고, 가공지선의 표면에 돌출부 및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의 요철 구조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가공지선의 돌출부 및 함몰부와 정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공지선의 돌출부가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의 요철 구조의 오목부에 위치하고, 가공지선의 함몰부가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의 요철 구조와 가공지선의 표면 요철 구조가 정합을 이루어, 가공지선에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에너지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상기 제어 시스템(17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변환부는, 변환부(220), 정류부(231, 232, 232, 234), 에너지 저장부(240) 및 접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전탑(10), 송전선, 및 배전선에서 전자파가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송전탑(10), 상기 송전선, 및 상기 배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가 상기 변환부(220)에서 교류 전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도성 필름(180)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18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필름(180)은 구리 필름일 수 있다.
교류 전류는, 외부의 전자파가 전도성 물체(상기 변환부(220))에 닿아 생성된 표면 전류일 수 있고, 표면 전류는 상기 전도성 필름(180, 상기 안테나부(220))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상기 정류부(231~234)는 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교류 전류를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231~234)는 상기 정류된 교류 전류를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는 상기 접지부(250)로부터 접지를 제공받고, 상기 정류된 교류 전류를 전기 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231~234)는, 제1 다이오드(231) 내지 제4 다이오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를 통해 상기 교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캐소드는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오드(51)의 애노드는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캐소드는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애노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상기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250)와 연결되어 접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상기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상기 애노드는,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캐소드와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250)와 연결되어, 접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는 에너지 저장소자(예를 들어,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의 일단은,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애노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의 타단은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캐소드 및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노드로 제공된 상기 교류 전류(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교류 전류) 중 (-) 극성을 갖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을 통과하여 제1 노드에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입력 노드로 제공된 상기 교류 전류 중 (+) 극성을 갖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2 다이오드(232)를 통과하여, 제2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연결된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에 전기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설치되는 상기 선로(20)는 가공지선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접지부(250)는 상기 선로(20, 가공지선)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부 전자파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가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자체 발광 가능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에 표시구와 달리,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에 표시구와 달리, 복수의 상기 태양광 패널(20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홀(112)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에 표시구와 달리, 얇고 긴 테이프 형상의 복수의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15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중앙영역에 상기 발광 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에 표시구와 달리,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외에,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외주 곡면 상에 상기 태양광 패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장애 표시구가 설치된 송전탑 및 송전선로 주변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이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외주 곡면 상에 배치된 상기 태양광 패널(200)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에 인공지능 ai기능 컴퓨터 기능이 탑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가 가공지선에 설치되어 재난감시기능을 수행하고, 산불 또는 철탑 붕괴 등 비상상황 발생을 스스로 감지하여 위기관리 센터로 즉각 보고하거나 경고음을 알리거나, 상황을 촬영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i기능을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철탑에 설치된 이후 감시자 또는 모니터링 기술에 의존하여, 감시자가 수시로 응시를 해야되거나 모니터를 감시하고 있거나 카메라를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감시를 해야하는 수동 방식이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Ai 기능을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될 수 있고, 산불이 날 경우 연기 또는 발화지점의 극부고온 현상을 인지하고, 또는 철탑의 흔들림 또는 지반 흔들림 또는 경사가 울어지는 현상 등을 모두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관리자 또는 경보음을 통해 위급을 자체 분석 파악하여 알려주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150)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50)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는 빨간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에서 발광하는 상기 발광 모듈(150)에 의해 항공장애 표시구가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에 포함된 발광 모듈의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150)은 구조체(152) 및 상기 구조체(152)에 배치된 LED(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상기 구조체(152)가 육면체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구조체(152)의 형상 미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게 변경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6 및 도 17은 본 출원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에 포함된 발광 모듈의 설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체(152) 및 상기 LED(154)를 포함하는 상기 발광 모듈은, 도 16의 (a) 및 도 1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내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 16의 (b) 및 도 1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내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내면에 연결된 지지대(156)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대(156)에 상기 발광 모듈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의 내면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의 내면에 직접(directly) 장착되지 않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발광 모듈의 상기 구조체(152)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상기 LED(154)가 없는)이 상기 지지대(156)에 부착 및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은 전면을 향하여 광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체(152)가 육면체인 경우, 상기 LED(154)가 배치된 6면에서 광이 방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항공장애 표시구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56)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에서 위로 나란히 연장하며 서로 접합된 제1 지지대(156a) 및 제2 지지대(15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156a)는 열에 의한 팽창(길이 변화)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대(156b)는 열에 의한 팽창(길이 변화)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기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예를 들어, 여름, 혹은 낮), 상기 제2 지지대(156b)의 길이가 증차가여 상기 발광 모듈에 의한 광의 조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밤과 낮, 또는 계절에 따라서, 광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그리고 외부 동력 없이 조절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출원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상반구 구조체(110)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120)로 형성된 항공장애 표시구는 구형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 또는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 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송전탑
20: 선로
100: 항공장애 표시구
110: 상반구 구조체
112: 홀
120: 하반구 구조체
130: 결합부
140: 체결부
150: 발광 모듈
160: 조도 센서
170: 제어 시스템
180: 전도성 필름

Claims (7)

  1. 삭제
  2.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고,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모듈; 및
    상기 발광 모듈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공급부는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인 것을 포함하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또는, 태양광 패널상기 발광 모듈은,
    구조체;
    상기 구조체에 배치된 LED; 및
    상기 구조체와 상기 베이스 바디 내면을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 내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면 상에서 내부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서로 접합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변화되는 물질로 형성되며,
    같은 조건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 변화가 적은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기 선로 상에 배치되는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상반구 구조체와 결합되고, 상기 선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반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반구 구조체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와 일체를 이루는 결합 바디, 및 상기 결합 바디 내에 제공되는 결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바디는, 상기 선로가 제공되는 제1 그루브 영역, 및 상기 제1 그루브 영역 양측의 제1 날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패드는, 상기 제1 그루브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선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2 그루브 영역, 및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바디의 상기 제1 날개 영역과 중첩되는 제2 날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내면에는 상기 선로의 연장 방향 및 상기 제2 그루브 영역의 연장 방향과 사선을 이루는 방향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는 요철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 상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상기 결합 패드가 상기 결합 바디 내에 제공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상반구 구조체 또는 하반구 구조체 상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에 각각 제공된 홀(hole)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에너지 변환부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외부로 광을 방출하고,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 상에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부 또는 내부에 제공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상반구 구조체 및 상기 하반구 구조체의 내부 공간, 상기 상반구 구조체의 외면, 또는 상기 하반구 구조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조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하거나,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감시를 수행하고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KR1020220145011A 2022-11-03 2022-11-03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KR10264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11A KR102645581B1 (ko) 2022-11-03 2022-11-03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11A KR102645581B1 (ko) 2022-11-03 2022-11-03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581B1 true KR102645581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011A KR102645581B1 (ko) 2022-11-03 2022-11-03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5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50Y1 (ko) *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423739Y1 (ko) * 2006-05-17 2006-08-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1192015B1 (ko) * 2012-01-31 2012-10-1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저손실 복수 방향 안테나의 선택적 통신 방식 스위칭을 적용하는 가공 송배전 선로 감시장치
KR20180052271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전력공사 항공장애표시구
KR20200121034A (ko) * 2019-04-15 2020-10-23 (주)이맥이노베이션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150Y1 (ko) * 2002-12-28 2003-03-19 서윤석 선로용 항공장애표시구
KR200423739Y1 (ko) * 2006-05-17 2006-08-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1192015B1 (ko) * 2012-01-31 2012-10-1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저손실 복수 방향 안테나의 선택적 통신 방식 스위칭을 적용하는 가공 송배전 선로 감시장치
KR20180052271A (ko) * 2016-11-10 2018-05-18 한국전력공사 항공장애표시구
KR20200121034A (ko) * 2019-04-15 2020-10-23 (주)이맥이노베이션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088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mast lighting
CA2771738C (en) Lighting system
JP5197866B1 (ja) カラスの営巣防止装置
PL204186B1 (pl) Park wiatrowy z wieloma elektrowniami wiatrowymi, w których poszczególne elektrownie wiatrowe posiadają urządzenie świetlnego ostrzegania samolotów
JP2013038885A (ja) 自家発電システム
US9010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icial light
KR10264558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05659A (ko)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항공장애 표시등
KR101349235B1 (ko)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led 도로안전표지장치
KR102289215B1 (ko)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US11236876B2 (en) Illumination unit
JP6117735B2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器具点灯システム
KR101705492B1 (ko) 소화수 확보를 위한 링 형태의 수면 결빙방지장치
CN104751612A (zh) 一种高压线路智能监测预警管控系统
KR100663991B1 (ko)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JP2017139230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CN208271543U (zh) 户外led大屏智能监测系统
CN206021843U (zh) 智能光电发光反光消防标识牌
CN213690860U (zh) 一种智能安全预警发射器、接收器及其设施
CN204176541U (zh) 一种新型太阳能灯
JP2013033428A (ja) 蓄発電一体装置を搭載した信号機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101188010B1 (ko) 배전용 주야간 안전 표시구
CN219891736U (zh) 一种户外声光报警器
CN217982557U (zh) 一种智慧校园安防系统
US20110298380A1 (en) Report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emitting diod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