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15B1 -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15B1
KR102289215B1 KR1020190043489A KR20190043489A KR102289215B1 KR 102289215 B1 KR102289215 B1 KR 102289215B1 KR 1020190043489 A KR1020190043489 A KR 1020190043489A KR 20190043489 A KR20190043489 A KR 20190043489A KR 102289215 B1 KR102289215 B1 KR 10228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viation obstacle
emitting module
upper structu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034A (ko
Inventor
이승현
이병선
Original Assignee
(주)이맥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맥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이맥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9004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항공장애 표시구를 제공한다.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base body),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Electromagnetic wave harvesting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and operat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항공장애표시구는 항공기 조종사가 고층 건물과 송전탑 등을 장애물로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도록 높은 구조물에 설치하는 등화(燈火)이다.
항공기 안전 운항을 위해 항공법 제83조(항공장애표시등의 설치 등)에따라 60m ∼ 150m 높이 이상의 건축물과 구축물은 항공장애표시등과 항공장애주간표지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높이가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150m 이상인 건축물이나 구조물, 90m 이상의 강, 계곡 또는 고속도로를 횡단하는 가공선, 케이블 또는 가공선, 케이블 등에 표지를 해야 하지만 설치가 불가능 할 때에 그 가공선과 케이블을 지지하는 탑이 있다.
항공장애표시등은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소유자가 설치 및 유지·관리의 의무가 있으며, 설치는 건축물 신축(개축)시 설치대상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 후 신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903803에는 단일의 하우징 내에 항공장애등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항공장애등 장치의 제작, 설치가 간편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항공장애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473501에는 구조물에 올려 놓음에 의해 구조물에 설치되므로 설치 작업이 쉽고 간단하고, 작업자가 높은 구조물의 상부에 올라가 설치 작업을 할 때 설치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항공장애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전 선로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효율의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휘도의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용이한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항공장애 표시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base body),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부 구조체(top structure) 및 하부 구조체(bottom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 사이에 상기 선로가 제공되어,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상부 구조체 상에 제공되는 발광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 내에 제공되고, 상기 교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변환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기 하부 구조체 사이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환부는, 하부 구조체 아래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변환부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상기 하부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된다.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결합된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모듈 또는 풍력 발전 모듈 등 상기 발광 모듈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 없이,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용이하게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발광 모듈이 발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한,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에 포함된 변황부 및 정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8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발광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송전탑(10) 사이의 선로(20)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로(20)는 가공지선일 수 있다.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상기 송전탑(10) 사이의 상기 선로(20)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110, 120), 및 상기 상기 베이스 바디(110, 120)에 제공된 발광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110, 120)는 상부 구조체(top structure, 120) 및 하부 구조체(bottom structure,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20) 및 상기 하부 구조체(110) 사이에 상기 선로(20)가 제공되고, 상기 상부 구조체(120)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하부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바디(110, 120)는 상기 선로(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210)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210)은 백색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고광도 타입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210)은, 백색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중광도 타입일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모듈(210)은 적색, 황색,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저광도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 모듈(210)의 타입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 모듈(210)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모듈(210)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상기 교류 전류를 정류하고, 저장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발광 모듈(210)의 전자파 변환, 정류, 및 저장 과정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에 포함된 변황부 및 정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210)은, 발광부, 변환부(220), 정류부(231~234), 에너지 저장부(240), 및 접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210)의 상기 발광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구조체(120) 상에 배치되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변환부(220), 상기 정류부(232~234), 및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 12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부 구조체(120) 상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는,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파이버(fiber), 메쉬(mesh), 또는 판(sheet)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등), 또는 전도성 고분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류 전류는,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전도성 물체(상기 변환부(220))에 닿아 생성된 표면 전류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전류는 상기 전도성 물체(상기 변환부(220))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상기 정류부(231~234)는 상기 전자파-전류 변환부(1100)에서 변환된 교류 전류를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1200)는 상기 정류된 교류 전류를 상기 저장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0)는 접지부(1400)로부터 접지를 제공받고, 상기 정류된 교류 전류를 전기 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231~234)는, 제1 다이오드(231) 내지 제4 다이오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20)를 통해 상기 교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캐소드는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오드(51)의 애노드는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애노드는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캐소드는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애노드는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상기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250)와 연결되어 접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상기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상기 애노드는,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상기 캐소드와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250)와 연결되어, 접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는 에너지 저장소자(예를 들어,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의 일단은,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의 애노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233)의 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의 타단은 상기 제2 다이오드(232)의 캐소드 및 상기 제4 다이오드(234)의 캐소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노드로 제공된 상기 교류 전류(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교류 전류) 중 (-) 극성을 갖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1 다이오드(231)을 통과하여 제1 노드에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입력 노드로 제공된 상기 교류 전류 중 (+) 극성을 갖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2 다이오드(232)를 통과하여, 제2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연결된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에 전기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210)의 상기 변환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변환부(220)의 형태 및 구성이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1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100a, 100b)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항공장애 표시구(100a, 100b)의 하부 구조체(110) 사이에 변환부(314)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한 항공장애 표시구(100a, 100b)의 상기 하부 구조체(110)에 결합부재(312)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14)는, 상기 결합부재(312)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314)는 판(plate), 매쉬(mesh), 또는 라인(lin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2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변형 예와 달리, 하나의 항공장애 표시구의 하부 구조체(110)에 고정된 연결부재(312)와 고정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변환부(314)는 판(plate), 매쉬(mesh), 또는 라인(lin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3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변형 예와 달리, 하나의 항공장애 표시구의 하부 구조체(110)에 상기 변환부(314)가 연결되되, 상기 하부 구조체(110)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312), 및 상기 선로(20)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316)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부(314)가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구조체(110)에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재(312)에 상기 변환부(314)의 중심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선로(20)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부재(316)에 의해 상기 변환부(314)의 양측이 각각 상기 선로(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환부(314)가 안정적으로, 상기 선로(20) 및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3 변형 예와 달리, 상기 하부 구조체(110)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312), 및 상기 선로(20)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316)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부(314)가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 연결되되, 상기 변환부(314)의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부재(312)에 의해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변환부(314)의 타측이 상기 제2 연결부배(316)에 의해 상기 선로(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5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변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변형 예에 따르면,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기 하부 구조체(110)의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모듈(210)의 변환부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상기 하부 구조체(110)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변환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6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변형 예에 따르면,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기 상부 구조체(12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 모듈(210)은, 상술된 실시 예들과 달리, 상기 상부 구조체(120) 및 상기 하부 구조체(110)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먼지 등에 의해 상기 발광 모듈(210)이 직접적으로 오염되거나,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발광 모듈(210)이 손상 및 열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항공장애 표시구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7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변형 예에 따르면, 상술된 실시 예들과 달리,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구(sphere) 형태가 아닌, 육면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술된 실시 예들에서 제공된 상기 상부 구조체(120) 및 상기 하부 구조체(110)가 육면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부면 상에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210)이 동일한 평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8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변형 예에 따르면, 상술된 실시 예들과 달리,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구(sphere) 형태가 아닌, 삼각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8 변형 예에 따르면, 삼긱 기둥의 일 측면이 지면을 향하고, 다른 두 개의 측면이 비스듬히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이 지면에 수직하고, 상기 두 개의 측면의 법선이 상부를 비스듬히 향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발광 모듈(210)은 상기 두 개의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에서 방출되는 광이,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ㅏ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조 항공장애 표시판(102)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항공장애 표시판(102)은 일정한 시간대에 턴온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항공장애 표시판(102)은 야간 시간대에 턴온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항공장애 표시판(102)은 상술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발광 모듈의 발광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는 바디(216), 및 램프(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다(216)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216)는 나사산 및 나사골을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램프(214)가 장착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6)의 외측면에는 상술된 에너지 저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126)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단자(126)는 상기 바디(216)의 상기 제1 부분의 나사골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216) 내부 회로를 통해 상기 연결 단자(126)는 상기 램프(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20)는, 상기 바디(216)의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여 나사산 및 나사골을 갖는 연결부, 및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개구부를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20)의 상기 연결부에 상기 바디(216)의 상기 제1 부분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 내에는 실링재(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등)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물 등 수분이, 상기 상부 구조체(120)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바디(216)의 상기 제1 부분이 나사 결합된 영역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전원 단자(122, 124, 1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단자(122, 124, 126)는 상기 상부 구조체(120)의 내부 회로를 통해, 상술된 에너지 저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바디(216)의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전원 단자(122, 124, 126)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부(240)의 전력을 상기 연결 단자(21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단자(122, 124, 126)는, 제1 전원 단자(122), 제2 전원 단자(124), 및 제3 전원 단자(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122), 상기 제2 전원 단자(124), 및 상기 제3 전원 단자(126)는 상기 연결부의 나사산에 제공되되, 상기 제1 전원 단자(122)는 상기 제2 전원 단자(124) 및 상기 제3 전원 단자(126) 보다 더 내측의 나사산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3 전원 단자(126)는 상기 제2 전원 단자(124) 및 상기 제1 전원 단자(122)보다 더 외측의 나사산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단자(124)는 상기 제1 전원 단자(122) 및 상기 제3 전원 단자(12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122), 상기 제2 전원 단자(124), 및 상기 제3 전원 단자(126)는, 각각, 다른 크기의 전류, 제1 내지 제3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단자(212)가 어떠한 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지에 따라서, 상기 램프(214)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램프(214)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설치자 또는 운용자가 편안하고 용이하게 상기 램프(214)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시피어(120)에 낮은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3 전원 단자(126)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3 전원 단자(126)는 제3 전류를 상기 연결 단자(21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류는 상기 제1 및 제2 전류보다 큰 전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램프(214)는 상기 연결 단자(212)로부터 상기 제3 전류를 전달받고 가장 높은 조도 값을 갖는 광을 발광하는 동시에,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구조체(120)와 낮은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램프(214)가 외부에 노출되어, 광이 조사되는 범위(R)가 가장 넓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중간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2 전원 단자(124)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원 단자(124)는 제2 전류를 상기 연결 단자(21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류는 상기 제3 전류보다 작고, 제1 전류보다 큰 전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램프(214)는 상기 연결 단자(212)로부터 상기 제2 전류를 전달받고 중간 조도 값을 갖는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중간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램프(214)가 외부에 노출되고, 이에 따라, 광이 조사되는 범위(R)가 상기 제3 전원 단자(126)에 연결된 것과 비교하여 좁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높은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1 전원 단자(122)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원 단자(122)는 제1 전류를 상기 연결 단자(21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류는 상기 제2 전류 및 제3 전류보다 작은 전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램프(214)는 상기 연결 단자(212)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전달받고 낮은 조도 값을 갖는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16)가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높은 레벨로 나사 결합되어, 광이 조사되는 범위(R)가 상기 가장 좁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디(216)의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3 전원 단자(126)에 연결된 경우, 상기 램프(214)는 가장 밝은 광을 가장 넓은 범위로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바디(216)의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1 전원 단자(122)에 연결된 경우, 상기 램프(214)는 가장 어두운 광을 가장 좁은 범위로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바디(216)의 상기 연결 단자(212)가 상기 제2 전원 단자(124)에 연결된 경우, 상기 램프(214)는 중간 밝기 값의 광을 중간 범위로 조사할 수 있다.
즉, 항공장애 표시구의 착용자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장착되는 대상물의 특성(예를 들어, 위치, 주변 환경 등)에 따라서, 상기 바디(216)를 상기 상부 구조체(120)에 나사 결합하는 레벨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램프(214)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는 물론,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송전탑
20: 선로
100: 항공장애 표시구
110: 상부 구조체
120: 하부 구조체
210: 발광 모듈
220: 변환부
231~234: 정류부
240: 에너지 저장부
250: 접지부

Claims (5)

  1. 송전탑 사이의 선로에 결합된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상기 선로에 고정 결합된 베이스 바디(base body); 및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된 전자파를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광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바디는, 상부 구조체(top structure) 및 하부 구조체(bottom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 사이에 상기 선로가 제공되어,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상부 구조체 상에 제공되는 발광부,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생성된 전자파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베이스 바디 내에 제공되고, 상기 교류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는, 상기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교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와 연결된 캐소드 및 애노드를 포함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입력 노드와 연결된 애노드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된 애노드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된 캐소드 및 애노드를 포함하는 제4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및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변환부는, 복수의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 중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항공장애 표시구의 상기 하부 구조체들의 아래에 결합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하부 구조체들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2. 제1 항에 있어서,
    송전탑 또는 송전선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전환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단에 장착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체는, 상기 바디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는 연결부, 및 외측을 향해 넓어지는 개구부를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의 상기 바디는, 상기 램프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 구조체의 상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 내에 상기 에너지 저장부와 연결된 제1 내지 제3 전원 단자가 제공되되, 상기 제1 전원 단자, 상기 제2 전원 단자, 및 상기 제3 전원 단자가 순차적으로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상기 램프와 연결된 연결 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하는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 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가 발광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 단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바디가 상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하는 레벨에 따라서,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 및 광의 조사 범위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는 고정 결합되어 구(sphere) 형태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는 고정 결합되어 삼각 기둥 형태를 갖되,
    상기 삼각 기둥의 일 측면이 지면을 향하고, 다른 두개의 측면이 비스듬히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5. 삭제
KR1020190043489A 2019-04-15 2019-04-15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KR10228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89A KR102289215B1 (ko) 2019-04-15 2019-04-15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89A KR102289215B1 (ko) 2019-04-15 2019-04-15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34A KR20200121034A (ko) 2020-10-23
KR102289215B1 true KR102289215B1 (ko) 2021-08-12

Family

ID=7303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89A KR102289215B1 (ko) 2019-04-15 2019-04-15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075A (ko) 2022-03-08 2023-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송전선 안전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581B1 (ko) * 2022-11-03 2024-03-08 (주)이맥이노베이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91B1 (ko) * 2004-04-16 2007-01-02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1886191B1 (ko) * 2017-08-16 2018-08-08 한국전력공사 선로 설치형 발광장치 및 선로 발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46B1 (ko) * 2016-10-07 2018-10-26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도전원형 전력선 표시등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91B1 (ko) * 2004-04-16 2007-01-02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1886191B1 (ko) * 2017-08-16 2018-08-08 한국전력공사 선로 설치형 발광장치 및 선로 발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075A (ko) 2022-03-08 2023-09-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송전선 안전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5625A (ko) 2022-03-08 2024-01-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송전선 안전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34A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15B1 (ko) 전자파 하베스팅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방법
US8354802B2 (en) Solid state device controller
JP2019033248A (ja) 路面発電ユニット及びシステム
US20120047826A1 (en) Base station house having thin film solar cell
KR101349235B1 (ko)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led 도로안전표지장치
CN103807666A (zh) Led模组式路灯
KR101929264B1 (ko) 고효율 고광도 항공장애등
GB2486236A (en) A Light Fitting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20180003579U (ko) 노면 발전 유닛 및 시스템
KR102375001B1 (ko) 실내 광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감성 조명 장치
US9797574B2 (en) Light-emitting diode obstruction light
AU2014100975A4 (en) Solar powered outdoor lighting device
KR20100116899A (ko) 원형곡면 테이퍼형 태양광모듈과 원통기둥형 태양광모듈 및 엘이디조명등장치가 된 가로등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N210035323U (zh) 太阳能低光强顶发光航空障碍灯
KR20150004549A (ko) 봉형 구조체의 경관 개선을 위한 조명 기구
CN203099584U (zh) 一种多光源的加油站灯
KR10264558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048343A1 (en) Outdoor base station house having thin film solar cells
KR102374070B1 (ko)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발전 타입의 해상 일체형 등명기
CN205535118U (zh) 一种多面体led光源
CN215216159U (zh) 一种led重机步道灯
CN109083458A (zh) 用于景观式升降变的太阳能屋顶及景观式升降变
CN215522982U (zh) 一种高功率led投光灯
CN203273552U (zh) 一种机场led接地带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